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7 12:28:07

어깨너비 백분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top: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38200, #af0399)"
보디빌딩
Bodybuilding

{{{#!wiki style="margin: -0px 2px -5px; min-height: 28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margin: -6px -1px -7px"
<tablewidth=100%><colbgcolor=#ddd,#555> 연관 학문
영양학
인물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order: 1px solid #ddd; width: 119px; padding: 2px"(보디빌더)|박재훈]]
이준호
기반
종목
IFBB(맨즈 피지크 • 클래식 피지크 • 피규어 • 비키니) • 미스터 올림피아 미스터코리아 • 미스터 서울 • AGP • NPC • 머슬 매니아 • YMCA • 보디빌딩 • NABBA • UNF • 뉴욕 프로 • 템파 프로 • 아놀드 클래식 • 김준호 클래식 • 이승철 클래식 • 전국체전
이론
머슬 메모리 무분할 운동 점진적 과부하 근수축 및 이완(등장성 • 등척성 • 등속성) • 애프터번 강제반복 고립운동 • 스트렝스 트레이닝 • 벌크업 • 린매스업 • 반사이론 • 수직 계측형 이론 • FFMI 글리코겐 로딩 오버트레이닝 베르그만의 법칙 볼프의 법칙
운동
핵심 구성
부위
어깨(쇄골 길이, 견봉 길이) • 평균 어깨너비 근육 골격근 • 골격근 성장 속도 • 단백질 보충제 윙스팬( 리치) • 뼈 굵기 • 얼굴 크기 • 어깨세모근 넓은등근 큰가슴근 등세모근( 상부 승모근 하부 승모근) • 삼두근 이두근 • 복직근 • 전거근
포징 규정포즈( 라인업 • 프론트 더블 바이셉스 • 프론트 랫 스프레드 • 사이드 체스트 • 백 더블 바이셉스 • 트라이셉스 • 앱도미널 & 타이), 아놀드 포즈, 베큠, 문포즈, 쿼터턴
자격증
}}}}}}}}}}}} ||

1. 개요2. 설명3. 측정4. 예상 어깨너비 구하는 법5. 어깨 골격 백분위
5.1. 만 16세5.2. 만 17세5.3. 만 18세5.4. 만 19세5.5. 만 20세5.6. 만 21 ~ 24세5.7. 성인(만 25세 이상)
6. 연령별 어깨세모근 포함 평균 어깨너비
6.1. 만 16세6.2. 만 17세6.3. 만 18세6.4. 만 19세6.5. 만 20~30대6.6. 만 40대6.7. 만 50대6.8. 만 60대 이상
7. 관련 문서

1. 개요

본 문서는 어깨너비에 대한 평균과 백분위를 정리한 문서다.

2. 설명

어깨너비는 어깨 골격 너비와 어깨세모근 포함 어깨 너비(이하 위 팔 사이너비)로 구분 짓는데, 측정방법과 자세는 어깨 문서의 해당 문단을 참고하길 바란다.

많은 학술지에서 어깨너비의 기준 척도로 사용되는 것은 보통 어깨 골격이니 참고하길 바란다.

본 문서는 사이즈 코리아에서 남자 4,29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서술한 것이다. 전체 평균은 모수가 많으면 많을 수록 정확해지지만, t분포에 의해 모수가 최소 30명 이상이여도 전체 평균과 근접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병역판정검사에서 수 십 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남성 와, 사이즈 코리아에서 수 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남성 의 사례를 보면 알 수 있다.

병역판정검사와 사이즈 코리아에서 조사한 평균도 거의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비슷하기 때문이란 것이다.

어깨너비도 마찬가지로 사이즈 코리아에서 조사한 어깨 골격 너비 평균과 위 팔 사이너비 평균도 전체 평균과 거의 완벽하게 근사할 것이란 거다.

