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20:32:30

김은호(화가)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회원
[분과별 예술 분야]
문학분과: 소설, 시, 아동문학, 평론
미술분과: 건축, 공예, 동양화, 서양화, 서예, 조각, 태피스트리
음악분과: 국악, 바이올린, 성악, 작곡, 지휘, 첼로, 피아노
연극분과: 극작, 무대미술, 연기, 연출
영화분과: 감독, 시나리오, 연기
무용분과: 무용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유종호 전뢰진 안형일 김정옥
김우창 이신자 황영금 임권택
황동규 최종태 이경숙 조흥동
이근배 윤명로 이재숙 최청자
김원일 이종상 서계숙 박정자
서정인 유희영 한명희 김숙자
한말숙 박광진 윤대성
김후란 엄태정 나인용 김지미
김화영 김숙진 나덕성 손숙
김주연 강찬균 신수정 정승희
오세영 최의순 이경숙 김민희
정현종 정상화 김민 박명숙
유안진 윤승중 이영자 손진책
정연희 홍석창 백병동 정지영
김주영 조정현 장혜원 이호재
오정희 김형대 김성길 신영균
신달자 이철주 윤미용 신구
윤흥길 - 정진우 이강백
천양희 - 이만방 안성기
전상국 - 김우진 김긍수
최동호 - - -
권영민 - - -
김광규 - - -
작고 회원
문학분과 미술분과 음악분과 연극·영화·
무용분과
박종화 고희동 박태준 안종화
염상섭 이상범 현제명 이규환
조연현 장발 이주환 유치진
유치환 손재형 김성태 이해랑
서정주 배렴 김동진 오영진
윤백남 김환기 성경린 변기종
오상순 윤효중 김영의 서항석
이헌구 노수현 김원복 이광래
김동리 도상봉 정훈모 김동원
황순원 김인승 이흥렬 박진
김말봉 배길기 임원식 김정환
곽종원 허백련 김생려 이진순
모윤숙 이종우 김세형 조택원
신석초 김은호 이혜구 유한철
박영준 이병규 이상춘 이병일
김광섭 장우성 장사훈 이원경
이은상 김경승 김자경 김천흥
박화성 이순석 김기수 김소동
박목월 오지호 박민종 김충실
백철 김종영 전봉초 차범석
최정희 박영선 김성진 유현목
안수길 박득순 정희석 송범
윤석중 천경자 홍원기 장민호
오영수 이유태 황병덕 김수용
김기진 유영국 정회갑 최금동
임옥인 류경채 김순열 임성남
구상 김원 김순애 이근삼
손소희 김기창 이성천 신봉승
이범선 이종무 황병기 김기영
조병화 김충현 이인영 박현숙
김춘수 이준 백낙호 김문숙
정한모 허건 권오성 강성희
김윤성 박노수 강석희 김지헌
박연희 권옥연 김남윤 임영웅
선우휘 백문기 이규도 이병복
정한숙 문학진 박노경 김기덕
신동집 남관 백성희
강신재 이대원 박조열
박양균 권순형 황정순
한무숙 오승우 송수남
김성한 이광노 김학자
전숙희 윤영자 변장호
홍윤숙 권영우 남궁원
김남조 손동진 오현경
이호철 민경갑
김종길 조수호
김요섭 이수덕
홍성유 서세옥
문덕수 김흥수
이어령 김병기
박두진 한도용
서기원 송영방
조경희 권창륜
성찬경
김윤식
최일남
박완서
이청준
박희진
오탁번
신경림 }}}}}}}}}
<colbgcolor=#000><colcolor=#fff> 김은호
金殷鎬
파일:external/www.cinecafe.kr/26864b4cb6793b22ae0e6667bf0bbc74.jpg
아명 김양은(金良殷)
아호 이당(以堂)
창씨명 츠루야마 마사타카(鶴山殷鎬)
출생 1892년 6월 24일
경기도 인천부 부내면 학산리
(現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
사망 1979년 2월 7일[1] (향년 86세)
서울특별시
본관 상산 김씨
비고 친일파 708인 명단 등재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등재
친일인명사전 등재

