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내각의 역대 전쟁 범죄 인정 사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93년 | <colbgcolor=#f5f5f5,#2d2f34> 고노 담화 |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인정과 사죄 |
1995년 | 무라야마 담화 | 일본의 전쟁범죄 인정과 식민지 지배 사죄 | |
1998년 | 김대중·오부치 게이조 공동선언 | 식민지 지배의 가해책임 인정과 식민지 지배 사죄 | |
2005년 | 고이즈미 담화 | 무라야마 담화 재확인 및 계승의지 천명 | |
2010년 | 간 담화 | 한일병합의 강제성, 식민지 지배의 폭력성에 대해 인정과 사죄 | }}}}}}}}} |
1. 개요
小泉談話 (こいずみだんわ). 일본 88대 총리 고이즈미 준이치로가 2005년 8월 15일 발표한 성명. 정식 명칭은 고이즈미 내각총리대신 담화(小泉内閣総理大臣談話) 또는 전후 60년 담화(戦後60年談話)이다.종전 50주년을 맞아 크게 진일보한 무라야마 담화를 그대로 계승한 것으로, 전쟁과 식민지배를 반성하는 내용을 그대로 다루고 있다. 10년 뒤의 아베 담화에서는 고이즈미 담화가 계승하던 사과와 반성의 맥락이 크게 후퇴했다는 점에서도 두드러진다.
담화의 내용과 별개로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는 이듬해인 2006년 8월 15일,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강행하며 한국 및 중국의 공분을 사게 된다. 총리 시절 고이즈미의 행보를 보면 딱히 전쟁 범죄를 미화하거나 하는 행보가 두드러지지 않았지만, 퇴임을 앞둔 시점 참배 강행으로 인해 고이즈미 담화의 내용에 대한 진정성을 의심받게 되었다.
일본 외무성 자료 일본어 원문 #
2. 전문
저는 종전 60년을 맞이함에 있어서 다시 한 번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평화와 번영은 전쟁으로 어쩔 수 없이 목숨을 잃으신 많은 분들의 고귀한 희생 위에 있음을 생각하며 다시는 일본국이 전쟁으로의 길로 나가서는 안 된다는 결의를 새롭게 하는 바입니다.
지난 대전(大戰)에서는 300만여 동포가 조국을 생각하며 가족을 생각하며 전장에서 산화하거나 전후 머나먼 이국 땅에서 돌아가셨습니다.
또한, 일본국은 일찍이 식민지 지배와 침략으로 많은 나라 특히 아시아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다대한 손해와 고통을 주었습니다. 이러한 역사의 사실을 겸허히 받아들여 다시 한 번 통절한 반성과 진심으로 사죄의 마음을 표함과 더불어 지난 대전에서의 내외의 모든 희생자께 삼가 애도의 뜻을 표합니다. 비참한 전쟁의 교훈을 풍화시킴이 없이 다시는 전쟁을 일으키는 일 없이 평화와 번영에 공헌해 나갈 것을 결의합니다.
전후 일본국은 국민의 부단한 노력과 많은 나라의 지원에 힘입어 폐허로부터 다시 일어나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을 받아들이고 국제사회로의 복귀에 제일보를 내딛었습니다. 어떠한 문제도 무력이 아닌 평화적으로 해결한다는 입장으로 일관하며 ODA나 유엔 평화유지활동 등을 통하여 세계 평화와 번영을 위해 물적·인적 양면에서 적극적으로 공헌해 왔습니다.
일본국의 전후 역사는 진정으로 전쟁으로의 반성을 행동으로 보여준 평화의 60년이었습니다.
일본국은 전후 세대가 인구의 70%를 넘고 있습니다. 일본 국민은 한결같이 스스로의 체험이나 평화를 지향하는 교육을 통하여 국제평화를 진심으로 희구하고 있습니다. 지금 세계 각지에서 청년해외협력대 등의 많은 일본인이 평화와 인도지원을 위해 활약하고 있으며 현지 주민들로부터 신뢰와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아시아 여러 나라와의 사이에서도 일찍이 볼 수 없었던 정도로 경제, 문화 등 폭넓은 분야에서 교류를 깊게 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의대수(一衣帶水)의 사이인 중국이나 한국을 비롯해 아시아 제국과는 함께 손을 잡고 이 지역의 평화를 유지하며 발전을 지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과거를 직시하고 역사를 바르게 인식하여 아시아 여러 나라와의 상호 이해와 신뢰를 기반으로 미래지향의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아가고자 합니다.
국제사회는 현재 개발도상국의 발전이나 빈곤 극복, 지구환경의 보전, 대량살상무기의 확산 방지, 테러 방지·근절 등, 예전에는 상상할 수도 없었던 복잡하고도 곤란한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일본국은 세계평화에 공헌하기 위해 불전(不戰)의 맹세를 견지하며 유일한 피폭국으로서의 체험이나 전후 60년의 과정에 입각해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해 나아갈 것입니다.
