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15:51:08

어쌔신 크리드: 섀도우스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 파일:어쌔신 크리드 시리즈 로고 화이트.svg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 ||
{{{#!wiki style="word-break: keep-normal; 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메인 시리즈
분류 본편 DLC
오리지널 어쌔신 크리드 -
에지오 3부작
리마스터
어쌔신 크리드 2 포를리 전투 허영의 불꽃
어쌔신 크리드: 브라더후드 다 빈치의 행방불명 코페르니쿠스 음모
어쌔신 크리드: 레벨레이션 잃어버린 기록
아메리카 역사 어쌔신 크리드 3 리마스터 워싱턴 왕의 폭정
어쌔신 크리드 4: 블랙 플래그 프리덤 크라이
어쌔신 크리드: 로그 -
근대 혁명 어쌔신 크리드: 유니티 데드 킹즈
어쌔신 크리드: 신디케이트 잭 더 리퍼 마지막 마하라자
신화 어쌔신 크리드: 오리진 감추어진 존재들 파라오의 저주
어쌔신 크리드: 오디세이 최초 암살검의 등장 아틀란티스의 운명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 드루이드의 분노 파리 포위전
라그나로크의 서막
어쌔신 크리드: 미라지 -
어쌔신 크리드 인피니티 어쌔신 크리드: 섀도우스 -
어쌔신 크리드: 코드네임 HEXE -
* 분류: 유비소프트 스토어의 엔진별(세대별) 합본 명칭에 기반합니다.
* DLC: 주요 스토리 DLC만 표기되어 있습니다. 다른 DLC 관련 내용은 본편 문서를 참고하여 주십시오.
----
기타 시리즈
어쌔신 크리드: 알테어 연대기 어쌔신 크리드: 블러드라인 어쌔신 크리드 2: 디스커버리
어쌔신 크리드: 아이덴티티 어쌔신 크리드 3: 리버레이션 어쌔신 크리드 파이러츠
어쌔신 크리드 크로니클즈 어쌔신 크리드: 리벨리온 어쌔신 크리드: 코드네임 JADE

----
미디어 믹스
영화 <colbgcolor=#fff,#191919> 어쌔신 크리드 단편 영화 리니지 · 어센던스 · 엠버즈
소설 르네상스 · 브라더후드 · 시크릿 크루세이드 · 데저트 오스 · 레벨레이션 · 발할라
만화 브라만 · 차이나 · 잊혀진 사원
* 참고: 시인성을 위해 표제명의 '어쌔신 크리드'가 생략되었습니다.
}}}}}} ||
<colbgcolor=#d30c14,#010101><colcolor=#ffffff> 어쌔신 크리드 섀도우스
Assassin's Creed Shadows
<nopad>파일:어쌔신 크리드 섀도우스 박스아트.jpg
개발 유비소프트 퀘벡
유통 유비소프트
플랫폼 PS5 | XBX|S | Windows | Luna | macOS | iPadOS
ESD PS Store | MS Store
유비소프트 커넥트 | 에픽게임즈 스토어 | App Store
장르 3인칭 오픈 월드 액션 RPG
출시 2024년 11월 15일[1]
엔진 유비소프트 앤빌
음악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심의 등급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스토어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아이콘.svg 파일:Microsoft Store 라이트 테마 아이콘.svg 파일:Microsoft Store 다크 테마 아이콘.svg 파일:Ubisoft_Store_logo.png 파일:Ubisoft_Store_logo_white.png
1. 개요2. 발매 전 정보3. 출시 에디션4. 트레일러5. 등장인물
5.1. 암살단5.2. 기타
6. 특징7. 평가8. 논란 및 사건사고
8.1. 상시 온라인 연결 루머8.2. 야스케 설정 관련 논란
8.2.1. 옹호8.2.2. 비판
8.2.2.1. 디렉터 인터뷰 논란
8.3. 고증 논란8.4. 가격 정책 논란
9. 여담

[clearfix]

1. 개요

유비소프트 퀘벡에서 개발하고 유비소프트가 발매한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의 14번째 메인 시리즈 게임. 일본 센고쿠 시대 말기인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2. 발매 전 정보

2021년 7월 7일, 유비소프트 유비소프트 몬트리올 유비소프트 퀘벡이 개발 중인 어쌔신 크리드 인피니티에 대한 공식 성명문을 발표하였다.

