吾 나 오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口,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7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ゴ
|
||||||
일본어 훈독
|
わ-が, われ
|
||||||
-
|
|||||||
표준 중국어
|
wú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吾는 '나 오'라는 한자로, ' 나'를 뜻하며, 한문에서 1인칭 대명사로 사용된다. 사용 빈도는 我(나 아)와 함께 쌍벽을 이룬다.친하지 않을 어, 땅 이름 아[1]라는 명칭도 존재하나 거의 항상 나 오로 사용된다.
주음부호로는 ㄨˊ라고 쓴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43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MR(一一口)로 입력한다.
음을 나타내는 五(다섯 오)와 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로 이루어진 형성자이며, '나'라는 1인칭 대명사를 나타낸다.
본래 상나라~서주 시대 때는 '나'라는 '1인칭 단수 대명사'를 나타내는 한자는 余 또는 予였으나 , 동주~전국시대부터 吾를 쓰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한(漢)대 때부터는 我를 쓰기 시작하였다.
현재 한자문화권에서 이것을 구어에서 활용하는 경우는 드물다.[2] 일본어의 와가하이[吾(が)輩]가 있긴 하지만 이는 현재 사멸한 표현으로서 사극에서나 쓰인다.[3] 한국에서는 오등(吾等)이라는 표현이 사용된 기미독립선언서와 같은 옛 문헌이 아니면 보기 힘든 글자이며 我 쪽이 비교적 더 알려져 있으니 모르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다만 앞서 언급한 기미독립선언서나 중화민국 국가 등의 문어체에서는 자주 활용된다.
현대중국어에서 吾는 支支吾吾라는 우물쭈물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며 '나'라는 뜻으로는 사극[4] 또는 고전문학수업 때 쓰인다. 일본인 이름을 표기할 때 또는 위구르족이 이름을 음차할 때 쓰이기도 한다. HSK에는 출제되지 않는 한자이다.
이 글자가 '콤'처럼 보일 때가 가끔 있다. 또한, 아날로그 문서의 OCR 인식 오류로 '품'이라는 글자가 제吾(제품), 상吾(상품) 등 吾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도 있다.
3. 용례
3.1. 인명
- 고토게 코요하루(吾 峠 呼 世 晴)
- 곤오( 昆吾): 중국 전설상의 도기(陶器) 제작법 발명가.
- 관이오( 管 夷吾)
- 긴죠 쿠우고( 銀 城 空吾)
- 아즈마 미치나가(吾 妻 道 長)
- 야부키 신고( 矢 吹 真吾)
- 이지: 아호가 탁오(卓吾)이다.
- 장승업: 호가 오원(吾園)이다.
- 진태오( 陳 泰吾)
- 기요우라 게이고( 清 浦 奎吾)
- 우얼카이시 둬라이티(吾 尔 开 希 多 莱 特)
- 히가시노 게이고( 東 野 圭吾)
- 마지마 고로( 真 島吾 朗)
4. 지명
한국의 지명- 금오리(金吾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기면
- 내오리(內吾洞): 경상남도 거창군 주상면
- 노오지동(老吾地洞): 인천광역시 계양구
- 봉오리(峰吾里):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상서면
- 상오안리(上吾安里):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 서오지리(鋤吾芝里):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하남면
- 손오리(孫吾里):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 영오면(永吾面): 경상남도 고성군
- 영오면의 오동리(吾東里)
- 영오면의 오서리(吾西里)
- 오가면(吾可面): 충청남도 예산군
- 오금리(吾今里):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 오금리(吾琴里):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 오남동(吾南洞): 충청남도 서산시
- 오니산리(吾尼山里):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 오덕리(吾德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북면
- 오도동(吾道洞): 경기도 파주시
- 오도리(吾道里):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 경북 성주군 선남면에도 동명의 지명이 있다.
- 오라동(吾羅洞):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오로리(吾老里):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 오사리(吾士里):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 오사리(吾賜里):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 오산리(吾山里):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무주읍
- 오어지(吾魚池):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에 위치한 연못
- 오야리(吾也里): 경상북도 경주시 천북면
- 오조리(吾照里):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 오지리(吾池里):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 오티리(吾峙里): 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
- 오평리(吾坪里):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 오항리(吾項里):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북산면의 소재지이다.
- 하오안리(下吾安里):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읍
- 황오동(皇吾洞): 경상북도 경주시
중국의 지명
- 다오우 산(道吾山): 후난성 창사시 류양(浏阳)현급시에 위치한 산으로 AAA급 국가공인 관광지이다.
- 웨이우얼(维吾尔)
- 이우 현(伊吾县): 신장 위구르 자치구 하미(哈密) 시에 위치한 현
일본의 지명
5. 고사성어
- 부생아신모육오신( 父 生 我 身 母 育吾 身)
- 선악개오사( 善 惡 皆吾 師)
- 오비(체수)삼척(吾 鼻( 涕 水) 三 尺)
- 오설상재(吾 舌 尙 在): 전국시대(중국)의 정치가 장의의 명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