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한강의 교량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하류 | 하성미개통 - 일산 - 김포 - 행주 - 방화 - 마곡(철) - 가양 - 월드컵 - 성산 - 양화 - 당산(철) - 서강 - 마포 - 원효 - 한강(철) - 노량 - 한강 - 동작 - 반포( 잠수) - 한남 - 동호 - 성수 - 영동 - 청담 - 잠실 - 잠실(철) - 올림픽 - 천호 - 광진 - 구리암사 - 고덕토평 - 강동 - 수석미개통 - 미사 - 팔당 - 제2팔당미개통 - 팔당댐 관리교 | ← 상류 | 북한강 |
남한강 | ||||
북한강 | 남한강 | 중랑천 | 청계천 | 경안천 | 탄천 | 양재천 | 안양천 | 도림천 | }}}}}}}}} |
하류 방면 ← 구리암사대교 |
한강의 교량 |
상류 방면 강동대교 → |
|||||
고덕토평대교 Godeok-Topyeongdaegyo (Bridge) |
|||||||
▲ 세종포천선 (포천방면) | |||||||
가양 방면 구리암사대교 ← - km |
강변북로 |
수석IC 방면 토평IC - km → |
|||||
개화 방면 구리암사대교 ← - km |
올림픽대로 |
춘천 방면 강일IC - km → |
|||||
▼ 세종포천선 (세종방면) | |||||||
고덕토평대교의 모습 | |||||||
다른 문자 표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로마자 |
Godeok-Topyeongdaegyo (Bridge) |
|||||
한자 | 高德土坪大橋 | }}}}}}}}} | |||||
위치 | |||||||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 |||||||
개통 / 완공 | |||||||
2025년 1월 1일 | |||||||
시공 | 관리 | ||||||
현대건설 | 한국도로공사 | ||||||
길이 / 교격간거리 | |||||||
길이 1,725m, 교격간거리 540m (6차로) | |||||||
구조형식 | |||||||
사장교 (Cable-Stayed Bridge) |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과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을 잇는 약 2㎞의 한강 33번째 횡단 교량으로 콘크리트 사장교다. 세종포천고속도로의 교량이며 한강 교량 중에서는 다섯 번째로 개통한 고속도로 교량이다.현대건설에서 교각간 거리 세계 최장 540m(폭 6차로)[1]의 콘크리트 사장교(길이 1,725m)로 건설되었다.[2]
2. 특징
북단의 남구리IC에서 강변북로와 접속하며, 남단의 강동고덕IC에서 올림픽대로와 접속한다.2025년 1월 1일, 세종포천고속도로 남안성JC~ 남구리IC 구간의 일부로서 완공과 동시에 개통했다.
개통 후 강변북로로 몰리는 세종포천고속도로 진출입 차량을 올림픽대로로 분산시키고, 구리암사대교와 강동대교의 정체도 완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포천시와 세종시를 잇는 고속도로인 만큼 정부에서 각별하게 신경쓴 다리이다. 예산 삭감과 각종 기타 이유 등으로 2010년에 착공하여 13년 동안 공사를 하고 나서야 2023년 12월에 완전 개통한 월드컵대교와는 달리 빠른 속도로 건설되었다.
세계 최장 콘크리트 사장교라는 타이틀이 달려 있는데, 이게 알고보면 대단한 점이다. 세계 어디를 둘러봐도 사장교든 현수교든 콘크리트로 된 엄청난 무게의 거더를 540m까지 교각 없이 케이블로만 지탱하는 사례가 없기 때문이다. 본 교량에 올라가는 철근 콘크리트 거더는 무게가 상당하기에 사장교에 들어가는 강선의 품질이 기술력을 좌우한다고 볼 수 있다. 한강의 대표 랜드마크 교량이자 대한민국의 교량설계 및 시공기술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교량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3]
3. 명칭 논쟁
교량 명칭이 최종 고시되기 전까지 강동구는 '고덕대교'를, 구리시는 '구리대교'를 주장하며 팽팽히 맞섰다.