2022년 8월 12일, 여러 게임 정보를 유출하는 인사이더 톰 헨더슨에 의해 프로젝트 레드라는 인피니티의 내부 프로젝트가 유출되었는데 게임의 배경은 일본이 될 것이라는 정보가 나왔다. #

2022년 8월 16일, 9월 유비소프트 포워드 이벤트에서 어쌔신 크리드의 미래를 다룰 것이라는 소식이 보도되었다. #

2022년 9월 7일, 블룸버그의 기자 제이슨 슈라이어에 따르면 어쌔신 크리드 인피니티는 게임이 아닌 다양한 설정의 어쌔신 크리드를 포함하는 하나의 플랫폼이라고 말했으며 이 중 유비소프트가 개발하는 프로젝트 레드와 네오의 정보를 공개했다. #
* 프로젝트 레드, 네오는 인피니티에 포함된 게임.
* 프로젝트 레드는 일본 배경의 게임으로 유비소프트 퀘벡에서 개발.
* 프로젝트 네오는 마녀 사냥이 벌어지는 신성 로마 제국 배경의 게임으로 유비소프트 몬트리올에서 개발.
* 두 게임 모두 2024년 이전에는 출시하지 않는다.

2022년 9월 11일 유비소프트 포워드에서 트레일러와 정보를 공개했다.
* 인피니티는 멀티플레이 경험을 제공하며 프로젝트 레드, 헥세를 연결해주는 플랫폼 허브.
* 에도 시대의 일본 시노비(닌자)가 주인공.
* 개발 스튜디오는 유비소프트 퀘벡.
* 어쌔신 크리드: 오디세이, 임모탈 피닉스 라이징의 디렉터를 맡은 조나단 두몽이 디렉터로 참여.
* 장르는 신화 3부작과 유사한 오픈월드 액션 RPG.

2023년 2월 26일, 게임은 2024년에 출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

2023년 7월 19일, 게임의 정식 제목이 '어쌔신 크리드: 에도(Assassin's Creed Edo)'라는 루머가 나왔다. # 그 외 루머로는 쿠노이치 흑인 사무라이가 더블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암살과 은신에 초점을 둔 게임이 될 예정이라고 한다. #

2023년 10월 22일 일러스트의 일부가 유출되었다. #

2024년 5월 14일 게임의 타이틀을 어쌔신 크리드: 섀도우스(Assassin's Creed: Shadows)로 발표했다. 최초 공개 트레일러는 5월 16일 오전 1시에 공개되었다.

3. 출시 에디션

총 4개 에디션으로 출시되며, 아무 에디션이나 예약 구매 시 '낯선 개와 마주치다' 미션을 증정한다. 실물 패키지가 포함된 컬렉터스 에디션은 각 국가의 로컬 유통사부터 접수를 받고있다. 한국은 미정.
<rowcolor=#fff> 에디션 가격 구성
스탠다드 에디션
(Standard Edition)
₩79,000 게임 본편, 예약 구매 보너스
골드 에디션
(Gold Edition)
₩125,000 게임 본편, 예약 구매 보너스, 시즌 패스, 3일 사전 액세스
얼티밋 에디션
(Ultimate) Edition)
₩145,000 게임 본편, 예약 구매 보너스, 시즌 패스, 3일 사전 액세스, 얼티밋 팩
컬렉터스 에디션
(Collector's Edition)
$279.99 게임 본편, 예약 구매 보너스, 시즌 패스, 3일 사전 액세스, 얼티밋 팩, 지도, 신조 족자, 아트북, 40cm 나오에 및 야스케 2인 캐릭터 피규어, 상자(빨간색&검은색 바탕의 나오에와 야스케 그림), 석판화 2매,
나오에의 카타나 '츠바'[2] 레플리카 및 스탠드, 스틸북

