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8 12:22:58

수다맨

파일:sudaman.jpg
코너명 수다맨
시작 2001년 4월 7일
종료 2002년 9월 29일

1. 소개2. 주제3. 그 외

[clearfix]

1. 소개


과거 개그콘서트의 인기 코너. 참고로 수다맨이 등장했을 때 나왔던 음악은 펩시맨 테마송. 코너가 끝나고 이태선밴드가 연주하는 음악은 god의 하늘색 풍선이다.[1]

개그맨 강성범의 개콘 데뷔 코너이자 5년 차 중고 신인이었던 그를 본격적으로 띄워준 코너다.[2] 김지혜가 등장해서 항상 뭔가 고민을 하고, 수다맨 강성범을 불러서 해결을 한다는 식으로 마무리되는 개그인데, 일반상식 등에서 필요한 여러가지 정보들을 완전 랩하듯이 속사포로 신속하게 읊어준다.

2001년 8월 5일과 12일에는 최희선이 김지혜 대신 나왔고, 2002년 4월 14일부터 7월 14일까지 김지혜 대신 아역배우 박은빈 #[3]이 나왔다.[4][5]

문제는 너무 빠르기 때문에 사실 백날 들어봤자 별다른 도움은 안 되고(...), 강성범의 신속한 입놀림에 감탄하면서 가끔씩 숨을 몰아쉬는 수다맨을 보며 웃는 코너란 거다. 가끔씩 시청자가 요청한 정보들을 읊어주기도 한다. 복장은 슈퍼맨의 패러디로 슈퍼맨의 S자 대신 입술이 그려져 있다.

2. 주제[6]

3. 그 외

이 코너가 잘 나가던 2001년에는 강성범의 암기 비법을 알아보려고 여러 고3들과 학부모들이 줄을 섰다고(...) 강성범이 말하길, 자신의 암기비법은 통장을 손에 들고, "외우면 돈 들어온다!"를 상기시키면 외워진다고 한다. 그런데 이 개그를 탄생시키게 도와준 건 다름아닌 해군홍보단 한달 후임이자 중앙대 4년 후배인 배우 하정우였다고. 하정우와는 2000년 동티모르 위문 항해때 같이 배에 타 항해하던 중 장기 항행중인 함내에서 시간 때울 것을 찾다가 지하철 노선이나 외워보자고 한 제안을 받아서 개발한 것이 후일 수다맨의 주요 레퍼토리가 되었다.

초기엔 타이즈와 쫄쫄이처럼 복장 문제(...)를 겪었으며 빨간 반바지를 입는 것으로 해결되었다.

2013년 6월 9일 700회 특집엔 강성범 외에 박지선[23], 김지민[24]도 나왔다. 박지선의 뜬금 출신 학교 홍보는 덤.[25]

강성범은 이 회차에서 여의도역을 알려달라는 김지민에게 영등포역에서 택시타고 가라고 했다. 또한 수다맨 입장에서 애로사항이 있으니 제발 역 이름 좀 바꾸지 말라고.[26] 그리고 3호선 대화역에서 수서역[27] 순으로 나열한 다음, 수서역에서 택시타고 가라고 했다. 그리고 김지민이 새로운 노선(공항철도 등)을 나열해 달라 하자 강성범은 "800회 특집 때 만나~요!"라며 코너를 끝낸다. 그러나 800회 특집은 메르스로 인해 무산되었다.

한때 해피투게더 쟁반노래방에서 전곡 읽어주기 찬스로 출연한 적 있다. 본인이 직접 나오지는 않았고 녹음된 목소리를 통해 노래 가사를 알려주는 방식. 그런데 역시나 말이 너무 빠르다보니 출연자들 모두 가사를 알아듣지 못했다. 마지막에 특유의 말투로 "약 오르지~요~?"하는 건 덤.

개콘을 떠난 이후에도 강성범의 인생 코너였던지라 웃음을 찾는 사람들에서도 여러 차례 언급이 되었다. 강성범이 자기소개를 할 때 십중팔구 수다맨이 언급되고, 김기욱이 강성범을 디스할 때도 수다맨을 언급했다. 두 번 다시 개콘에서 못 보는가 싶었지만 10주년 특집과 700회 특집에 개콘에 출연해서 수다맨을 선보였다.

2019년 5월 19일 개그콘서트 1000회차 특집 때 다시 등장했으며 비상대책위원회에 특별출연했다. 이때 송병철 9호선을 불러달라고 하자 강성범 曰 17년전(2002년)에는 9호선 없었어(...) 나이가 들어서 이제는 외우기도 힘들다고 한 것은 . 더불어서 17년이 지나서도 노선 업데이트가 전혀 되지 않고 2002년에 머물러 있는 게 유머.[28]

첫 방송과 1000회 특집에서 수다맨이 달려나오는 속도를 비교하면 세월이 얼마나 흘렀는지 실감할 수 있다. 첫 방송 때는 그야말로 쏜살같이 달려나왔지만 1000회 특집에서는 뛰었는데도 느릿느릿하다. 게다가 강성범 본인도 나이를 먹으니 기억력이 예전같지 않다는 대사를 내뱉었다.