전후 60년의 길목인 올해 평화를 사랑하는 일본국은 뜻을 같이하는 모든 국가와 함께 인류전체의 평화와 번영을 실현하기 위해 전력을 다할 것을 거듭 표명합니다.
지난 대전(大戰)에서는 300만여 동포가 조국을 생각하며 가족을 생각하며 전장에서 산화하거나 전후 머나먼 이국 땅에서 돌아가셨습니다.
또한, 일본국은 일찍이 식민지 지배와 침략으로 많은 나라 특히 아시아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다대한 손해와 고통을 주었습니다. 이러한 역사의 사실을 겸허히 받아들여 다시 한 번 통절한 반성과 진심으로 사죄의 마음을 표함과 더불어 지난 대전에서의 내외의 모든 희생자께 삼가 애도의 뜻을 표합니다. 비참한 전쟁의 교훈을 풍화시킴이 없이 다시는 전쟁을 일으키는 일 없이 평화와 번영에 공헌해 나갈 것을 결의합니다.
전후 일본국은 국민의 부단한 노력과 많은 나라의 지원에 힘입어 폐허로부터 다시 일어나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을 받아들이고 국제사회로의 복귀에 제일보를 내딛었습니다. 어떠한 문제도 무력이 아닌 평화적으로 해결한다는 입장으로 일관하며 ODA나 유엔 평화유지활동 등을 통하여 세계 평화와 번영을 위해 물적·인적 양면에서 적극적으로 공헌해 왔습니다.
일본국의 전후 역사는 진정으로 전쟁으로의 반성을 행동으로 보여준 평화의 60년이었습니다.
일본국은 전후 세대가 인구의 70%를 넘고 있습니다. 일본 국민은 한결같이 스스로의 체험이나 평화를 지향하는 교육을 통하여 국제평화를 진심으로 희구하고 있습니다. 지금 세계 각지에서 청년해외협력대 등의 많은 일본인이 평화와 인도지원을 위해 활약하고 있으며 현지 주민들로부터 신뢰와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아시아 여러 나라와의 사이에서도 일찍이 볼 수 없었던 정도로 경제, 문화 등 폭넓은 분야에서 교류를 깊게 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의대수(一衣帶水)의 사이인 중국이나 한국을 비롯해 아시아 제국과는 함께 손을 잡고 이 지역의 평화를 유지하며 발전을 지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과거를 직시하고 역사를 바르게 인식하여 아시아 여러 나라와의 상호 이해와 신뢰를 기반으로 미래지향의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아가고자 합니다.
국제사회는 현재 개발도상국의 발전이나 빈곤 극복, 지구환경의 보전, 대량살상무기의 확산 방지, 테러 방지·근절 등, 예전에는 상상할 수도 없었던 복잡하고도 곤란한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일본국은 세계평화에 공헌하기 위해 불전(不戰)의 맹세를 견지하며 유일한 피폭국으로서의 체험이나 전후 60년의 과정에 입각해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해 나아갈 것입니다.
전후 60년의 길목인 올해 평화를 사랑하는 일본국은 뜻을 같이하는 모든 국가와 함께 인류전체의 평화와 번영을 실현하기 위해 전력을 다할 것을 거듭 표명합니다.
私は、終戦六十年を迎えるに当たり、改めて今私たちが享受している平和と繁栄は、戦争によって心ならずも命を落とされた多くの方々の尊い犠牲の上にあることに思いを致し、二度と我が国が戦争への道を歩んではならないとの決意を新たにするものであります。
先の大戦では、三百万余の同胞が、祖国を思い、家族を案じつつ戦場に散り、戦禍に倒れ、あるいは、戦後遠い異郷の地に亡くなられています。
また、我が国は、かつて植民地支配と侵略によって、多くの国々、とりわけアジア諸国の人々に対して多大の損害と苦痛を与えました。こうした歴史の事実を謙虚に受け止め、改めて痛切な反省と心からのお詫びの気持ちを表明するとともに、先の大戦における内外のすべての犠牲者に謹んで哀悼の意を表します。悲惨な戦争の教訓を風化させず、二度と戦火を交えることなく世界の平和と繁栄に貢献していく決意です。
戦後我が国は、国民の不断の努力と多くの国々の支援により廃墟から立ち上がり、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条約を受け入れて国際社会への復帰の第一歩を踏み出しました。いかなる問題も武力によらず平和的に解決するとの立場を貫き、ODAや国連平和維持活動などを通じて世界の平和と繁栄のため物的・人的両面から積極的に貢献してまいりました。
我が国の戦後の歴史は、まさに戦争への反省を行動で示した平和の六十年であります。