4. 트레일러

쇼케이스 공개
월드 프리미어 트레일러
나오에와 야스케
최초 공개 게임플레이 트레일러
추가 게임플레이 시연 영상

5. 등장인물

5.1. 암살단

5.2. 기타

6. 특징

7. 평가

8. 논란 및 사건사고

8.1. 상시 온라인 연결 루머

월드 프리미어 트레일러 공개 후 상시 온라인 연결이 필요하다는 루머가 퍼지면서 많은 비난을 받았지만,[3] 곧 공식 X에서 해당 루머를 부인하고 오직 게임을 설치할 때에만 온라인 연결이 필요하다는 공지를 올렸다.

8.2. 야스케 설정 관련 논란

야스케의 사무라이 설정 및 주인공화를 두고 역사 왜곡, 정치적인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나오고 있다. 최초의 동아시아 배경의 메인 시리즈 작품에서의 흑인 주인공 야스케의 설정은 단순한 논란을 떠나 섀도우스에 대한 여론 전반을 악화시키며 심각한 문제로 부상 중이다.

8.2.1. 옹호

8.2.2. 비판

8.2.2.1. 디렉터 인터뷰 논란
논란이 커질대로 커진 와중 본작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조나단 뒤몽(Jonathan Dumont)이 패미통과의 독점 인터뷰(원문 백업) 에서 직접 흑인을 넣은 이유는 일본인이 아닌 우리가 이입하기에 더 좋은 인물이어서라고[11] 야스케를 주인공으로 선택한 이유를 밝혀버리면서 동아시아권 팬덤에게 기름을 부어버렸다. 이렇게 되면 당연히 일본인이나 아시아인으로선 "그럼 정작 우리는?"이라는 의문을 표할 수 밖에 없다. 아랍인, 이탈리아인, 아메리카 원주민, 영국인, 프랑스인, 이집트인, 그리스인, 북유럽인, 흑인, 아시아인 여자 주인공은 '우리'로서 이입이 가능하지만 아시아인 남자는 '우리'가 아니기에 이입이 안된다고 개발자가 직접 오피셜을 때려버린 것인데, # 결국 위에서 의심했던 '아시아인 남자 패싱'을 아예 개발자가 직접 나서서 그게 맞다고 못을 박아줬으니 더 이상 논란의 여지 자체가 없는 상황. 해당 내용이 문제가 되기 시작하자 약 하루 뒤에 해당 인터뷰에서 논란이 된 문장(まず“私たちの侍”、つまり日本人ではない私たちの目になれる人物を探していましたが)만 슬그머니 편집되었다.( 삭제본)

또다른 인터뷰 기사에서 디렉터인 사이몬 르메이 (Simon Lemay-Comtois)가 게임속 잔인한 표형에 관한 질문에 "이 시대의 일본에서는 죽음이 일상이였고, 이 시대의 대부분의 일본인의 죽는 방식은 참수이기에 참수는 흔하다"라고 답변하여 일본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일본 전국시대에 참수는 있었지만, 적장의 수급을 챙기는 목적이나 형벌로 행하는 의식이며, 게임에서 구현된 것 처럼 공공연하게 마을에서 참수하는 행위는 역사적 사실이 아니기에 지멋대로 해석한 일본을 역사적 사실처럼 사용하고 있다.

