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ff><colbgcolor=#303099> 레이 달리오 Raymond Thomas Dalio |
|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출생 | 1949년 8월 8일 ([age(1949-08-08)]세) |
뉴욕 퀸스 | |
신장 | 176cm |
학력 |
롱아일랜드 대학교 (재무학 / B.A.) 하버드 대학교 ( 경영학 / MBA) |
종교 | 천주교 |
직업 | 기업인, 펀드매니저 |
배우자 | 바바라 달리오 |
자녀 | 4남 |
부모 |
마리노 달로리오[1] (부친) 앤 달로리오 (모친) |
재산 | 154억 달러 (2023년 12월 / 포브스) |
[clearfix]
1. 개요
미국 국적의 헤지펀드 매니저.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 설립자이자 전 CEO다.2000년 닷컴버블에서 성공적인 포트폴리오를 꾸렸으며,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발생 시기를 1~2개월 오차로 예측해낸 것으로 유명하다. 또한 달리오가 만든 올웨더 포트폴리오 전략은 금융계와 개인 투자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바 있다. 이로 인해 21세기 금융 업계를 선도하는 인물로 평가받으며, 금융계의 스티브 잡스라는 별명이 있다.
2. 생애
2.1. 학창 시절
1949년 8월 8일, 달리오는 미국 뉴욕 퀸스의 잭슨하이츠 지역에서 태어났다. 부친의 회고록에 따르면, ''어렸을 때 장난치기 좋아하고 공부하기 싫어하는 아이였다."고 한다.1957년, 달리오가 8살 때 가족이 나소 카운티로 이사했다.
1961년, 달리오는 12살 때 월 스트리트 투자자들이 자주 방문하는 골프장에서 캐디로 일했고, 어깨 너머로 월가 사람들의 각종 투자방식이나 정보를 배웠다. 일하면서 우연치 않게 인수합병에 관련된 정보를 들은 달리오는 12세에 그가 캐디하면서 벌었던 돈 300달러를 전부 노스이스트 항공[2] 주식에 투자해 원금의 3배를 벌었다.[3]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달리오는 경제학과 주식거래에 심취해 고등학생 때 이미 수 천달러를 운용하게 되었다.
1971년, 달리오는 나소 카운티 브룩빌의 롱아일랜드 대학교(6개 캠퍼스 중 CW Post)에서 재무학 학사 학위를 땄다. 대학 시절 달리오는 주로 원자재 선물을 거래했다.[4]
2.2. 졸업 이후
1971년, 학사를 따낸 직후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MBA를 시작함과 동시에 뉴욕증권거래소의 말단사원으로 입사했다. 마침 리처드 닉슨이 금본위제도를 폐지한 영향으로 주식시장의 격변을 경험하게 되었다.1972년, 달리오는 이에 친구들과 후일 브리지워터의 모태가 될 모임을 만들어 선물거래를 했지만 경험부족으로 큰 성과를 거두진 못 했다.
1973년, 달리오는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에서 MBA를 받고, Dominick & Dominick LLC에 입사하여 원자재 트레이딩 감독관으로 일했다.
1974년, 달리오는 Shearson Hayden Stone에 입사하여 선물 트레이딩과 중개업무를 맡았다.
2.3. 브리지워터 창업 이후
1975년, 그는 회사에서 선물 트레이딩 경험을 바탕으로 투자회사인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를 그의 아파트에서 설립했다.1981년, 회사의 규모가 커지자 코네티컷 웨스트 포트로 사무실을 이사했다.
2005년, 브리지워터가 세계에서 가장 큰 헤지펀드가 되었다.
2007년에는 무려 1년전에 세계금융위기를 예언했고, 달리오는 경제 위기에 대한 그의 모델을 설명하는 "경제란 기계의 작동 원리,지금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 이해하기 위한 템플릿" 라는 에세이를 출판했다.
2010년 브릿지워터가 올린 수익은 구글, 이베이, 야후!, 아마존닷컴의 수익을 모두 합한 것보다 많았으며 2011년에는 138억 달러를 벌어들이며 조지 소로스를 제치고 헤지펀드 최대의 수익을 올렸다.
