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18:47:39

백령공항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중추공항 인천
거점공항 김포(서울) · 제주 · 김해(부산) · 대구 · 청주 · 무안
일반공항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사천 · 군산 · 원주(횡성)
도심공항터미널 서울역 · 광명역
사설·기타 비행장 울진 · 정석 · 태안 · 수색 · 잠실 헬리패드
군 전용공항 서울(성남) · 수원 · 오산 · 평택 · 이천 · 계룡 · 충주 · 예천 · 강릉 · 속초 · 전주 · 목포 · 진해 · 캠프 워커 · 현리(인제)
<nopad> 공사 중인 공항 울릉
<nopad> 착공예정 공항 가덕도(부산) · 대구경북 · 흑산 · 제주2 · 새만금(군산) · 백령
<nopad> 추진 중인 공항 경기남부(화성) · 포천 · 서산
폐쇄된 공항 여의도 · 수영 · 알뜨르 · 춘천 · 전주(송천동) · 충주(목행동) · 코엑스(도심공항)
군(軍)공항: ■ 육군, ■ 해군, ■ 공군, ■ 주한미군
}}}}}}}}} ||

백령공항
Baengnyeong Airport / 白翎空港
공항코드
IATA 미정[1]
ICAO 미정[2]
주소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진촌리
착공
미정
개항
2030년 (예정)
활주로
활주로 10/28 (1,200m × 30m)
해발고도
9.6m
운행기관
미정 [3]

1. 개요2. 설명3. 역사4. 운항노선
4.1. 국내선
5.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백령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 위치도.jpg 파일:백령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 설계안.jpg
백령공항 위치도 백령공항 예상 설계도
백령도에 건설될 소규모 공항. 대한민국의 본토와 백령도를 오가는 주민들과 관광객들에게 접근성과 편의성을 부여하고 전시에 군사 거점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는 공항이다. 개항하면 한국공항공사나 인천국제공항공사 또는 인천광역시가 운영할 예정이다.

백령공항은 활주로의 길이 1,200m, 폭 30m 규모로 ATR 42, ATR 72와 같은 리저널기가 취항할 수 있는 소형공항이다. 백령도에 공항이 건설되면 서울특별시에서 백령도까지 5~7시간 이상 소요되는 이동 시간이 1시간 내외로 단축되어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는 건 물론 응급환자를 육지로 이송하고 국군 장병들의 출타도 수월해질 전망이다. 그리고 백령도는 인근의 옹진반도가 북한이 통치하는 지역이라, 유사시 백령공항은 군사적 의의도 상당한 공항이다.

2. 설명

백령도는 섬 동쪽 해안에 위치한 사곶해변이 천연 활주로 기능을 하고 있었다. 척박한 곳에서 운영이 가능한 An-124도 취항이 가능할 정도였고 해변의 모래가 단단하게 다져진 상태라 아스팔트와 유사한 환경으로 전투기도 이 · 착륙이 가능한 해변이었다. 실제로도 1970년대까지 수송기를 통한 항공교통이 이루어졌고 ICAO 코드로 RKSE를 부여받은 엄연한 공항이었다. 그러나 간척과 담수호 사업으로 사곶해변의 지반이 약해진 후[4]로는 수송기의 이착륙이 중단되면서 백령도는 외부 교통은 오직 선박에만 의존하는 상황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솔개간척지에 활주로와 여객터미널, 계류장, 관제탑 등을 갖추고 50인승 소형 항공기가 이 · 착륙할 수 있는 민군 겸용 공항을 개항하려는 계획을 세우게 된다. 사업비는 1,208억 원으로 비슷한 규모로 개항할 울릉공항 대비 1/5 미만이다.

백령도는 국내에서 제법 잘 알려진 섬이고 북한과 인접한 곳이며, 특이한 자연환경을 갖춘 생태관광지가 많아 방문하는 수요는 지금도 충분한 편이다. 하지만 인천항에서 출발하는 여객선이 1일 3척뿐인 데다 그마저도 4시간 30분이 소요되며, 기상 악화에 따른 결항이 잦고 배멀미를 이유로 여행을 주저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며, 백령도에서 근무하는 군 장병들도 접근이 불편해서 매우 힘들어했다. 하지만 공항이 건설되어 소요 시간이 1시간 이내로 단축되면 생태 및 안보 관광, 백령도에서 근무하는 장병들의 내륙 방문으로 인한 수요가 충분하다고 판단되어 실제로 사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였다. 백령공항이 개항한 후에는 국내선을 이용하여 전국에서 백령공항으로 오고 가는 항공편을 개설할 예정이다.

3. 역사

4. 운항노선

4.1. 국내선

항공사 국가 편명 취항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5. 여담



[1] 백령도 지역 코드는 PYD. [2] 현재 운영되지 않는 사곶해변의 코드인 RKSE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3] 인천국제공항을 제외한 대한민국의 민간공항은 모두 한국공항공사가 운영하지만, 인천광역시는 백령공항의 건설은 물론 운영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중이다. 그러므로 백령공항의 운영사는 인천광역시나 인천국제공항공사 또는 한국공항공사 중 한곳이 운영할 예정이다. [4] 지금은 자동차가 지나가도 바퀴 자국이 남을 정도로 지반이 일반 해변 수준으로 크게 약화되었다. 무엇보다 사곶해변 자체가 천연기념물로도 지정된 만큼, 함부로 비행기를 이용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5] 주요 쟁점은 이륙 혹은 착륙 도중 발생할수 있는 항공기의 비자발적 월경을 방지하는 방법이었는데, 국토교통부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선회 비행을 통해 양방향 운항을 하면서도 월경을 낮추는 방안을 수립하여 국방부와 의견을 조율하고, 계기 비행과 시계 비행 중 어떤 방식의 시설을 설치할 것인지 국방부와 함께 검토한 안건을 국방부에 전달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