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22:41:44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1f4387><tablealign=center><tablebgcolor=#1f4387>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1D1D1D,#e2e2e2
파일:NBA 동부 컨퍼런스 로고 화이트.svg 동부
애틀랜틱 파일:보스턴 셀틱스 로고.svg 파일:뉴욕 닉스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심볼.svg 파일:브루클린 네츠 심볼.svg 파일:토론토 랩터스 심볼.svg
센트럴 파일: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로고.svg 파일:시카고 불스 심볼.svg 파일:인디애나 페이서스 심볼.svg 파일:밀워키 벅스 심볼.svg 파일: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심볼.svg
사우스이스트 파일:애틀랜타 호크스 심볼.svg 파일:워싱턴 위저즈 심볼.svg 파일:마이애미 히트 심볼.svg 파일:샬럿 호네츠 로고.svg 파일:올랜도 매직 심볼.svg
파일:NBA 서부 컨퍼런스 로고 화이트.svg 서부
사우스웨스트 파일:샌안토니오 스퍼스 심볼.svg 파일:휴스턴 로키츠 심볼.svg 파일:댈러스 매버릭스 심볼.svg 파일:멤피스 그리즐리스 심볼.svg 파일:뉴올리언스 펠리컨스 심볼.svg
노스웨스트 파일:덴버 너기츠 심볼.svg 파일: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심볼.svg 파일:유타 재즈 심볼.svg 파일:유타 재즈 심볼 다크.svg 파일:미네소타 팀버울브스 심볼.svg 파일:오클라호마시티 썬더 심볼.svg
퍼시픽 파일:새크라멘토 킹스 로고.svg 파일: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심볼.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엠블럼.svg 파일: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심볼.svg 파일:피닉스 선즈 심볼.svg
}}}}}}}}}}}} ||
파일: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로고.svg
<colbgcolor=#1d428a><colcolor=#fff>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Detroit Pistons
창단 1941년([age(1941-01-01)]주년)[1]
NBA 가입 1948년([age(1948-01-01)]주년)
연고지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컨퍼런스 서부 컨퍼런스 (1970~1978)
동부 컨퍼런스 (1978~)
디비전 센트럴 디비전(1950) (1949~1950)
웨스턴 디비전 (1948~1949, 1950~1967)
이스턴 디비전 (1967~1970)
미드웨스트 디비전 (1970~1978)
센트럴 디비전 (1978~)
연고지 변천 포트웨인 (1941~1957)
디트로이트 (1957~)
구단명 변천 포트웨인 졸너 피스톤즈 (1941~1948)
포트웨인 피스톤즈 (1948~1957)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1957~)
홈 경기장 노스사이드 고등학교 체육관 (North Side High School Gym, 1948~1952)
앨런 카운티 워 메모리얼 콜리세움 (Allen County War Memorial Coliseum, 1952~1957)
디트로이트 올림피아 (Detroit Olympia, 1957~1961)[2]
메모리얼 빌딩 (Memorial Building, 1957~1961)
코보 아레나 (Cobo Arena, 1961~1978)
폰티악 실버돔 (Pontiac Silverdome, 1978~1988)[3]
조 루이스 아레나 (Joe Louis Arena, 1985)[4]
더 팰리스 오브 어번 힐스 (The Palace of Auburn Hills, 1988~2017)
리틀 시저스 아레나 (Little Caesars Arena, 2017~)[5]
저지 스폰서 스탁엑스 (StockX)
구단주 톰 고어스 (Tom Gores)[6]
사장 대행 에드 스테판스키 (Ed Stefanski)[7]
단장 트라잔 랭던 (Trajan Langdon)
감독 JB 비커스태프 (J.B. Bickerstaff)
G 리그 제휴 그랜드 래피드 드라이브 (Grand Rapids Drive) [8]
모터시티 크루즈 (Motor City Cruise) [9]
로컬 경기 중계 Bally Sports Detroit
약칭 DET
파일: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로고.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NBA 파이널 우승
(3회)
1989, 1990, 2004
컨퍼런스 우승
(5회)
1988, 1989, 1990, 2004, 2005
디비전 우승
(11회)
1955, 1956, 1988, 1989, 1990, 2002, 2003, 2005, 2006, 2007, 2008
NBL 파이널 우승
(2회 / 최다 우승)
1944, 1945
프랜차이즈 팀 기록
최고 승률 .780 - (2005-06시즌, 82경기 64승 18패)
최저 승률 .171 - (2023-24시즌, 82경기 14승 68패)
최다 승 64승 - (2005-06시즌, 82경기 64승 18패)
최다 패 68패 - (2023-24시즌, 82경기 14승 68패)
최고 계약 $127,171,313 - 2016년 안드레 드러먼드
팀 컬러 / 유니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3,#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팀 컬러
로얄 블루 빨강색 크롬색 검은색 흰색
유니폼
파일:pistons a 2025.webp
파일:pistons i 2025.webp
파일:pistons s 2025.webp
파일:pistons c 2025.webp
Association Icon Statement City
}}}}}}}}}}}} ||
NBA 파이널 우승 연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3,#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89 / 1990 NBA 파이널 우승팀
1988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colbgcolor=#c8102e><colcolor=#fff>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1991
시카고 불스
2004 NBA 파이널 우승팀
2003
샌안토니오 스퍼스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2005
샌안토니오 스퍼스
}}}}}}}}}}}} ||