1. 개요2. 생애3. 특징4. 작품5. 여담

[clearfix]

1. 개요

구한말 최후의 어진 화사를 지낸 화가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

2. 생애

고종 29년(1892) 6월 24일 경기도 인천부 부내면 학산리에서 태어났다. 원래는 측량을 공부했으나, 이왕직에서 운영하던 미술학교에서 미술을 배웠고, 결국 이왕직(조선 왕실)에서 일하게 되었다. 최후의 어진을 그렸다는 말도 이왕직 시기 순종의 어진과 세조 어진 이모본을 그린 것이다. 김은호가 어용화사로 발탁되었을 때 경술국적 윤덕영의 관복을 빌려 입고 궁중에 출입할 정도였다고...

1919년 3.1 운동에 참여하여 독립신문을 배포하다가 6개월간 감옥에 투옥되기도 했으나, 일본에서 미술 공부를 하였다. 창씨개명을 하여 츠루야마 마사타카(鶴山殷鎬)라는 이름을 지었다. '츠루야마'라는 성은 아마도 고향 학산리에서 따왔을 것이다.
파일:gmchabongnab.jpg
金殷鎬(김은호) 畵伯(화백)의 力作(역작) 金釵献納(금차헌납)[2] 完成(완성)
二十日 금차회의 간부로부터 南總督( 남총독)에게 進呈(진정)[3]

그의 친일 행적 중에서 〈금차봉납도〉가 가장 유명하다. 국방헌금 조달과 황군 원호에 앞장서기 위해 귀족이나 관료 부인 등이 주축을 이룬 여성단체 애국금차회가 결성식 날, 조선군 사령부 후카자와 중장에게 금비녀 11개, 금반지와 금기지개 각각 2개 , 은비녀 1개, 현금 889원 90전을 헌납하였다.〈금차봉납도〉는 이 광경을 기념하기 위하여 김은호가 두 달 동안 노력한 역작인데, 김복수[4]와 애국금차회 간부들이 총독 미나미 지로에게 증정했다. 총독부는 〈금차봉납도〉를 엽서로 인쇄하여 황군위문대에 보내기도 하고 원본은 총독부 건물 내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는 공간에 걸어두었다. 이 사실은 당시 기사(『매일신보』, 1937년 11월 21일자)에 실렸다.

광복 후에는 국전 추천작가 및 심사위원을 맡는 등 국내 미술계에서 상당한 위치에 있었다. 이 때문에 그의 제자이자 역시 친일활동을 한 김기창이 김은호의 뒤를 이은 것과 더해져서 상당기간 친일행적을 쉬쉬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1952년에는 엘리자베스 2세의 즉위를 기념해 초상화를 그렸고, 이는 대관식 때 여왕에게 전달되었다. 그러니까 조선의 마지막 어진화사가 그린 어진의 주인공이 2022년까지 왕위에 있었다.

3. 특징

전통 화법에 일본 사생주의와 양화법의 화풍을 흡수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미인승무도>, <간성>, < 세조 어진>, <원종 어진>, <순종 어진>, < 논개>, <신사임당>, <자화상>, < 율곡 이이>, < 최제우>, < 최시형>, < 송병준>, < 윤덕영>, < 영선군 이준용>, <흥영군 이우 공>, <매란방>, <충무공 이순신>, < 성춘향>, < 예수>, < 엘리자베스 2세> 등이 있다.

4. 작품

5. 여담



[1] 제적등본상 출생일과 사망일. 출처는 대통령소속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가 펴낸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보고서 4부 3권 735~736쪽. [2] 금비녀(금차, 금채)를 헌납하는 것을 말한다. 신문에서는 '금차헌납'이라고 나오는데, '금차봉납'이나 '금차헌납'이나 뜻은 같다. [3] 나아가서 드린다는 뜻. [4] 친일파 윤덕영의 부인이다. 애국금차회의 회장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