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중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
대만 |
홍콩 |
티베트 |
위구르 |
몽골 |
||||
오키나와 |
베트남 |
캄보디아 |
필리핀 |
미얀마 |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
방글라데시 |
몰디브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타지키스탄 |
||||
키르기스스탄 |
카자흐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
서유럽 · 중부 유럽 |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
네덜란드 |
독일 |
||||
폴란드 |
헝가리 |
오스트리아 |
체코 |
|||||
동유럽 · 북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아이슬란드 |
발트 3국 |
||||
남유럽 | ||||||||
스페인 |
이탈리아 |
불가리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슬로베니아 |
||||
그리스 |
세르비아 |
코소보 |
알바니아 |
몬테네그로 |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스라엘 |
이란 |
사우디아라비아 |
이라크 |
바레인 |
||||
팔레스타인 |
카타르 |
아랍에미리트 |
시리아 |
예멘 |
||||
요르단 |
레바논 |
쿠웨이트 |
오만 |
이집트 |
||||
리비아 |
모로코 |
알제리 |
수단 공화국 |
튀니지 |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그린란드 |
과테말라 |
벨리즈 |
||||
온두라스 |
엘살바도르 |
니카라과 |
코스타리카 |
파나마 |
||||
푸에르토리코 |
쿠바 |
아이티 |
도미니카 공화국 |
바베이도스 |
||||
바하마 |
앤티가 바부다 |
세인트키츠 네비스 |
베네수엘라 |
콜롬비아 |
||||
에콰도르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칠레 |
파라과이 |
||||
아프리카 | ||||||||
소말리아 |
모리타니 |
라이베리아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
감비아 |
짐바브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콩고 공화국 |
앙골라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팔라우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
나우루 |
솔로몬 제도 |
피지 |
사모아 |
통가 |
||||
다자관계 | ||||||||
파이브 아이즈 |
미국·영국·프랑스 |
미국·캐나다·멕시코 |
미국·캐나다·영국 |
Quad |
||||
미국·캐나다·프랑스 |
미국-오세아니아 관계 |
아세안 |
미영일 |
한미일 |
||||
미중러 |
미중일 |
아프리카 |
||||||
과거의 대외관계 | ||||||||
미소관계 |
미국-나치 독일 관계 |
미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일본 |
대만 |
중국 |
||||
태국 |
캄보디아 |
인도네시아 |
필리핀 |
|||||
유럽 ·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 ||||||||
러시아 |
폴란드 |
프랑스 |
바티칸 |
미국 |
||||
호주 |
||||||||
과거의 대외관계 | ||||||||
북베트남-남베트남 관계 |
미국 United States of America Hợp chúng quốc Hoa Kỳ |
베트남 Cộng hòa Xã hội chủ nghĩa Việt Nam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
United States–Vietnam relations
Quan hệ Hoa Kỳ – Việt Nam
Quan hệ ngoại giao giữa Hoa Kỳ và Việt Nam
[clearfix]
1. 개요
미국과 베트남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미국과 베트남(당시 북베트남)은 베트남 전쟁을 치른 것으로 유명한데, 그런 역사를 고려하면 이례적일 정도로 현재 양국은 사이가 좋은 편이다.
2. 역사적 관계
2.1. 21세기 이전
1829년 미국이 응우옌 왕조에게 외교 사절단을 파견하면서 관계가 시작되었다. 몇 십 년 후에 베트남은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었다.제2차 세계 대전 때에는 일본 제국이 베트남을 점령했으며, 미국은 일본을 물리치기 위해 미국의 정보기관 OSS가 베트남 독립운동단체인 베트민을 지원하였다. 베트남은 일제가 패망하고 베트민의 주도하에 공산주의 국가인 베트남 민주 공화국으로 독립하였다. 이후 프랑스가 베트남을 다시 지배하기 위해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일으킨다. 미국은 베트남의 독립은 찬성했지만, 공산주의 확산은 용납할 수 없었기에 프랑스를 지원했다. 대신 지원의 대가로 남베트남을 독립시키라는 조건을 내걸었다. 하지만 프랑스는 패배하였고, 베트남은 베트민의 베트남 민주 공화국(북베트남)과 프랑스가 세웠던 베트남국(남베트남)으로 나뉜다.