2014년, 달리오는 이 해에만 성과금, 주식 및 스톡옵션을 포함하여 11억달러를 벌어들였다.
2017년 10월 기준, 브리지워터는 1,600억달러의 자산[5]을 관리한다.
2019년 1월, 포브스는 이 시점의 달리오의 순자산을 186억달러(한화 약 21조원)로 평가했다.
2022년 10월, 헤지펀드 매니저 은퇴를 선언했다.
3. 출판활동 및 투자철학
- 2007년, How the Economic Machine Works; A Template for Understanding What is Happening Now (경제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PDF 및 유튜브로 무료 공유)
- 2017년, Principles (원칙) (2018년 한국 정발)
- 2018년, A Template for Understanding Big Debt Crises (금융 위기 템플릿) (2020년 한국 정발)
- 2021년, Principles for Dealing with the Changing World Order: Why Nations Succeed and Fail (변화하는 세계 질서) (2022년 한국 정발)
2013년에 2007년 저서를 요약한 유튜브, 2017년 저서 '원칙' 등으로 한국에서도 인지도가 상승하였다.
3.1. 투자철학
달리오는 시스템적 접근 방식으로 유명하다. 포트폴리오의 비중을 시스템화시키는 것.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수십 개의 투자 대상을 찾아서 하나의 동인에 포트가 집중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 예를 들어 유가 관련주로만 포지션을 채우는 게 아니라 자산의 일부는 유가, 일부는 채권 등에 투자한다든가. 이런 다각화를 통해 상관 관계 없는 자산을 보유하면서 리스크 대비 수익 비율을 5배까지 향상시켰다고 한다. 유독 큰 규모의 운용자금에 따른 문제도 다각화를 통해서 어느 정도 상쇄한 것으로 보인다.하지만 상관관계는 변하기 마련인데. 일반적으로 경제 확장기에는 주식 가격도 상승하고 중앙 은행이 인플레를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니까 채권 가격은 떨어지게 된다. 그런데 2008년 금융위기 이후의 미국은 주식 가격은 계속 상승하고, 한동안 아무리 금리를 내려도 디플레이션 가능성이 높으니 채권 가격도 계속 올라갔다. 상관관계가 상황에 따라 변한 것이다. 달리오는 이처럼 이종, 동종 자산 간의 상관관계를 실시간으로 추적해 지속적으로 포지션을 변화시키면서 수익과 리스크를 동시에 관리한다. 이는 투자 업계에서는 Correlation Coefficient Strategy(상관계수 전략)[6]이라고 불린다.
주요 투자 대상은 개별 기업의 주식 등에 포커스를 맞추기보다 거시 경제의 흐름에 투자를 하는 편. 달리오는 다양한 국가의, 수백 년의 경제사를 연구 분석하여 투자에 응용하는 주도면밀함을 보였다.
또한 자신의 재산을 안전하게 자식들에게 물려주기 위해 어떤 경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을 낼수 있는 "올 웨더 포트폴리오 (All Weather Portfolio)" 를 고안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참고
3.2. 2007년, 책 "경제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
2013년 9월, 달리오의 "경제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
2007년 책을 출판하였으나, 2008년 9월 PDF로 전문을 무료 공유하였으며 ( #), 2013년 9월 요약 유튜브도 올렸다.
달리오는 전형적인 글로벌 매크로 전략(Global Macro Strategy)을 투자에 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글로벌 매크로 전략이란 전 세계의 금리, 채권수익률, 채권가격, 주가지수, 환율,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등등 복합적인 것들이 상호작용을 하면서 일종의 경제 사이클을 형성한다는 이론에서 파생된 전략이다. 즉 달리오는 세계 경제는 비슷하게 움직이며, 이 모든 것들은 하나의 신용(부채)주기(Debt Cycle)를 형성한다고 보았다.
