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22:19:34

김상식

김상식(축구)에서 넘어옴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김상식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에 대한 내용은 김상식(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김상식호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2395>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svg 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로스
아와

파일:Guam_national_football_team.png
빈센초 A.
안네세

파일:All_Nepal_Football_Association_crest.png
개리
화이트

파일:Chinese_Taipei_FA.png
공석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시몬
엘리세체

파일:attachment/timoreast.png
밀로스
벨레비트

파일:Laos_FA.png
미오드라그
라둘로비치

파일:레바논 대표팀 로고.png
라자루
올리베이라

파일:attachment/macau.png
김판곤

파일: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알리
수자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ootball_Association_of_Maldives.png
오츠카
이치로

파일:Mongolia_FA.png
미하엘
파이히텐바이너

파일:Myanmar_national_football_team_2024.svg
드라간
탈라지치

파일:바레인 대표팀 로고.png
하비에르
카브레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1px-Bangladesh_Football_Federation.svg.png
김상식

파일: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김태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hutan_FA.png
공석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신영남

파일: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마리오
리베라

파일:Brunei_FA_logo.png
로베르토
만치니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앤디
모리슨

파일:Sri_Lanka_2021.png
공석

파일:시리아 축협 로고.png
오구라
츠토무

파일:attachment/singapore.png
파울루
벤투

파일: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24~).png
애슐리
웨스트우드

파일:Afghanist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미로슬라프
수쿠프

파일:예멘 대표팀 로고.png
야로슬라프
실하비

파일:ofa logo.png
후세인
아무타

파일:요르단 대표팀 로고.png
스레츠코
카타네츠

파일:UFA logo.png
헤수스
카사스

파일:Iraq_National_Team_Badge.png
아미르
갈레노에이

파일: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이고르
슈티마츠

파일:인도 대표팀 로고.png
신태용

파일: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모리야스
하지메

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브란코
이반코비치

파일: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틴틴
마르케스

파일:카타르 축구 협회 로고.svg
펠릭스
달마스

파일:attachment/Cambodia.png
후이
벤투

파일:Kuwait_FA.png
막심
리시친

파일:키르기스스탄 축구 연합 로고.png
겔라
셰킬라제

파일:Tajikistan_FA.png
이시이
마사타다

파일:Thailand FAT 2018.png
메르겐
오라조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대표팀 로고.png
스티븐
콘스탄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ew2008_PFFlogo.png
마크람
다부브

파일:팔레스타인 대표팀 로고.png

생피에트

파일: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그레이엄
아놀드

파일:호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볼프강
루이저

파일:홍콩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아시아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북중미카리브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미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오세아니아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김상식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김상식의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파일: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24대
클럽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6대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0,#fff> 파일:성남 FC 엠블럼.svg 성남 FC
역대 주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김용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1990)
하성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1~1993)
이종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3~1994)
고정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1996)
박광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1998)
<rowcolor=#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신태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4)
김도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김영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김상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08)
김정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rowcolor=#fff>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장학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사샤 파일:호주 국기.svg
(2010~2012)
김성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박진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현영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rowcolor=#fff>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박진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김두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6)
배승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
서보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21)
권순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rowcolor=#fff>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심동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조성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정승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
}}}}}}}}} ||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svg
전북 현대 모터스 역대 주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9d800> 초대 2대 3대 4대 5대
이경춘
(1995~1998)
최진철
(1999~2000)
김도훈
(2001)
최진철
(2002~2005)
김현수
(2005~2007)
<rowcolor=#f9d800> 6대 7대 8대 9대 10대
정경호
(2008)
김상식
(2009~2010)
조성환
(2011~2012)
이동국
(2013~2015)
권순태
(2016)
<rowcolor=#f9d800> 11대 12대 13대 14대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워드마크.svg
신형민
(2017~2018)
이동국
(2019~2020)
홍정호
(2021~2023)
김진수
(2024~ )
}}}}}}}}}}}} ||

}}} ||
김상식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K리그1 로고.svg
파일:대한축구협회 로고.svg
베스트팀
파일:K리그1 로고.svg
}}} ||
}}} ||
Đội tuyển bóng đá quốc gia Việt Nam
파일:김상식 베트남 대표팀 포스터.jpg
<colbgcolor=#b50017><colcolor=#ffffff> 이름 김상식
金相植 | Kim Sang-sik
[1]
출생 1976년 12월 17일 ([age(1976-12-17)]세)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2]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84cm, 72kg
프로 입단 1999년 천안 일화 천마[3]
직업 축구 선수 ( 수비형 미드필더, 센터백 / 은퇴)[4]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b50017><colcolor=#fff> 선수 천안-성남 일화 천마 (1999~2008)
광주 상무 불사조 (2003~2004 / 군 복무)
전북 현대 모터스 (2009~2013)
감독 전북 현대 모터스 (2013 / 플레잉 코치)
전북 현대 모터스 (2014~2020 / 수석 코치)
전북 현대 모터스 (2021~2023)[5]
베트남 대표팀 (2024~ )
베트남 U-23 대표팀 (2024~ )
국가대표 59경기 2골 ( 대한민국 / 2000~201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정보 더 보기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50017><colcolor=#fff> 학력 구포초등학교 (졸업)
덕천중학교 (졸업)
경남공업고등학교 (졸업)
대구대학교 인문대학 (체육학 95 / 학사)
용인대학교 대학원 (체육학 / 석사)[6]
등번호 4[7], 14[8], 16[9], 18[10], 24[11]
서명 파일:김상식서명.png
}}}}}}}}}}}} ||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수상
4.1. 선수
4.1.1. 대회 기록4.1.2. 개인 수상
4.2. 감독
4.2.1. 대회 기록4.2.2. 개인 수상
5. 논란 및 사건 사고6. 여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축구인. 現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선수 시절 성남 일화 천마 전북 현대 모터스에서 활동하며 이동국과 함께 성남과 전북의 왕조를 이끌었으며, 오랜시간 선수와 코치를 거쳐 2021년, 전북 현대 모터스 감독을 맡아 부임 첫 해부터 구단을 리그 우승으로 이끌며 전북 현대 모터스 소속으로 선수와 코치, 감독으로서 모두 리그 우승을 경험한 최초의 인물이다.[12]

