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38:57

화학 평형

화학 평형의 법칙에서 넘어옴

물리화학
Physical Chemistry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87CEFA> 기본 정보 원소( 할로젠 · 금속 · 준금속 · 비활성 기체 · 동위원소) · 원자( 양성자 · 중성자 · 전자) · 분자 · 이온
물질 순물질( 동소체 · 화합물) · 혼합물( 균일 혼합물 · 불균일 혼합물 · 콜로이드) · 이성질체
화학 반응 · ( 앙금) · 작용기 · 가역성 · 화학 반응 속도론( 촉매 · 반감기) · 첨가 반응 · 제거 반응 · 치환 반응 · 산염기반응 · 산화환원반응( 산화수) · 고리형 협동반응 · 유기반응 · 클릭 화학
화학양론 질량 · 부피 · 밀도 · 분자량 · 질량 보존 법칙 · 일정 성분비 법칙 · 배수 비례의 법칙
열화학 법칙 엔트로피 · 엔탈피 · 깁스 자유 에너지( 화학 퍼텐셜) · 열출입( 흡열 반응 · 발열 반응) · 총열량 불변의 법칙 · 기체 법칙 · 화학 평형의 법칙( 르 샤틀리에의 원리 · 동적평형)
용액 용질 · 용매 · 농도( 퍼센트 농도· 몰 농도 · 몰랄 농도) · 용해도( 용해도 규칙 · 포화 용액) · 증기압력 · 삼투 · 헨리의 법칙 · 전해질
총괄성 증기압 내림 · 끓는점 오름 · 어는점 내림 · 라울 법칙 · 반트 호프의 법칙
전기화학
·
양자화학
수소 원자 모형 · 하트리-포크 방법 · 밀도범함수 이론 · 유효 핵전하 · 전자 친화도 · 이온화 에너지 · 전기음성도 · 극성 · 무극성 · 휘켈 규칙 · 분자간력( 반 데르 발스 힘( 분산력) · 수소 결합) · 네른스트 식
전자 배치 양자수 · 오비탈( 분자 오비탈 · 혼성 오비탈) · 전자껍질 · 쌓음원리 · 훈트 규칙 · 파울리 배타 원리 · 원자가전자 · 최외각 전자 · 옥텟 규칙 · 우드워드-호프만 법칙
화학 결합 금속 결합 · 진틀상 · 이온 결합 · 공유 결합( 배위 결합 · 배위자) · 공명 구조
분석화학 정성분석과 정량분석 · 분광학
분석기법 적정 · 기기분석( 크로마토그래피 · NMR)
틀:양자역학 · 틀:통계역학 · 틀:주기율표 · 틀:화학식 · 틀:화학의 분과 · 틀:산염기 · 화학 관련 정보 }}}}}}}}}

1. 개요2. 화학 평형의 법칙
2.1. 평형 상수와 반응 지수2.2. 농도 변화에 따른 평형이동2.3. 압력 변화에 따른 평형이동2.4. 온도 변화에 따른 평형이동
3. 기타

1. 개요

화학 반응의 정반응 속도와 역반응 속도가 같아진 상태. 즉,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가 시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를 말한다. 화학 평형에 도달했을 때 겉으로는 어떠한 변화도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입자 수준에서는 계속해서 반응이 일어난다.

2. 화학 평형의 법칙

화학에서 다루는 열역학의 법칙 중 하나. 가역반응 그러니까 정반응과 역반응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는 반응[1]에서는, 생성 물질과 반응 물질은 (온도가 변하지 않는 한) 항상 일정한 농도비를 이루어 존재한다는 법칙. 다른 말로 질량 작용의 법칙이라고도 한다. 일정 성분비의 법칙과는 다른 개념. 르 샤틀리에의 원리라는 정성적인 설명을 정량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반응물의 물질의 활동도(activity, 액티비티)를 각각의 반응식에서의 계수만큼 제곱한 뒤 전부 곱한 것을 분모로 깔고, 우변에 대해서도 같은 일을 수행한 뒤에 분자에 올려 놓으면 이 상수를 구하는 공식이 나온다. 이 상수는 '평형 상수'라고 부르며, 온도에 의존적이다. 이러한 개념은 화학반응의 자유에너지 변화가 0이라는 평형조건을 통해서 간단하게 얻어진다. 여기서 활동도는 기준 휘산도(fugacity, 퓨개시티)에 대한 화학종의 휘산도[math( \left(\displaystyle \frac{f}{f_0}\right) )]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이상기체에 대해서는 압력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용액의 경우 증기압력이 몰분율[2]에 비례한다는 가정을 통해 몰농도로 다시 환산시킬 수 있다. 압력비로 얻어진 평형 상수를 [math(K_p)], 농도비로 얻어진 평형 상수를 [math(K_c)]로 둔다.

