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5 20:38:35

김원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축구선수 김원일에 대한 내용은 김원일(축구선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회원
[분과별 예술 분야]
문학분과: 소설, 시, 아동문학, 평론
미술분과: 건축, 공예, 동양화, 서양화, 서예, 조각, 태피스트리
음악분과: 국악, 바이올린, 성악, 작곡, 지휘, 첼로, 피아노
연극분과: 극작, 무대미술, 연기, 연출
영화분과: 감독, 시나리오, 연기
무용분과: 무용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유종호 전뢰진 안형일 김정옥
김우창 이신자 황영금 임권택
황동규 최종태 이경숙 조흥동
이근배 윤명로 이재숙 최청자
김원일 이종상 서계숙 박정자
서정인 유희영 한명희 김숙자
한말숙 박광진 윤대성
김후란 엄태정 나인용 김지미
김화영 김숙진 나덕성 손숙
김주연 강찬균 신수정 정승희
오세영 최의순 이경숙 김민희
정현종 정상화 김민 박명숙
유안진 윤승중 이영자 손진책
정연희 홍석창 백병동 정지영
김주영 조정현 장혜원 이호재
오정희 김형대 김성길 신영균
신달자 이철주 윤미용 신구
윤흥길 - 정진우 이강백
천양희 - 이만방 안성기
전상국 - 김우진 김긍수
최동호 - - -
권영민 - - -
김광규 - - -
작고 회원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박종화 고희동 박태준 안종화
염상섭 이상범 현제명 이규환
조연현 장발 이주환 유치진
유치환 손재형 김성태 이해랑
서정주 배렴 김동진 오영진
윤백남 김환기 성경린 변기종
오상순 윤효중 김영의 서항석
이헌구 노수현 김원복 이광래
김동리 도상봉 정훈모 김동원
황순원 김인승 이흥렬 박진
김말봉 배길기 임원식 김정환
곽종원 허백련 김생려 이진순
모윤숙 이종우 김세형 조택원
신석초 김은호 이혜구 유한철
박영준 이병규 이상춘 이병일
김광섭 장우성 장사훈 이원경
이은상 김경승 김자경 김천흥
박화성 이순석 김기수 김소동
박목월 오지호 박민종 김충실
백철 김종영 전봉초 차범석
최정희 박영선 김성진 유현목
안수길 박득순 정희석 송범
윤석중 천경자 홍원기 장민호
오영수 이유태 황병덕 김수용
김기진 유영국 정회갑 최금동
임옥인 류경채 김순열 임성남
구상 김원 김순애 이근삼
손소희 김기창 이성천 신봉승
이범선 이종무 황병기 김기영
조병화 김충현 이인영 박현숙
김춘수 이준 백낙호 김문숙
정한모 허건 권오성 강성희
김윤성 박노수 강석희 김지헌
박연희 권옥연 김남윤 임영웅
선우휘 백문기 이규도 이병복
정한숙 문학진 박노경 김기덕
신동집 남관 백성희
강신재 이대원 박조열
박양균 권순형 황정순
한무숙 오승우 송수남
김성한 이광노 김학자
전숙희 윤영자 변장호
홍윤숙 권영우 남궁원
김남조 손동진 오현경
이호철 민경갑
김종길 조수호
김요섭 이수덕
홍성유 서세옥
문덕수 김흥수
이어령 김병기
박두진 한도용
서기원 송영방
조경희 권창륜
성찬경
김윤식
최일남
박완서
이청준
박희진
오탁번
신경림 }}}}}}}}}
김원일의 수상 내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제20회 현대문학상 수상
이제하
(1974)
김원일
바라암
잠시 눕는 풀
(1975)
김문수
(1976)
제16회 동인문학상 수상
오정희
이문열
(1982)
김원일
환멸을 찾아서
(1984)
정소성
(1985)
제14회 이상문학상 수상
김채원
(1989)
김원일
마음의 감옥
(1990)
조성기
(1991)
제2회 황순원문학상 수상
박완서
(2001)
김원일
손풍금
(2002)
박현석
(2003)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자
파일:문화은관.jpg
<colbgcolor=#980000><colcolor=#EDE4D3> 연도 <colbgcolor=#EDE4D3><colcolor=#980000> 2012
이름 김원일
분야 소설가
은관문화훈장(2등급)
}}} ||
<colbgcolor=#786e6f><colcolor=#fff> '''
대한민국의 소설가
김원일
金源一 |Kim Won-il
'''
파일:external/img.segye.com/20160218003364_0.jpg
출생 1942년 3월 15일 ([age(1942-03-15)]세)
경상남도 김해군 진영면
(現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현직 순천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석좌교수
학력 대구농림고등학교 (졸업)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 / 졸업)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 / 학사)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 / 석사[1])
데뷔 『1961ㆍ알제리』 (1966)
최근작 『비단길』 (2016)

