{{{#!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서비스 | <colbgcolor=#fff,#1f2023> Shorts · Premium · Music · Kids |
기록 | 구독자 순위 · 좋아요 순위 · 조회수 순위 · 인기 동영상 | |
비판 | 문제점( 사용자/ 시스템/ 운영/ 광고) · 사건 사고 ( 2010년대/ 2020년대) · 노란 딱지 | |
기타 | 유튜브 크리에이터( 유튜브 6개월 법칙) · 게시 중단된 음악 · YouTube 크리에이터 어워즈 · 콘텐츠 ID |
1. 개요
유튜브에서 문제를 일으키거나, 사회적으로 논란이 된 유튜버들이 사죄와 반성을 한다며 자숙을 하지만 그 기간이 유튜브 정책으로 수익창출이 끊기는 시점인 6개월을 못넘기고 다시 복귀한다는 법칙을 말한다.2. 상세
수익 창출 기준에 미달되면 어떻게 되나요?
채널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게 되더라도 YouTube에서 자동으로 채널의 수익 창출 권한을 박탈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YouTube에서는 채널이 6개월 이상 비활성 상태이거나 커뮤니티 게시물이 업로드 또는 게시되지 않은 경우 재량에 따라 채널의 수익 창출 자격을 박탈할 권리를 보유합니다.
YouTube 수익 창출 정책을 위반한 채널은 시청 시간과 구독자 수에 관계없이 수익 창출 자격을 잃습니다.
유튜브 고객센터 채널의 동영상 수익 창출 승인 관련 FAQ #
채널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게 되더라도 YouTube에서 자동으로 채널의 수익 창출 권한을 박탈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YouTube에서는 채널이 6개월 이상 비활성 상태이거나 커뮤니티 게시물이 업로드 또는 게시되지 않은 경우 재량에 따라 채널의 수익 창출 자격을 박탈할 권리를 보유합니다.
YouTube 수익 창출 정책을 위반한 채널은 시청 시간과 구독자 수에 관계없이 수익 창출 자격을 잃습니다.
유튜브 고객센터 채널의 동영상 수익 창출 승인 관련 FAQ #
유튜브에서 물의를 일으켜서 사회적으로 지탄을 받은 유튜버들이, 반성과 자숙을 핑계삼아 여론이 잠잠해질 때까지 잠수를 한 후 마치 약속이라도 한듯 6개월이 넘기 전에는 반드시 복귀하는 현상.
하지만 모두가 그런건 아니다. 물론 대부분의 경우는 앞에서 서술한 것과 같은 이유로 인한 거지만, 그중 몇몇 논란도 없는데 장기간 잠수 타는 유튜버들은 꼭 무슨 실수나 나쁜짓을 해서가 아니라 그저 그들만의 필치못한 개인적인 사정이나 혹은 그 외에 다른 이유로 인하여 의도치 않게 잠수를 타고 자신들의 유튜브 채널 활동과 관리를 하지 못하게 되는 유튜버들도 있다. 또 그중 일부는 해명하고 다시 유튜브로 복귀하는 이들도 있다.[1]
사실 이런 행태는 유튜브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TV나 트위치 같은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인터넷 방송인들에게도 나타나는 모습이긴 하지만, 유튜브의 수익구조 때문에 이런 밈이 굳어졌다. 그리고 트위치나 아프리카TV에서 활동하는 인터넷 방송인들이 유튜브에도 자신의 채널을 개설하여 활동하면서 유튜버도 겸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런 행태를 표현하는 단어가 '유튜브 6개월 법칙' 혹은 '유튜버 6개월 복귀 법칙' 등으로 굳어졌다.
사회에서도 물의를 일으켜 대중들의 규탄을 받은 유명 연예인이나 운동선수 등이 몇십년 전 부터 써 오던 방식이 인터넷 방송 플랫폼인 유튜브에서 답습되고 있는 것이다.
이전부터 되풀이되던 행태임에도 굳이 6개월 법칙이라고 명명된 이유가 있는데, 그 이유는 하술되어 있다.
