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00:15:27

미라클 작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2021년 아프가니스탄 철수
,
,
,
,
,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본 문서의 표제어를 "미라클 작전"으로 표기하고 문서 상단 프로필에 사건명과 작전명을 병기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본 문서의 표제어를 "미라클 작전"으로 표기하고 문서 상단 프로필에 사건명과 작전명을 병기하기
토론 - 프로필 표에 군용기 탑승 사진을\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2021년 아프가니스탄 사태 파일: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10100><colcolor=#fff> 배경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전개 탈레반의 공세 ( 반응 · 탈레반의 재집권 · 탈레반/2022년 · 탈레반/2023년) · 대규모 철수 ( 미라클 작전) · 내전
내전 상황 2021년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2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 / 2024년
장소 카불 · 바그람 공군기지 · 카불 국제공항 · 판지시르 · 바자라크
단체 탈레반 · 탈레반 과도정부 · 미군 · 파키스탄군 · ISI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아프가니스탄군 ·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 · 아프가니스탄 마오주의 공산당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 호라산 이슬람 국가
인물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하이바툴라 아훈드자다 · 압둘 가니 바라다르 · 시라주딘 하카니 · 하미드 카르자이
파일: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기.svg 암룰라 살레 · 아흐마드 마수드 · 하시브 판지시리 · 압둘 가니 알리푸르 · 이스마일 칸 · 압둘 라시드 도스툼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사미 사다트 · 아슈라프 가니 · 압둘라 압둘라
파일:미국 국기.svg 조 바이든 · 토니 블링컨 · 로이드 오스틴
사건·사고 IS의 아프가니스탄 테러 (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 폭탄 테러) }}}}}}}}}
미라클 작전
2021년 한국 협력 아프가니스탄인 국내 이송 작전
2021 Operation Miracle
파일:미라클작전.jpg
공군 C-130J 수송기에 탑승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아프간인들
<colbgcolor=#030><colcolor=#fff> 원인 탈레반의 카불 점령
날짜 2021년 8월 24일 ~ 8월 27일
장소 아프가니스탄 카불 시내 및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
결과 한국 정부 협력 아프가니스탄인 중 한국행 희망자 전원 구출 및 이송 성공 (총 391명)[1]
당사국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협조국

[[미국|]][[틀:국기|]][[틀:국기|]][2] \
[[파키스탄|]][[틀:국기|]][[틀:국기|]] [4]
\
[[영국|]][[틀:국기|]][[틀:국기|]][A]
\
[[캐나다|]][[틀:국기|]][[틀:국기|]][A]
\
[[태국|]][[틀:국기|]][[틀:국기|]][7]
\
[[대만|]][[틀:국기|]][[틀:국기|]][B]
\
[[필리핀|]][[틀:국기|]][[틀:국기|]][B]
\
[[베트남|]][[틀:국기|]][[틀:국기|]][B]
\
[[캄보디아|]][[틀:국기|]][[틀:국기|]][B]
\
[[말레이시아|]][[틀:국기|]][[틀:국기|]][B]
\
[[인도|]][[틀:국기|]][[틀:국기|]][B]
1. 개요2. 배경3. 투입 부대/기관4. 전개5. 반응6. 의의7. 사건 사고8. 미디어9.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20210825503497.jpg
" 다시 데리러 오겠다."[14]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 아프가니스탄의 수도 카불이 함락되면서, 대한민국 정부 주 아프가니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KOICA에 협력한 아프가니스탄인들을 구출해 국내로 이송한 작전이다. #

2. 배경

한국에 협력한 아프가니스탄인들의 구조 요청이 작전의 발단이 되었다. 친미 정부였던 아슈라프 가니 정권이 무너지고 탈레반이 예상보다 빠르게 카불로 진격하여, 카불이 함락당하는 과정에서 아프가니스탄에 대대적인 혼란이 발생하였다. 이후 카불이 탈레반의 숙청과 아슈라프 가니 정권 협력자에 대한 보복으로 피바다로 변할 거란 우려 속에, 각국은 외교관 주재무관, 교민들을 탈출시키는 데에 급급했고 이는 한국도 마찬가지였다.

대한민국은 교민을 비롯한 국민들을 안전하게 피난시키는 데는 성공했으나, 아프간 현지에는 한국과 인연을 맺은 수많은 아프간인들이 남겨진 상태였다. 문서 상단 사진처럼 대사관에서 일하던 현지인 직원[15]마저 아프가니스탄에 남겨질 정도로 공관 직원, 아프간 재건 프로젝트 참여자, 코이카 등의 국제협력단 조력자 등 많은 조력자들이 탈레반 치하에 방치되었다.