즉, 전세계가 금융망으로 연결되고 신용사회에 접어들면서 단순히 현금이 아닌 신용만으로도 거래가 가능하게 되어 소비가 촉진되고 경기가 선순환의 구조를 이어가면 투자가 향상되고 인프라가 커지면서 전반적인 경제의 파이가 커지게 되면서 생산성이 증가하게 되는데 신용으로 세워진 경기는 짧은 신용주기가 막이 내리기 시작할 때 빠른 속도로 무너져 내리기 시작한다. 그 이후에는 이전의 생산성이 증가했던 것을 바탕으로 그만큼 회복력이 빠르다는 이론이다.
신용사회는 신용이 지배하는 사회이다. 신용의 확대는
단기부채 사이클은 보통 5년에서 8년 지속되며 금리를 내리거나 올리면서 사이클을 조절할 수 있다. 단기부채 사이클은 수십 년 동안 반복해서 일어나는데 일반적으로 각 사이클의 저점과 고점은 전 사이클보다 더 높아지게 된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돈을 빌리고 지출을 하려는 본성을 가지고 있어서 부채는 계속 증가하기 때문이다. 부채가 계속 증가하면서 경제가 확장되면 붐이 일어나게 된다. 장기부채 사이클의 상승구간이 된다. 소득은 계속 상승하고, 주식이나 부동산의 자산가치는 계속 증가한다. 부채가 증가하지만 소득증가와 자산가치의 증가로 충분히 부담이 가능하다. 하지만 어느 시점에 다다르면 더 이상 부채의 증가를 감당할 수 없는 순간이 오게 된다. 결국 지출을 줄이고 이는 다른 사람의 소득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자산가치도 떨어져 대출자들은 더욱 신용의 압박을 받게 되고, 은행은 자산가치의 감소와 채권 회수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런 디레버리지[7] 국면에선 이미 금리가 0%에 가깝기 때문에 부양여력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경제주체들의 부채 부담이 너무 커져서 부양정책의 효과가 현저히 낮아버리게 된다. 소득의 감소, 자산가치의 하락으로 은행들은 대출을 주저하게 된다.
이제까지 단기 부채 사이클을 통해 경제의 파이가 커졌기에 신용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이 균열이 가게 되면 필히 장기불황(R)의 공포[8]에 휩싸이게 된다. 장기간 매우 어려운 시기를 거쳐야 되는 시기가 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려면 수십 년간의 누적되 너무 커져버린 부채를 낮춰야 한다. 부채를 줄이는 방법은 크게 4가지로 1) 지출을 감소 2) 부채를 디폴트와 구조조정을 통해 정리 3) 부유층의 부 재분배 4) 중앙은행의 화폐발행이 있다.
1번의 선택지로 부채를 줄인다고 했을 때 지출 감소가 소득 감소를 유발하고 2)채권자들의 자산가치 하락을 유발해 경제 전체의 부채는 감소하지만 소득과 자산가치 감소로 여전히 부채부담율은 오히려 증가하게 된다. 소득감소는 기업규모 감소로 실업률이 증가하며 정부 세수의 감소로 이어진다. 그런데 반대로 실업률 증가 때문에 정부가 지출해야 할 부담은 더욱 커져버리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 예산 적자를 감수하며 경기부양을 추진하게 되고, 세수 감소 상황에서 추가적인 재원조달을 하기 위해선 부유층의 돈이 필요하게 된다. 자연스럽게 부유층에 대한 세금이 올라가며 경제 내 부의 재배분을 촉진하게 된다.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빈곤층은 부유층에 대해 분개하며 세율인상, 자산가치 하락 등으로 압박을 받는 부유층은 빈곤층을 싫어하게 된다. 이는 사회적 긴장으로 이어지며, 국가간 대립으로 확산될 수 있다. 1),2),3)은 모두 디플레 압력을 촉진시키는데 반대로 4)은 유일하게 인플레 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책입안자는 1),2),3)과 더불어 4)의 방법을 적절하고 균형있게 써서 디레버리징 구간을 슬기롭게 이겨나가는게 필요하다고 달리오는 주장한다.
