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8 22:20:10

안토니우 구테흐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75C4 0%, #4b92db 20%, #4b92db 80%, #2775C4)"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25px"
초대 제2대 제3대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트뤼그베 리 파일:스웨덴 국기.svg 다그 함마르셸드 파일:버마 연방 국기.svg 우 탄트
제4대 제5대 제6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쿠르트 발트하임 파일:페루 국기.svg 하비에르 페레스 데 케야르 파일:이집트 국기.svg 부트로스 부트로스 갈리
제7대 제8대 제9대
파일:가나 국기.svg 코피 아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반기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안토니우 구테흐스 }}}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
안토니우 구테흐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500 0%, #006127 20%, #006127 80%, #00350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제102대 제103대 제104대 임시
아델리누 다 팔마 카를루스 바스쿠 콘살베스 조제 피녜이루 드 아제베두 바스쿠 드 알메이다 이 코스타
<rowcolor=#fff> 제105대 제106대 제107대 제108대
마리우 소아르스 알프레두 노브르 다 코스타 카를루스 모타 핀투 마리아 드 로르드스 핀타질구
<rowcolor=#fff> 제109대 임시 제110대 제111대
프란시스쿠 카르네이루 디오구 프레이타스 두 아마랄 프란시스쿠 핀투 발세망 마리우 소아르스
<rowcolor=#fff>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제115대
아니발 카바쿠 실바 안토니우 구테흐스 조제 마누엘 두랑 바호주 페드루 산타나 로페스
<rowcolor=#fff> 제116대 제117대 제118대 제119대
조제 소크라트스 페드루 파수스 코엘류 안토니우 코스타 루이스 몬테네그루
포르투갈 왕국 · 제1공화국 · 국가독재 · 제2공화국
포르투갈 대통령
}}}}}}}}}

파일:포르투갈 사회당 로고.svg 사회당(포르투갈) 사무총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c50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초대
마리우 소아르스
대행
안토니우 드 알메이다 산투스
대행
안토니우 마세두
제4대
비토르 콘스탄시우
제5대
조르즈 삼파이우
제6대
안토니우 구테흐스
제7대
에두아르두 페후 호드리게스
제8대
조제 소크라트스
제9대
안토니우 조제 세그후
제10대
마리아 드 벨렝 로세이라
제11대
안토니우 코스타
제12대
페드루 누누 산투스
}}}}}}}}}}}}}}} ||
제9대 UN 사무총장
안토니우 마누엘 드 올리베이라 구테흐스
António Manuel de Oliveira Guterres
古德禮[1]
파일:안토니우 구테흐스 공식사진 (2016, 원본).jpg
<colbgcolor=#4b92db> 출생 1949년 4월 30일 ([age(1949-04-30)]세)
포르투갈 리스본
재임기간 제113대 포르투갈 총리
1995년 10월 28일 ~ 2002년 4월 6일
제9대 UN 사무총장
2017년 1월 1일 ~ 현직
국적
[[포르투갈|]][[틀:국기|]][[틀:국기|]]
학력 리스본 공과대학교 (물리학·전기공학 / 학사)
정당

배우자 루이자 아멜리아 기마랑이스 이 멜루(1972~1998)[2]
카타리나 드 알메이다 바스 핀투(2001 ~ )
신체 170cm, 77kg
종교 가톨릭
서명
파일:안토니우 구테흐스 서명.svg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
2.1. 총리2.2. 고등판무관2.3. 유엔 사무총장
3. 기타

[clearfix]

1. 개요

현직 유엔 사무총장. 1995년부터 2002년까지 제68대 포르투갈 총리를 지냈고, 2005년부터 2015년까지는 유엔난민기구 고등판무관으로 재직했다.

2016년에 제9대 유엔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어 2017년부터 임기를 시작해 현재까지 재직 중이다.

2. 생애

리스본에서 태어나 리스본 공과대학교에서 물리학과 전기공학을 전공했다. 1972년에 당시 군사정권 지배하의 합법적이지 않은 사회당에 입당한다. 또, 유럽이사회에서 인구, 이민, 난민위원회 의장을 재임하면서 난민 전문가가 되면서 이 일이 훗날 유엔난민기구 고등판무관, 유엔 사무총장까지 되는데 지름길이 되기도 했다.

1991년부터는 포르투갈 난민 위원회 회원으로 지내고 있다. 1992년. 사회당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어 아니발 카바쿠 실바 당시 총리와의 첫 총선 대결에서 패하기도 했다. 그 후 1995년에 총선에서 승리함에 따라 총리직에 올랐다.

2.1. 총리

제1차 내각 동안 포르투갈령 마카오를 중국에 반환하면서 포르투갈 식민제국의 마지막 흔적을 청산했다.

제2차 내각 때는 대마초 사용을 비범죄화하고 시민결합을 허용했다. 같은 시기에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2.2. 고등판무관

유엔난민기구 최고대표에 있었을 때는 시리아, 아프가니스탄, 이라크에서 난민 문제 해결에 힘썼고, 유엔난민기구 본부 인력을 대폭 축소하고 이 인력을 긴급구호 쪽에 배치했다. 또 부유한 선진국이 난민들에게 국경을 열고 재정 지원을 해야 한다고 촉구하여 당시 난민의 아버지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

또한 북한으로 탈북자들을 강제송환하는 것을 적극 반대했다. 북송될 경우 처벌이나 박해를 받을 위험이 크다는 이유이며, 이와 관련해 유엔난민기구 규약에 어긋난다며 중국을 압박하기도 했다.

