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5 01:59:51

108번뇌

백팔번뇌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정치 속어에 대한 내용은 108번뇌(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불교 종교표지(흰색).svg 파일:1px 투명.svg 불교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8c00><colcolor=#fff> 신·성인 부처 · 여래 · 보살 · 천왕( 사천왕) · 시왕 · 아라한 · 나반존자
세계관 삼천세계 · 육도윤회 · 오탁악세
상징 법륜 ·
경전 불경 · 결집
종파 종파 · 근본 불교와 부파 불교
계율 5계 · 오신채
사원 ( 부속 건물 · 능침사) · 선원 · 총림 · 포교당
미술 불상 · 불화( 탱화 · 만다라 · 수월관음도 · 달마도) · 불탑 · 승탑 · 보상화무늬 · 연화문 · 대장경판
법구 금강저 · 당간지주 · 목어 · 목탁 · 불단 · 불진 · 석장 · 염주 · 범종
의식 수계 · 예불 · 불공( 사시불공) · 진언 · 다라니 · 다비식 · 발우공양 · 탁발 · 방생 · ( 49재) · 참선 · 사경
문화 법회( 설법) · 범패 · 찬불가 · 승복( 가사) · 사찰 요리 · 법명 · 법랍 · 불멸기원 · 연등회 · 탑돌이 · 팔관회 · 참회 · 만행 · 승무
불자 승려( 비구니 · 군종 승려 · 동자승 · 주지) · 법사 · 신자
기타 가부좌 · 사리 · 파계( 파계승) · 한국어의 외래어/산스크리트어 }}}}}}}}}

1. 개요2. 해석3. 고행4. 대중매체에서
4.1. 가요

1. 개요

불교의 108가지 번뇌.

2. 해석

다양한 해석이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해석은 이러하다. 인간····· 생각 등 6가지 감각기관[1]에 그것을 느끼는 색·성·향·미·촉·법 6가지[2]를 곱하면 36개가 되고, 그 번뇌들이 과거에도 존재했고, 현재도 존재하며, 미래의 삼세(三世)에 존재할 것이기에 36 × 3 = 108가지가 된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 인간이 존재한다는 것, 그 자체만으로 늘 느끼는 108가지 느낌을 의미한다.

이와 다른 해석도 있다. 88가지 견혹[3] 번뇌 + 수혹(修惑) 십혹(十惑) + 십전[4]을 더해 총 108가지 번뇌라는 해석이다.

3. 고행

불교에서는 108개의 알로 염주를 만들어 돌리면서 삼보를 생각하면 108번뇌를 끊을 수 있다고 말하며 혹은 본래적 자신의 마음인 일심의 회복을 강조하기도 한다. 비단 염주 뿐만 아니라 종종 절에서 행하는 특수한 기도법인 ' 108배' 또한 바로 이 108가지 번뇌를 순환시키기 위해 하는 것이다. 기도하며 을 하는 것이 은근히 고통스러운 행위이고 따라서 108개의 번뇌를 해소하려면 기도 및 절을 108번 올려서 그 고통으로 108개의 번뇌가 가져다주는 고통을 상쇄한다.[5] 뭐 이런 개념으로 보면 된다.

파생형으로 128근본번뇌가 있다.

4. 대중매체에서

서브컬처에선 종종 애용되기도 하는데, 서브컬처의 생산지로 유명한 일본이 불교의 영향력이 큰 곳이다 보니 그만큼 불교의 아이템들이 꽤나 친숙해서 창작물에 간간히 쓰다 보니 108번뇌 또한 사용빈도가 꽤 된다. 다만 사천왕이나 삼신기 마냥 하나하나 끼워맞추기엔 숫자가 너무 많다 보니 대충 숫자만 채우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본의 제야의 종 행사 때도 타종을 108번이나 하는데, 이때 마지막 종은 새해 자정 정각에 맞추어 친다.

4.1. 가요

1978년 제2회 MBC대학가요제에서 발표된 최현군 작사/작곡/노래의 가요


[1] 이 여섯 가지 감각기관을 육근(六根)이라 한다. [2] 이것을 육진(六塵)이라 한다. [3] 見惑. 간단히 말해 잘못된 지식이나 편견, 자기가 무조건 옳다고 믿는 마음, 싫은걸 무조건 싫다고만 하는 등으로 혹해서 빚어지는 번뇌를 뜻한다. [4] 十纏. 팔전(八纏)에 분(忿)과 부(覆)를 더한것. 무참(無慚): 죄과를 범하고도 스스로에 대해 부끄럽게 여기지 않음 / 무괴(無愧): 죄과를 범하고도 남에 대해 부끄럽게 여기지 않음 / 질(嫉): 질투, 다른 이의 좋은 일에 대해 기뻐하지 못함 / 간(慳): 재물이나 교법에 매우 인색함 / 회(悔): 지나친 후회(後悔) 또는 추회(追悔) / 면(眠): 잠, 암매(闇昧: 흐리멍덩함, 어리석고 몽매함), 게으름 / 도거(掉舉): 들뜸, 불안정, 산란 / 혼침(惛沈): 침울, 무기력 / 분(忿): 분노(憤怒: 분개하여 몹시 성을 냄), 격노 / 부(覆): 죄과를 은폐함. [5] 불교가 본디 인도에서 유래하였고, 인도의 토착종교(주로 힌두교)는 대부분 몸의 고행으로 악업을 씻고 더욱 높은 경지로 올라가기를 추구한다. 같은 맥락에서, 고생 꽤나 하는 하급 카스트들은 현세에서 고생한 만큼 내세에서 더 좋은 삶을 누린다는 믿음이 있다. 왜 고통으로 고통을 가감하려는 이런 행위가 생겨났는지를 알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