달리오는 디레버리징 구간에 대해서 위와 같은 생각을 가져서인지 최근 경제 상황에 대해서 더욱 강력한 통화정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중앙은행이 긴축에 앞서 인플레이션이 노골적으로 나타날 때까지 오래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중앙은행들의 금리인하, 양적완화 모두가 효과가 없었다고 밝히며 전자화폐 발행을 통해 정부 지출 자금을 직접 조달하거나 가계에 직접 현금을 뿌리기까지 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경제성장률 하락, 디플레이션 구간이 오게 되면 사회갈등의 고조, 심하면 나라들간의 전쟁까지 가능할 수도 있고 불확실성이 너무 커져버려 정책적 대응조차 어려운 상황이 올 수도 있다. 하지만 무제한적인 돈풀기는 결국 다시 부채의 구조적인 증가로 이어질 수 있어서 즉 상처를 근본적으로 치료하는게 아니라 피가 나지 않도록 막기만 하는 미봉책일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3.3. 2012년, 워렌 버핏과의 논쟁
|
2012년 9월, 레이 달리오와 워렌 버핏의 논쟁 |
2012년 9월, 달리오와 버핏이 금을 꼭 보유해야만 하는가? 주제로 논쟁이 있었다. 둘 다 세계를 대표하는 대부이자 펀드매니저이기 때문에 정답은 없다고 느끼지만 투자철학의 차이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달리오는 전형적인 글로벌 매크로(Global Macro) 전략을 이용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반면, 워렌 버핏은 매크로 전략보다는 개별 기업의 성장성을 더욱 중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즉, 그가 주장하는 신용주기 사이클에 따라 장기불황기에 맞아들면 반드시 안전자산의 수요가 올라가므로 금을 꼭 보유해야 한다는 논지이다. 하지만 버핏은 경제가 아무리 불황을 겪는다 하더라도 우량주 및 성장주는 반드시 제 몫을 한다는 뜻을 굽히지 않았다. 영상에서 사회자가 버핏의 의견을 달리오에게 묻자 금을 보유할 필요가 없다는 버핏의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하면서 버핏이 큰 실수를 하고 있다(Buffett is making a big mistake) 고 발언하기도 했다.
3.4. 2017년, 책 "원칙"
해당 책 중 핵심을 요약하여 "성공을 위한 원칙"(Principles for Success)이 출간되기도 했다.3.5. 2018년, 책 "금융위기 템플릿"
3.6. 2021년, 책 "변화하는 세계질서"
|
2022년 3월, 달리오의 "변화하는 세계질서" |
|
2022년 6월, 달리오의 삼프로TV 출연 |
2022년 3월, 달리오는 이전 해 출간한 책 "변화하는 세계질서"의 요약 유튜브를 업로드했다.
- 패권의 조건 - 교육제도, 기술혁신, 수출경쟁력, 경제규모, 국제무역점유율, 군사력, 금융자본경쟁력, 기축통화 보유
- 패권의 주기
- 초기엔 도전국이 없어 평화와 번영이 유지되고, 이 시기 사람들은 트렌드가 계속 되리란 전망에 투자한다.
- 패권국의 국제무역 점유율이 높아지고, 생산성이 향상되지만, 부가 공평히 분배되지 않아 양극화가 일어난다.
- 패권국 화폐가 기축통화가 되어 부채가 늘어나고, 금융시장의 거품이 터져 돈을 더 찍어내야 한다.
- 불경기는 계급갈등을 심화시켜 혁명이든 내전이든 어떤 형태로든 부를 재분배하며 패권국의 힘을 줄여간다.
- 도전국(들)이 등장해 패권국과 전쟁을 일으키고, 새로운 승자들이 새 세계질서를 수립한다.
- 세계 질서가 변화하는 시점에 발생하는 일(딱 현재!)
- 많은 국가들이 금리를 0으로 내리고도 부채를 갚을 돈이 부족해 중앙은행을 통해 돈을 찍어 부채를 소화한다.