그리고 국제사회의 우려는 현실이 되어, 탈레반의 카불 점령 첫 날부터 외국인이나 외국인 협력자에 대한 폭력 사태가 일어날 정도로 신변 위협이 가시화되었다. 탈레반의 폭력성과 비민주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던 만큼 아프간 국민들, 특히 탈레반이 극도로 싫어하는 '외세 결탁자들'이 처형당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미 구 정권 치하 경찰청장을 살해하고, 미국과 서방세력에 협력했던 시민들을 마구잡이로 채찍질하는 모습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탈레반은 카불 점령 후 바그람 공군기지 내부 한국직업훈련원과 한국 병원을 폭파시켰는데 훈련원에서 근무했던 현지인 훈련 교사들이 아프간에 남아 있다면 처형이 기정사실화되어 있는 상황이었다. #

탈레반은 공공연하게 전, 현직 외세 협력자들을 수소문하기 시작했고, 한국 협력자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래서 신변의 위협을 느낀 협력자들의 요청, 당국의 예견에 의해 8월 초부터 이송 작전이 계획되었다. #

3. 투입 부대/기관

4. 전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라클 작전/전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반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라클 작전/반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의의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의의 문단의 대략적인 서술 방향은 아래 합의안의 내용에 맞춘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의의 문단의 대략적인 서술 방향은 아래 합의안의 내용에 맞춘다.
토론 - 이번 작전은 대한민국이 그동안 미국을 위시한 자유진영 국가들이 가장 중시해온 인도주의적 명분에 부합하는 결정을 했고 그에 따른 피난민 구출 작전 또한 성공적으로 완수함으로써 우리 국군의 위상을 높이는 것은 물론 명실상부한 선진국으로서의 책임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의의가 있다.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주아프간 한국 대사관에 한국 관련 아프간인들이 구조요청을 한 이후 한국 정부는 곧바로 아프간인 이송작전을 계획하였으며 엠바고를 통한 사전 비밀 유지, 그리고 동맹국을 비롯한 유관국과의 긴밀한 협조로 작전 수행이 원활하도록 했다. 이로써 상징 기밀성을 유지하면서도 신속한 작전 진행을 통해 개인 사정으로 카불 공항에 오지 않은 인원 및 제3국행 희망자를 제외한 희망자 전원을 탈출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 작전은 대한민국 역사상 두 번째로 자력으로 수백 명의 외국인을 국내로 탈출시킨 작전[17]이 되었다. 또한 '인도적 이유'만으로 자국 교민이 아닌 '외국인들만'을 위해 해외 분쟁 지역에 군 자원을 투입해 구출한 일로 치면 유례가 없다. 전쟁으로 인해 타국의 원조를 받고, 타국이 자국민을 철수시켰던 국가가 이제는 다른 나라의 국민을 구하는 국가로 성장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작전이 성공한 지 12시간 만에 탈레반이 내국인 탈출 금지를 선언했고 아프간인들이 입국한 8월 26일에는 이탈리아 공군기를 향한 피격미수 사건과 공항 주위에서의 폭탄테러가 연이어 발생했는데 만약 이 작전이 조금이라도 지연됐다면 현지인들의 탈출은 물론 특임단의 신변도 위협받을 수 있었다. #1 #2 #3

희망자들을 한 명도 남기지 않고 구출하면서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외교적 메시지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었다. 심지어 6년 전에 대사관에서 근무했던 직원에게까지 탈출 의사를 물어보는 등 한국은 친구를 절대 버리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확실히 했다. 특히 한국은 전 세계를 무대로 활약하는 미군 한미동맹으로 묶여 있기도 하고 국제사회의 주요 군사강국이자 선진국 중 하나로서 향후에도 해외에서 군사작전 혹은 대민지원작전을 벌일 여지가 많다. #

때문에 이번처럼 적대적인 국가에서 한국에 협력했던 사람들을 해당국의 보복으로부터 보호해내는 것은 추후에도 제3국에서 현지인 혹은 현지 정부와 협력하여 업무나 군사 작전을 벌일 때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사실상 수출로 먹고 사는 한국의 경제 구조를 생각해 보아도 대외 신인도 제고 차원에서 바람직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한미동맹의 진면목이 한반도뿐만 아니라 이역만리 중동에서도 발휘되었는데 미군은 한국행 아프간 난민을 위해 전세 버스 대절 지원을 하였으며 탈레반과 협상을 하여 이들이 공항에 무사히 도착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였다.