8.3. 고증 논란

트레일러부터 고증적인 부분에서 오류가 지적당하고 있는데 의도적인 고증 무시보단 세세한 고증 구현의 부족이 나타난다. 신사에 참배하고 있는 장면에서 향을 피고 있는 연기가 있는데, 향을 피우는건 불교의 절로, 신토의 신사는 향을 피우지 않는다. 또한 야스케가 노부나가를 알현하는 장면에서 타타미가 정사각형으로 나열되고 있으며, 가신들이 정좌를 하고 있는 등, 고증이나 역사 탐구 부분에서 흠이 발견되고 있다.
한정판 피규어에서는 야스케가 오다 가문이 아닌, 토요토미 가문의 깃발을 하고 있는 오류가 지적되고 있다.

인게임 플레이 트레일러에서는 역사적인 부분을 제외하고서라도 벚꽃이 흐드러지게 핀 봄임에도 초여름처럼 논에 물을 대는 모습[12], 동시에 벚꽃 아래의 과일바구니엔 가을에나 볼 수 있는 감이 가득 들어있는 모습 등 동아시아의 계절에 관한 묘사 역시 오류가 다수 지적되고 있다.

공개한 컨셉아트에서는 전국시대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현대에 창설된 총포술 재현단체인 "세키가하라 총포대(関ヶ原鉄砲隊)"의 깃발을 무단으로 등장시키는 오류를 범했다.

이중 타타미의 경우 인터뷰에서 수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센고쿠 & 에도 시대의 일본 역사에 초점을 맞춘 아시아학 석사 학위 소유자를 자칭하는 야마모토 켄지라는 X 유저가 야스케는 사무라이가 아니라는 트윗을 했다는 이유로 어쌔신 크리드 공식 X 계정에게 차단당했다고 호소하는 일이 있었는데, 타 유저들이 해당 유저를 조사해본 결과 일본어 트윗이 거의 없고 그 마저 전형적인 기계번역체인데다 과거 조 바이든을 '우리 대통령'이라고 칭하여 사실상 사학자를 사칭한 것이 탄로났다. # 심지어 일한 오마르를 '배신자 짐승'이라 칭하는 등 대안 우파 성향의 미국인이 확실해 보인다. 물론 그의 정체는 둘째치고 야스케가 사무라이가 아니라고 했다고 다짜고짜 밴하는 어쌔신 크리드 공식 계정 역시 비판을 피하긴 어렵다.

8.4. 가격 정책 논란

파일:GNoq5y0aIAA5AZM.jpg
3개월 전에 출시되는 스타워즈 아웃로처럼 가격 정책 또한 비난 받고 있다. 기본판인 스탠다드 에디션은 약 70달러로 최근 출시되는 AAA 게임들과 비슷하지만, 각종 혜택이 주어지는 골드 에디션은 110달러, 최상위인 얼티밋 에디션은 무려 130달러에 달하는 가격이 책정되어 있는데 이 중 기본판이 아닌 상위 에디션들에는 2개의 DLC가 포함된 시즌 패스와 특전 꾸미기 아이템, 3일 얼리 액세스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중 가장 큰 비난을 받는 부분이 바로 데이원 DLC가 시즌 패스에 포함되어 제공된다는 점이다. 데이원 DLC라 하면 출시 당일에 추가되는 DLC라는 표현인데, 말이 좋아 추가 컨텐츠이지 게임 개발 당시에는 다 완성시켜놓은 부분을 출시때는 떼다가 분리시켜 파는 셈이라[13] 사실상 70달러인 기본판을 사도 인게임 미션을 모두 즐기지 못한다는 조삼모사스러운 정책으로 밝혀져서 비판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유비소프트가 자사의 게임 구독 시스템인 유비소프트+를 이용하게 하기 위해 일부러 터무니 없는 가격을 책정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는데 상단의 사진처럼 유비소프트+를 이용하면 얼티밋 에디션을 월 18달러로 구매할 수 있는 옵션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가격 정책은 본작만의 문제가 아니라,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 전작과 스타워즈 아웃로를 비롯한 다른 유비소프트 게임에서도 똑같이 제공되어 동일하게 욕을 먹고 있었음을 감안해야 한다.

