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18:42:06

그리고리 레치칼로프

<colbgcolor=#cd0000><colcolor=#ffe400,#ffe300>
소비에트 연방 제7대 제16근위전투항공연대장
그리고리 안드레예비치 레치칼로프
Григо́рий Андре́евич Речка́лов
Grigory Andreevich Rechkalov
파일:그리고리 레치칼로프.jpg
출생 1920년 2월 9일
러시아 SFSR 페름현 이르비츠구 쿠디야코보 마을
(現 러시아 우랄 연방관구 스베르들롭스크주 이르비츠군 자이코보)
사망 1990년 12월 22일 (향년 70세)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묘소 도브롭스키 마을 묘지
재임기간 제7대 제16근위전투항공연대장
1944년 7월 20일 ~ 1945년 3월 9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d0000><colcolor=#ffe400,#ffe300> 복무 소비에트 공군
1938년 ~ 1959년
최종 계급 소장 (소비에트 공군)
주요 참전 독소전쟁
주요 서훈 레닌훈장
소비에트 연방 영웅 (2회)
알렉산드르 넵스키 훈장
적기훈장 (4회)
적성훈장 (2회)
}}}}}}}}}

1. 개요2. 생애
2.1. 독소전쟁
2.1.1. 개전과 동시에 참전2.1.2. 대공포 피격2.1.3. P-39 격추왕
2.2. 장성 진급2.3. 말년
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소련의 군인이자 적기 단독 격추 2위의 에이스 파일럿.

공식 격추 기록은 65기[1] 이반 코제두브에 이은 소련군의 두 번째 격추왕이라 봐도 무방하다.

2. 생애

1920년 2월 9일에 소비에트 러시아 중부의 작은 마을 쿠디야코보에서 소작농의 아들로 태어난 그리고리 레치칼로프는 문화 생활을 즐기기에는 너무나 도시와 떨어진 곳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다.

아들이 학교에 갈 나이가 되자 부모는 스베르들롭스크 근처의 보포브쿠(Бобровку)란 마을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초등 교육과정을 마쳤고, 14살이 되고 중학교에 해당되는 교육과정을 마치자마자 곧바로 취업전선에 뛰어들었다.

마을 공장의 전기공으로 취업하고 얼마 후 기술공이 되기 위하여 스베르들롭스크에 있는 공장 견습학교에 입학했다. 당시 소련 정부는 조직 단위로 조종 교육을 장려하고 있었는데, 거기에 레치칼로프도 지방 비행클럽에 가입했고 글라이더로 기초 비행과정을 이수할 수 있었다.

징병 연령인 18세가 되던 1938년에 육군에 입대한 후 조종 특기를 살리기 위해 페름에 있는 군사비행학교로 옮겨가 정식으로 조종사 교육을 받게 된다.

정밀 신체검사 결과는 전혀 흠잡을 곳 없는 건강한 몸이었으나 시력검사 과정에서 치명적일 수도 있는 색맹이라는 것을 처음 알게 된다.

원래 기준이라면 당연히 탈락이었으나 기초 비행 교육을 좋은 성적으로 이수한 그를 아깝게 여긴 당국은 마침 유럽 대륙에 전운이 닥쳐오고 있어서 그대로 비행학교에 남을 수 있었다.[2]

그리고 레치칼로프는 이에 보답하듯 실기와 필기에서 두각을 보이며 1941년에 상사 계급으로 조종사가 될 수 있었다.[3]

신참 조종사가 된 그가 처음으로 부임한 임지는 오데사 군관구에 주둔하고 있던 제55전투기연대(55-й ИАП)였다.

2.1. 독소전쟁

2.1.1. 개전과 동시에 참전

따라서 소련군 핀란드 침공했을 때 폴란드 쳐들어가 나치 독일 나눠먹을 무렵만 해도 한창 비행 교육을 받고 있었던 탓에 참전하지 못했고, 첫 실전 기회는 독소전이 터지고 난 후였다.