3. 6개월인 이유
유튜브는 수익 창출의 자격을 갖춘 채널에서 영상을 올리면 거기에 생긴 조회수, 광고 등으로 수익이 창출되고, 수익이 해당 유튜버에게 지급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인지도가 높은 유명 유튜버들이라면 그만큼 영상 하나당 조회수도 많을 것이고, 해당 영상에 붙는 광고도 많을 수 있다. 그만큼 유튜버에게 수익이 많이 돌아올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이러한 유튜브 수익 창출에는 6개월 이상 채널을 운영하지 않으면 수익창출이 중단될 수 있다는 조항이 존재한다. 이는 수익 창출을 지속하고 싶은 유튜버들에겐 치명적인 문제이자 걸림돌이 될 수 밖에 없다.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심각한 물의를 일으켜 숱한 지탄을 받은 유튜버들이라도 유튜브 수익 창출 유지를 위해서 온갖 비난을 감수하고 꾸역꾸역 6개월 안에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들은 아무리 자신에 대한 비호감을 가진 안티, 악플러들이 많다 해도, 그만큼 맹목적으로 본인을 지지해주는, 소위 실드, 빠로 불리는 콘크리트 시청자들이 많기 때문에 과감하게 복귀하는 것이다.
반대로 6개월이 지나도 돌아오지 않으면 정말로 은퇴를 했다고 기정사실화한다. 그래서 꼭 물의를 빚지 않더라도 말없이 영상 업로드가 중단되어있는 유튜브 채널들의 마지막 영상이 6개월 이전에 올린 영상일 경우 마찬가지로 업로드를 영구 중단한 채널로 인식하고는 한다.
4. 6개월을 넘겨도 무조건 수익창출 정지는 아니다
하지만 유튜브 가이드라인에서는 "유튜브 채널이 6개월 이상 비활성 상태이거나 커뮤니티 게시물이 업로드 또는 게시되지 않은 경우 재량에 따라 채널의 수익 창출 자격을 박탈할 권리를 보유한다"라고 쓰여져 있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수익창출이 중단될 수 있다라는 문구이지 무조건 6개월 이상 영상 업로드를 하지 않는다고 해서 수익창출이 정지된다는 말은 아니다. 하지만 인터넷 상에는 "6개월이 지나면 무조건 수익창출이 정지된다"고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가이드라인의 문구를 처음 본 누군가가 오해해 잘못된 정보가 퍼져나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자신의 채널로 직접 실험까지 해 보았는데 수익창출이 정상적으로 되었다는 주장도 있는 것으로 보아 유튜브도 6개월이 지난다고 무조건 정지를 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
하지만 아무래도 무조건 중단되지 않는다는 말이지 앞으로도 수익창출 정지를 하지 않을 것이라는 보장은 없기 때문에 6개월 안에 복귀하는 현상이 많은 것이다. 어쨌거나 '6개월 법칙'이라는 이름은 사실은 아니고, 6개월 안에 돌아온다고 하더라도 무조건 수익창출 때문에 돌아왔다고 치부하는 것은 성급한 판단이므로 어디까지나 유튜브 밈 정도로 받아들이는게 좋을 듯하다.
5. 사례
- 마일드: 2016년 8월 21일 마극단 해체 사건 이후 동년 11월 21일에 복귀했다.(92일)
- 미소: 이례적으로 6개월 법칙을 2차례나 지키면서 복귀했는데[2], 2017년 3월 19일 양띵크루 탈퇴 이후 5월 1일 복귀, 2017년 7월 22일 양띵크루 탈퇴 재점화 이후 동년 9월 8일에 복귀했다. 번외적으로 2018년 3월 1일 은퇴 이후 2주도 안 가서 3월 15일에 복귀했다.(총 119일)
- 벨벳7: 2022년 8월 15일 음식값 사기극 이후 동년 11월 7일에 복귀했다. (84일)
- 삼시보: 2019년 말 삼시보 사이버 불링 논란이 터지고 2020년 5월 18일에 사과 영상을 올린 이후 동년 10월에 복귀하였다.(약 150일) 하지만 복귀 이후 지금까지 있었던 일들을 완전히 허위사실이라고 하며 부정하는 태도를 보였기 때문에 여론이 이전보다 더 악화되어 2022년 7월 16일자로 유튜브 활동을 중단하게 되었다.([dday(2022-07-16)]일째 잠적중)