9. 여담



[1] 골드, 얼티밋 에디션 구매 시 11월 12일부터 플레이 가능 [2] 일본도의 코등이로, 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3] 한 달 전 발생한 더 크루 서비스 종료 및 라이센스 회수 사태도 이 논란이 확산되는데 영향을 끼쳤다. [4] 암살단에게 협력할 것을 약속하며 암살단의 마스터인 핫토리 한조의 도움으로 미카타가하라 전투에서 에덴의 검의 주인인 다케다 신겐을 암살하고 검을 손에 얻었지만, 검이 손에 들어오자 약속을 어겼다. [5] 물론 이것은 대중문화적 창작의 여지를 완전히 무시하고 고증 일변도로 접근한 얘기여서, 애초에 음모론이나 대체역사적 창작이 기반이 되고 있던 어크 시리즈의 팬들이 유독 야스케에 대해서만 고증을 세세하게 따지는 것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임용한 같은 학자도 이렇게 대중문화의 역사 고증에 과몰입해 비난을 퍼붓는 태도를 조소한 적이 있다. [6] 일본인의 관점에서 야스케가 역사적으로 흥미로운 인물인 것은 맞기 때문이다. [7] 작중에서는 다케다 신겐 휘하였고 후일 템플러로 전향한 실존 쿠노이치인 '모치즈키 치요메'에 의해 암살당했다는 설정. 단 모치즈키 치요메가 쿠노이치였다는 주장은 역사가들에 의해 다소 냉소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8] 사무라이에게 비록 몇백 석밖에 되지 않더라도 영토와 농민은 신분 유지를 위해 필수적이다. [9] 물론 그가 실존인물임에도 주인공으로 선택된 것이 이런 이유 때문일 가능성도 적지 않다. 역사적으로 알려진 것이 없다보니 창작에 제약이 크게 없다는 것. 문제는 그럴 바엔 그냥 오리지널 캐릭터 하나를 만드는 게 훨씬 낫다는 것이다. 특히 이때동안 플레이어블 캐릭터 쪽에선 오리지널 캐릭터를 써왔던 유비소프트였으니... [10] 트레일러의 댓글들에는 고스트 오브 쓰시마 PC판이 출시되었다, 고스트 오브 쓰시마 2를 기다리겠다 등 차라리 이 작품을 할 바엔 고스트 오브 쓰시마를 하거나 그 후속작을 기다리겠다는 식의 반응이 많다. [11] "弥助については、まず“私たちの侍”、つまり日本人ではない私たちの目になれる人物を探していましたが、これは当初からポルトガル人渡来にまつわるストーリーが、日本の危機を語る際に非常にすぐれた方法だと考えていました。チームはこの弥助というキャラクターを気に入ってくれましたし、彼を使って日本を発見することが期待できると考えました。" [12] 일본어 자막판에서는 야스케가 이걸 보면서 "풍작이군"하는 자막이 달려있어서, 봄부터 수확량을 예측하는 고증오류를 범하고 있다. 실제 벼농사는 늦여름 들어 노랗게 물들 시점에 풍작 가능성을 추측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는 수확 당일이 되어서야 진짜 풍작 여부를 가늠할 수 있다. 좀 극단적인 예시겠지만 벼가 잔뜩 영글었다가 수확 전날 메뚜기떼 병충해를 입을 수 있으며, 반점미, 백태, 동할미 등의 병은 수확 후에야 알 수 있다. [13] 정확히는 실물 디스크를 찍고 전세계에 배송를 맞출려면 최소한 발매 한달전에는 게임을 보내서 공장에서 디스크를 찍어야 된다. 옛날에는 그걸로 게임 제작이 끝났지만 온라인 업데이트가 당연시 된 시점부터 데이원 업데이트 이름으로 게임 공개전 직전까지 추가로 작업을 하고 이걸 나중에 받을 수 있게끔 정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