1. 개요2. 역사3. 역대 성적4. 영구결번5. 현재 선수단6. 여담7. G 리그 산하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디트로이트 피스톤즈의 엠블럼 변천
파일:Ft.-Wayne-Zollner-Pistons-Logo-1941-1947.png 파일:Ft.-Wayne-Pistons-Logo-1948-1957.png 파일: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로고(1957~1975).svg 파일: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로고(1975~1978).svg 파일: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로고(1978~1996).svg
1941/42 ~ 1946/47 1947/48 ~ 1956/57 1957/58 ~ 1974/75 1975/76 ~ 1978/79 1979/80 ~ 1995/96
파일: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로고(1996~2001).svg 파일: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로고(2001~2005).svg 파일: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로고(2005~2017).svg 파일: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로고.svg
1996/97 ~ 2000/01 2001/02 ~ 2004/05 2005/06 ~ 2016/17 2017/18 ~
NBA 동부 컨퍼런스 센트럴 디비전 소속의 프로농구팀. 홈 경기장은 리틀 시저스 아레나[10] NHL 디트로이트 레드윙스와 함께 사용하고 있다.

흔히들 디트로이트가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라 피스톤즈라는 애칭이 붙었다고들 하지만, 사실 이 팀은 1942년에 인디애나 주 포트웨인에서 창단했고, 당시 인디애나 주에서 자동차 피스톤 생산업을 하고 있던 초대 구단주 프레드 졸너(1901~1982)가 그냥 붙인 이름이었다. 나중에 팀이 '모터 시티' 디트로이트로 이전하면서 얼떨결에 더없이 연고지에 어울리는 이름이 되었으니 참 희한한 일.[11]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디트로이트 피스톤즈/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역대 성적