- 부와 가치의 격차가 점점 커져 내부 갈등이 심해져 포퓰리즘과 정치양극화(재분배vs기득유지)가 일어난다.
- 패권국과 신흥국이 부딪쳐 외부갈등(전쟁)이 발생하고, 패권이 이동한다.
- 달리오는 중국의 미국 역전을 경고했으나, 중국은 외교적으로 고립되어 있고 군사력도 약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2022년 6월, 달리오가 한국 유튜브채널 삼프로TV 경제의 신과 함께와 위 책 내용에 대해 인터뷰했다.
- 미중전쟁의 절벽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미국은 중-러와의 교역을 점차 악마화할 것이다. 자유로운 경제 속에서 부는 최고의 결과를 내는 사람에게 돌아가지만, 이처럼 정치논리가 국제 자원의 배분을 결정하는 시기가 되어 부득이 정치 책을 쓸 수 밖에 없었다.
- 어떤 나라가 가장 교육과 기술혁신에 힘쓸때 신용이 상승해 부채를 가장 크게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부채가 커지고 돈을 많이 찍어내고, 국가 내 부의 재분배가 약해지며 내부갈등이 일어나고, 도전국가와 충돌이 생기면서 그 나라는 다시 쇠락한다. 이 셋으로 볼때, 미국은 기술혁신, 교육시스템, 기축통화 등 많은 강점이 여전히 있다. 하지만 많은 기술-군사적인 부분에서 중국과 유사해졌고, 국가내부갈등 및 부채는 취약하다.
- 고인플레가 이어질 것이므로 부채자산을 줄여야 한다. 스태그플레이션(고물가 저성장)의 위기에다가, 정치논리로 돈이 오가는 시대에 우리는 안전자산을 묻어둘 투자국가를 골라야 하는데, 재무제표가 건전하고, 사회갈등이 적고, 국제갈등이 적은 중립국 등에 투자해야 한다. 채권은 유동성이 낮고 인플레 시기에 가치가 손실되므로 안전자산으로서 비추천한다.
- 1960-1980 미국이 금태환을 포기할만큼 디폴트를 했던 스태그플레이션 때처럼 사람들이 채권을 던지고 실물자산을 사들이고 있다.
4. 가족관계
달리오는 코네티컷 주 그리니치에서 아내 바버라와 결혼하여 4남을 두었다.- 첫째 데번 달리오는 2020년 자동차 사고로 사망했다.
- 둘째 폴 달리오와 넷째 마크 달리오는 영화 감독이다.
- 셋째 매슈 달리오는 중국 고아들을 돕는 비영리단체인 China Care Foundation의 설립자이자 회장이며, 컴퓨터 운영시스템 회사인 Endless Mobile, Inc.의 공동 설립자이자 CEO를 역임하고 있다.
5. 자선활동
2011년 4월, 그와 그의 아내 바바라는 빌 게이츠와 워렌 버핏의 더 기빙 플레지에 가입하며, 그의 재산 중 절반 이상을 기부하겠다고 약속했다.또한 그가 설립한 달리오 재단(Dalio Foundation)은 다음과 같은 곳들에 기부했다.
- 초월명상[9] 연구를 전문적으로 진행하는 데이비드 린치재단 (David Lynch Foundation)에 기부했다.
- 소아마비 박멸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뉴욕 아동병원 등에 기부했다.
- '예비교사들을 위한 교육'을 지원하는 이니셔티브 교사기금 (Initiative Fund for Teacher)에 기부했다.
6. 수상경력
2011-2012년, 블룸버그에서 선정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50명의 인물로 선정되었다.2012년, 타임지에서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목록에 등재되었다.
2012년, Institutional Investor's Alpha가 집행한 2012 Rich List에서 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2019년 3월, 포브스가 헤지펀드 매니저이자 트레이더로서 가장 높은 명성을 가진 사람으로 선정했다.
