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31 06:14:41

금령총


파일:hEgtBOyW_400x400_nobg.png 경주시의 관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F5765> 경주 시내 경주읍성 동궁과 월지 국립경주박물관( 성덕대왕신종) 첨성대& 동부 사적지대, ‧ 대릉원( 천마총, 황남대총) ‧ 노서 ‧ 노동동 고분군( 봉황대, 금관총, 서봉총, 호우총), ‧ 경주 월성 분황사 월정교 일정교 황룡사지 황리단길 ‧ 경리단길 ‧ 계림 ‧ 교촌마을 ‧ 최씨고택 ‧ 금장대
북부 유교문화권 양동마을 옥산서원 ‧ 운곡서원
송화산 김유신장군묘 태종무열왕릉 ‧ 서악동 고분군
소금강산 백률사 소금강산 탈해왕릉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남산 남산 나정 망덕사지 배동 삼릉 오릉 포석정 서출지 배동 삼릉 용장사곡 삼층석탑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 ‧ 지암곡삼층석탑 ‧ 탑곡마애조상군 ‧ 신선암마애보살반가상 ‧ 미륵곡석불좌상
낭산 사천왕사지 선덕여왕릉 ‧ 능지탑지 ‧ 최지원 독서당 ‧ 황복사지 3층석탑
토함산 토함산 불국사( 다보탑, 석가탑) 석굴암 원성왕릉(괘릉) ‧ 토함산자연휴양림
배반동 효공왕릉 수오재
동해안 감은사지‧ 봉길대왕암해변‧ 문무대왕릉 이견대 경주 양남 주상절리 ‧ 나정고운모래해변 ‧ 오류고아라해변
보문관광단지 보문관광단지 경주월드( 캘리포니아 비치) ‧ 신라밀레니엄파크 경주세계문화엑스포( 경주타워, 중도타워, 솔거미술관) ‧ 강동리조트 강동워터파크 경주화백컨벤션센터 (HICO)‧ 명활성 보문호반길 ‧ 경주동궁원 ‧ 경주버드파크 ‧ 힐튼호텔 경주
교통 경주역 경주고속버스터미널 경주시외버스터미널
기타 골굴사 기림사 ‧ 화랑의 언덕 ‧ 흥덕왕릉 진덕여왕릉 진평왕릉 ‧ 장항리 사지
※ 관광객들이 명소로 많이 찾는 곳은 밑줄 표시.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21e1f,#fff>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221e1f,#fff>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 남산 일원 |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 |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 불곡 마애여래좌상 |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 칠불암 마애불상군 |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 배동 삼릉 | 일성왕릉 | 정강왕릉 | 지마왕릉 | 경애왕릉 | 포석정지 | 서출지 | 나정
계림 | 월성 | 내물왕릉 | 동궁과 월지 | 첨성대
대릉원 | 오릉
황룡사지 | 분황사 모전석탑
명활성
※ 관련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금령총(金鈴塚)
조성형태 돌무지덧널무덤
피장자 신라 왕자(신라 왕족의 어린아이 추정)
조성시기 신라 6세기 초[1]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노동동 261번지
{{{#!wiki style="margin: -15px -10px -15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512호
<colbgcolor=#315288> 경주 대릉원 일원
慶州 大陵園 一圓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노동동 261 등
분류 유적건조물/무덤/고분군
면적 602,314㎡
지정연도 2011년 7월 28일
건축시기 신라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유네스코 세계유산
<colbgcolor=#000> 경주역사유적지구
Gyeongju Historic Areas
Zones historiques de Gyeongju
<colcolor=#fff> 국가·위치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경상북도 경주시
등재유형 문화유산
지정번호 976
등재연도 2000년
등재기준 (ii)[2], (iii)[3] }}}

1. 개요2. 발굴조사3. 여담4. 나무위키에 항목이 생성된 주요 출토 유물

[clearfix]

1. 개요

6세기 서라벌( 경주시)에 위치한, 주인이 알려지지 않은 신라시대의 무덤. 신라의 어린 남성 왕족의 무덤으로 추정한다.