­ 우승
­ 준우승
­ 플레이오프 진출
플레이오프 탈락
연도 정규시즌 순위[12] 플레이오프 컨퍼런스 팀이름 경기수 승률
1948-49[13] 5위/6팀 탈락 서부 디비전 포트웨인 피스톤즈 60 22 38 .367
1949-50 3위/5팀 디비전 파이널 진출 중부 디비전 68 40 28 .588
1950-51 3위/5팀 디비전 세미파이널 진출 서부 디비전 68 32 36 .471
1951-52 4위/5팀 디비전 세미파이널 진출 66 29 37 .439
1952-53 3위/5팀 디비전 파이널 진출 69 36 33 .522
1953-54 3위/4팀 디비전 라운드 로빈 진출 72 40 32 .556
1954-55 1위/4팀 준우승 72 43 29 .597
1955-56 1위/4팀 준우승 72 37 35 .514
1956-57 3위/4팀 디비전 세미파이널 진출 72 34 38 .472
1957-58 2위/4팀 디비전 파이널 진출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72 33 39 .458
1958-59 3위/4팀 디비전 세미파이널 진출 72 28 44 .389
1959-60 2위/4팀 디비전 세미파이널 진출 75 30 45 .400
1960-61 3위/4팀 디비전 세미파이널 진출 79 34 45 .430
1961-62 3위/5팀 디비전 파이널 진출 80 37 43 .463
1962-63 3위/5팀 디비전 세미파이널 진출 80 34 46 .425
1963-64 5위/5팀 탈락 80 23 57 .288
1964-65 4위/5팀 탈락 80 31 49 .388
1965-66 5위/5팀 탈락 80 22 58 .275
1966-67 5위/5팀 탈락 81 30 51 .370
1967-68 4위/6팀 디비전 세미파이널 진출 동부 디비전 82 40 42 .488
1968-69 6위/7팀 탈락 82 32 50 .390
1969-70 7위/7팀 탈락 82 31 51 .378
1970-71[14] 4위/4팀 탈락 서부 컨퍼런스 82 45 37 .549
1971-72 4위/4팀 탈락 82 26 56 .317
1972-73 3위/4팀 탈락 82 40 42 .488
1973-74 3위/4팀 컨퍼런스 세미파이널 진출 82 52 30 .634
1974-75 3위/4팀 1라운드 진출 82 40 42 .488
1975-76 2위/4팀 2라운드 진출 82 36 46 .439
1976-77 2위/6팀 1라운드 진출 82 44 38 .537
1977-78 4위/6팀 탈락 82 38 44 .463
1978-79 4위/6팀 탈락 동부 컨퍼런스 82 30 52 .366
1979-80 6위/6팀 탈락 82 16 66 .195
1980-81 6위/6팀 탈락 82 21 61 .256
1981-82 3위/6팀 탈락 82 39 43 .476
1982-83 3위/6팀 탈락 82 37 45 .451
1983-84 2위/6팀 1라운드 진출 82 49 33 .598
1984-85 2위/6팀 2라운드 진출 82 46 36 .561
1985-86 3위/6팀 1라운드 진출 82 46 36 .561
1986-87 2위/6팀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82 52 30 .634
1987-88 1위/6팀 준우승 82 54 28 .659
1988-89 1위/6팀 우승 82 63 19 .768
1989-90 1위/7팀 우승 82 59 23 .720
1990-91 2위/7팀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82 50 32 .610
1991-92 3위/7팀 1라운드 진출 82 48 34 .585
1992-93 6위/7팀 탈락 82 40 42 .488
1993-94 7위/7팀 탈락 82 20 62 .244
1994-95 7위/7팀 탈락 82 28 54 .341
1995-96 5위/8팀 1라운드 진출 82 46 36 .561
1996-97 3위/8팀 1라운드 진출 82 54 28 .659
1997-98 6위/8팀 탈락 82 37 45 .451
1998-99 3위/8팀 1라운드 진출 50 29 21 .580
1999-00 4위/8팀 1라운드 진출 82 42 40 .512
2000-01 5위/8팀 탈락 82 32 50 .390
2001-02 1위/8팀 2라운드 진출 82 50 32 .610
2002-03 1위/8팀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82 50 32 .610
2003-04 2위/8팀 우승 82 54 28 .659
2004-05 1위/5팀 준우승 82 54 28 .659
2005-06 1위/5팀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82 64 18 .780
2006-07 1위/5팀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82 53 29 .646
2007-08 1위/5팀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 82 59 23 .720
2008-09 3위/5팀 1라운드 진출 82 39 43 .476
2009-10 5위/5팀 탈락 82 27 55 .329
2010-11 4위/5팀 탈락 82 30 52 .366
2011-12 4위/5팀 탈락 66 25 41 .379
2012-13 4위/5팀 탈락 81 29 53 .354
2013-14 4위/5팀 탈락 82 29 53 .354
2014-15 5위/5팀 탈락 82 32 50 .390
2015-16 8위/15팀 1라운드 진출 82 44 38 .537
2016-17 10위/15팀 탈락 82 37 45 .451
2017-18 9위/15팀 탈락 82 39 43 .476
2018-19 8위/15팀 1라운드 진출 82 41 41 .500
2019-20 13위/15팀 탈락 66 20 46 .303
2020-21 15위/15팀 탈락 72 20 52 .278
2021-22 14위/15팀 탈락 82 23 59 .280
2022-23 15위/15팀 탈락 82 17 65 .207
2023-24 15위/15팀 탈락 82 14 68 .171
<rowcolor=#373a3c> NBA 통산 76시즌 V3 5998 2827 3171 .471