개콘 파일럿 편에서도 나왔는데 이 코너와는 완전 다른 컨셉이었으며, 심현섭이 수다맨 역이었다.

인기가 절정이었던 2001년에 <수다맨과 연변총각>이라는 2D 플랫포머 액션 게임이 출시된 적 있다. 플레이어 캐릭터인 수다맨에 실제 강성범의 얼굴을 썼고 보이스도 강성범이 녹음했다. 수다맨이 지구를 침묵에 빠트리려고 하는 악당 '침묵맨'에 맞서 싸운다는 내용으로, 연예인을 소재로 한 게임들이 대부분 똥겜으로 나오는 것과 달리 당시 기준 그럭저럭 할만했던 게임.

2002년 출시된 LG CYON의 연예인음성 벨소리에도 있다.[29] 안녕하세요 수다맨이에[길게]~요! 전화 왔어[길게]~요!라고 한다.
[1] 2001년 5월 6일 방영분부터 사용, 2013년 6월 9일 700회 특집, 2019년 5월 19일 1000회 특집 비상대책위원회에서도 연주함. [2] 1996년 데뷔했지만 좀처럼 이름을 알리지 못하고 입대했다가 전역 후 개콘에 출연 중이던 심현섭의 권유로 개콘에 출연하게 된다. 그러나 이 코너가 종영된 후 얼마 뒤 스타밸리 소속 개그맨들이 집단 하차하는 사건이 터지게 되면서 이후 웃찾사에서 활동했다. [3] 훗날 박은빈이 해피투게더에 나와서 밝힌 바로는 특집으로 1회성 출연이었으나 반응이 좋아서 제작진이 한 주 더 나와달라고 하였고 그렇게 해서 3개월을 고정 출연하였다고 말했다. [4] 현재 정식 배우로 활동 중이다. [5] 2002년에 발매된 KBS 개그콘서트 크리스마스 캐롤에서는 수다맨 팀이 부른 파트에 김지혜 대신 김미진이 투입되었다. 이 캐롤이 스타밸리 소속 코미디언들만 모여서 부른 노래를 수록했는데 김지혜는 스타밸리 소속이 아니었기 때문. [6] 일부 지하철 노선의 역명 (또는 구간)이나 휴게소 개수, 한강에 있는 다리의 개수, 교통법규 등은 2001-2002년 기준에 방송이 되었기 때문에 지금과는 많이 다르니 참고 바람. [7] 신도림역에서 합정역까지의 역 순서를 읊는데, 실제로는 5정거장이면 가는 거리이나 분량확보를 위해 역방향으로 알려준다. 이에 반대로 알려주면 안 되냐고 하자 반대는 못 외운댄다. [8] 방송 당시엔 수서-오금 구간은 개통하지 않았다. [9] 방송 당시엔 경원선 구간은 의정부북부까지만 운행했으나, 방송에선 의정부까지만 부른다. [10] 방송 당시엔 당고개-진접 구간은 미개통 상태였다. 방송에선 당고개 전역인 상계까지만 부른다. [11] 2001년 5월 기준 [12] 2001년 기준 [13] 2001년 기준으로, 지금과는 명칭이나 부서 등이 조금씩 다를 수 있다. [14] 지금은 이 방송이 나갔을 때보다 휴게소가 여러개 더 추가되었다. [15] 2001년 기준 [16] 지금은 이 방송이 나갔을 때보다 대교가 여러곳 더 추가되었다. [17] 3호선 구파발-2호선 종합운동장 구간, 4호선 안산-2호선 종합운동장 구간, 그리고 1호선 부평-2호선 종합운동장 구간을 알려주었다. [18] 2001년 기준으로, 지금과는 조금 다를 수 있다. [19] 이때부터 박은빈이 출연하였다 [20] 박은빈의 마지막 출연이다 [21] 2002년 기준으로, 지금과는 많이 다르다. [22] 이 방영분을 끝으로 1년 5개월간 많은 사랑을 받았던 수다맨은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23] '수다아줌마'로 먼저 등장. [24] 의뢰인으로 등장. [25] 2호선 신설동역으로 소개되기는 했으나, 사실은 6호선 고려대역이 따로 있다. [26] 구로공단역 → 구로디지털단지역 (2004년 변경), 동대문운동장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2009년 변경). 말하진 않았지만 성내역 → 잠실나루역 (2010년 변경), 신천역 → 잠실새내역 (2016년 변경)도 있다. [27] 오금 연장은 2010년 2월이나, 메인 코너로 방영될 당시엔 수서역이 종착역이었으며, 700회 특집 당시엔 원흥역 개통 전이었다. [28] 9호선이나 공항철도, 신분당선, 용인경전철 등 2000년대 후반 이후에 개통된 신설 노선들은 어떻게든 피한다. 이번에도 구로공단역, 동대문운동장역, 신천역, 성내역 등 변경 이전의 역명들 또한 언급되었다. 1호선 역시 나중에 개통된 동묘앞역은 언급이 되지 않고, 광운대역이 여전히 성북역으로 언급되는 등 여전히 2002년 기준에 머물러 있다. [29] 강성범 버전 외에도 이다도시, 윤다훈 버젼이 같이 있다. [길게] [길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