7. 논란 및 사건사고
2023년에 출간된 Rob Copeland의 "The Fund"는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와 레이 달리오의 리더십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하며 주목을 받았다. 이 책은 달리오의 "원칙"이 실제로는 직원들끼리 과도한 감시하는 문화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의 투자 아이디어 성공률이 실제로는 동전 던지기와 유사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The Fund" 출간 이후 금융 업계와 언론에서 큰 반향을 일으켜, 뉴욕 타임즈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그 중요성을 인정받았고, 많은 비평가들로부터 레이 달리오의 실상을 폭로한 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실제로 그동안 친분이 있다고 알려진 빌 게이츠를 비롯한 CEO출신 유명 인물들이 달리오의 "원칙"과 관련된 프로젝트에 참여 반대의사를 공개적으로 표명하였다.이 책에서 주장하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투자 전략과 대공황 예측
달리오는 브릿지워터의 설립 초기부터 거의 매년 지속적으로 대공황을 경고했지만, 대부분의 예측은 빗나갔다. 퓨어 알파의 수익 대부분은 이러한 언론플레이가 우연하게 일치했을 때의 신규 자금 유입에 의존했으며, 실제 투자 성과는 주식 시장 수익률보다 낮았다고 책에서 비판하고 있다. 또 그의 초기 성공은 그가 이루어낸 것이 아닌, 당시 미국 재무부보다 더 많은 재산을 소유(!)했던 밴더빌트 가문의 상속녀인 바버라와 결혼하며 시작되었다고 평가했다.
경영철학과 중국
달리오는 투명성과 피드백을 강조하는 "원칙"을 도입했지만, 이는 감시와 통제 수단으로 변질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직원 간 피드백과 문제 기록 시스템은 과도한 부담과 불만을 초래했다. 그는 자신의 원칙 시스템과 중국의 시스템에서 공통점을 발견하고 이에 매료되었다고 책에서 설명하고 있다.
은퇴와 논란
2022년, 달리오는 은퇴를 선언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발전으로 그가 의존해오던 프로그램매매법이 2000년대 이후 대중화되면서, 퓨어 알파의 성과는 더욱 부진해졌다. 이는 회사에 대한 그의 관심이 줄어들고, 언론 플레이에 더 집중하게 만든 주요 원인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실제로 그의 은퇴는 투자보다는 개인 브랜드 관리와 대중적 영향력 확대에 무게를 두는 전환점으로 보인다고 책은 설명하고 있다.
[1]
이탈리아 출신의
재즈 음악가였다.
[2]
1972년에
델타항공에 피인수되었다.
[3]
1961년 당시 미국 어디서나, 심지어 초등학생들도 '주식' 이야기가 가득했다고 한다. 실제 1959~61년에 다우지수가 1962년에 Flash Crash가 있을 정도로 거품이 심했다.
[4]
당시 미국은
베트남 전쟁 참전,
냉전 악화,
닉슨 쇼크,
오일 쇼크 등을 맞으며 건국 이래 최악의 나날을 겪고 있던 격변의 시기였다. 따라서 견고했던 미국의 금융 시장이 흔들리기 시잗했으며, 유동성이
원자재 등을 비롯한
파생상품 시장으로 점점 쏠리고 있었다. 대표적으로
짐 로저스,
조지 소로스 같은 인물이 이러한 시기를 정확하게 캐치해내며 큰 돈을 만지고 유명세를 떨치기 시작한다.
[5]
한화 약 180조 원.
[6]
상관계수가 양의 값을 가지면 같이 움직이는 커플링, 반대로 음의 값을 가지면 디커플링의 관계
[7]
레버리지의 반댓말. 신용미수나 신용거래가 모두 자기 돈 이외의 빌리는 것이므로 레버리지라고 볼 수 있다. 디레버리지는 반대로 레버리지를 낮추는 것
[8]
Fear of Recession>>흔히 장단기금리차의 역전이 일어나면 초입에 접어들었다고 본다
[9]
실제로 그의 저서 '원칙'에 보면 그가 그의 사업을 거의 실패 직전으로 몰고 갔을 때 '초월명상'에 큰 도움을 얻었다고 밝혔다. 그와 그의 아내 바바라도 매우 심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