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32:01

목포시 시내버스/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목포시 시내버스

1. 개요2. 2007년 대개편 이전
2.1. 2007년 개편2.2. 2016년 개편2.3. 2018~2021년 부분 개편2.4. 2024년 전면 개편

1. 개요

목포시 시내버스의 역사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이다.

2. 2007년 대개편 이전

파일:attachment/uploadfile/OGRY03.jpg
2007년 3월 대개편 이전까지는 공식적인 노선 분류가 없고, 일반 노선과 좌석 노선으로 나뉘었다. 일반노선에는 90년대까지는 광주, 전남 공통의 상아색과 군청색의 도색이 쓰였고, 2000년대 들어 서울에서 사용된 몬드리안 도색의 변형 디자인을 채용하였다.[1] 좌석노선은 흰 바탕에 회색과 붉은 색이 들어간 도색이 사용되었다.[2]

2007년 3월 대개편 때 지간선제가 도입되었는데, 위 그림에서 남서↔북동 축은 기존 노선 1번 2번이 맡고, 북서↔남동 축은 기존 노선 13번과 신설노선 30번이 맡았다. 네 개의 원은 순환 노선을 의미하는데, 내부의 작은 원은 내부 순환을 맡은 7번, 외곽의 큰 원은 외곽 순환을 맡은 15번이 맡았다. 좌측은 원도심 순환을 맡은 3번[3], 우측은 신도심 순환을 맡은 구 50번이 맡았는데, 억지로 만든 노선이다 보니 평화광장의 신선한 공기를 상동으로 실어나르다가 2008년 5월 112번에 재통합되어 현재는 3개의 순환 노선이 운행중이다. 그밖에 노선들은 지선노선과 외곽연계 노선으로 나뉜다. 외곽연계 노선은 다시 일반 노선과 좌석 노선으로 나뉜다.
파일:목포 버스1.jpg 파일:11002 60.png
간선버스 지선버스
파일:3_1067.jpg 파일:1104 200번.png
도심순환버스 좌석버스
파일:목포버스22.jpg 파일:달리도 마을버스 1040호.jpg
낭만버스 섬지역 마을버스
앞서 이야기했듯이 2007년까지는 몬드리안 변형 도색을 썼으나, 2007년 3월 노선대개편 때 환승제와 지간선제가 도입되고 대규모 노선 갈아엎기가 예고되자 기존 도색들이 그러하였듯 역시 서울을 따라 전국적 대세인 지랄염병 버스가 도입되나 했으나 병(B)이 빠진 지랄염 버스가 되었다. 정확히 말하면 간선=Red, 지선=Yellow, 순환=Green, 외곽연계=Orange다. 다른 지방처럼 원색 떡칠이 아니라 윗부분만 떡칠하는 방식을 채용하였는데[4], 노란색을 채용한 지선버스는 공식적으로는 위 사진의 지선도색처럼 재도색하여야 하나, 모든 차량에 도색을 다시하는데 시간이 촉박하여 노란색이 들어간 몬드리안 변형 도색을 재활용하고, 외곽연계버스의 경우 좌석버스는 기존 도색을 유치하고 일반버스는 시간 문제로 도색 변경이 미루어지다 결국 지선버스와 동일한 도색으로 통일되었기에, 간선과 순환버스에만 도색을 새로 하였다. 이 마저도 기한에 맞춰 갑자기 도색하느라고, 정화시설이 없는 야외에서 하느라고 까였다.

외곽연계버스 중 일반버스는 개편 당시 기준으로 108번 119번 밖에 없어서 도색을 미루고 미루다 무산되어 주황색 외곽연계버스 도색은 단 한 번도 실제 차량에 적용된 적이 없다. 이후 노선도에서 지선버스로 적힌걸로 바뀌었다. 그러나 이후 2020년 제작된 일부 노선도에서 다시 외곽연계 표기가 적용되었으며, 이후 108번, 130번이 시계외노선으로 분류되고, 2024년 목포 시내버스 개편 때 모든 노선도에서 외곽연계 표기로 변경되어 외곽연계 일반버스 분류가 다시 생겼다.

2020년대 들어서는 노선 유형과 도색은 거의 지켜지지 않고 있다. 당장 나무위키에 올라온 간선버스인 9번, 순환버스인 15번 문서에 올라온 사진부터 이미 도색이 맞지 않다. 그리고 차돌리기도 일상이다. 목포시도 운수회사에 시정 명령을 할 생각조차 없다. 이후 간선버스인 2번의 경우 유진운수 차량은 지선버스 도색의 차량이 고정으로 투입되었다.

2024년 목포 시내버스 개편 이후로는 더 심각해져서 도색 구분의 의미가 사라졌다. 간선버스인 1번, 2번, 3번에 지선버스 도색의 차량이 고정으로 투입되고, 지선버스인 20번은 순환버스 도색의 차량이 고정으로, 순환버스인 66번과 77번은 각각 지선버스, 좌석버스 도색의 차량이 고정으로 투입되는 중이다.