1. 개요2. 생애3. 주요 작품
3.1. 장편소설3.2. 단편소설3.3. 연작소설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소설가. 1942년 3월 15일 경상남도 김해군에서 태어났다. 대구농림고등학교, 서라벌예술대학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를 졸업하였다. 1966년 대구 매일신문의 매일문학상에 단편소설 '1961년 알제리아'가, 1967년 '현대문학'의 장편소설 공모에서 '어둠의 축제'가 당선되면서 등단했다. '어둠의 축제'가 당선되었을 당시 심사위원 중 한 사람이 바로 황순원이었는데, 공교롭게도 이후 김원일은 황순원문학상을 수상한다.

2. 생애


1986년 2월 18일 KBS2 < 11시에 만납시다> 인터뷰 영상.

초등학교 3학년 때 6.25 전쟁이 발발했으며, 이때 부친이 월북하면서 연좌제 때문에 고통스러운 가족사를 겪었다. 때문에 6.25 전쟁을 다룬 작품을 많이 썼고 또 작품세계의 주요한 테마로 자리잡고 있다. 단편 『어둠의 혼』, 『미망』, 장편 『노을』, 『 불의 제전』, 『겨울 골짜기』, 『마당 깊은 집』 등이 대표적이다.

2002년에는 『마당 깊은 집』이 느낌표(MBC)의 ‘책책책 책을 읽읍시다!’에 선정되어 인터뷰를 하기도 했는데, 가장 인상 깊은 책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사서삼경이라고 대답하자 당시 MC였던 유재석 김용만이 “저희는 사서삼경을 안 읽어봐서..”라고 반응했다. 그런데 그 말을 들은 김원일은 "에이, 장난치지 마세요"라고 말했고(...) 당황한 두 사람이 진짜로 안 읽어봤다고 해도 "두 분이서 나를 놀리는 것 같아"라고 말하며 믿지 않다가 정말로 안 읽어봤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황당해하며 "두 분 책 좀 읽으세요!"라고 훈계했다. 42년생이신 걸 감안하자

동생인 김원우 역시 소설가이며 형을 보고 소설가가 될 결심을 했다고 한다. 흥미롭게도 김원일이 전쟁과 관련된 가족사를 작품에 많이 담아낸 반면에 김원우는 거의 그러지 않았다.[2]

2009년부터 『김원일 소설전집』이 발간되고 있다.

3. 주요 작품

3.1. 장편소설

3.2. 단편소설

3.3. 연작소설



[1] 석사 학위 논문: 李光洙와 金東仁의 短篇小說 硏究 : 「無明」과 「笞刑」을 中心으로 (1984. 02.) [2] 후일 동생 김원우의 인터뷰에서 형인 김원일이 “어릴적 우리집 얘기 내가 다 써서 미안하다”라고 하며 웃으면서 사과한 적이 있었다는 얘기를 한 적이 있었다. 김원일과 비슷하게 없이 살던 유년기에 대해 자주 작품으로 남긴 작가였으나 김원우의 경우에는 형에 비해 좀더 세태소설적인 작품이 많다 [3] 6.25 전쟁 직후인 1950년대 중반의 대구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며, 1990년 1월 MBC 월화드라마로 리메이크되었다. 제10회 이산문학상 수상작. [4] 원제는 '사랑아 길을 묻는다' [5] 원제는 '가족' [6] 원제는 '그곳에 이르는 먼 길' [7] 제2회 황순원문학상 수상작 [8] 2016년 출간된 소설집의 표제작으로 이 해는 등단 50주년을 맞는 해이기도 했다. [9] '나는 누구인가', '나는 나를 안다', '나는 두려워요', '나는 존재하지 않았다'의 4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0회 이수문학상과 제3회 이무영문학상 수상작. [10] 인혁당 사건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팔공산', '두 동무', '여의남 평전', '청맹과니', '투명한 푸른 얼굴', '임을 위한 진혼곡'의 6편으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