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8c4c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99,#666666 |
1권 「전조록일(前趙錄一)」 | 2권 「전조록이(前趙錄二)」 | 3권 「전조록삼(前趙錄三)」 | 4권 「전조록사(前趙錄四)」 |
유연 · 유화 | 유총 | 유총 | 유총 · 유찬 | |
5권 「전조록오(前趙錄五)」 | 6권 「전조록육(前趙錄六)」 | 7권 「전조록칠(前趙錄七)」 | 8권 「전조록팔(前趙錄八)」 | |
유요 | 유요 | 유요 | 유선 · 유성 · 유익 · 유윤 | |
9권 「전조록구(前趙錄九)」 | 10권 「전조록십(前趙錄十)」 | 11권 「후조록일(後趙錄一)」 | 12권 「후조록이(後趙錄二)」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석륵 | 석륵 | |
13권 「후조록삼(後趙錄三)」 | 14권 「후조록사(後趙錄四)」 | 15권 「후조록오(後趙錄五)」 | 16권 「후조록육(後趙錄六)」 | |
석륵 | 석홍 | 석호 | 석호 | |
17권 「후조록칠(後趙錄七)」 | 18권 「후조록팔(後趙錄八)」 | 19권 「후조록구(後趙錄九)」 | 20권 「후조록십(後趙錄十)」 | |
석호 | 석세 · 석준 · 석감(鑒) | 석민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21권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 22권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 23권 「전연록일(前燕錄一)」 | 24권 「전연록이(前燕錄二)」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모용외 | 모용황 | |
25권 「전연록삼(前燕錄三)」 | 26권 「전연록사(前燕錄四)」 | 27권 「전연록오(前燕錄五)」 | 28권 「전연록육(前燕錄六)」 | |
모용황 | 모용준 | 모용준 | 모용위 | |
29권 「전연록칠(前燕錄七)」 | 30권 「전연록팔(前燕錄八)」 | 31권 「전연록구(前燕錄九)」 | 32권 「전연록십(前燕錄十)」 | |
모용위 | 토욕혼· 모용한· 모용인· 모용각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33권 「전진록일(前秦錄一)」 | 34권 「전진록이(前秦錄二)」 | 35권 「전진록삼(前秦錄三)」 | 36권 「전진록사(前秦錄四)」 | |
부홍 | 부건 | 부생 | 부견 | |
37권 「전진록오(前秦錄五)」 | 38권 「전진록육(前秦錄六)」 | 39권 「전진록칠(前秦錄七)」 | 40권 「전진록팔(前秦錄八)」 | |
부견 | 부견 | 부비 | 부등 | |
41권 「전진록구(前秦錄九)」 | 42권 「전진록십(前秦錄十)」 | 43권 「후연록일(後燕錄一)」 | 44권 「후연록이(後燕錄二)」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모용수 | 모용수 | |
45권 「후연록삼(後燕錄三)」 | 46권 「후연록사(後燕錄四)」 | 47권 「후연록오(後燕錄五)」 | 48권 「후연록육(後燕錄六)」 | |
모용수 | 모용보 | 모용성 | 모용희 | |
49권 「후연록칠(後燕錄七)」 | 50권 「후연록팔(後燕錄八)」 | 51권 「후연록구(後燕錄九)」 | 52권 「후연록십(後燕錄十)」 | |
모용운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53권 「후진록일(後秦錄一)」 | 54권 「후진록이(後秦錄二)」 | 55권 「후진록삼(後秦錄三)」 | 56권 「후진록사(後秦錄四)」 | |
요익중 | 요양 | 요장 | 요흥 | |
57권 「후진록오(後秦錄五)」 | 58권 「후진록육(後秦錄六)」 | 59권 「후진록칠(後秦錄七)」 | 60권 「후진록팔(後秦錄八)」 | |
요흥 | 요흥 | 요홍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61권 「후진록구(後秦錄九)」 | 62권 「후진록십(後秦錄十)」 | 63권 「남연록일(南燕錄一)」 | 64권 「남연록이(南燕錄二)」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모용덕 | 모용초 | |