파일:attachment/uploadfile/OGRY02.jpg
몬드리안 변형 도색을 그대로 재활용한 지선도색 초기형(좌)과 현재의 지선도색(우)

2.1. 2007년 개편

2007년 3월 1일 시행되었으며, 2007년 4월 1일 수정개편이 시행되었다.

현재 목포시 시내버스 노선 체계는 거의 이 때 만들어진 것으로, 적자 노선들을 대거 정리하였고 30번(현 통합 1번)과 60번도 이 때 생겨났다.[5] 이렇게 중요하면서도 대규모의 개편이었음에도 시민들에게 개편 일주일 전에서야 구체적인 개편안을 알려 시청이 담당 부서는 개편 다음날부터[6] 엄청난 민원에 시달렸다. 놀랍게도 이 당시 개편이 목포시 시내버스 최초의 대규모 노선개편으로, 하당신도심이 생겨날 때도 노선 하나하나씩 뜯어 고쳐서 시내버스를 투입했지 대규모로 폐선하거나 신설하지 않았다.

2007년 노선 대개편 초기에는 200번, 600번, 700번 등 무안읍 노선을 제외한 무안군, 영암군, 해남군 등지에서 들어오는 모든 목포역 경유 노선들을 단축하여 2호광장에서 종점으로 바로 들어가도록 바꿨다가 시내에 일보러 나오는 인근 군 지역 노인들의 민원폭탄을 맞이하여 "한 번에 가는 버스가 없으면 환승하면 되잖아요"라며 버텼다.[7]

그러나 한 달만에 백기투항하여 같은 해 4월 외곽노선들을 기존 노선대로 환원하며 흑역사로 남게 되었다. 다만 5번 버스를 계승한 61번은 목포역 경유가 환원되지 않았는데, 다시 이를 계승한 33번도 목포역에 들어가지 않고 있다. 여담으로 108번은 2016년에 다시 칼질을 당해서 목포역을 경유하지 않으며 119번은 노선 자체가 날아갔다. 그리고 다시 칼질을 시도하기에는 배차간격이 30분 이상으로 벌어져 환승을 유도하기도 어려워졌다.

2.2. 2016년 개편

2016년 5월 1일에 개편이 있었다. 목포시 공지사항 1 목포시 공지사항 2 관련 게시물 이 때의 개편을 요약하자면 운행횟수 및 거리 감축을 통한 수익성 개선이 주를 이루는데, 개략적인 변경 내용은 아래와 같다.

2.3. 2018~2021년 부분 개편

파일:mpbus201807.png

2.4. 2024년 전면 개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4년 목포 시내버스 개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4년 2월 26일 시행된 개편이다.


[1] 서울과 다르게 중문 하단도 노란색이었다. [2] 광주 좌석버스 구도색에 하늘색 부분만 회색으로 바꾼 도색이다. [3] 원래 해양대로 가던 노선을 삼학도로 변경하여서 순환노선으로 만들었다. [4] 이렇게 된 데는 버스 개편이 급작스럽게 이루어지면서 차량을 재도색할 시간이 없었기 때문에 기존도색을 최대한 살리는 쪽으로 간 것이다. 실제로 지선에 배정된 차량들은 재도색 없이 기존도색으로 다니고 좌석버스도 재도색하지 않았다. 버스 개편을 불과 일주일 앞두고 개편 노선 홍보 책자를 각 가정에 보냈을 정도로 급하게 밀어붙였다. [5] 개편 초창기만 해도 남악 인구가 적어서 두 노선 모두 한가한 편이었다. 특히 30번은 구도심에서는 지그재그 형태라서 이게 무슨 간선이냐는 말도 있었으나 목포시내 중고생들을 쓸고 다니면서 대접이 달라졌고, 60번은 2007년 개편 이후로 유일하게 꾸준히 증차한 노선으로 최초 30분 간격에서 일부 시간대 20분 간격으로 바뀌었다가 현재는 10분 간격으로 바뀌었다. [6] 당일은 3월 1일이였기 때문에 공휴일이였다. [7] 전술하였다시피 외곽으로 나가는 상당수 노선의 배차간격은 30분~1시간이다. [8] 공식적으로는 폐선이라고 하는데, 노선 목록에서만 빠지고 정류장 노선 안내에 1번 노선 안내칸에 삽입되었을 뿐 운행횟수가 감축된 형태로 실질적으로 노선 자체는 유지되었다. 그리고 한동안 1B번으로 BIS에 뜨다가 다시 1-2번으로 안내한다. [9] 개정안의 가장 큰 화두는 주 52시간 근무제이나, 버스 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사안은 노선버스 업종이 무제한 근로가 허용된 특례업종에서 제외되어 주 68시간(기본40+연장12+휴일16) 이내로 제한되는 점으로 이로 인하여 전국적인 버스기사 부족 현상이 발생한 것이 목포시 또한 피해 갈 수 없게 된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5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5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