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9 20:38:08

반달족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문화재 훼손 행위에 대한 내용은 반달리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위키에서의 문서 훼손에 대한 내용은 문서 훼손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valknut-logo-A2606FA5AA-seeklogo2.png
게르만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민족
<colbgcolor=#FAFAFA,#1A1A1A> 북게르만 기트족 · 데인인 · 스베아인 · 바랑인
현대의 민족
노르웨이인 · 덴마크인 · 스웨덴인 · 아이슬란드인 · 페로인
서게르만
북해 게르만
Ingvaeonic
역사적 민족
색슨족 · 앵글족 · 주트족 · 카우키 · 프리시족
현대의 민족
영국인( 잉글랜드인 · 로우랜드 스코틀랜드인) · 프리지아인 · 저지 독일인
베저-라인 게르만
Istvaeonic
역사적 민족
리푸아리 프랑크족 · 바타비족 · 살리 프랑크족
현대의 민족
네덜란드인( 보어인) · 플란데런인
엘베 게르만
Irminonic
역사적 민족
랑고바르드족 · 마르코만니 · 바이우바리 · 수에비 · 알레만니 · 카티 · 케루스키 · 콰디 · 킴브리 · 투링기 · 헤르문두리
현대의 민족
독일인( 오스트리아인 · 독일계 벨기에인 · 독일계 스위스인 · 룩셈부르크인)
동게르만
역사적 민족
게피드족 · 고트족 · 루기 · 반달족 · 부르군트족 · 헤룰리
현대의 민족
절멸
국가 및 지역
유럽의 게르만어권 국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유럽 외 게르만어권 국가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기타 게르만어권 지방 파일:올란드 제도 기.svg 올란드 제도 | 파일:Flag_of_South_Tyrol.svg 쥐트티롤 | 파일:알자스 깃발.svg 알자스 | 파일:오스트벨기엔 깃발.svg 오스트벨기엔 |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
문화 및 언어
언어 게르만어파
신화 북유럽 신화 | 앵글로색슨 신화
사상 범게르만주의 | 소독일주의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80307175336%21Heinrich_Leutemann%2C_Pl%C3%BCnderung_Roms_durch_die_Vandalen_%28c._1860%E2%80%931880%29.jpg
반달족의 약탈 모습

1. 개요2. 게르만 대침입기의 반달족
2.1. 관련 문서
3. 북아프리카의 반달 왕국4. 언어5. 반달리즘?6. 후예?7. 대표적인 반달족 인물8. 관련 문서

1. 개요

Vandals

게르만족의 일파로 일찍이 로마 제국과 접촉하여 2세기에서 3세기 사이에는 도나우 강 국경에서 로마와 충돌한 적이 있는 것이 최초의 기록이다. 반달족은 실링기 반달족과 하스딩기 반달족으로 나뉘며 연구에 따르면 하스딩기 반달족은 콘스탄티누스 1세 고트족과 경쟁관계에 있었고 그가 죽자 판노니아로 밀려와서 도나우 강 안에서 살고 있었다고 한다. 기원은 분명치 않으나 고트족처럼[1] 스칸디나비아에서 남하한 것으로 추정된다.[2]

Kings and Generals 유튜브의 Rise of the Vandals: How the Vandals Took Over Roman Africa 영상의 6분대 후반~7분대를 보면 게르만족의 대이동 시대 전까지는 프랑크족, 고트족, 알레만니족 등에 비해서 확연히 세가 약했던 것으로 보인다. 후대의 사가 요르다네스(Jordanes)에 의하면, 330~335년 사이 즉 로마로 따지면 콘스탄티누스 1세 말기 때 고트족 족장이 영토확장을 위해 만만한 반달족 영역으로 쳐들어가서 반달족 족장이 죽었다고 할 정도였다. 그러다가 5세기 초에 가이세리크라는 걸출한 인물이 나타나며 게르만 제종족 중에서도 1군급으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2. 게르만 대침입기의 반달족

5세기 초에 훈족의 침입에 밀려 대이동에 나서 서쪽으로 진군하여 로마의 국경으로 밀려들어 왔으며 반달족의 대부분은 아리우스파 기독교로 개종했다고 한다.