65권 「남연록삼(南燕錄三)」 | 66권 「하록일(夏錄一)」 | 67권 「하록이(夏錄二)」 | 68권 「하록삼(夏錄三)」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혁련발발 | 혁련창 | 혁련정 | |
69권 「하록사(夏錄四)」 | 70권 「전량록일(前涼錄一)」 | 71권 「전량록이(前涼錄二)」 | 72권 「전량록삼(前涼錄三)」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장궤 | 장실 | 장준 | |
73권 「전량록사(前涼錄四)」 | 74권 「전량록오(前涼錄五)」 | 75권 「전량록육(前涼錄六)」 | 76권 「촉록일(蜀錄一)」 | |
장중화 · 장령요 · 장조 | 장현정 · 장천석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특 | |
77권 「촉록이(蜀錄二)」 | 78권 「촉록삼(蜀錄三)」 | 79권 「촉록사(蜀錄四)」 | 80권 「촉록오(蜀錄五)」 | |
이류 · 이웅 |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81권 「후량록일(後涼錄一)」 | 82권 「후량록이(後涼錄二)」 | 83권 「후량록삼(後涼錄三)」 | 84권 「후량록사(後涼錄四)」 | |
여광 | 여소 · 여찬 | 여륭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85권 「서진록일(西秦錄一)」 | 86권 「서진록이(西秦錄二)」 | 87권 「서진록삼(西秦錄三)」 | 88권 「남량록일(南涼錄一)」 | |
걸복국인 · 걸복건귀 | 걸복치반 · 걸복모말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 |
89권 「남량록이(南涼錄二)」 | 90권 「남량록삼(南涼錄三)」 | 91권 「서량록일(西涼錄一)」 | 92권 「서량록이(西涼錄二)」 | |
독발녹단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고 | 이흠 | |
93권 「서량록삼(西涼錄三)」 | 94권 「북량록일(北涼錄一)」 | 95권 「북량록이(北涼錄二)」 | 96권 「북량록삼(北涼錄三)」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저거몽손 | 저거무건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97권 「북량록사(北涼錄四)」 | 98권 「북연록일(北燕錄一)」 | 99권 「북연록이(北燕錄二)」 | 100권 「북연록삼(北燕錄三)」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풍발 | 풍홍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11><tablebgcolor=#a11> ||
}}}}}}}}}}}}}}} ||1. 개요
王永(? ~ 386)
전진의 인물. 자는 불명. 청주(靑州) 북해군(北海郡) 극현(劇縣) 출신. 전진의 명재상 왕맹의 아들.
2. 생애
성품이 청아하고 학문을 좋아하여 천왕 부견이 그를 부풍(扶風)태수에 임명하였다.건원 18년(382년) 3월, 동생인 원외산기시랑 왕피(王皮)가 모반을 꾸미다가 발각되었으나, 천왕 부견은 그를 죽이지 않고 삭방(朔方) 북쪽으로 유배보냈다. 그리고 4월에 왕영을 유주(幽州)자사로 삼아 계(薊)로 부임시키니, 왕영은 지역을 잘 다스려 백성들의 인심을 얻었다.
건원 20년(384년) 7월, 천왕 부견이 100만 대군을 모아 동진을 정벌했다가 비수대전에서 대패한 이후로 전진에게 병합되었던 여러 이민족들이 연이어 반란을 일으키기 시작하였다. 이때 선비족 모용수가 모반을 선포하고 자립하자, 왕영은 평주(平州)자사 부충(苻沖)과 연합해 두 주의 병력을 이끌고 모용수를 토벌하려 하였다. 이에 모용수도 장수 평규(平視)를 보내 영격하니, 왕영은 창려(昌黎)태수 송창(宋敞)을 내보내 맞섰다. 그러나 송창은 범양(范陽)에서 평규에게 대패하였고, 평규는 진격하여 계성 남쪽까지 이르렀다.