하지만 성과 외적인 경기력, 전술, 지도력 등에 있어서 끝내 팬들에게 신뢰를 주지 못한 끝에 2023 시즌 중반 사임했으며, 선수 시절 전북 팬들에게 받아왔던 신뢰와 사랑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한동안 야인으로 지내다 2024년 5월 3일부로 베트남 축구 대표팀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2.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상식/선수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지도자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상식/지도자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수상

4.1. 선수

4.1.1. 대회 기록

4.1.2. 개인 수상

4.2. 감독

4.2.1. 대회 기록

4.2.2. 개인 수상

5.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상식(축구)/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여담

7. 둘러보기

1 이운재
C
· 2 김영철 · 3 김동진 · 4 최진철 · 5 김남일 · 6 김진규 · 7 박지성 · 8 김두현
9 안정환 · 10 박주영 · 11 설기현 · 12 이영표 · 13 이을용 · 14 이천수 · 15 백지훈 · 16 정경호
17 이호 · 18 김상식 · 19 조재진 · 20 김용대 · 21 김영광 · 22 송종국 · 23 조원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딕 아드보카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핌 베어벡
스태프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압신 고트비 ·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홍명보 ·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정기동



1 이운재
C
· 2 송종국 · 3 김진규 · 4 김동진 · 6 이호 · 7 최성국 · 8 김두현 · 9 조재진
10 이천수 · 11 이근호 · 12 이동국 · 13 김치곤 · 14 김상식 · 15 김치우 · 16 오범석 · 17 김정우
18 우성용 · 19 염기훈 · 20 손대호 · 21 김용대 · 22 강민수 · 23 정성룡 · 27 오장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핌 베어벡
코치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압신 고트비 ·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홍명보 · 파일:브라질 국기.svg 코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20세기 인물이므로 베트남식으로 Kim Trường Trồng이라 표기하지 않는다. [2] 성장은 부산광역시에서 했다. [3] 1999년 드래프트 4순위 [4] K리그 458경기 19골 17도움. 은퇴 시점 기준 K리그 역대 최다 출장 7위. [5] 2023 시즌 도중 자진 사임. [6] 석사 학위 논문: 대학 축구선수의 학교생활태도와 운동스트레스와의 관계(2008. 2) [7] 전북 현대 모터스 [8] 성남 일화 천마, 광주 상무 불사조, 2005 동아시아축구선수권대회, 2007 AFC 아시안컵 아세안 [9] 2000 AFC 아시안컵 레바논, 2000 시드니 올림픽 [10] 2006 독일 월드컵 [11] 2002 CONCACAF 골드컵 미국 [12] 선수, 코치, 감독으로 모두 우승 경험자로는 FC 서울 시절 최용수 감독에 이어 2호다. 또한 1983년 할렐루야의 함흥철 감독, 1987년 대우의 이차만 감독 이후 한국 지도자로는 역대 세 번째로 감독 부임 첫 해 우승을 차지한 기록도 남겼다. [13] 전북 홈페이지 프로필이 등록된 '축구를 하게 된 동기'가 '배드민턴 부에 있었는데 라켓을 안줘서.^^'다. # 다만 라켓을 지급하지 않은 것은 라켓이 모자라서가 아니라 라켓을 잡기 전에 기본기부터 다지라는 배드민턴 부의 내부 방침이었다고 한다. # [14] 예를 들면 당시 맨유에서 뛰던 박지성에게 싸이월드글로 "지성아. 퍼거슨 감독님한테 괜찮은 수비형 미드필더 있다고 얘기 좀 해봐"라고 장난식으로 썼다거 생각하면 된다. [15] 이현도와 친해서 현역시절 클럽에서 같이 논적이 있는데 김상식의 현란한 춤에 감탄해서 "상식아. 진지하게 얘기할게. 나한테 레슨비 3억만 줘라. 바로 너 1~2년 빡세게 트레이닝 시켜서 스타만들어준다" 이랬었다. [16] 위에 배드민턴 기사에 언급되어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