4. 영구결번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1d428a> 파일: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로고.svg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영구결번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ccac00> - - No. 1 No. 2 No. 3
<rowcolor=#ffffff> 빌 데이비슨
(Bill Davidson)
잭 매클로스키
(Jack McCloskey)
천시 빌럽스
(Chauncey Billups)
척 데일리
(Chuck Daly)
벤 월러스
(Ben Wallace)
<rowcolor=#ccac00> No. 4 No. 10 No. 11 No. 15 No. 16
<rowcolor=#ffffff> 조 듀마스
(Joe Dumars)
데니스 로드맨
(Dennis Rodman)
아이제아 토마스
(Isiah Thomas)
비니 존슨
(Vinnie Johnson)
밥 레이니어
(Bob Lanier)
<rowcolor=#ccac00> No. 21 No. 32 No. 40
<rowcolor=#ffffff> 데이브 빙
(Dave Bing)
리처드 해밀턴
(Richard Hamilton)
빌 레임비어
(Bill Laimbeer)
}}}}}}}}} ||

윌리엄 데이비슨(William Davidson) : 전 가디언 인더스트리즈 CEO이며, 1974년부터 2009년 사망할 때까지 팀의 구단주로 35년 간 공헌한 것을 기리기 위해 배너를 걸었다. 2005년에는 '윌리엄 데이비슨 재단'을 세워 자선사업도 했다.

잭 매클로스키(Jack McCloskey) : 1979년부터 1992년까지 팀의 단장으로 1980년대 말 두 차례 우승에 기여한 인물로, 2017년 6월 1일 서배너에서 91세로 숨을 거뒀다.

1. 천시 빌럽스(Chauncey Billups) : 배드 보이즈 2기 팀의 리더로 우승 당시 파이널 MVP를 수상한 명 포인트가드.

2. 척 데일리(Chuck Daly) : 배드 보이즈 시절의 감독. 선수들로부터 보스라고 불렸던 인물. 전설의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드림팀의 감독이기도 했다. 2009년 사망했으며, 사망 이후 척 데일리 감독의 딸인 시드니 데일리가 케이드 커닝햄이 이 번호를 사용하는 것을 허락해 주어서 이 번호는 2021년부터 케이드 커닝햄이 달고 뛰게 된다.

3. 벤 월러스(Ben Wallace) : 배드 보이즈 2기 시절때 센터로 활약하며 이름을 날렸으며 올해의 수비수 4회, 올 NBA팀 5회를 비롯해 수차례 올스타에 선정되기까지 한 언드래프티의 전설.

4. 조 듀마스(Joe Dumars) : 배드 보이즈 시절 신사적인 매너로 이름이 높아 타의 추종을 불허했으며, 은퇴 후 단장으로 14년간 재직하며 '배드 보이즈 2기'를 구축해 백투백 우승을 일궈냈으나 후반에는 잘못된 영입으로 세대교체에 실패해 안 좋은 모습을 보여줬다. 모범 선수상 이름은 조 듀마스 어워드다.

6. 빌 러셀(Bill Russell) : 전 구단 영구결번

10. 데니스 로드맨(Dennis Rodman) : 역시 배드 보이즈 시절, 골밑을 책임진 선수. NBA의 대표적인 악동이지만, 이 시절에는 정말 얌전한 순둥이였다나. 국내에서는 슬램덩크에서 강백호의 모티브로 알려져 있다.[15]

11. 아이제아 토마스(Isiah Thomas) : 배드 보이즈를 이끌고, 40년 넘는 암흑의 세월을 끝내고 두 차례 우승을 안겨준 영웅.

15. 비니 존슨(Vinnie Johnson) : 배드 보이즈 시절 식스맨이었는데, 백업임에도 불구하고 훌륭한 득점력을 선보였기때문에 백업치곤 굉장한 인기를 자랑했다.

16. 밥 레이니어(Bob Lanier) : 명예의 전당에도 입성한 한 시대를 풍미한 명 센터. 1970년부터 10년간 약체 디트로이트를 이끌던 인물이다.