이후 베트남국은 국민 투표로 베트남 공화국으로 바뀌었다. 미국은 남베트남과 수교했으며, 남베트남에 많은 원조를 하였다. 미국은 남베트남을 중요한 동맹국으로 인식하였다. 그와 동시에 남베트남을 침략하는 북베트남과는 적대했다. 한편 북베트남은 남베트남을 미국의 괴뢰 정권으로 규정해 남부 해방을 외치며 전쟁을 일으켰다. 결국 미국은 북베트남과 전쟁까지 벌이게 된다. 그러나 미국은 베트남전에서 물러났다. 베트남 전쟁 참조. 1973년 파리강화협정으로 미국이 베트남에서 손을 뗄때 남베트남은 반대했으나 미국의 회유와 압력으로 서명하며 잠시 평화가 찾아오는 듯 했다.
그러나 1975년에 북베트남은 남베트남을 재침공했다. 제럴드 포드 미국 대통령은 급하게 의회에 남베트남 지원 예산 편성을 요청하지만, 의회는 거부했다. 남베트남은 절망에 빠져 "배신자" 미국을 맹비난했다.[1][2] 결국 얼마 안 가 1975년 4월 30일에 사이공이 북베트남군의 침공으로 함락됐으며, 남베트남이 공산화되어 금성홍기를 앞세운 현재의 통일 베트남이 됐다. 이후 미국과 베트남의 관계는 약 20년간 단절되었다.
베트남 전쟁에서 물러난 미국은 철저히 공산 베트남에 복수하려고 했고, 베트남군에 의해 축출된 캄보디아의 크메르 루주를 간접지원하기도 했다. 여기에 전쟁이 끝난지 20년이 지난 1994년까지 현재 북한에 취하는 유사한 경제제재와 봉쇄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1980년대에 미국이 제작한 영화를 보면 항상 베트남 공산군이 천하의 악당으로 나올 정도. 몇번의 관계 정상화 시도가 있었으나, 모두 무산되었다. 하지만 냉전이 해소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전쟁의 악감정도 없어져서 사이공이 함락된 지 20년만인 1995년에 수교하게 된다.
2.2. 21세기
2006년에는 쩐 득 르엉 당시 주석이 미국을 방문하여 뉴욕 증권가까지 둘러보는 파격 행보로 주목받았다. 이 때 쩐 주석은 미국에 사는 월교(옛 남베트남 출신 동포)들을 향해 고향 방문시 비자를 면제해 주고 특히 투자를 할 경우 여러 혜택을 주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캘리포니아 등지의 리틀 사이공 주민들은 르엉주석의 방미를 매우 불쾌하게 여겼으며, 심지어 그가 리틀 사이공을 방문한다는 설이 돌자 "여기가 어디라고 공산당 우두머리가 온다는 거냐!"는 말까지 하기도 했다.이러한 배경에 대해서는 베트남계 미국인 공동체의 특징을 알아야 한다. 미국에 거주 중인 베트남계 주민들의 상당수는 베트남 전쟁으로 패망한 남베트남에서 피난 온 주민들과 그 후손들로, 자신의 조국을 멸망시킨 (북)베트남 공산정권을 매우 증오한다.[3] 이 때문에 구 남베트남을 계승했다고 주장하는 망명 정부 청사들은 모두 미국에 있기도 하다. 물론 공산 베트남과 미국이 다시 수교한 이후 최근 들어서 공산 베트남인의 정체성을 가지고 미국에 이민 온 베트남계 주민도 급증하여 이런 반공 성향이 희석되고 있는 추세도 있지만, 어쨌든 아직까지는 전통적으로 베트남계 공동체를 주도해온 이 남베트남계가 더 우위에 있다. 그 와중에 최근 미국이 중국 견제 목적으로 베트남 정부와 관계를 개선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다 보니 이들의 입장이 좀 난처해지기도 했다.
50년 전 미국과 전쟁을 겪었지만 국민 감정은 꽤나 좋아진 편이다. 사실, 퓨 리서치 센터의 2017년 조사에서는 베트남인의 84%가 미국에 호감을 표시해 세계에서 가장 미국에 호의적인 나라로 나타나기까지 했다.
