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1 17:12:16

신석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정신과 의사에 대한 내용은 신석호(의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100%><tablebgcolor=#fff> 파일:대한민국 학술원 휘장.sv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31f20><tablebgcolor=#231f20>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회원
인문사회과학부 자연과학부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철학, 윤리학, 논리학, 미학, 종교학, 교육학, 심리학
2분과: 어문학
3분과: 사학, 고고학, 민속학, 지리학, 문화인류학
4분과: 법학
5분과: 정치학, 행정학, 사회학
6분과: 경제학, 경영학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수학, 물리학, 화학, 천문학, 대기과학
2분과: 생물학, 지질과학, 스포츠과학, 영양학, 가정학
3분과: 건축공학, 금속공학, 기계공학, 섬유공학, 자원공학, 전기공학, 전자공학, 정보공학, 조선공학, 토목공학, 항공공학
4분과: 의학, 치의학, 약학, 수의학
5분과: 농학, 임학, 축산학, 수산학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6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정진홍 조동일 차하순 고상룡 임희섭 이현재 안세희 이상만 박중현 이상섭 홍성각
차재호 홍재성 이기석 김남진 강신택 곽수일 노재식 김상용 문국진 이병일
이돈희 김학주 이기동 정동윤 안병준 정기준 박세희 이정우 노오현 김낙두 김현욱
소광희 이정민 김영한 박병호 김경동 김기영 권숙일 맹원재 윤덕용 김병수 황병국
윤사순 김수용 이성규 김상용 김용구 유장희 기우항 임번장 현병구 이순형 류순호
이한구 조주관 이태진 김효전 진덕규 이학용 김용해 장호완 나정웅 김영중 장동석
박종현 장경렬 한상복 임종률 백완기 이지순 이은 김상구 한송엽 고재승 이홍석
정찬섭 남기심 최병현 권오승 이정복 조장옥 조성호 정진하 최향순 신희섭 김윤수
진동섭 김인환 임돈희 최병조 김홍우 한인구 이호인 조완규 이장무 회장 이영순 박승우
박용운 신동운 신용하 전병헌 김도한 이기화 이병기 이승규 최양도
김호동 김문현 임현진 박성현 안진흥 황규영 이종호 홍성윤
김영식 신명순 김진의 임정빈 유정열 박성회 김수일
고동환 최진호 박종욱 손장열 이명식 고희종
이형목 우경식 고규영 김용균
송진원 한재용
작고 회원
인문사회 분과 자연 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6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고형곤 권중휘 이병도 최태영 신기석 고승제 안동혁 손치무 이균상 한구동 정문기
안호상 이숭녕 김상기 유진오 이상백 최호진 김동일 강영선 원태상 윤일선 조백현
박종홍 이희승 신석호 고병국 신도성 신태환 이태규 정태현 최경열 이제구 현신규
김두헌 최현배 이선근 이근칠 민병태 유진순 전풍진 박동길 이종일 이종륜 우장춘
김기석 양주동 조의설 윤세창 김성희 조기준 최규남 김호직 이채호 박영진 김호식
김활란 이양하 김재원 이종극 고황경 김순식 권영대 이민재 최방진 이재춘 송재철
김계숙 이병기 류홍렬 김병노 김상협 김효록 최윤식 조복성 윤일중 이진기 이근태
이종우 김윤경 이홍직 이항녕 최문환 육지수 박철재 이병위 민한식 박호풍 박승만
이상은 손우성 홍이섭 박원선 정인흥 김준보 박하욱 김옥준 김기덕 김두종 심종섭
이인기 정인승 고병익 정광현 이만갑 이상구 조광화 최례석 최호영 이세규 지영인
김동화 조윤제 한우근 유기천 윤천주 권오익 이원철 김준민 김재근 김명선 이춘녕
김준섭 김형규 전해종 이한기 박동서 정수영 장기원 김창환 김종석 기용숙 박병희