1941년 6월 22일, I-153 복엽 전투기로 메서슈미트 전투기를 맞아 싸운 그는 추풍낙엽처럼 격추되던 다른 소련 조종사들과는 달랐다.

날카로운 급기동을 펼쳐 덮쳐온 적기의 기습을 피한 그는 날개 밑에 장착된 로켓탄을 전탄 발사하며 역습을 펼쳤다.[4] 독일이 소련에 침공한 첫 일주일 동안 그는 무려 30회를 출격했는데, 그중에서 10회는 실전 임무였다.

6월 27일에 몰도바에서 스쿠레니 부근으로 초계 비행을 나간 레치칼로프 소위는 독일 국방군 정찰기 헨셸 Hs 126를 포착해 팽팽한 선회전을 벌인 끝에 격추시킬 수 있었다.

7월 11일에는 코토브스크 상공에서 폭탄을 떨구고 있던 융커스 Ju 88 폭격기를 잡아낼 수 있었지만, 그 폭격기는 폭탄창을 닫고 그리고리 소위가 탄 전투기 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도주해 엔진을 있는대로 오버부스트시키며 탄창이 빌 때까지 사격을 퍼부은 후에야 간신히 추락시킬 수 있었다.

레치칼로프는 처음으로 힘들게 잡은 정찰기도 그렇고 독일 공군기는 폭격기 조차도 쉽게 잡을 수 없는 좁힐 수 없는 성능차를 절감했다.

2.1.2. 대공포 피격

7월 26일에 두버사리 방면으로 지상군 지원을 위해 출격을 나갔던 그는 대공포 파편이 오른다리에 박히는 부상을 입었고, 그 상태로 지혈을 해가며 겨우 기지로 돌아와 기절했고, 곧바로 후송 조치되었다.

치료를 마치고 연대로 다시 돌아온 것은 해가 바뀐 1942년 4월이였다. 그 해 여름에 55연대는 제16근위전투기연대(16 ГвИАП)와 통합되었다. 재편성을 거치며 정예 조종사 위주로 친위연대로 소속이 옮겨졌고, 이들은 낡아빠진 구식 전투기가 아니라 Yak-1 같은 신형 전투기들을 지급받게 된다.

당시의 소련 공군은 개전 초기에 강대한 루프트바페의 맹공에 무기력하게 으깨진 전력을 다시 긁어모으고 신형 항공기와 장비 보급에 박차를 가하며 대대적으로 부대 편제에도 메스가 가해졌는데, 제16친위전투기연대 또한 원래는 제216항공사단 예하로 있다가 제9친위항공사단 소속으로 지휘체계가 달라졌다.

1942년이 저물 때까지, 레치칼로프는 4대를 단독 격추시키고 2대를 공동 격추하는 전적을 보이고 있었다. 그 해 연말부터는 동맹국인 미국이 보내준 신형 전투기인 P-39 에어라코브라가 정예 조종사에게 우선적으로 할당되었는데, 그중에는 레치칼로프 소위도 끼어 있었음은 두말할 여지가 없다.

1943년 봄부터 캅카스 북부 전선과 쿠반 강 전선에서 독일 공군의 정예들과 치열한 전투를 거듭하게 된다. 1943년 5월 24일까지 194회 출격에 12번의 격추 공훈을 인정받아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를 수여받았다.

당시 엄청난 실전 경험을 쌓아가고 있던 전투조종사들은 지금과는 조금 달라서, 전장에서 탁월한 공중전 실력과 사격 솜씨를 보이는 에이스는 계급의 고하와 관계없이 동료나 부하들이 자연스레 우러르며 따르게 마련이었다. 이런 풍조는 소련 공군 뿐만이 아니었고, 독일이나 미, 영 조종사들도 마찬가지였다.[5]

1943년 10월에 비행중대장이 되었고 1944년 5월에는 겨우 24살의 나이에 자신이 근무하던 부대의 부연대장이 되었고, 10월 2일에는 소령으로 진급했다.