베트남은 급성장하는 중국의 팽창에 맞서 베트남군의 현대화를 모색하는 동시에 미국과 군사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오바마 대통령의 베트남 방문과 덧붙어 미국이 무기 수출 금지를 풀었으며 남중국해와 인접한 깜라인만을 미군에 허용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거기에 베트남은 미국의 대잠초계기와 전투기를 구매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당기사 [4] U.S. deepens military ties with former foe Vietnam 게다가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중국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서 미국 록히드 마틴 사의 P-3 해상초계기도 구입을 추진하고 있다. #
하지만 베트남은 미중 간에 등거리 외교를 취하고 있다. 베트남인들의 반중 감정이 매우 심하기도 하고, 안보의 경우에는 남중국해 분쟁을 두고 미국의 도움이 절실하긴 하지만, 베트남 경제가 중국에 매우 종속되어 있기 때문에 베트남 정부 차원에서 반중 정책을 취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미 베트남 국방장관이 미국에서 베트남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중립을 취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미국의 소리 기사
이는 대부분의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마찬가지이며, 비록 반중감정이 동남아인들 사이에 존재하더라도 국가로서는 중국이 중요한 비즈니스 파트너이기에 진짜로 완전히 미국 편에 붙어 중국과 대립하기에는 상당히 어려운 입장에 처해 있다. 이들 국가가 경제적 손해를 감안하고서라도 중국과 본격적으로 대립할 만큼 경제 사정이 좋지가 않기 때문. 동남아 국가들은 본격적인 대중국 포위망으로 간주하기에는 지나치게 중립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중국제 무기들도 가성비만 좋다면 구매하는 나라들이 동남아시아에 있는 국가들이다.
하지만 반중 포위망까지는 과장이더라도 현재의 미국과 베트남의 관계는 중국 견제라는 서로의 공통 목표가 분명히 있기에, 꽤나 좋은 편이다. 베트남 하면 특히 할리우드의 영향으로 베트남전의 이미지가 강하여 사이가 으레 좋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국제무대에서 영원한 친구도 없지만 영원한 적도 없다는 말이 맞는 셈. 베트남전 때 으르렁대는 것도 과거의 이야기가 되어가고 있고 반전주의라는 것 자체가 꽤 보편화된 21세기 들어서는 베트남이 악의 축으로 등장하는 영화가 드물어졌다. 지금 와서 사람들이 기억하는 유명한 베트남전 영화[5]의 경우에는 북베트남군의 사악함보다는 미군들이 미쳐가는 것에 더 집중하기도 했고. 몇몇 영화에서는 미국인을 돕기도 하는 나라로 등장하기도 한다.[6]
원래 호찌민은 처음부터 미국을 끌어들여 프랑스와 중국을 견제하려고 미국에게 지원을 요청했지만 공산주의자라는 이유로 퇴짜맞았다[7]. 그리고 인도차이나 전쟁 종전 후 미국이 남베트남의 부패한 지도층들과 결탁하여 호치민과 베트민 중심의 북베트남 정부를 적대시하자 어쩔 수 없이 베트남 전쟁을 벌이게 된다. 그러나 지금 베트남이 미국한테 경제/군사적 지원을 요청하고, 미국과 손을 잡아 중국을 견제하려는 구도를 만들고 있는 걸 보면 지금의 월미관계는 호찌민의 의도가 그의 사후에 실현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친미가 친서방이 아니라는 대표적인 예시로 베트남을 들고 있는데, 베트남은 명실상부한 친미 국가이지만 프랑스 때문에 완전한 친서방 국가는 아니기 (혹은 반서방 국가이기) 때문이다.
2018년 2월 10일에 베트남 정부는 미국산 무기를 구입하겠다고 밝히면서 러시아제 무기 일변도에서 벗어나 다변화를 추진중이다. # 2018년 3월 5일에는 미군의 항공모함 칼 빈슨 호가 베트남 다낭 항에 입항해서 친선 활동을 펼쳤다. 미국 항공모함이 베트남에 입항한 것은 1975년 베트남 전쟁 종전 이후 처음이다.