오천석 차상원 이기백 이희봉 이용희 임원택 성좌경 김삼순 최형섭 한심석 윤상원
류승국 차주환 이광린 문홍주 김대환 박기혁 박정기 홍순우 김문상 우린근 이창구
이희철 여석기 김원용 서돈각 김운태 김옥근 박봉열 김봉균 신영기 나세진 김성원
서명원 조성식 김철준 손주찬 홍승직 오상락 최상업 윤석규 이량 이우주 이은웅
임한영 김동욱 이두현 남흥우 차기벽 정병휴 조순탁 주진순 장석윤 이문호 정후섭
최재희 정병욱 민석홍 황산덕 구영록 김동기 김치영 이대성 윤동석 김용관 강제원
김규영 강두식 이찬 김증한 박광순 이상수 정영호 한만춘 서병설 백운하
유형진 이기문 윤무병 김치선 조순 김정수 김훈수 강명순 이영소 김문협
백낙준 이능우 이우성 박일경 변형윤 최규원 이영록 윤장섭 권이혁 고재군
조요한 동완 황수영 김기두 윤기중 심정섭 김오중 오현위 이장락 최병희
김성태 장덕순 양병우 정영석 박을룡 김준호 최계근 김기홍 박영호
김태길 이가원 민영규 김현태 윤세원 하두봉 이승원 박수선 전세규
윤명로 김현창 김용섭 김정균 김태린 박희인 김재극 장신요 조재영
김종철 김용직 이성무 김홍규 박태원 정창희 우형주 이기영 오봉국
정양은 정명환 황적인 윤갑병 박상대 이택식 김주환
박영식 이경식 심헌섭 윤능민 김수진 황종흘 김용일
김충렬 김완진 김철수 이익춘 이만영 김정룡
조명한 장석진 김종원 송희성 조선휘 이호왕
오병남 이형국 고윤석 이리형
정범모 장세헌 이충웅
조대경 김상주
길희성
이성진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명예회원
시오노 히로시 빈센트 푸어 노요리 료지 피터 그루스 위르겐 코카
크리스티안 슈타르크 로거 비치 앨런 히거 난 린 허준이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파일:정부상징.sv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사관장 (1946~1949) · 국사편찬위원회 사무국장 (1949~1965)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장면 내각 <nopad> 군정 내각 <nopad> 박정희 정부
초대
신석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1965~현재)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제1·2대
김성균
제3대
최영희
제4대
이현종
제5대
박영석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제6대
이원순
제7대
이성무
제8대
이만열
제9대
유영렬
제10대
정옥자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제11대
이태진
제12대
유영익
제13대
김정배
제14대
조광
제15대
김인걸
<nopad> 윤석열 정부
제16대
허동현
}}}}}}}}}
<colbgcolor=#231f20><colcolor=#fff>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신석호
申奭鎬 | Shin Suk-ho
파일:신석호(역사학자).jpg
창씨명 테라타니 슈조(寺谷修三)
치암(痴菴)
본관 아주 신씨[1]
출생 1904년 3월 8일
경상북도 봉화군 내성면 유곡리[2]
사망 1981년 2월 13일 (향년 76세)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 171-4번지 자택
학력 봉화공립보통학교 (중퇴)
세이소쿠영어학교 (수료)
중동학교 (졸업)
경성제국대학 (예과 / 문과B조 / 수료)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 사학[3] / 학사)
약력 조선사편수회 수사관
고려대학교 교수
성균관대학교 교수/문과대학장
영남대학교 교수/대학원장
대한민국 학술원 부회장
한국사학회 이사장
국사관장 (초대 / 이승만 정부)
국사편찬위원회 사무국장 (초대 / 이승만 정부)
민족문화추진회 이사/감사
한국사연구회 회장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역사학자.