2.1.3. P-39 격추왕

18살에 입대하여 소련 2위의 에이스 파일럿의 경지에 올랐을 땐 전쟁이 끝물에 다다를 무렵이기도 해서 라보츠킨 La-7로 갈아타고 나치의 심장인 베를린 상공에서 마지막 전투를 치렀다. 4년 동안 450회의 출격을 하면서 122회의 교전을 경험했다.

복엽기인 차이카로 조종사 생활을 시작한 그는 곧 첫 단엽 전투기 I-16를 몰았고, 그나마 독일 전투기와 맞설 수 있게 된 Yak-1을 거친 후에는 P-39로 가장 많은 전과를 거두었다.

P-39로 44대의 추축군 항공기를 떨구었는데, 항공 역사책에 에어라코브라로 가장 많은 적기를 격추시킨 사나이로 기록되어 있다. 대부분의 격추 기록을 2대의 미국제 전투기, 즉 P-39N-0(42-8747)과 P-39Q-15(44-2547) 2대의 에어라코브라로 이룩한 것이다. 전과를 기종별로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다.

레치칼로프는 자신을 수퍼 에이스로 만들어준 미국제 전투기를 아주 애용했고, 심지어 공식 석상에서도 침이 마르게 칭찬을 했을 정도였다.

전쟁이 끝나고 몇 년 후, 레치칼로프는 당 기관지와 가진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증언했는데, 그때는 이미 미국과 경쟁 구도에 들어가고 있던 시기였기에 이와 같은 발언은 바람직한 상황이 아니었다.
"에어라코브라는 무장의 위력과 속도, 그리고 엔진의 신뢰성이 훌륭하게 조화를 이룬 전투기였지요. 물론 우리 전투기의 성능도 빠르게 독일 공군기를 따라잡았지만, P-39Q 같은 기종은 공중전에서 필요한 균형이 잘 잡힌 전투기였어요. 특히나 내가 보기에 가장 중요한 장점은 고감도 무전기를 꼽고 싶군요. 에어라코브라에 실린 무전기는 어떤 상황에서도 편대원들과 마치 옆에서 통화하는 것처럼 서로 교신할 수 있었습니다. 편대원들은 각자 자기가 본 상황과 현재 자신이 처한 상황 등에 관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나눌 수 있었고, 이걸 몬 다음부터는 우리 편대가 기습을 받는 일이 없어졌습니다. 게다가 우리 공군연구소에서는 이 전투기에 우리 조종사들의 의견을 반영해 개조를 전담하는 연구진을 편성해 그 성능은 더욱 개선되었지요."

2.2. 장성 진급

전쟁이 끝난 후 레치칼로프는 공군에 잔류하여 1951년에 참모 과정(Военно-воздушную академию)을 이수한 이 전쟁영웅에게는 제10전투기사단의 사령관 대리라는 보직이 기다리고 있었다.

1952년 6월 7일에 대령으로 진급, 제10항공사단(10-й авиационной дивизии)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55년 10월 26일에 소장으로 진급하고 이듬해인 1956년 1월에 제236전투기사단(236-й истребительной авиадивизии)에서 잠시 지휘봉을 잡던 그는 11월 19일에는 극동 지구의 제146전투기사단(146-й истребительной авиадивизии)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57년 12월 17일에는 극동 방공군 사령관이라는 중책이 맡겨졌고, 1958년 10월 3일에는 노보로시스크 방공군(ПВО)으로 가서 직접 전투조종사들을 지도하고 가르쳤는데, 당시 37세의 레치칼로프 장군 휘하에 있던 조종사들은 가끔 실시된 지휘비행에서 젊은 조종사들을 압도하는 비행 실력을 선보였다고 증언했다.

2.3. 말년

레치칼로프 중장은 1959년에 전역하고 2년 후인 1961년에 모스크바 대학교에 저널리즘 학부에 들어갔고 그후로는 쭉 모스크바에서 살았다. 1990년 12월 22일에 노환으로 사망한 그는 자신이 어렸을 때 살던 고장 보포브쿠의 마을 묘지에 위치한 어머니 무덤 옆에 묻혔다.

