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0 01:52:25

혁신관료

기술 파시즘에서 넘어옴
파일:파스케스(가로).svg
파시즘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념 국가주의( 국가자본주의일부) · 군국주의 · 권위주의( 전체주의) · 내셔널리즘( 국수주의 · 민족주의) · 대중주의 · 미래주의일부 · 반공주의 · 반자유주의 · 반자본주의일부 · 반제국주의일부 · 반민주주의 · 영웅주의 · 제3의 위치 · 제국주의일부 · 협동조합주의
요소 개인숭배( 지도자원리) · 경제적 개입주의( 군사 케인스주의 · 지도주의) · 계급협조 · 남성성 · 민족다원주의일부 · 반(反)인텔리 · 우생학( 사회진화론) · 쇼비니즘 · 우익사회주의 · 음모주의 · 일당독재 · 재생적 국수주의 · 전쟁* · 팽창주의일부( 실지회복주의) · 프로파간다 · 혁명( 보수혁명 · 혁명적 내셔널리즘)
분파 교권 파시즘 · 국민생디칼리슴 · 군단주의 · 나치즘( 네오나치즘) · 네오파시즘 · 대안 우파파일:모호 아이콘.svg · 러시아 파시즘( 유라시아주의) · 렉시즘 · 메탁사스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영국 파시즘 · 오스트리아 파시즘 · 원류 파시즘 · 이탈리아 파시즘 · 일민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장제스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트럼프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좌익 파시즘( 슈트라서주의 · 민족 볼셰비즘) · 천황제 파시즘파일:모호 아이콘.svg · 팔랑헤주의( 프랑코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 프랑스 파시즘 · 민족 아나키즘 · 에코파시즘 · 유사 파시즘파일:모호 아이콘.svg
정당/조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오스트리아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 국가 파시스트당( 공화 파시스트당 · 민주 파시스트당 · 이탈리아 사회운동) · 독일노동전선 · 국민급진기지 ·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 · 철위대 · 라푸아 운동 · 슬로바키아 인민당 · 산마리노 파시스트당 · 영국 파시스트당 · 우스타샤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 국민대중행동파일:모호 아이콘.svg · 스웨덴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 그리스 민족사회당 · 노르웨이 국민연합 · 대정익찬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동방회 · 러시아 파시스트당 · 렉스당 · 미국 은색군단 · 사쿠라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불가리아 국민군단연합 · 불의 십자단 · 브라질 통합주의 행동 · 시리아 사회민족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영국 파시스트 연합 · 오제바브란트바흐 · 유고슬라비아 국민운동 · 육군전우협회 · 조국전선 · 칠레 국가사회주의 운동 · 캐나다 파시스트 연합 · 팔랑헤,( 통합 팔랑헤파일:모호 아이콘.svg ), · 페르콩크루스츠 · 프랑키스트 운동 · 프랑스 인민당 · 화살십자당 · 국민조합주의자 · 국민정당 우리의 슬로바키아 · 그레이 울프 · 독일 사회주의국가당 · 민족 볼셰비키당· 소련 자유민주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러시아 자유민주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 조국당 · 조선민족청년단파일:모호 아이콘.svg · 황금새벽당 · 국민공동통치연합 · 혁신관료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르헨티나 파시스트당 · 네덜란드 국가연대주의 연합
국제 조직 추축국 · 1934년 몽트뢰 파시스트 회의
군사 조직 추축군 · 친위대 · 돌격대 · 히틀러유겐트 · 아인자츠그루펜 · 검은 셔츠단 · 오스트리아 친위대 · 보국단· 우스타샤 민병대 · 미국 은색군단 · 마카필리파일:모호 아이콘.svg · 발리 콤페타르파일:모호 아이콘.svg · 반볼셰비키 프랑스 의용군단 · 강철늑대 · 황도파 · 남의사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조우 연대파일:모호 아이콘.svg · 레히
인물 아돌프 히틀러 · 에리히 루덴도르프 · 베니토 무솔리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테 파벨리치 · 오스왈드 모슬리 ·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 호세 안토니오 프리모 데 리베라 ·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 · 비드쿤 크비슬링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엥겔베르트 돌푸스 · 쿠르트 슈슈니크 · 안톤 뮈세르트 · 레옹 드그렐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카를 하우스호퍼 · 카를 슈미트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율리우스 에볼라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오스발트 슈펭글러 · 에른스트 윙어 · 기타 잇키파일:모호 아이콘.svg · 오카와 슈메이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호상파일:모호 아이콘.svg · 이범석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브라함 슈테른 · 장제스파일:모호 아이콘.svg · 다이리파일:모호 아이콘.svg · 호리아 시마 · 미시마 유키오파일:모호 아이콘.svg · 줄리아노 고치 · 마르셀 뷔카르 · 자크 도리오 · 프랑수아 드 라 로크파일:모호 아이콘.svg · 콘스탄틴 로자예프스키 · 플리누 사우가두 · 이오인 오더피 · 조반니 젠틸레 · 알렉산드르 두긴파일:모호 아이콘.svg · 윌리엄 루터 피어스 · 윌리엄 더들리 펠리 · 찰스 코글린 · 아나스타시 본샤츠키· 도미니코 레치시 · 마커스 가비
국가 나치 독일 · 파시스트 이탈리아** · 스페인국파일:모호 아이콘.svg · 크로아티아 독립국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국민군단국가 · 노르웨이 국민 정부 · 오스트리아 연방국 ·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산마리노 공화국 · 일본 제국파일:모호 아이콘.svg · 국민군단연합 불가리아
기타 크립토 파시즘 · 탈파시즘 · 파스케스 · 파시스트 페미니즘 · 백색 테러 · 멸칭으로서의 파시즘( 적색 파시즘)
* 모든 파시스트들이 전쟁을 옹호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탈리아 파시즘이나 나치즘 등 전간기의 주요 파시스트들은 '전쟁'을 이데올로기적인 수단으로 여겼다. }}}}}}}}}