21. 데이브 빙(Dave Bing) : 래니어와 마찬가지로 1966년부터 9년 동안 약체 디트로이트를 이끌었던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가드. 은퇴 후 2009~2013년까지 디트로이트 시장으로 재직했다.

32. 리처드 해밀턴(Richard Hamilton) : 배드 보이즈 2기 때 팀의 우승에 공헌 한 선수.

40. 빌 레임비어(Bill Laimbeer) : 반칙의 달인. 배드 보이즈를 가장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인물.[16] 은퇴 후 WNBA 팀 디트로이트 쇼크(현재는 댈러스로 연고이전)의 감독을 맡아 디트로이트에 3번의 우승을 더 가져다 주었다.

5. 현재 선수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d428a><tablebgcolor=#1d428a> 파일: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로고.svg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2024-25 시즌 선수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d428a,#ddd
<colbgcolor=#1d428a><colcolor=#fff> 감독 JB 비커스태프
코치 렉스 칼라미언 · 빌 베이노 · 재럿 잭 · 제롬 알렌 · 댄 버크 · 케빈 벌리슨
가드 2 케이드 커닝햄 · 23 제이든 아이비 · 24 데니스 젠킨스TW · 25 마커스 새서 · 31 알론데스 윌리엄스TW
가드-포워드 5 말릭 비즐리 · 8 팀 하더웨이 주니어 · 9 어사르 탐슨 · 14 웬델 무어 주니어
포워드 00 론 홀랜드 · 12 토바이어스 해리스 · 19 시모네 폰테키오 · 20 콜 스와이더TW · 34 보비 클린트만
포워드-센터 7 폴 리드 · 28 아이재아 스튜어트
센터 0 제일런 듀렌
* TW : 투웨이 계약
다른 NBA 팀 선수단 보기
}}}}}}}}}}}} ||

6. 여담

그런데 퇴장하는 버드를 향해 엄청난 야유와 욕설, 그리고 물건을 던졌다.[18] 그런점에서 가끔은 피스톤즈 팬들이 주변의 공공의 적 포지션을 갖는 것은 당연지사였다

7. G 리그 산하팀

파일:모터시티.png
<colbgcolor=#1d428a><colcolor=#fff> 모터시티 크루즈
Motor City Cruise
창단 2003년([age(2003-01-01)]주년)
G 리그 가입 2006년([age(2006-01-01)]주년)
연고지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구단명 변천 롱비치 잼 (2003~2005)
베이커즈필드 잼 (2006~2016)
노던애리조나 선즈 (2016~2021)
모터시티 크루즈 (2021~)
홈구장 웨인 스테이트 아레나
소유주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감독 자멜 맥밀런 (2023~)
NBA 제휴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리그 우승 ABA : 1회 (2004)
컨퍼런스 우승 NBA G 리그 : 1회 (2013)
디비전 우승 -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tablebordercolor=#00287e><tablewidth=320><tablebgcolor=#00287e>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NFL MLB NBA NHL
파일:디트로이트 라이언스 로고.svg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엠블럼.svg 파일: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로고.svg 파일:디트로이트 레드윙스 로고.svg
디트로이트 라이언스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 ||