서울특별시는 시 내부에서 이견이 없다면 강동구의 의견을 수용한다는 입장이다. 2023년 5월 서울시의회는 '고덕대교'로 명칭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2024년 7월 구리시의회가 세종포천고속도로 한강횡단교량 명칭을 구리대교로 명명토록 촉구하는 건의문을 채택했다. 구리시는 이미 국비와 서울시비를 절반씩 부담하여 지어져 관리도 서울특별시에서 맡는 암사대교를 구리암사대교로 바꾸는 데 성공한 전적이 있다. 구리암사대교의 명칭은 서울시지명심의위원회에서 결정했으나 이 교량의 명칭은 국토교통부에서 2024년 내에 결정하게 된다. 2023년 5월 서울시 지명위원회에서 교량 명칭이 ‘고덕대교’로 최종 원안 가결되었고 2023년 8월, 구리시 지명위원회에선 세종∼포천고속도로 한강 교량 '구리대교'로 최종 의결되었다. 한국도로공사 ‘도로공사 시설물 명칭 심의위원회’와 국토교통부 ‘지명심의위원회’를 거치면 최종 확정된다.
교량 명칭의 최종 결정권을 갖고 있는 국토지리정보원 국가지명위원회에서 당초 2024년 7월 18일 회의를 열어 교량 명칭을 결정할 계획이였으나, 결론을 내지 못하고 다음 회의로 결정을 유보하였고, 이후 2024년 10월 2일 열린 2차 비공개 회의에서 한강횡단교량의 명칭을 고덕토평대교로 결정하였다. # 결정 후 30일 이내에는 재심의 청구가 가능한데, 양 지자체 모두 고덕토평대교라는 명칭에 불만을 가져 각각 재심의 청구서를 제출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교량 명칭이 고덕토평대교로 최종 고시되었다.
이에 구리시는 소송을 검토하기도 했으나 #, 결국 명칭을 수용하기로 하였다. #
3.1. 구리시 측 입장
구리시는 구리-안성 간 고속도로라는 이름으로 공사가 진행됐는데 그 시점에 구리시가 있고, 해당 교량이 건설되고 있는 한강의 87% 이상이 구리시에 속해있으며 교량 구간의 75%가 토평동에 속해 있고, 해당 교량의 1.3km 떨어져 있는 곳에 강동구의 이름을 딴 강동대교가 있으므로 다음 차례는 구리라는 점을 내세워 '구리대교'를 주장하고 있다. 또한 교량 공사로 인하여 구리한강공원에 피해가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구리시의회는 2023년 3월 27일 임시회를 열어 현재 한강 구간에 건설 중인 교량 이름을 ‘구리대교’로 해달라는 내용의 건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고 28일 밝혔다. # 2023년 5월 12일 경부터 현재진행형으로 구리시 주민들과 구리시의회 일동, 시장 등은 구리대교 명명 촉구 시위를 하고 있으며, 구리대교 서명운동을 하고 있다. 이에 동의한 인원은 10만 명이 넘었다. 이는 고덕대교 서명운동보다 많은 수치이다.
또한 구리시 측에서는 경기도북부권시장군수협의회, 구리~안성 간 고속도로 한강횡단교량 ‘구리대교’ 명명 결의문 채택, 구리시의회의 구리대교 명명 촉구 등의 활동, 구리시장은 모든 행정력을 동원하겠다는 포부를 담은 명명 촉구 등을 벌이고 있다.
한편 구리시는 용마산 지하 용마터널을 구리터널로 바꾸는 데 실패, 망우산 지하 망우터널을 구리터널로 바꾸는 데 성공한 바 있다. 실패 원인은 동시에 진행된 구리암사대교 명칭에 역량을 쏟은 탓으로 구리시에서는 보고 있다.
3.2. 강동구 측 입장
강동구는 사업시행자인 한국도로공사와 교량 건설업체 현대건설이 착공 시점부터 ‘고덕대교’로 명명해 이미 통용되는 명칭이며, 교량 설계 상 시작점이 고덕동임[4]과 현재 건설 중인 새 다리와 불과 1.5km 떨어진 곳에 구리암사대교가 위치해 이용자들에게 혼란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워 '고덕대교'로 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상황이다. 이수희 강동구청장은 고덕이라는 지명이 문헌에 기록된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지명이라는 점을 들기도 했다.또한 강동구는 고덕강일 공공주택지구개발사업에서 세종~포천고속도로 건설을 위한 광역교통개선대책 분담금으로 531억 6000만원을 납부해 이 비용이 새 다리 건설에 사용됐다는 점 등을 내세워 '고덕대교'를 주장하고 있다.
