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7 06:11:40

연화문


파일:불교 종교표지(흰색).svg 파일:1px 투명.svg 불교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8c00><colcolor=#fff> 신·성인 부처 · 여래 · 보살 · 천왕( 사천왕) · 시왕 · 아라한 · 나반존자
세계관 삼천세계 · 육도윤회 · 오탁악세
상징 법륜 ·
경전 불경 · 결집
종파 종파 · 근본 불교와 부파 불교
계율 5계 · 오신채
사원 ( 부속 건물 · 능침사) · 선원 · 총림 · 포교당
미술 불상 · 불화( 탱화 · 만다라 · 수월관음도 · 달마도) · 불탑 · 승탑 · 보상화무늬 · 연화문 · 대장경판
법구 금강저 · 당간지주 · 목어 · 목탁 · 불단 · 불진 · 석장 · 염주 · 범종
의식 수계 · 예불 · 불공( 사시불공) · 진언 · 다라니 · 다비식 · 발우공양 · 탁발 · 방생 · ( 49재) · 참선 · 사경
문화 법회( 설법) · 범패 · 찬불가 · 승복( 가사) · 사찰 요리 · 법명 · 법랍 · 불멸기원 · 연등회 · 탑돌이 · 팔관회 · 참회 · 만행 · 승무
불자 승려( 비구니 · 군종 승려 · 동자승 · 주지) · 법사 · 신자
기타 가부좌 · 사리 · 파계( 파계승) · 한국어의 외래어/산스크리트어 }}}}}}}}}

파일:연화문와당.jpg

1. 개요2. 내용3. 해외4. 같이 보기5. 외부 자료

1. 개요

연화문(蓮花文)이란 연꽃의 형태를 일정한 형식으로 도안화한 무늬이다.

2. 내용

우리 나라 미술에서 연화문이 처음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구체적인 예로는 고구려 백제 등 고대 건물지에서 발견된 와당의 연화문 등을 말할 수 있으나 그 이전에 신석기시대 유물인 채문토기의 어깨 부분에 연꽃에 가까운 꽃무늬를 굵은 적색으로 그려넣고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다양한 연화문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또한 그 영향을 받은 백제의 부여능산리고분벽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밖에 7세기 이후의 각종 불상에서는 각 지역적 특성을 나타내는 연꽃무늬가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북위(北魏)의 운강(雲岡)·돈황(敦煌) 등의 석굴과 북제(北齊) 말엽의 불상 광배 등의 연화문형식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 미술의 연화문은 판단(瓣端)이 뽀족하여 날카롭고 강직하게 보이지만 백제미술에서는 온화하고 완만하며 이에 비해서 신라의 것은 우아하고 장식적인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그 뒤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미술의 여러 분야에서 특성 있게 쓰여왔다.

3. 해외

연화문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인도, 그리스, 이집트, 페르시아 등에도 있었는데 이 문양이 불교에도 사용되어 동서 무역을 통해 중국에 알려졌고 중국을 거처 한국에도 이 문양이 전해진다.

4. 같이 보기

5. 외부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