금령총은 본래 경주 노동리 고분군 중 하나로서 사적 제38호로 지정되었으나, 2011년에 경주 노동리 고분군, 경주 노서리 고분군, 경주 황남리 고분군, 경주 황오리 고분군, 경주 인왕리 고분군 등을 하나로 통합하여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으로 재지정했다.

2. 발굴조사

1921년 금관총의 조사 이후 정식으로 신라고분을 발굴하고자 하였던 때에 당시 가장 잔존상태가 좋지 못했던 곳이 노동동 고분군인데, 여기는 지금의 봉황대 고분이 소재한 대릉원의 북쪽 구역이었다. 1924년 우메하라 스에지(梅原末治)가 발굴을 담당하여 금령총, 식리총을 조사하였고 각각 가장 특징적인 출토 유물에서 이름을 따와 각 고분의 명칭을 금령총(金鈴塚), 식리총(飾履塚)이라고 작명하였다.[4]

금령총은 대릉원 고분군 안에서야 중소형 고분에 불과하지만, 대릉원이 신라 고분들 중에서 당연히 왕의 무덤군으로 위계가 가장 높은 곳이기에 금령총 또한 당시 최상위 묘제인 적석목곽묘 구조로 축조되었다. 천마총과 크기만 다를 뿐 금령총 역시 전반적인 축조방식은 동일한 지하식 구조였다.

세월의 흐름을 못 이기고 이미 무덤이 많이 파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924년 발굴에서 유물들이 다량 출토되었다. 금령총에서도 금관을 포함하여 흔히 '풀셋'이라고 말하는 신라 상위 신분의 상징 아이템들이 모두 출토되었다. 여기서도 금관이 출토되었지만 이미 금관총이라는 이름을 붙인 고분이 있었기 때문에, 일본인 조사자들은 요패(腰佩, 허리장식) 아래에 잔뜩 달린 금방울(金鈴)에서 이름을 따 '금령총'이라 명명하였다. 그 밖에도 상형토기들이 많이 출토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기마인물상은 당시의 마구 및 마장(馬將)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유물로 평가받아 이후 국보 제91호로 지정되었다.

금령총에서 출토된 금관은 지금까지 발견된 신라 금관 중에서는 가장 작고 장식도 곡옥이 없이 금으로만 만든 간소한 형태다. 금관의 크기가 작고 피장자의 키가 1m 가량으로 추정된다는 점을 보아 10세 전후 어린 왕자의 무덤으로 본다고 한다. 이 금관은 보물 제338호로 지정됐다.

금관의 크기나 고분 자체의 규모는 물론, 피장자가 완연한 성인이 아닌 점을 종합하면 왕릉이 아니라고 볼 수 있는 무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관이 출토되었던 점은 금관이 '왕'만을 상징하는 물건이 아니었음을 보여주는 근거가 된다. 훗날 황남대총 남분과 북분이 발굴되면서 '금관=(남성) 왕'이라는 등식은 완전히 깨졌고, 금동이든 금이든 재질보다는 상징 자체에서 의미를 찾는 쪽으로 연구방향이 모였다.

일제가 했던 발굴조사는 시대적 한계도 있고 지금 기준으로 보면 여러모로 부족했기 때문에 100여년이 지난 21세기 대한민국에서 다시 발굴조사가 진행되었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00일 동안 진행했고 여러가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 재발굴 과정에서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와 같은 장인이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비슷한 말 모양 토우가 발견되기도 했다. 관련 기사

3. 여담

4. 나무위키에 항목이 생성된 주요 출토 유물


[1] 지증왕의 아들로 추정하기도 한다. [2]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 [3]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 [4] 이와 같이 주요 출토 유물에서 따와 이름을 붙임은 전형적인 일본풍 작명법이다. 일제강점기, 총독부가 조사한 한반도의 많은 고분들이 이처럼 고분의 특징을 살린 명칭을 종종 받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