2.3. 유엔 사무총장

2016년 10월 13일에 제9대 UN 사무총장으로 선출이 확정되었다. 최초의 남유럽 출신 UN 사무총장이며 2017년 1월 1일에 임기가 시작되며, 2016년 12월 12일에 미리 취임식을 가졌다.[3] 취임식에서 유엔의 고강도 개혁을 한다고 언급했다. # 구테흐스 당선인의 유엔 사무 인수팀장으로 활동한 강경화를 정책특보로 임명했다. #

신년사에서 공통된 현안을 가지고 같이 해결하기를 요청하는 반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갈등 조짐이 보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 그 예상대로 도널드 트럼프의 반이민 행정명령에 대해서 비판을 하였다. # 취임 직후 초반부터 키프로스 평화협상 타결 위해 그리스, 터키, 영국과 같이 참석했다. #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의 분담금을 기습적으로 감소하자 다시 비판과 우려를 나타냈다. #

제3차 중동전쟁 개전 50주년을 맞아 성명을 발표, 이스라엘 팔레스타인의 오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협상에 의한 '두 나라 해법' 을 달성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북핵 문제와 관련해서 북한 미국간의 대화를 중재하는 데 도와줄수 있다는 말을 했다.

2018년 신년사에서 세상이 거꾸로 가고 있으며, 기후변화는 빨라지고 불평등이 심화되었다고 말하며, 우리는 갈등을 해결하고 증오를 극복하면서 공유하는 가치를 지킬 수 있으며, 함께 나아가자는 말을 했다. #

2020년 03월 25일, 안토니우 구테흐스는 코로나19 팬데믹과 관련해 WHO의 귀책사유가 없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유로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조기진압이 실패하고 세계적 팬데믹 사태로 사태가 악화된 전말에 사태초기 WHO의 미온적 태도와 상황왜곡이(2019년 12월 당시 발표했던 인간간 비전염 오보) 일조했다. 여기지 않느냔 앵커의 질문에 전혀 그렇지 않으며 WHO는 정확한 지침을 제시 했음에도 불구하고, 회원국의 둔한 대응이 상황을 악화하였다고 답변했다.[4] 앵커는 직접적인 질문에도 중국 WHO 배후론류의 노골적인 표현은 하지 않았으며 구테레스 총장은 상호총질할 때가 아니라 지금은 세계적 전시상황이며 세계적 일치단결로 전염억제를 구현해야 한다는데 발언의 역점을 뒀다. 사실 어떤 매체와의 무슨 자리가 됐든 현재진행형인 사안에 대해 국제기관의 현직수장이 타 국가의 잘잘못을 직접적으로 논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2020년 5월 16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한국 정부의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이 다른 국가에 모범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같은 달 뉴욕타임스 기고문을 통해 한국이 코로나19와 기후변화에 훌륭하게 대응하는 모범사례라고 평가했다고 한다. 유엔 사무총장 “한국의 강력한 코로나 대응, 다른 국가에 모범”

히로시마 원폭 75주년 요미우리신문 기고문에 6일 핵 위협 증가를 지적하며 '핵무기 없는 세계'를 만들자고 호소했다. #

이스라엘-UAE 협정에 대해 환영을 표했다. #

선진국들이 코로나19 백신을 거의 모두 장악한 현실을 거칠게 비판했다. #

2021년 6월에 사무총장 연임이 확정되었다. #

2022년 2월 22일, 스테판 뒤자리크 유엔 대변인을 통해 성명을 내고 2021-2022년 우크라이나 위기에 대해 "우크라이나 도네츠크 루간스크 지역에 관한 러시아의 결정은 대단히 우려스럽다"며 "민스크 협정에 따라 우크라이나 동부에서 평화적으로 분쟁을 해결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한 "러시아의 결정은 우크라이나의 영토보전과 주권을 침해한 것으로 간주한다"고 말했다. #

2022년 7월 18일,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기후회담에서 "우리는 집단행동을 하거나 집단자살을 하거나 두 가지의 선택권이 있다."고 기후위기 대응에 다각적인 접근법을 제시했다.

네이처'(Nature)가 안토니우 쿠테흐스 유엔사무총장을 포함해 올해 과학계 화두가 된 주요 장면의 주인공 10명을 선정해 발표했다. #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휴전을 촉구하며 유엔 헌장 99조를 발동했다. 이는 52년 만이다. #

2024년 10월. 이스라엘이 이란 미사일 규탄 안한 이유로 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지정했다. #

3. 기타


[1] 포르투갈령 마카오에서 붙인 중국식 이름. 포르투갈 제16/97호 공화국 대통령령 중국어 번역문 포르투갈어 원문 맨 끝부분을 비교하면 볼 수 있다. [2] 사별하였다. [3] 이날 포르투갈은 축제 분위기였다. [4] 사실 이 의견도 일정부분 일리가 있는 것이 중국 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유럽은 시간적 여유가 있었음에도 사태를 너무 안일하게 파악해 중국 이상으로 미흡하게 대처하였고, 특히 유럽의 경우에는 대규모 감염상태에 빠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