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han이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는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에 대한 내용은 김동하(프로게이머) 문서 참고하십시오.
군주의 호칭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1.4px" |
<tablebgcolor=#FFF,#0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
참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마하라자디라자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23px; padding: 2px" | |||
( 별도의 틀 참고) | }}} | }}}}}}}}} |
{{{+1 {{{#fff 중동※ · 남아시아 · 중앙아시아{{{#fff 의}}} 작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0054a0> 황제 | <colcolor=#000,#fff> 왕중왕 · 파디샤 · 카간 · 칼리파 |
제왕 | 마하라자 · 파라오 | |
왕·군주 | 라자 · 말리크 · 샤 · 술탄 · 칸 · 차트라파티 | |
왕자·귀족·제후 | 파샤 · 아미르 · 라카브 · 셰이크 · 베이 · 랄라 · 아가 · 나와브 · 샤리프 · 사이이드 · 노얀 · 찬보 | |
장군·전사 | 불사 부대 · 크샤트리아 · 맘루크 · 시파히 · 키질바시 · 가지 · 예니체리 | |
총독 | 사트라프 · 마르즈반 · 와지르 | |
※: 편의상 북아프리카도 포함된다. | }}}}}}}}} |
1. 개요
몽골어 | ᠬᠠᠭᠠᠨ, хаан (항) |
튀르키예어 | Han (한)[1] |
만주어 | ᡥᠠᠨ (한) |
한자 | 汗 (한) |
영어 | Khan /kɑːn/ (칸)[2] |
아시아 북방 유목민족[3]의 왕을 가리키는 호칭이다.
칭기즈 칸(ᠴᠢᠩᠭᠢᠰ ᠬᠠᠭᠠᠨ, čingɣis qaɣan)도 여기서 비롯되었으며, 북방 유목민족의 지도자들을 가리키는 말 중에 이와 같은 뿌리를 가진 단어들이 많다.
어원은 중세 몽골어의 카간(ᠬᠠᠭᠠᠨ, qaɣan), 혹은 고대 튀르크어의 카간(𐰴𐰍𐰣, kaɣan)이었다. 본래 칸과 카간은 유목민족의 우두머리를 나타내는 말이라 동일한 의미로 쓰였으나 13세기경 몽골 제국이 등장하고, 제2대 오고타이의 치세부터 여러 칸이 난립하면서 칸 위에 카간 내지는 대칸이라는 존재를 새로 두게 되어 카간은 중화권의 황제와 같은 의미로 변하게 되었다. 다만 이후 몽골의 최고 지도자에게도 종종 '칸'이라는 명칭이 쓰인 것을 보면 '칸'은 부족의 우두머리와 몽골족 전체의 우두머리를 모두 통칭하는 의미로 쓰인 것을 알 수 있다.
훗날 청나라를 세운 만주족도 초기에는 지도자를 칸에 해당하는 한이라고 불렀다. 그래서 태조 천명제 누르하치는 처음에 "누르하치 한"이라 불렸다. 그러다가 제2대인 태종 숭덕제 홍타이지 때부터 중국식 황제 칭호를 함께 사용했으며(숭덕제), 내몽골의 차하르부로부터 원나라의 전국옥새를 얻고, 몽골 제국의 계승자를 자처하고 난 다음에는 카간(대칸)이라는 칭호도 사용했다(복다 칸 혹은 복다 카간).