실제로 어깨너비에 대해 100명, 80명, 200명 정도로 조사한 논문에서도 사이즈 코리아의 평균과 근접하거나 같게 나온 논문들이 태반인 점을 미루어 보아 표본의 신뢰성에 관해선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1]

3. 측정

어깨 문서에서 다루었듯, 마틴식 인체 계측기를 사용 했으며, 버니어 캘리퍼스와 같은 도구이기에 버니어 캘리퍼스로 측정해도 무리가 없다.

양쪽 견봉 끝 가장 튀어나온 점에 체크를 하거나, 버니어 캘리퍼스로 견봉 끝점에 맞닿게 눌러서 측정하면 된다.

자세한 건 어깨 문서를 참고하자.

4. 예상 어깨너비 구하는 법

쇄골-견봉의 성장이 지속되는 평균적인 나이인 25세를 기준이다.
확률상 어깨 견봉 예상 너비

만약 [math(a)]의 연령이 25세 이하이면
[math(a)] : 자신의 나이 대 평균 어깨 골격 너비
[math(x)] : 자신의 어깨 골격 너비
[math(f(x) = x + (40.2 - a))]

5. 어깨 골격 백분위

본 자료는 남성을 대상으로 어깨 골격 너비를 조사한 것이므로, 여성의 신체적 특징을 비교하는 데 적용하기는 어렵다. 기준 표에서 보면 1cm 차이가 백분위 상에서 광장히 큰데, 그 이유는 바로 표준 편차가 엄청 적기 때문이다. 측정 방법 및 기타 내용은 어깨 문서를 참조하자.

표준편차는 모집단 수가 크면 클 수록 정확한 분포 양상으로 나타나기에 최대한 보정 없는 백분위를 확인하기 위해 모집단 수가 가장 큰 4,295명인 20대 연령 이상의 표준편차로 선언하겠다. [2]

어깨 골격 너비 표준편차는 주 빈도가 연령대 별로 1.82로 수렴하는 양상을 띄기에 1.82로 두겠다.
아래 정규분포 그래프의 가로축 단위는 mm이다.

5.1. 만 16세

<colbgcolor=#000><colcolor=#fff> 만 16세 (성별: 남성, 단위:cm)
평균 38.6
표준 편차 1.82
상위 0.0001% 47.4
상위 0.001% 46.4
상위 0.01% 45.4
상위 0.1% 44.3
상위 1% 42.9
상위 5% 41.6
상위 10% 41.0
상위 15% 40.5
상위 20% 40.1
상위 25% 39.8
상위 30% 39.6
상위 35% 39.3
상위 40% 39.1
상위 45% 38.8
상위 50% 38.6

5.2. 만 17세

<colbgcolor=#000><colcolor=#fff> 만 17세 (성별: 남성, 단위:cm)
평균 39.0
표준 편차 1.82
상위 0.0001% 47.7
상위 0.001% 46.8
상위 0.01% 45.8
상위 0.1% 44.7
상위 1% 43.3
상위 5% 42.0
상위 10% 41.4
상위 15% 40.9
상위 20% 40.5
상위 25% 40.2
상위 30% 40.0
상위 35% 39.7
상위 40% 39.5
상위 45% 39.2
상위 50% 39.0

5.3. 만 18세

<colbgcolor=#000><colcolor=#fff> 만 18세 (성별: 남성, 단위:cm)
평균 39.3
표준 편차 1.82
상위 0.0001% 48.0
상위 0.001% 47.1
상위 0.01% 46.1
상위 0.1% 45.0
상위 1% 43.6
상위 5% 42.3
상위 10% 41.6
상위 15% 41.2
상위 20% 40.8
상위 25% 40.5
상위 30% 40.3
상위 35% 40.0
상위 40% 39.8
상위 45% 39.5
상위 50% 39.3

5.4. 만 19세

<colbgcolor=#000><colcolor=#fff> 만 19세 (성별: 남성, 단위:cm)
평균 39.6
표준 편차 1.82
상위 0.0001% 48.3
상위 0.001% 47.4
상위 0.01% 46.4
상위 0.1% 45.3
상위 1% 43.9
상위 5% 42.6
상위 10% 41.9
상위 15% 41.5
상위 20% 41.1
상위 25% 40.8
상위 30% 40.6
상위 35% 40.3
상위 40% 40.1
상위 45% 39.8
상위 50% 39.6