我が国にあっては、戦後生まれの世代が人口の七割を超えています。日本国民はひとしく、自らの体験や平和を志向する教育を通じて、国際平和を心から希求しています。今世界各地で青年海外協力隊などの多くの日本人が平和と人道支援のために活躍し、現地の人々から信頼と高い評価を受けています。また、アジア諸国との間でもかつてないほど経済、文化等幅広い分野での交流が深まっています。とりわけ一衣帯水の間にある中国や韓国をはじめとするアジア諸国とは、ともに手を携えてこの地域の平和を維持し、発展を目指すことが必要だと考えます。過去を直視して、歴史を正しく認識し、アジア諸国との相互理解と信頼に基づいた未来志向の協力関係を構築していきたいと考えています。
国際社会は今、途上国の開発や貧困の克服、地球環境の保全、大量破壊兵器不拡散、テロの防止・根絶などかつては想像もできなかったような複雑かつ困難な課題に直面しています。我が国は、世界平和に貢献するために、不戦の誓いを堅持し、唯一の被爆国としての体験や戦後六十年の歩みを踏まえ、国際社会の責任ある一員としての役割を積極的に果たしていく考えです。
戦後六十年という節目のこの年に、平和を愛する我が国は、志を同じくするすべての国々とともに人類全体の平和と繁栄を実現するため全力を尽くすことを改めて表明いたします。
先の大戦では、三百万余の同胞が、祖国を思い、家族を案じつつ戦場に散り、戦禍に倒れ、あるいは、戦後遠い異郷の地に亡くなられています。
また、我が国は、かつて植民地支配と侵略によって、多くの国々、とりわけアジア諸国の人々に対して多大の損害と苦痛を与えました。こうした歴史の事実を謙虚に受け止め、改めて痛切な反省と心からのお詫びの気持ちを表明するとともに、先の大戦における内外のすべての犠牲者に謹んで哀悼の意を表します。悲惨な戦争の教訓を風化させず、二度と戦火を交えることなく世界の平和と繁栄に貢献していく決意です。
戦後我が国は、国民の不断の努力と多くの国々の支援により廃墟から立ち上がり、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条約を受け入れて国際社会への復帰の第一歩を踏み出しました。いかなる問題も武力によらず平和的に解決するとの立場を貫き、ODAや国連平和維持活動などを通じて世界の平和と繁栄のため物的・人的両面から積極的に貢献してまいりました。
我が国の戦後の歴史は、まさに戦争への反省を行動で示した平和の六十年であります。
我が国にあっては、戦後生まれの世代が人口の七割を超えています。日本国民はひとしく、自らの体験や平和を志向する教育を通じて、国際平和を心から希求しています。今世界各地で青年海外協力隊などの多くの日本人が平和と人道支援のために活躍し、現地の人々から信頼と高い評価を受けています。また、アジア諸国との間でもかつてないほど経済、文化等幅広い分野での交流が深まっています。とりわけ一衣帯水の間にある中国や韓国をはじめとするアジア諸国とは、ともに手を携えてこの地域の平和を維持し、発展を目指すことが必要だと考えます。過去を直視して、歴史を正しく認識し、アジア諸国との相互理解と信頼に基づいた未来志向の協力関係を構築していきたいと考えています。
国際社会は今、途上国の開発や貧困の克服、地球環境の保全、大量破壊兵器不拡散、テロの防止・根絶などかつては想像もできなかったような複雑かつ困難な課題に直面しています。我が国は、世界平和に貢献するために、不戦の誓いを堅持し、唯一の被爆国としての体験や戦後六十年の歩みを踏まえ、国際社会の責任ある一員としての役割を積極的に果たしていく考えです。
戦後六十年という節目のこの年に、平和を愛する我が国は、志を同じくするすべての国々とともに人類全体の平和と繁栄を実現するため全力を尽くすことを改めて表明いたします。
3. 둘러보기
일본 내각의 역대 전쟁 범죄 인정 사례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93년 | <colbgcolor=#f5f5f5,#2d2f34> 고노 담화 |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인정과 사죄 |
1995년 | 무라야마 담화 | 일본의 전쟁범죄 인정과 식민지 지배 사죄 | |
1998년 | 김대중·오부치 게이조 공동선언 | 식민지 지배의 가해책임 인정과 식민지 지배 사죄 | |
2005년 | 고이즈미 담화 | 무라야마 담화 재확인 및 계승의지 천명 | |
2010년 | 간 담화 | 한일병합의 강제성, 식민지 지배의 폭력성에 대해 인정과 사죄 |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ca324><tablebgcolor=#3ca324> |
고이즈미 준이치로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3ca324,#3ca324> 정치 | 고이즈미 내각 · 우정 민영화 · 가나가와 11구 | ||
가족 | 외할아버지 고이즈미 마타지로 · 아버지 고이즈미 준야 · 장남 고이즈미 고타로 · 차남 고이즈미 신지로 | |||
외교 | 고이즈미 담화 · 다케시마의 날 · 북일정상회담 | |||
역대 선거 | 제33대 중의원, 제34대 중의원, 제35대 중의원, 제36대 중의원, 제37대 중의원, 제38대 중의원, 제39대 중의원, 제40대 중의원, 제41대 중의원, 제42대 중의원, 제43대 중의원, 제44대 중의원 | |||
소속 | 자유민주당 · 세이와 정책연구회 | |||
보수주의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