한편, 2022년 해당 교량의 이름을 ‘고덕대교’로 해달라는 내용의 명칭 제정 서명 운동을 벌여 총 7만2000명의 동의를 이끌어냈다. 2023년 2월에는 고덕대교 및 고덕대교나들목 명칭 확정 촉구 결의안을 구의회 차원에서 채택했다. # 서울시의회에서도 2023년 5월 '고덕대교'로 명칭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4. 기타
- 완공 전인 2021년에 방영되었던 드라마 ' 시지프스: the myth'에서 극 중 조승우와 박신혜가 쫓기던 중 막다른 길에 들어서자 한강으로 뛰어든 장소이기도 하다.
- 초기 조감도에서는 주탑에 훈민정음을 새긴 모습으로 디자인되었으나, 운전자 시선 분산 등 사고 우려로 삭제되었다.
- 개통 직후부터 고덕토평대교는 상습 정체 구간이 되었다. 출근 시간대에는 세종 방면이, 퇴근 시간대에는 포천 방면이 막힌다. 특히, 초이IC, 강동고덕IC와 일체형 구조인 고덕터널에 영향을 받아 진로 엇깔림 현상으로 인해 병목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여기에 동남로와의 합류를 고려한 강동고덕IC (고덕토평대교 남단)의 구조적인 문제와 더불어, 1km 마다 등장하는 구리암사대교 남단 램프, 강일IC, 선동IC, 미사IC의 상당한 교통량과 상당한 고저차로 인한 올림픽대로 본선의 유령 정체 현상이 강동고덕IC의 병목을 유발하고 있다.
- 그렇다고 남구리IC (고덕토평대교 북단)은 안 밀리냐하면 아니다. 남단에 비해서 통행 속도가 나아지기는 하지만 중랑IC까지는 가야 완전히 정체가 풀린다. 출퇴근 시간대나 토요일에는 고덕토평대교 양방향 1차선만 그나마 소통이 나은 편이고 2차로, 3차로는 그야말로 주차장을 방불케한다.
- 세종 방면으로는 다리를 건너고 나서 바로 올림픽대로 진출로가 나오므로 초행이면 당황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또한, 요금소를 지나서도 구불길이 펼쳐지고 평면교차가 연달아 두 번씩 있어 길을 잃지 않도록 네비의 안내에 집중해야 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덕토평대교는 구리암사대교에 대한 대안책으로써 어느정도 제 역할을 하고 있다. 일단은 막히더라도 고덕토평대교를 타는게 구리암사대교를 타고 올림픽대로 언덕길 구간을 지나는 것보다 5분에서 10분 정도 시간을 더 줄여주기 때문이다. TMAP도 미사 근처가 목적지면 최소 시간 경로로 처음부터 올림픽대로를 타기 보다는 강변북로를 타고 고덕토평대교를 건너서 강동고덕IC로 빠지라고 안내한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공사중) -
남안성JC(
) -
안성맞춤IC -
고삼IC(
고삼호수SA) - |
}}}}}}}}} |
[1]
세종대왕의 54년 생애를 기리는 의미라고 한다.
[2]
콘크리트 형식의 사장교 중 최장이며, 전체 사장교 중에서는 주경간장 1,104m의
루스키 대교가 최장이다.
[3]
물론 케이블 교량치고 안 그럴 수는 없지만, 주 경간의 길이가 같다면 기존의 철제거더보다 철근 콘크리트로 제작된 거더가 훨씬 무겁다. 당연히 케이블의 강도에 훨씬 신경써야 할 뿐 아니라 콘크리트가 깨지지 않는 한도 내에서 허용되는 비틀림 강성까지 고려해야 한다.
[4]
구리시는 2016년
세종포천고속도로 구리터널 명칭 주장 당시 터널의 시점부가 구리시임을 근거로 내세운 바 있다. 당시 서울시에서는 망우터널을 주장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