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19-03-28 18:39:20

오소녀/나비효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오소녀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나비효과
,
,
,
,
,

이 문서의 삭제 토론이 진행 중입니다.

이 문서를 삭제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어 삭제 토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해당 토론에서 의견을 제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서술 고정 시점을 지키지 않을 경우 관련 규정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토론 중 틀에 대한 토론이 진행 중입니다.


1. 개요2. 상세
2.1. 초창기2.2. 유이의 나비효과2.3. JYP 걸그룹은 모두 바뀐다?2.4. 포미닛 큐브엔터테인먼트2.5. 아이유 주니엘2.6. DSP미디어 B2M엔터테인먼트 역사속으로?2.7. 그 외의 상황들2.8. 그러나 고려해야 할 점
3. 현실적으로

1. 개요

오소녀가 정상적으로 데뷔했을시의 나비효과를 정리한 문서이다.

2. 상세

이 그룹 출신 멤버들이 워낙 잘나가고 있는 탓에 과연 오소녀가 정식 데뷔했다면 어느 정도의 위력을 냈을지 못내 궁금해하는 사람들도 꽤나 많다. 참고로 이들의 데뷔가 예정되어 있었던 2007년 원더걸스 소녀시대가 막 데뷔한 때이기도 했다.[1] 같은 해 데뷔한 카라 2년 후에나 떴으며, 선배 걸그룹 천상지희 쥬얼리는 하락세를 타고 있었다.

만약 이들이 그 시점에 데뷔해서 성공했더라면 이후의 대한민국 걸그룹의 판도가 어찌 되었을지는 모르는 일이다. 밑에 나와있는 예상들을 감안해본다면 현재와 그야말로 완전 딴판이 됐을 가능성이 크다! 사실 걸그룹들의 판도뿐만 아니라 보이그룹의 판도에도 큰 영향을 줄 정도이며, 심지어 몇 소속사들의 존재 자체에도 엄청난 영향을 줬을 가능성이 크다. 그래봤자 부질없는 가정이지만 대충 예상해보자.

2.1. 초창기

2.2. 유이의 나비효과

2.3. JYP 걸그룹은 모두 바뀐다?

2.4. 포미닛 큐브엔터테인먼트

2.5. 아이유 주니엘

2.6. DSP미디어 B2M엔터테인먼트 역사속으로?

2.7. 그 외의 상황들

2.8. 그러나 고려해야 할 점

3. 현실적으로



[1] 즉, 이른바 "아이돌의 홍수" 시기 이전이다. 아이돌이 우후죽순으로 늘어난 시기는 소녀시대의 <Gee>가 강타한 2009년. [2] 하지만 딱히 그렇게 단정하기는 힘든게, 아무리 이 당시 오소녀가 성공해서 아이돌 팬덤의 파이를 나눠가졌다고 쳐도 카라가 성공한 계기는 2008년 멤버 교체후 "락유" 같은 상큼발랄한 컨셉들로 승부하고 구하라 정니콜등이 예능에서 팀의 인지도를 끌어올렸던 것이다. 고로 딱히 팀 컨셉이 겹치지 않는 오소녀와 훗날 예능들에서 그리 좋은 예능감을 보여주지는 못했던 오소녀의 멤버들의 개인 활동들을 감안해보면 카라가 성공했을 가능성은 오소녀가 어떻게 됐든 아마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3] 예를 들어 당시 연습생들 중 헬로비너스의 후보 멤버중 하나였던 전 와썹의 멤버인 다인이 헬로비너스로 데뷔했을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와썹의 멤버구성도 달라졌을 것이다. [4] 바로 일본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아예 없는건 아니지만 한국 아이돌 그룹들의 일본진출은 보통 대부분 한국에서 먼저 인지도를 많이 쌓은 후에나 고려하는 편이다. [5] 실제로도 2012년 1월부터 6월 이전까지는 30대 멤버가 둘이었다. [6] 사건의 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의지드립을 가장 먼저 날린 멤버가 효민이었다. [7] 단 2007년 당시 정화는 13살이라서 가능성은 없다고 봐도 된다. [8] 특히 하니가 EXID 결성에 주요한 역할을 했었으므로 다른 팀과 달리 멤버 교체 정도가 아니라 아예 팀이 없었을 수도 있다. [9] 비슷한 시기에 공중파에서 방영한 해운대 연인들이 왜 조기종영으로 망했는지 상기해보자. [10] 정은지는 가장 마지막으로 에이핑크에 들어갔기 때문. [11] 서인국, 호야, 고아라, 정우, 유연석, 바로, 손호준, 도희, 김성균, 혜리, 류준열, 고경표, 류혜영, 박보검, 이동휘 [12] 다만, 혜리의 경우 응답하라 1988로 정점을 찍은 것이지 스타덤에 오른 것은 진짜사나이 출연 이후이다. [13] 허영지는 카라프로젝트에서 우승하여 카라에 들어온것이고, APRIL 멤버중 이분이 카라프로젝트 출신이다. 윤채경 조시윤, 전소민은 프리즘 스톤으로 데뷔한 케이스. [14] 가장 극단적으로는 여자친구가 일개 중소 기획사의 그저그런 아이돌로 묻혀버리고 끝났을 가능성이 더 높다. 소원이 DSP에서 그대로 데뷔하거나, 은하가 들어오지 않았으면 그저 그런 아이돌 1로 몰락하고 끝나거나 멤버간 밸런스가 붕괴되어서 DIA 구구처럼 특정 멤버 몰아주기나 했을 것이다. [15] 유이-효성-유빈-지나는 모두 색기 및 안무담당. 위에도 언급되었듯, 이 구성이었다면 노래까지 잘하는 지나한테 다른 멤버들이 전부 묻혀서 병풍이 되었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 [16] 원더걸스(Tell Me - So Hot - Nobody), 애프터 스쿨(Diva - 너 때문에) 마법소녀아잉방콕시티상하이로맨스립스틱까탈레나나처럼해봐요, 전효성(Magic - Madonna), 지나(Black and White). [17] 특히 텔미는 곡자체의 리듬과 댄스가 기억에 남는 곡이고, 노래 외적으로는 만두 소희 임팩트가 그룹의 밥줄이었다. 유빈의 유무는 의미없다는 뜻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4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4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