2. 생애

1904년 3월 8일 경상북도 봉화군 내성면(현 봉화읍) 유곡리의 외가에서 아버지 신세기(申世基, 1872 ~ 1948. 2. 1)[4]와 어머니 안동 권씨(1871 ~ 1935. 4. 9)[5] 사이에서 2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 1910년부터 1919년까지 겸산(兼山) 홍치유(洪致裕, 1879. 5. 12 ~ 1946. 12. 27)[6]의 문하에서 약 10년간 한학을 수학하였다.

1918년 4월 고향의 봉화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재학하다가 1919년 3.1 운동과 관련해 그해 6월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이듬해인 1920년 4월 세이소쿠(正則)영어학교에 입학하여 1921년 3월까지 수학했다. 귀국 후 1921년 4월 중동학교에 입학하여 1924년 3월 졸업했다.

1924년 4월 경성제국대학 예과(문과B조)에 입학하여 1926년 3월 예과를 수료하였다. 동년 4월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로 진학하여 사학과 조선사학전공으로 진입하고, 1929년 3월 제1회로 졸업하였다.

졸업하자마자 1929년 4월 그는 조선사편수회에 들어가 촉탁으로서 근무를 시작하였다. 1930년 5월 수사관보(修史官補)에 임명되었으며, 1937년 9월 수사관(修史官)으로 승진하여 1945년 8월 해방될 때까지 근무하였다. 이때 그는 《조선사》 제4편 〈조선시대 전기〉의 편찬과 《조선사료총간》을 편찬, 간행을 담당하는 한편, 청구학회 편집위원 및 진단학회 발기인으로 참여해 활동하기도 했다.

해방 직후, 조선총독부가 조선사편수회에 보관하고 있던 《일본공사관기록》을 촬영한 사진 원판 44,000여 매와 이를 인화한 사진첩 400여 권 가운데 사진첩을 소각한 후 원판마저도 소각하려 하자, 조선사편수회에서 함께 근무한 김건태 등과 함께 원판을 중추원 서고로 옮겨 사료를 보존하였다.

1945년 조선사연구회 부회장에 취임했고, 1946년 보성전문학교가 기존 법과와 상과에 더해 문과를 설치하면서 종합대학으로 확대 개편되자, 경성제국대학 동기인 유진오의 도움으로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교수로 임용되어 1966년까지 재직하였다. 1951년부터 1957년까지 성균관대학교 문리과대학 교수를 겸임하기도 하였다. 1954년 4월 6일에는 대한민국 학술원 인문사회과학부 제3분과 회원에 선출되었고, 이후 부회장에까지 올랐다. 그 밖에 한국사학회 이사장, 혁명재판사편찬위원회 위원, 국가재건최고회의 한국군사혁명사편찬위원회 고문, 국사편찬위원회 사무국장, 민족문화추진회 이사·감사,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장·고문, 한국사연구회 회장, 중동학원 이사, 영남대학교 교수 및 대학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1963년에 대한민국 문화훈장(대통령장)을 받았다.

1981년 2월 13일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 171-4번지 자택에서 숙환으로 별세했다. #

조선총독부 직속기구로 식민사학을 집대성하는 역할을 한 조선사편수회에서의 행적으로 말미암아 친일인명사전 교육학술 부문에 등재되었다. 이병도와 함께 소위 유사역사학에서는 '식민사관의 대부'라고 불리지만, 정작 내용에서 보듯이 진단학회 참여와 사료 보존 등 역사 그 자체에 대해서는 분명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다.


[1] #. 장사랑공파 25세 호(鎬) 항렬. [2] 안동 권씨 복야공파(僕射公派) 집성촌이다. [3] 조선사학 전공 [4] 안동권씨대동세보 20권 371쪽에는 신석기(申石基)로 등재돼 있다. 자는 주팔(周八). [5] 조선 명종 병조판서를 지낸 권벌의 12대손으로, 권용하(權容夏, 1848 ~ 1892)의 장녀이다. [6] 성리학자, 자(字)는 응원(應遠). 퇴계학파 권상익(權相翊)의 문인이다. 을사의병 당시 의병장 이강년의 휘하에서 종사관으로 활동한 경험이 있다. 남양홍씨(토홍계)세보 2권 287쪽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