건원 20년(384년) 8월, 왕영이 진위장군 유고인(劉庫仁)에게 구원을 청하자, 유고인은 그의 처형 공손희(公孫希)에게 기병 3,000여 기를 주어 왕영을 구원케 하였다. 이후 공손희의 군대가 계성 남쪽에서 평규의 군대를 격파하니, 왕영은 내친 김에 승세를 타고 당성(唐城)까지 진격하여 모용린과 대치하였다.
건원 20년(384년) 10월, 공손희가 평규를 격파했다가는 소식을 들은 유고인도 번치(繁畤)로 나아가 호응하려 했으나, 도중에 부하의 배신으로 피살당했고, 대장 유고인의 사망을 들은 공손희 부대는 무너져 흩어졌다. 이에 왕영도 다시 계성으로 퇴각하였다.
건원 21년(385년) 정월, 모용수가 다시 다시 모용좌(慕容佐)와 평규를 보내 계성을 공격하였다. 왕영은 이에 맞서서 힘껏 싸웠지만, 여러 번의 전투에서 전부 패하여 인해 농성조차 힘든 상황에 처하였다.
건원 21년(385년) 2월, 결국 유주를 포기하기로 결심한 왕영은 송창에게 화룡(和龍)과 계성의 궁성을 모두 불태울 것을 명한 뒤, 남은 30,000 군사를 인솔해 호관(壺關)으로 도망쳤다.
건원 21년(385년) 8월, 장락공 부비는 모용수의 공격을 당해낼 수가 없어 업(鄴)을 버리고 장안으로 도망치려 하였다. 이에 호관에 있던 왕영이 사자를 보내 부비를 초빙하니, 부비는 업의 남녀 60,000명을 이끌고 노천(潞川)에 이르렀다. 그때 표기장군 장자와 병주(并州)자사 왕등이 부비를 영접하여 진양(晉陽)으로 들어갔다. 그곳에서 장안성이 함락당했다는 사실과 아버지 부견이 강족 요장에게 살해당했다는 사실을 듣게 된 부비는 애도한 뒤, 황제로 즉위하여 대사면령을 내리고 연호를 개원하였다.
태안 원년(385년) 9월, 사지절•시중•도독중외제군사•거기대장군•상서령에 임명되었고 청하공(清河公)에 봉해졌다. 이후 사도•녹상서사로 승진하였다.
태안 2년(386년) 6월, 좌승상•태위로 승진하였다. 왕영이 애평제 부비의 명령에 따라 사방에 격문을 띄워 아직 전진을 지지하는 각 지방 세력들에게 함께 요장을 토벌할 것을 종용하자, 천수(天水)의 강연(羌延), 빙익(馮翊)의 구명(寇明), 하동(河東)의 왕소(王昭), 신평(新平)의 장안(張晏), 경조(京兆)의 두민(杜敏), 부풍(扶風)의 마랑(馬郎), 건충(建忠), 고평(高平)의 목관(牧官)과 도위 왕민(王敏) 등이 모두 격문을 받고 의병을 일으켜 각각 수만 명의 병력을 모았다. 그들이 모두 사자를 보내 부비에게 응답하자, 부비는 이들을 모두 장군, 태수로 삼고 열후로 봉하였다.
태안 2년(386년) 8월, 애평제 부비가 40,000 군사를 일으키고 친정하여 평양(平陽)으로 진격하니, 왕영이 그를 따라 출진하였다. 진양은 표기대장군 왕등 등이 남아서 지켰고, 호관은 양보(楊輔)가 남아서 지켰다.
태안 2년(386년) 10월, 서연의 모용영이 길을 빌려 동쪽으로 돌아가고자 하였으나, 애평제 부비가 이를 불허하였다. 그리고 위대장군 구석자(俱石子)를 전봉도독으로 하여 선봉으로 삼고, 왕영과 부찬(苻纂)을 보내 모용영을 공격하자, 더이상 물러날 곳도 없었던 모용영도 어쩔 수 없이 반격하여 양릉(襄陵)에서 전투를 크게 벌였다. 구석자와 왕영은 모용영의 서연군에게 대패하여 모두 전사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