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15:07:01

간선급행버스체계/목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간선급행버스체계

1. 아시아

1.1. 대한민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간선급행버스체계/목록/대한민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102589> 신교통형
BRT
세종특별자치시 BRT(바로타)
일반형
BRT
고양 BRT 청라-강서 BRT
청라국제도시 GRT 부산광역시 BRT
대구광역시 BRT 광주-나주 BRT
광주광역시 BRT 대전광역시 BRT
전주 BRT
Super
BRT
세종특별자치시 BRT(바로타)
실증사업
인천 S-BRT 계양-대장 S-BRT
창원 S-BRT 성남 S-BRT
}}}}}}}}} ||


1.2.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간선급행버스체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3594d3> 전용도로 운행노선 아사 해안철도 아사토선 · 유토리토 라인 · 오후나토선 BRT
케센누마선 BRT · 카시테츠 버스 · 하쿠호선 BRT · 히타치 BRT · BRT 히코보시 라인
일반도로 운행노선 나고야 버스 키칸2 · 니가타 버스 B1 · 세이류라이너
이마자토라이너 · 키타큐슈 BRT · 후쿠오카 BRT
계획노선 도쿄 BRT(2023)
임시노선 쿠레선 BRT
}}}}}}}}} ||

1.2.1. 운영 중
1.2.2. 계획

1.3. 중국


이 외에도 각 도시에 수없이 많다! 차라리 노면전차 도시철도로 만들면 더 나았을 법한 노선도 BRT도 지어져 있는 경우[3]가 있는데, 중국도 덮어놓고 BRT 짓기는 아니다 싶었는지 요즘은 트램도 짓기 시작했다.

1.4. 대만

1.5. 태국

1.6. 말레이시아

1.7. 인도네시아

2. 유럽

2.1. 튀르키예

3. 아메리카

3.1. 미국

3.2. 캐나다

3.3. 멕시코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간선급행버스체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ce2b2b> 멕시코시티 메트로부스
멕시코주 Mexibús ( 네사왈코요틀, 에카테펙, 치말우아칸, 코아칼코, 테카막)
과나후아토 옵티부스 ( 레온)
게레로 ACABÚS ( 아카풀코)
누에보 레온 Ecovía ( 몬테레이, 과달루페)
이달고 Tuzobus ( 파추카)
치와와 Bowí ( 치와와), Vivebús ( 시우다드후아레스)
푸에블라 주 RUTA ( 푸에블라)
케레타로 Qrobús ( 케레타로)
할리스코 주 마크로부스 ( 과달라하라, 사포판, 틀라케파케)
}}}}}}}}} ||

멕시코는 BRT 시스템이 난립하는 편에 속한다. 어지간한 대도시와 중도시에는 BRT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거나 계획하는 중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프랑스처럼 BRT 차로를 자전거 이용자들이 함께 사용하는 경우도 많은 편이다.[7]

3.4. 브라질

3.5. 콜롬비아

4. 오세아니아

4.1. 호주

4.2. 뉴질랜드



[1] 전 차량 무궤도전차로 4개 노선을 운영 중이다. [2] 문도 좌측에 달려있어서 71번 전용 승강장은 도로 한가운데에 위치해있다. 그리고, 버스 전용 차로와는 별개로 71번 전용 차로를 운영 중. [3] BRT는 전용 도로와 전용 승강장을 지어야 한다. 그래서 트램보단 덜하지만 예산이 좀 많이 든다. [4] 해석하면 자이버스첩운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公車는 시내버스라는 뜻. [5] BRT는 철도시스템이 아니지만 운영주체인 MBTA가 지하구간이 있는 실버라인을 Subway로 분류하였고 마땅한 번역어가 없기 때문에 지하철로 표기되었다. 엄밀히 따지면 지하교통수단이긴 한데 이마저도 지상구간이 더 길다. [6] 토론토 광역권 북부. [7] 그러나 프랑스와는 달리 멕시코의 BRT 시스템에서 자전거를 타고 다니는 행위는 공식적으로는 자라니가 하는 짓이다. 빠른 속도로 버스가 달리기 때문에 BRT 차량과 사고가 나는 일이 비일비재하며, 사망 사고까지도 난다. [8] 쿠리치바는 1974년 세계 최초로 BRT 개념을 적용시킨 도시이다. 이러한 BRT 시스템의 개발자는 유대계 브라질인이자 도시계획가인 하이메 레르네르(Jaime Lerner)이다. [9] 전국적으로도 대한민국 내에서는 버스 노선을 버스업체의 사유재산으로 본 판례 탓에 노선을 정리할 수 없어 자연스럽게 일반버스가 중앙전용차로에 들어가는 일반형 BRT가 판을 칠 수 밖에 없었고, 어차피 중남미식 BRT 계획이 어그러질 수 밖에 없는 환경이었다. 그나마 쿠리치바식에 가까운 게 세종특별자치시의 바로타, 창원 S-BRT인데, 그것도 쿠리치바식과 차이가 있다. [10] 정확히 말하자면 지하철과 도시철도가 없다. 건설계획자체는 오래전에 있었지만 계속해서 미뤄졌고, 2010년대 들어서 겨우 첫삽을 떴다. [11] 시내 - 브리즈번 동남부 [12] 시내 - 시내 북부 외각( 퀸즐랜드 공과대학교) [13] 퀸즐랜드 대학교 - 부란다 [14] 최고 등급인 Gold 바로 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