- 양팡: 2020년 8월 5일에 뒷광고 사건이 터지고 2021년 2월 1일에 복귀하였다.(180일)
- 영국남자: 국가비 자가격리 위반·건강보험료 논란으로 2020년 10월 16일에 해명 영상을 올리고 2021.4.21에 복귀 영상을 올렸다.(188일)
- 송지아: 2022년 1월에 송지아 짝퉁 논란이 터지고 6월 27일에 복귀했다.(약 150일)
- 배고픈 여행가: 하얀트리 무한리필 가게 음식 재사용 허위 폭로 사건이 터지고 2021년 8월 16일 잠적 후 6개월 조금 넘게 지난 2022년 2월 27일 채널명을 기존의 하얀트리에서 현재의 채널명으로 바꾸고 복귀했다.(196일)
- Roblox - 한국: 2022년 1월 말 Roblox - 한국 블랙마켓 이용 논란이 터지고 2022년 7월 2일에 복귀했다.(약 160일)
- 개리형: 2022년 2월 9일 개리형 갑질 논란이 터지고 7월 8일에 복귀했다.(149일)
- 뻑가: 2022년 2월 5일에 잼미님 사망 사건으로 잠적 후 8월 3일에 복귀했다.(179일) 그러나 비판 여론이 하도 거세서 그런지 같은 해 8월 5일부터 1월 9일까지 157일간 잠적했다.(총 336일)
- 오토포스트: 2022년 5월 6일에 현대자동차의 고소 사건으로 활동을 중지했다가 10월 6일에 복귀했다.(153일)
5.1. 예외인 사례
- 마요: 유튜버 명예훼손으로 인한 마피아크루 제명 이후, 유튜브 채널 계정이 팔렸고, 2022년 이후 트위치 방송으로 활동하고 있다. 다만 유튜브 활동은 사실상 중단되었기 때문에 예외로 분류했다.
- 엠브로: 실제로 유튜버를 은퇴하고 채널 삭제 후 지금은 일반인으로 살고 있다.
- 사먹사전: 2020년 이후 코로나 19 및 멤버들의 개인적인 사정으로, 유튜브 업로드가 중단된 상태다.
- 소련여자: 본인이 잘못한 것이 없음에도 유튜브를 중단한 사례. 2022년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유튜브 업로드를 중단해 6개월 이상 경과했으나(총 233일) 수익창출은 정지되지 않았고[3], 2022년 10월에 복귀했다.
- 보겸: 논란을 벌인 이후 잠깐의 자숙 이후에 돌아온 적도, 본인이 논란의 피해자임에도 8개월간 잠수를 타다 돌아온 적도 있는 특이한 사례. 2020년 유튜브 뒷광고 사태때 수많은 뒷광고 행적들이 밝혀져 잠수를 탔으나 2개월밖에(62일) 안 지난 시점에 돌아왔던 것이 전자이며, 2021년 윤지선 남성혐오 논문 게재 사건이 일어나고 정신적 피해를 받아 2021년 11월경부터 2022년 7월경까지 잠수를 탔다.(250일, 총 312일)
- 장상의 게임세상: 2021년 12월 30일 휴식을 선언했지만, 1년이 넘어갔음에도 유튜브 활동을 하지 않아 사실상 잠정 은퇴에 가깝다. 그나마 해당 문서에 언급된 대부분의 유튜버들에 비하면 사건 사고를 일으키지 않아 민심이 좋기 때문에, " 박수받고 떠났지만 이렇게 떠나서 아쉽다."는 반응이 많다.([dday(2021-12-30)]일)
- Kidmo: 이쪽은 법의 철퇴를 맞고 복귀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
캬랑: 2021년 11월 말 마지막 영상을 올린 이후 2022년 현재까지도 그대로 잠수를 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2023년 1월 12일 영상을 업로드하며 복귀했다. - 류정란: CGV 무단 침입사건 이후 법적인 문제로 인해 유튜브 활동은 접은 상태이다.
- 테크몽: 부계정 여론 조작으로 자숙에 들어간 후 8개월을 넘기고(253일) 복귀했는데, 복귀 전에도 2~3달에 한번씩 커뮤니티에 근황을 올려 수익창출 정지를 막았다는 의혹이 있다. 위에도 적혀있듯 커뮤니티 게시글도 채널 활동에 포함되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