2. 발음
현대 몽골인들은 한국어나 영어처럼 '칸'[ka:n]
으로 발음하지 않는다. хаан이라 쓰고 하앙이라 읽는다([χäːɴ̟]
). 여기서 ㅎ는 독일어의 ch와 같은 강한 'ㅎ' 발음이다. 다만 이는 현대식 몽골 발음이고, 중세식 발음으로는 카간이라고 불렀다.[4]3. 북방 유목민족 밖에서의 사용
유래는 칸 혹은 카간이나, 몽골 제국의 등장 이전이라 칸과 가한의 구분이 없었거나, 몽골로부터 지리적으로 많이 떨어져서 역시 따로 구분이 없었던 경우들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반도에서는 신라의 ' 거서간' 및 ' 마립간'이나 그 외 진· 변한의 군주들,[5] 일본 측 기록에서 신라의 장군 이사부를 지칭할 때 붙인 '간기(干岐)', '한기(旱岐)' 등에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간(干)이라는 칭호와 연관이 있다고 보고 있다. 이 '간(干)'은 '판(判)', '찬(飡)' 등으로도 표기되는데, 사실 한국사의 '간'은 아무리 늦게 잡아도 4~5세기경인 삼국시대 초기를 생각해보면 몽골의 칸보다는, 가한(可汗)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가한을 공식적으로 처음 쓴 것이 400년 전후의 선비 및 유연이기 때문에, 《삼국사기》의 '간'이 후대에 창작된 것이 아니라면 오히려 '간'이라는 칭호가 북방민족의 '가한'이라는 명칭의 영향을 받았거나 한민족의 기원인 북방계의 호칭일 가능성도 있다. 금석문으로 따져도 두 호칭의 등장 시기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6]
- 당나라 초기의 영걸이자 명군인 태종이 돌궐(쾩튀르크)을 멸망시킨 이후 받은 천가한(天可汗)을 '톈'(하늘)과 '칸'으로 발음한 '톈칸'이라고 몽골식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당시 몽골인들은 등장하지도 않았으며 애초에 하늘을 '천'(天)이라고 하는 것 자체가 중국식 발음이다. 정확한 발음은 튀르크식으로 톙그리 카간, 혹은 중국식 칭호로 보고 한자를 그대로 읽는 '천가한'이라고 발음하는 것이 제일 정확하다. 게다가 당나라 시기에 쓰던 중고한어는 오늘날의 보통화 발음과 다르기도 하고.[7]
-
오스만 제국에서는
술탄 및
파디샤라는 명칭과 함께 황제를 부르는 명칭으로 썼다. 예를 들어 위대한 황제였던
쉴레이만 1세가 신하들 혹은 대중들 앞에 등장할 때는
" 술탄 쉴레이만 한이 납신다.( Sultan Süleyman Han Hazretleri)"
고 말했다. 오스만 제국의 뿌리인 튀르크멘 역시 서돌궐에서 유래한 튀르크계 종족이었기 때문에 돌궐 시절부터 내려온 '칸'호를 그대로 써온 것이다. 술탄은 아랍인들을 겨냥한 대외 명칭이었고, 파디샤는 이란 지역을, 그리고 유럽을 겨냥해서는 룸 카이세리( 로마 황제)를,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유목민들을 향해서는 칸이라는 호칭을 각각 썼다.
- 9세기 경 이후의 러시아에서는 중앙아시아에서 넘어온 민족들의 영향으로 인해, 한동안 자신들의 군주를 '칸'이나 '카간'이라고 불렀다. 12세기에 저술된 역사서인 《 러시아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러시아의 시조이자 전설적인 군주였던 류리크 때부터 군주들이 '칸'이라는 칭호를 썼다고 한다.
- 튀르크의 한 갈래인 불가리아 역시 9세기까지는 '칸'이라는 칭호를 사용했으나 불가리아가 정교회로 개종하여, 슬라브족에 동화된 9세기 이후부터는 칸 대신 ' 차르' 칭호를 사용했다.[8]
[1]
이외에도 하칸(Hakan)이나 카안(Kağan)이라는 표현이 사용된다.
[2]
미국식 발음으로 간혹 칸이 아니라 '캔'으로 읽기도 한다.
[3]
튀르크와
몽골인,
만주족 모두 바이칼호~알타이 산맥에 이르는 몽골 고원에서 발원한 종족들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만주족은
숙신 등의
퉁구스,
튀르크는
흉노,
몽골인은
동호 계열이다.
[4]
현대 몽골어에서는 고전 몽골어의 k/q 발음이 /x/ 발음으로 변했고, -aγa-, -oγo- 등 모음 사이에 낀 γ 발음이 탈락하면서 -aa-, -oo-처럼 장음으로 변했다. 마지막으로 어말의 n 역시 /ŋ/ 발음으로 변하면서 이렇게 된 것이다. 몽골어에서 어말에 /n/ 발음이 오려면 -на, -нэ 이런 식으로 단모음이 하나 더 붙어야 한다.
[5]
가령 《삼국사기》에 등장하는
음즙벌국의 왕
타추간이 있다. 그리고
울진 봉평리 신라비 등
금석문에는 신라 6부의 지도자격인 인물들의 인명으로 수많은 '간'이 나온다.
[6]
한편,
마립간은 '
매금'이라고도 불렸다.
[7]
한국 한자음 발음과 유사하다.
[8]
최초의 차르 칭호 사용은
시메온 대제 부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