406년에는 도나우 강을 건너 판노니아로 밀려들어가 갈리아 북부에서 로마에게 동화되고 있던 프랑크족의 저항을 받아 2만 명이 사망하는 등의 피해를 입었으나 그해 겨울에 라인 강이 얼자 라인 강을 넘어 갈리아를 남하하면서 황폐화시키고 아키텐까지 몰려갔다고 한다.

5세기 초에 계속 남하하여 피레네 산맥을 넘어 지금의 스페인 히스파니아로 들어갔다.[3] 이때 단독으로 로마에 대항할만한 세력은 못됐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훈족을 피해 달아난 수에비족, 알란족 등과 연합한 상태였다. 초기엔 알란족이 연합의 주도권을 쥐고 있었던 듯하다. 이들은 알라리크가 이끄는 서고트족이 서로마 제국을 터는 동안 스페인을 접수했지만 알라리크가 죽고 아타울프의 협력을 얻는 데 성공한 서로마가 고트족과 함께 반격을 가해오기 시작했다. 결국 이 공격으로 인해 실링 반달족이 몰락, 하스딩기의 일원으로 흡수되고 알란족도 명맥을 잇기 힘들 정도로 타격을 입고 반달족에 흡수되었으며, 주도권은 반달족으로 넘어오게 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Invasions_of_the_Roman_Empire_1.png

2.1. 관련 문서

3. 북아프리카의 반달 왕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반달 왕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언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반달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세기까지 반달어를 사용했다.

5. 반달리즘?

이탈리아 도시들은 5세기 초와 6세기에 서방의 다른 도시들만큼 심각한 타격을 입지 않았다. 410년에 알라릭이 로마를 약탈한 사건은 심리적으로는 중대한 충격이었지만 현실적으로는 그렇게 심각한 파괴를 초래하지는 않았다. 455년 반달족의 공격조차 그렇게 심각한 참화는 아니었다. 그러나 유스티니아누스가 재정복 전쟁을 벌이는 동안 심지어 로마를 포함한 이탈리아의 대도시들 대부분은 초토화되고 인구가 격감했다.
-"하이켈하임 로마사"(김덕수 번역) 981쪽

게르만족의 대이동 때 로마 시에 침입하여 수많은 약탈과 문명 파괴행위를 저질렀다고 하여 이들에 유래한 반달리즘, 반달이라는 말이 생겼지만, 사실은 이민족이 로마 시를 침공했다는 자체에서 로마인들에게 엄청난 충격이었기 때문에 생긴 말로 반달족은 문화 파괴행위보다는 조직적으로 로마 시의 재물을 배로 실어 북아프리카로 옮겼다고 한다.

반달리즘이란 단어는, 프랑스 혁명 자코뱅파의 파괴행위를 반달족에 빗대면서 처음 등장한 단어인데, 학계의 중론은 반달족은 파괴행위를 일삼지 않았다는 것이다. 사실 이들은 로마 시의 문화재를 약탈하는 데 주력했으며 그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문화재가 훼손되었을 뿐 의도적으로 문화재를 박살내지는 않았다.

5세기의 반달족은 그 스스로도 이미 로마 문화를 받아들여 로마 문화의 우수성을 인정하던 상태였으며, 455년 반달족이 테베레 강을 건너 로마 시를 점령하자 당시 로마 교황이었던 레오 1세는 가이세리크를 만나 도시 파괴를 자제할 것을 당부하였고, 반달족은 순응하며 돌아갔다. 그들은 오히려 북아프리카에서는 자기 언어를 포기하고 라틴어, 막판에는 가톨릭을 채택했는가 하면 문학·신학에도 관심을 보였다.

그리고 533년 동로마제국 유스티니아누스 황제 휘하의 장군 벨리사리우스는 북아프리카에 상륙해 두 주일 만에 수도 카르타고를 함락했고, 1년이 못 되어 반달족의 흔적을 깡그리 없애버렸다. 그러니까 오히려 이들이 로마에게 반달리즘을 당해 자취가 남지 못한 것이다. 유스티니이누스의 군대는 이탈리아에서도 대학살과 파괴를 일삼았다. 따라서 반달스러운 현상(Vandalism)이 아니라 로마스러운 현상(Romanticism)이라고 불러야 한다

6. 후예?