5.5. 만 20세

<colbgcolor=#000><colcolor=#fff> 만 19세 (성별: 남성, 단위:cm)
평균 39.9
표준 편차 1.82
상위 0.0001% 48.3
상위 0.001% 47.4
상위 0.01% 46.4
상위 0.1% 45.3
상위 1% 43.9
상위 5% 42.6
상위 10% 41.9
상위 15% 41.5
상위 20% 41.1
상위 25% 40.8
상위 30% 40.6
상위 35% 40.3
상위 40% 40.1
상위 45% 39.8
상위 50% 39.6

5.6. 만 21 ~ 24세

<colbgcolor=#000><colcolor=#fff> 만 21 ~ 24세 (성별: 남성, 단위:cm)
평균 40.0
표준 편차 1.82
상위 0.0001% 48.3
상위 0.001% 47.4
상위 0.01% 46.4
상위 0.1% 45.3
상위 1% 43.9
상위 5% 42.6
상위 10% 41.9
상위 15% 41.5
상위 20% 41.1
상위 25% 40.8
상위 30% 40.6
상위 35% 40.3
상위 40% 40.1
상위 45% 39.8
상위 50% 39.6

5.7. 성인(만 25세 이상)

<colbgcolor=#000><colcolor=#fff> 성인 (성별: 남성, 단위:cm)
평균 40.2
SD 1.82
상위 0.0001% 49.0
상위 0.001% 48.2
상위 0.01% 47.2
상위 0.1% 46.0
상위 1% 44.6
상위 5%
상위 10%
상위 15%
상위 20%
상위 25%
상위 30%
상위 35%
상위 40%
상위 45%
상위 50%
하위 45%
하위 40%
하위 35%
하위 30%
하위 25%
하위 20%
하위 15%
하위 10%
하위 5%
하위 1%
하위 0.1%
하위 0.01%
하위 0.001%
하위 0.0001%

6. 연령별 어깨세모근 포함 평균 어깨너비

대부분이 어깨 너비 측정하면 이 방법을 떠올릴만큼 실용적으로 의미 있는 어깨 너비 측정법이다. 어깨 골격 너비와의 차이는 후천적인 요인(운동, 보형물 삽입)으로 넓힐 수 있다. 따라서 평균값의 변화가 크며 학술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적다.

그리고 만 16세 ~ 만 19세의 자료는 2015년인 반면, 만 20세 부턴 '20~'22년에 측정한 자료들이라 만 19세 -> 20세 ~ 24세 부턴 평균이 무려 3cm나 증가하는 등 데이터의 차이가 크다. 때문에 이 같은 성장 비율을 맞추기 위해서 만 19세 이하의 자료는 원시 평균에서 3cm가 추가된 값이다.

6.1. 만 16세

<colbgcolor=#000><colcolor=#fff> 만 16세(성별: 남성, 단위:cm)
평균 46.9
SD 2.7
상위 0.0001% 59.7
상위 0.001% 58.4
상위 0.01% 56.9
상위 0.1% 55.2
상위 1% 53.2
상위 5% 51.3
상위 10% 50.3
상위 15% 49.7
상위 20% 49.2
상위 25% 48.7
상위 30% 48.3
상위 35% 47.9
상위 40% 47.6
상위 45% 47.2
상위 50% 46.9

6.2. 만 17세

<colbgcolor=#000><colcolor=#fff> 만 17세(성별: 남성, 단위:cm)
평균 47.7
SD 2.7
상위 0.0001%
상위 0.001%
상위 0.01%
상위 0.1%
상위 1%
상위 5%
상위 10%
상위 15%
상위 20%
상위 25%
상위 30%
상위 35%
상위 40%
상위 45%
상위 50%
하위 45%
하위 40%
하위 35%
하위 30%
하위 25%
하위 20%
하위 15%
하위 10%
하위 5%
하위 1%
하위 0.1%
하위 0.01%
하위 0.001%
하위 0.0001%