베트남 전쟁 당시에 고엽제로 오염되었던 다낭 공항의 오염지역이 미국의 지원으로 6년만에 복원되었다. #
미국과 중국은 무역협상을 재개할 예정이지만, 중국내의 미국 제조업체들은 관세를 피하기 위해 중국에서 베트남, 다른나라로 공장을 옮기고 있다. # 그리고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 2019년 11월 20일에 베트남을 방문한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은 베트남측에 쾌속정을 추가제공한다고 밝혔다. #
베트남에서 잡힌 탈북민들을 미국의 도움으로 탈출했다고 한다.. #
미국 정부가 베트남이 환율조작을 했다는 결론을 내리면서 베트남산 수입품에 대한 환율 상계관세 부과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
트럼프 대통령은 쿼드에 베트남의 참가를 권유했다. #
미국의 오스틴 국방장관이 싱가포르에 이어 베트남을 방문했다. #
베트남의 빈패스트 기업이 미국에 배터리공장을 세운다고 밝혔다. #
미국의 마크 내퍼가 베트남에게 남중국해에서 중국 견제를 제안했다. #
미국이 중국의 불법조업을 막기 위해 대만, 베트남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
2022년 12월 15일, 미국 방산업계가 미국제 무기를 베트남으로 수출하는 방안을 두고 논의했다. #
2023년 3월부터 갑자기 응우옌쑤언폭 주석의 비리사건이 터지고 사임과 동시에 친미인사들이 대거 낙마하면서 친미인사 숙청이라는 시각이 나오는 가운데 외교인사에 친중인사들을 꽂아 넣으면서 친중외교로 다시 가는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아직 미국에 대한 외교기조가 바뀐게 아니라서 아직까지는 아무런 영향은 없다.
2023년 9월 10일, 미국과 베트남이 양국 관계를 가장 높은 단계인 '포괄적 전략 동반자'로 격상했다. #
3. 관련 기사
4. 관련 문서
- 미국/외교( 미국-아시아 관계) / 미국-아세안 관계
- 베트남/외교
- 미국/역사
- 베트남/역사
- IPEF
- 미국/경제
- 베트남/경제
- 베트남계 미국인
- 대국관계일람/아메리카 국가/북아메리카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남아시아 국가
[1]
남베트남 총통
응우옌반티에우는 라디오와 TV를 통해 눈물을 흘리며 미국은
자유진영의 지도국이자 동맹국으로서 우리를 도운다고 약속했지만 우리를 버렸다는 식으로 연설을 하며 사임했다.
[2]
실제로 파리 강화 협정 내용 중에는 '남베트남 유사시 미군 파병'이 있었다. 미국이 약속을 어긴 것은 맞다. 앞서 말했 듯 남베트남은 파리 강화 협정을 반대했다가 미국의 회유로 겨우 서명했다.
[3]
사실 다른 정치적 망명 커뮤니티들도 비슷한 경우가 많다. 공산화된 쿠바에서 피난 온 히스패닉(
쿠바계 미국인)들도 강력한 반공 성향으로 유명하며 수시로 쿠바 정권을 비판하는 집회를 연다. 이들은 플로리다의 정치적 보수화에도 한몫 했다. 지금은 거의 없어지긴 했지만 동남아에 있는 화교 중에서도 중화민국을 지지하는 사람들하고 공산당을 지지하는 화교들도 갈등이 있다. 일본에도 민단 계열 교포하고 조총련계열이 있는 거 하고 비슷하다.
[4]
Vietnam May Request F-16s, P-3 Orions From US
[5]
굿모닝 베트남,
플래툰,
풀 메탈 재킷,
지옥의 묵시록,
햄버거 힐
[6]
2015년작인
오언 윌슨 주연 미국 영화 이스케이프(No Escape)에서는 결말에서 주인공 가족이 베트남 국경수비대 덕분에 살아남는다. 사실 베트남인들의 베트남 전쟁에 대한 인식 중에는 반미보다 오히려 반프랑스감정이 더 크다. 식민지배 역사는 제껴두더라도, 상당수의 베트남인들은 프랑스가 시작한 혼돈의 도가니를 미국을 협박해 참전하게 만들었다고 보는 시각도 꽤 크기 때문이다.
[7]
호치민 생전의 미국은 그야말로 공산주의의 ㄱ자만 나와도 심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정도로
반공주의가 극에 달했었다.
[8]
미국이 잠시 TPP에 가입했는데, 트럼프 대통령때 탈퇴하고 베트남만 남았다. 그러다가 미국의 복귀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