3.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 전투기 에이스 일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56b94> ▲ 180~228위
순위 이름 국적 격추 수 비고
229위 베른트 갈로비치 독일 64대
위르겐 하르더 독일
롤프 헤르미헨 독일
발터 린트너 독일
빅토르 페터만 독일
에르하르트 페터스 독일
귄터 라두슈 독일
하인츠 뢰커 독일
루돌프 쇠네르트 독일
238위 프란츠 괴츠 독일 63대
하인리히 호프만 독일
게르하르트 호무트 독일
빌헬름 쉴링 독일
헤르만 슈타이거 독일
쿠르트 벨터 독일 야간 56대 격추
제트 전투기 에이스 1위
244위 칼-하인츠 코르데스 독일 62대
빌헬름 휘프너 독일
헬무트 노이만 독일
247위 게르하르트 보이틴 독일 60대
한스-에케하르트 봅 독일
호르스트 카르가니코 독일
프란츠 체히 독일
알프레트 프랑케 독일
프란츠 흐르들리카 독일
쿠르트 켈터 독일
아우구스트 모르스 독일
카를 문츠 독일
알프레트 라우흐 독일
257위 알렉산드르 포크리시킨 소련 59대
한스-아놀트 슈탈슈미트 독일
발터 보르허스 독일
프란츠 에케를레 독일
카를 슈테펜 독일
파울 초르너 독일
263위 헤르만 부흐너 독일 58대
마르틴 베커 독일
헤르베르트 브뢴레 독일
프란츠 에케를레 독일
지크프리트 엥퍼 독일
헤르베르트 프리벨 독일
빌헬름 프로이뵈르트 독일
게르하르트 라트 독일
하네스 트라우트롭트 독일
시노하라 히로미치 일본
그리고리 레치칼로프 소련
274위 니콜라이 굴라예프 소련 57대
하인리히-빌헬름 아네르트 독일
콘라트 바우어 독일
발터 브란트 독일
후고 다머 독일
쿠르트 에베너 독일
아돌프 칼쿰 독일
헤르베르트 푸슈만 독일
요하네스 자이페르트 독일
헤르만 볼프 독일
284위 콘스탄틴 칸타쿠치노 루마니아 56대 루마니아 1위
만프레트 에버바인 독일
구스타프 프랑크치 독일
호르스트 하제 독일
하인츠 하클러 독일
에리히 호하겐 독일
헬무트 홀츠 독일
에두아르트 이스켄 독일
쿠르트 크나페 독일
헬무트 쇤펠더 독일
귄터 지거 독일
하인츠 슈트뤼닝 독일
에트문트 바그너 독일
헬무트 뷔크 독일
에이노 루카넨 핀란드
299위 카를-하인츠 벤데르트 독일 55대
빌헬름-페르디난트 갈란트 독일
헤르베르트 바로이터 독일
한스-디터 프랑크 독일
가브리엘 타우처 독일
304위 오쿠무라 다케오 일본 54대
요한 바둠 독일
한스 엘러스 독일
아우구스트 가이거 독일
빌헬름 하우스비르트 독일
하인츠 레버 독일
지크프리트 짐슈 독일
하인츠 빈케 독일
}}}}}}}}} ||


[1] 단독격추 61기+공동격추 4기. [2] 일설에는 연대장이 그에게 연락 임무를 준 사이에 전달된 의료기록을 미처 검토하지 못해서 생긴 행정 착오라는 주장도 있다. [3] 소련 공군은 독일 일본과는 달리 비행병 제도가 없이 조종사에게는 미국이나 영국처럼 부사관 이상의 계급이 주어졌기 때문이다. [4] 러시아측 자료에는 레치칼로프의 첫 격추는 로켓으로 이뤄졌다는 기록을 종종 볼 수 있는데, 실제로 그랬다면 대대적으로 선전되었을 것이 분명하므로 아마도 로켓과 기총을 함께 써서 격추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5] 아마도 무리중에 돋보이는 에이스가 싸우는 것처럼 자신도 싸울 수 있다면 공적은 물론이고, 살아남을 확률도 자연히 올라가게 마련이었으니 어쩌면 당연한 현상이었을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