1. 개요2. 역사3. 주요 인물 명단4. 같이 보기5. 출처

1. 개요

혁신관료(革新官僚, Reform bureaucrats)는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만주국에서 활동한 일본의 국수주의적, 호전적 관료들을 의미한다.

당시 만주국은 통제파, 신흥재벌, 혁신관료간 정경관 유착이 되어 있었으며 테크노 파시즘(techno-fascism)을 지향했다. 이들은 통제파 내의 이상주의자들과 연관되어 있었다.[1] 쇼와 시대 초국가주의 운동 전반에 대해서는 파시즘인지 아닌지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 혁신관료는 파시즘으로 보는 관점이 많다.

2. 역사

만주국 이전 메이지 시대에 법대를 졸업하여 법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관료 자리에 오른 전통적이고 형식주의적인 관료 그룹과 달리 현장에서 관리직으로 경험을 쌓았던 이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혁신관료들 중 많은 이들이 젊은 시절 마르크스주의자였고 소련 계획경제 지지자들도 꽤 있었음에도 만주국 시절 혁신관료들은 일본군 군부가 주도하는 팽창주의 전쟁 내셔널리즘, 그리고 파시즘의 열렬한 찬양자[2]가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혁신관료들은 대동아공영권의 이상을 실현시키려고 했는데 이오시프 스탈린 시대 소련의 급진적인 경제개발 계획과 빠른 산업화 경험에 감명을 받아서 만주국에서 유사한 국가주도의 경제개발을 추진하면서 실무경험을 축적하였고 2차대전 패전 이후는 일본의 핵심관료그룹으로 자리잡고 외양은 자본주의 시장경제지만 사실상 중앙정부가 기업집단을 통제하면서 호송선단식으로 이끌고 나가는 '일본주식회사' 지도주의 모델로 초고도성장을 이루었다. 통상산업성 등 일본의 고도성장을 이끄는 경제관료들의 이미지는 이 때부터 만들어진 것이다.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의 총력전과 전쟁범죄에도 기여했으며 전쟁 이후에는 일본의 핵심관료집단으로 자리잡았다. 대표적인 인물이 기시 노부스케다.

박정희의 경제정책도 혁신관료에게 큰 영향을 받은바 있다. 자세한 내용은 <만주 모던>, <만철 조사부> 참고

3. 주요 인물 명단

4. 같이 보기

5. 출처


[1] 통제파 자체는 황도파와 달리 전부가 파시즘이 아니지만 통제파 내부에도 서구식 파시즘에 영향받은 이들이 있었다. [2] 소위 일본이라는 나라가 과학적 합리주의에 기반해 단일 유기체처럼 단단히 움직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3] 오카다 게이스케 前 총리의 조카로, 궁성사건 당시 내각서기관장이었다. [A] 이 3명을 묶어서 대장성 삼인방(大蔵省三羽烏)이라고 불렀으며, 3명 모두 대장대신을 역임했다. [A] [A] [7] 고무라 마사히코의 아버지. [8] 요시다 시게루 前 총리와 동명이인으로, 요나이 내각에서 후생대신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