6.3. 만 18세

<colbgcolor=#000><colcolor=#fff> 만 18세(성별: 남성, 단위:cm)
평균 45.1
SD 2.7
상위 0.0001%
상위 0.001%
상위 0.01%
상위 0.1%
상위 1%
상위 5%
상위 10%
상위 15%
상위 20%
상위 25%
상위 30%
상위 35%
상위 40%
상위 45%
상위 50%
하위 45%
하위 40%
하위 35%
하위 30%
하위 25%
하위 20%
하위 15%
하위 10%
하위 5%
하위 1%
하위 0.1%
하위 0.01%
하위 0.001%
하위 0.0001%

6.4. 만 19세

<colbgcolor=#000><colcolor=#fff> 만 19세(성별: 남성, 단위:cm)
평균 45.8
SD 2.7
상위 0.0001%
상위 0.001%
상위 0.01%
상위 0.1%
상위 1%
상위 5%
상위 10%
상위 15%
상위 20%
상위 25%
상위 30%
상위 35%
상위 40%
상위 45%
상위 50%
하위 45%
하위 40%
하위 35%
하위 30%
하위 25%
하위 20%
하위 15%
하위 10%
하위 5%
하위 1%
하위 0.1%
하위 0.01%
하위 0.001%
하위 0.0001%

6.5. 만 20~30대

<colbgcolor=#000><colcolor=#fff> 만 20~30대(성별: 남성, 단위:cm)
평균 48.9
SD 2.7
상위 0.0001%
상위 0.001%
상위 0.01%
상위 0.1%
상위 1%
상위 5%
상위 10%
상위 15%
상위 20%
상위 25%
상위 30%
상위 35%
상위 40%
상위 45%
상위 50%
하위 45%
하위 40%
하위 35%
하위 30%
하위 25%
하위 20%
하위 15%
하위 10%
하위 5%
하위 1%
하위 0.1%
하위 0.01%
하위 0.001%
하위 0.0001%

6.6. 만 40대

<colbgcolor=#000><colcolor=#fff> 만 40대(성별: 남성, 단위:cm)
평균 48.3
SD 2.7
상위 0.0001%
상위 0.001%
상위 0.01%
상위 0.1%
상위 1%
상위 5%
상위 10%
상위 15%
상위 20%
상위 25%
상위 30%
상위 35%
상위 40%
상위 45%
상위 50%
하위 45%
하위 40%
하위 35%
하위 30%
하위 25%
하위 20%
하위 15%
하위 10%
하위 5%
하위 1%
하위 0.1%
하위 0.01%
하위 0.001%
하위 0.0001%

6.7. 만 50대

<colbgcolor=#000><colcolor=#fff> 만 40대(성별: 남성, 단위:cm)
평균 47.1
SD 2.7
상위 0.0001%
상위 0.001%
상위 0.01%
상위 0.1%
상위 1%
상위 5%
상위 10%
상위 15%
상위 20%
상위 25%
상위 30%
상위 35%
상위 40%
상위 45%
상위 50%
하위 45%
하위 40%
하위 35%
하위 30%
하위 25%
하위 20%
하위 15%
하위 10%
하위 5%
하위 1%
하위 0.1%
하위 0.01%
하위 0.001%
하위 0.0001%

6.8. 만 60대 이상

<colbgcolor=#000><colcolor=#fff> 만 60대(성별: 남성, 단위:cm)
평균 46.0
SD 2.7
상위 0.0001%
상위 0.001%
상위 0.01%
상위 0.1%
상위 1%
상위 5%
상위 10%
상위 15%
상위 20%
상위 25%
상위 30%
상위 35%
상위 40%
상위 45%
상위 50%
하위 45%
하위 40%
하위 35%
하위 30%
하위 25%
하위 20%
하위 15%
하위 10%
하위 5%
하위 1%
하위 0.1%
하위 0.01%
하위 0.001%
하위 0.0001%

7. 관련 문서


[1] 정확한 신뢰성은 알 수 없다. [2] 평균 표준편차가 아니라 빈도를 통한 근사로 추정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