미국 중부사령부 현지 한국군 대표단과의 협의를 통해 한국군 수송기의 카불공항 신속 진입을 보장했다. 여기에 영국, 캐나다 등 나토 국가의 공항 안전 지원도 한몫했다. 또한 미국, 영국, 캐나다, 인도, 파키스탄, 대만, 태국 등을 비롯한 여러 우방국들에게 신속한 협력을 얻어내어 수송 지원, 공항 사용 승인, 공항 경계 지원, 영공 개방 등의 외교적 성과도 보였다. #1 #2

7.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1년 법무부 과잉 의전 논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미디어

9. 여담



[1] 개인 사정으로 카불 공항에 오지 않은 인원 및 제3국행 희망자를 제외한 한국행 희망자 기준. 처음에는 전체 391명, 1차 입국자는 378명으로 알려졌으나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 국제공항에서 아프간인 1명은 명단에 없는 사람으로 확인되어, 군 수송기를 이용해 다시 카불 공항으로 돌려보내면서 한국에 들어온 1차 입국자는 377명, 전체 입국자는 총 390명으로 정정되었다. 이 인원은 작전 수행을 통해 입국한 총원 기준이며, 이후 9월 4일에 인도 출장갔던 정부협력자 1명이 주 인도 한국 대사관을 통해 추가로 입국하여 최종 전체입국자는 391명이 되었다. [2] 카불 공항 경계 및 현지 이송작전 지원 [3] 카불 공항 이착륙 지원 [4] 영공 개방 및 중간 기착지( 이슬라마바드) 제공 [A] 카불 공항 경계 지원 [A] [7] 영공 개방 및 급유 지원 [B] 영공 개방 [B] [B] [B] [B] [B] [14] 명실상부 미라클 작전을 상징하는 사진으로 탈출 직전 현지 대사관 통역사 직원 카심(참고로 이 사람은 마지막 버스로 간신히 들어온 사람이다)과 김일응 주 아프간 대한민국 공사 참사관이 감격하며 포옹하는 장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탈레반의 예상치 못한 빠른 카불 진격에 한국 외교부 본부 카불 주재 대사관에 긴급 철수를 지시했고, 김일응 참사관은 마지막 교민 탈출까지 도운 후 긴급히 미군을 통해 탈출했다. 이때 미국 공군 수송기엔 현지 직원들은 탑승하지 못했는데, 대신 "다시 데리러 오겠다"는 말을 남겼으며, 그 약속을 지켰다. # # [15] 외교관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에 의거하여 현지인 직원도 일정 수준의 외교적 특권이 있지만, 공관 철수하고 정권이 아예 갈아치워지면서 이들의 신변도 불안정해질 정도로 혼란스러운 정국이 되었다. [16] 인천공항에서 진천 행정연수원으로 수송할 때 육군버스가 사용되었다. 해당 버스 번호판에 "육"이라고 적힌 것을 볼 수 있다. 1군수지원여단 예하 601수송대대에서 버스를 지원하였다. 참고로 진천에서 여수로 이동할 때에는 민간 전세버스가 사용되었다. # [17] 첫 번째는 남베트남 패망 당시 탈출 사례로, 남베트남 VIP 150여 명과 교민들을 탈출시켰다. 십자성 작전 프리퀀트 윈드 작전 문서 참고. 다만 당시의 남베트남 VIP들은 대한민국 정부가 자의로 탈출시켰다고 보기에는 어렵고 한국인 불법체류자들의 신원조회 절차를 안 밟는 대가로 남베트남 정부가 억지로 떠넘긴 VIP들이었다. 원래는 500명을 요청했으나 현지 상황이 긴박해진 시점에 그중 150명만 와서 그들만 태우고 나갔다. [연령제한동영상] [연령제한동영상] [20] 그의 가족은 미라클 작전 때 먼저 한국에 입국했다. [21] 대략적으로 장비는 K1A, 옵스코어 FAST 헬멧, 5.11 TACTEC 플레이트 캐리어 등으로 보인다. [22] 탈레반이 보도 영상을 근거로 현지에 남은 친인척에 보복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탈레반에서는 해외 미디어 보도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또한, 얼굴이 지나치게 알려질 경우 국내 생활 교육을 마치고 퇴소한 뒤에도 과도한 주변의 관심으로 국내 적응이 어려워진다는 현실적인 문제도 있다. [23] 29가구, 157명이 울산 동구에 정착했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91
, 2.3.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91 ( 이전 역사)
문서의 r8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