동로마 제국의 카르타고 재정복 이후 이들의 민족 정체성은 빠르게 상실되었다. 최정예 병력은 기병연대로 편제되어 對 페르시아 전선에 배치되었고 일부는 벨리사리우스의 정규 부대는 아닌 사병적인 성격이 일부 있었던 부대(Bucellarii)의 일원이 되었다. 그 외에도 아프리카 현지에 그대로 남아 현지인에 동화되었거나[4], 동로마의 각지로 분산 이주되었다고 한다. 9세기 초의 슬라브인 토마스의 반란 때, 반달족이 여러 민족들과 더불어 토마스를 지지했다고 나온다. 동로마인들이 유목민들은 스키타이, 투르크인들은 페르시아인으로 부르는 등, 예전에 부르던 명칭을 고집하거나 잘못된 명칭으로 부르는 사례가 있던 것을 감안해야 겠지만, 반달족들이 꽤 오랫동안 동로마 제국에 살았던 것으로 추측된다.[5] 제국이 반달족의 흔적을 빡세게 뿌리뽑고자 노력했기 때문인 것도 있다. 가이세리크 때 제국에 여러 굴욕을 안겨주었고, 정통파(니케아-칼케돈) 교인을 제법 박해했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복조치로 보인다.[6] J. B. 버리라는 아일랜드 학자에 따르면 아예 반달 왕국이라는 게 없었던 것처럼(as if it[7] had never been)이라는 대목도 나온다. 실제로 탈환 후, 모든 재산권과 토지 소유관계를 반달 점령 이전으로 돌려놓으라는 지시를 제국 측에서 내렸는데, 그게 무려 거의 100년 전이다.(...) 반달족은 공직취임은 물론 재산소유도 금지되었고(...), 대부분의 남자들은 노예가 되었고 여자들은 로마군이 데려갔다고 하며, 칼케돈 정통파 교회가 원위치로 복원되었고 아리우스파 교회는 압수당하고 박해받았다고 한다.[8]

7. 대표적인 반달족 인물

8. 관련 문서



[1] 고트족은 원래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스웨덴에서 기원했는데, 고틀란드 섬(고트족이 살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을 거치고 발트해를 건너 지금의 발트 3국 지역에 상륙한 후, 남쪽의 우크라이나 지역으로 이주하여 서기 4세기 말엽 훈족이 쳐들어 올 때까지 계속 거주하였다. [2] Ruth H. Sanders, 2010《German: Biography of a Language: Biography of a Language》 [3] 이 사건은 훗날 알안달루스 안달루시아 어원이 된다. [4] 현재도 튀니지 알제리에서 적발이 보이기도 하는 것을 보면, 이들의 유전적 영향이 있었을 개연성은 있다. 실제로 알제리 등지에는 이들의 후손이 사는 도시가 있다. [5] 영어 위키백과 Vandal Kingdom 중, 'The surviving Vandals either assimilated into the indigenous African population or were dispersed among the Byzantine territories.' 및 'The best Vandal warriors were formed into five cavalry regiments, known as Vandali Iustiniani, and stationed on the Persian frontier. Some entered the private service of Belisarius.' 및 'Most Vandals remained in North Africa and were absorbed into the native Berber population. In the words of historian Roger Collins: "The remaining Vandals were then shipped back to Constantinople to be absorbed into the imperial army. As a distinct ethnic unit they disappeared."' [6] 게르만계 왕국들 중 반달 왕국이 로마에 대한 승리 경험도 여럿 있었던 데다가 일단 아프리카라서 콘스탄티노플 입장에서 바다를 건너야 했기 때문에, 제국에 대한 종속의 정도가 가장 약했고 독립의 정도가 가장 강했다. [7] it은 밑의 각주에 문장 전체가 실려있는 데에서 알 수 있듯이 'Vandal conquest'이다. [8] 영어 위키백과 Vandalic War(반달 전쟁) 중, 'The emperor was determined to restore the province to its former extent and prosperity — indeed, in the words of J.B. Bury, he intended "to wipe out all traces of the Vandal conquest, as if it had never been, and to restore the conditions which had existed before the coming of Geiseric". To this end, the Vandals were barred from holding office or even property, which was returned to its former owners; most Vandal males became slaves, while the victorious Roman soldiers took their wives; and the Chalcedonian Church was restored to its former position while the Arian Church was dispossessed and persecuted.'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