[1] NBL 출범함. [2] NHL 디트로이트 레드윙스와 홈구장 공유 [3] NFL 디트로이트 라이언스와 공용 [4] NHL 디트로이트 레드윙스와 홈구장 공유. [5] NHL 디트로이트 레드윙스와 홈구장 공유 [6] 운영사명은 팰리스 스포츠 & 엔터테인먼트이며, 2009년까지 WNBA 팀 디트로이트 쇼크(현 댈러스 윙스)를 소유했다. [7] 아들이 클리블랜드 브라운스의 감독인 케빈 스테판스키이다. [8] 2020~2021시즌까지 제휴함. [9] 2021~2022시즌부터 제휴함. [10] 리틀 시저스는 미국의 유명 피자 프랜차이즈 업체로 디트로이트 타이거즈 디트로이트 레드윙스의 구단주인 일리치 가문이 소유하고 있다. [11] 이와 유사한 케이스로는 휴스턴 로키츠가 있으며 로키츠는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에서 창단되었다가 NASA가 위치한 휴스턴으로 이전했고, 로켓처럼 높이 솟아오르자는 의미에서 붙은 팀명으로 과거 ABA 시절 덴버도 이 팀명을 사용하다가 NBA 합병 이후 휴스턴과의 팀명 중복을 피하기 위해 너기츠로 변경했다. 정반대의 케이스로는 유타 재즈와 LA 레이커스가 있는데 루이지애나 뉴올리언스에서 창단했을 시절엔 재즈의 성지인 음악도시를 상징하는 구단 명이었고, 미네소타 미니애폴리스 시절엔 미네소타 옆에 오대호가 있어서 어울리는 이름이었지만, 각각 유타와 로스앤젤레스로 이전한 이후엔 좀 뜬금없는 이름이 되었다. [12] 디비전 순위가 의미가 없어진 2015-16 시즌부터는 컨퍼런스 순위 기재. [13] 이 시즌까지는 NBA가 아니라 BAA였다. [14] 이 시즌 부터 서부, 동부 컨퍼런스로 구분되었다. [15] 파워포워드, 등번호 10번, 최고 수준의 리바운드, 악동스러운 성격 등 로드맨과 흡사한 면이 상당히 많다. [16] 또 다른 거친 플레이어였던 릭 마혼과는 거의 영혼의 듀오 수준이었는데, 마혼이 강한 힘으로 터프하게 상대를 두들겨패는 스타일이었다면 레임비어는 힘은 별볼일 없었지만 온갖 치사한 짓거리로 상대방을 멕이는 선수였다. (물론 마혼이 치사한 파울을 안 했다는 건 아니다) 그리고 레임비어의 이런 스타일은 데니스 로드맨이 지나칠 정도로 쏙 빼닮게 된다. 사실 로드맨은 결코 코트 위에서 성질을 자주 부리는 선수는 아니었다. 교묘하게 상대를 약올리는게 주특기인 선수 (로드맨을 견제하기 위해 1996 파이널 당시 시애틀 슈퍼소닉스가 내보냈다가 털린 터프가이 프랭크 브릭카우스키가 대표적. 사실 브릭카우스키가 지나치게 거친 플레이를 하긴 했다)이다. 가끔 또라이질 할때 임팩트 (심판 머리로 들이받기, 카메라맨의 거시기 걷어차기)가 심해서 그렇지. [17] 사실 론 아테스트가 워낙 용서못할 짓을 저질러 욕을 싸잡아먹고 있는데 이때 컵을 던진 존 그린의 컵이 그 사태의 시발점이 되버린 것이었다. 물론 이 사태를 일으키고도 오히려 피해자인 척하면서 난입하는 선수들을 향해 디트로이트 팬들도 엄청난 추태를 보였다. 두 남성팬은 코트에 난입해 싸움을 걸다 각각 월드피스, 저메인 오닐에게 맞았으며, 아무 잘못 없는 인디애나 페이서스 레지 밀러를 포함한 다른 선수들, 코치진에게까지 음식과 음료수를 퍼부어댔다. (부상 중이라) 양복을 입고 침착하게 후배들을 말리던 밀러가 맥주와 팝콘을 뒤집어쓰고 조용히 라커룸으로 가는 장면은 안쓰럽기까지 하다. 아테스트나 잭슨처럼 직접 주먹을 휘두른 선수들에게만 퍼부은게 아니라 다른 페이서스 선수들도 혼자 지나갈때조차 마구 퍼부었다. 실제로 당시 해설진은 팬들의 행태도 강하게 비난했다. 이같은 행태 때문에 찰스 바클리는 페이서스 선수들을 옹호하며 "그들은 살기 위해 싸우는 것처럼 보였다"(물론 관객석 난입을 옹호한 건 아니다)라고 묘사하기도 했다. [18] 영상 버드가 터프하고 정신력이 강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침착함을 유지하고 실력으로 박살내고 조롱하는 선수인데 이렇게까지 냉정을 잃은 적은 없어 해설자들도 "버드가 이렇게 화난 건 처음 보네요"라고 놀랄 정도. 여담이지만 이 해설자들은 몰지각한 팬들이 위에 언급된 대로 쓰레기와 잡동사니를 버드를 향해 퍼붓자 "멍청한 팬들(stupid fans)"라고 돌직구를 던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