하술된 것들 모두를 묶어서 르 샤틀리에의 원리이라고 한다. 화학2 중반 이후와 일반화학 상당수를 차지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2.1. 평형 상수와 반응 지수

평형 상수(Equilibrium constant, K)란 화학 평형 상태에서 반응물의 농도 곱에 대한 생성물의 농도 곱의 비로, 일반적으로 몰 농도를 이용해 구하지만 단위를 표시하지 않는다. 이 값이 크면 평형에서 생성물이 반응물보다 더 많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평형상수가 크면 정반응이 활발하여 생성물질이 많이 존재하는 것이고 화학 반응식의 계수가 변하면 평형 상수 값도 변한다. 평형상수는 온도만의 함수로서 압력이나 농도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반응 지수(Reaction quotient, Q)는 평형 상수를 구하는 방식과 동일하지만 구하는 특정 시점에서의 농도이다. 즉, 평형 상태일 때의 반응 지수가 평형 상수라고 보면 된다. 반응 지수는 현재 상태에서 반응 방향을 알려주는데, [math(Q<K)]일 때에는 정반응, [math(Q>K)]일 때에는 역반응, [math(Q=K)]일 때에는 화학 평형임을 나타낸다.

평형 상수와 반응 지수에서 용매와 고체는 나타내지 않는다. 활동도가 1이므로 평형 상수를 계산할 때 전혀 고려할 필요가 없다. 1에는 어떤 수를 곱해도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고등학교 수준에서는 고체나 액체는 농도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생략한다고 설명한다.
화학 반응식 [math(a \rm A \it + b \rm B \it ⇄c \rm C \it +d \rm D \it)] 에서 평형 상수는 [math(K=\displaystyle\frac {{[\rm C \it ]^c}{[\rm D \it ]^d}} {{[\rm A \it ]^a}{[\rm B \it ]^b}})][3]

2.2. 농도 변화에 따른 평형이동

화학 반응이 평형 상태에 있을 때, 반응물이나 생성물의 일부 또는 전체의 농도를 변화시키면 그 농도 변화를 줄이는 방향으로 반응이 일어난다.
[math(\rm N_2+3H_2⇄2NH_3)]
다음 반응에서 평형 상수는 [math(K=\displaystyle\frac {[\rm NH_3]^2 \it} {\rm [N_2]{[H_2]^3}}\it)] 인데, 반응물이나 생성물을 넣으면 반응 지수가 변경되므로 반응 지수가 변화한 만큼 반응을 일으켜 다시 평형을 유지한다. 즉, 반응물을 첨가하거나 생성물을 제거하면 정반응을, 반응물을 제거하거나 생성물을 첨가하면 역반응을 한다.

2.3. 압력 변화에 따른 평형이동

화학 반응이 평형 상태에 있을때, 압력을 변화시키면 그 압력 변화를 줄이는 방향으로 평형이 이동한다. 이 때, 고체나 액체는 압력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기체의 계수비만을 비교한다.
[math(\rm N_2 \it (g) + \rm 3H_2 \it (g)⇄ \rm 2NH_3 \it(g))]
다음 반응에서 좌변의 반응물은 계수가 [math(1+3=4)]이고, 우변의 생성물은 계수가 2이다. 이 때에도 평형 상수는 변하지 않지만 반응 지수가 변하기 때문에 평형이 이동한다.
이때 압력을 가해서 부피를 [math(\displaystyle\frac 12)]로 줄이게 되면 반응 지수는 [math(Q=\displaystyle\frac {(\rm 2[NH_3])^2 \it} {\rm (2[N_2])(2{[H_2])^3 \it}}=\displaystyle\frac K4)]가 되고, [math(Q=\displaystyle\frac K4<K)]이므로 정반응 쪽으로 평형이 이동한다.
반대로, 부피를 2배로 늘리게 되면 반응 지수는 [math(Q=\displaystyle\frac {({\frac 12}[ \rm NH_3 ])^2 \it}{({\frac 12}[ \rm N_2 ])\it \rm({\frac 12}{[ H_2 ])^3 \it }} = 4K)]가 되고, [math(Q=4K>K)]이므로 역반응 쪽으로 평형이 이동한다.

파일:CC-white.svg 이 1.3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
, 2.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1.3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2.4. 온도 변화에 따른 평형이동

화학 반응이 평형 상태에 있을 때 온도를 변화시키면 그 온도 변화를 줄이는 방향으로 평행이 이동한다. 이 때, 온도 반응은 엔탈피를 따진다.
[math(\rm N_2 \it (g)+ \rm 3H_2 \it (g) ⇄ \rm 2NH_3 \it (g),\ \ \ \Delta{H}=\rm -92.2\,{ kJ \it}<0)]
다음 반응에서 반응 엔탈피를 보면 [math(\Delta{H}<0)]인 발열 반응이다. 온도를 높히면 역반응인 흡열 반응[4]이, 온도를 낮추면 정반응인 발열 반응이 일어난다.

3. 기타

여기서 배우는 평형 상수 개념은 일반화학에선 화학 평형, 산과 염기 및 완충 용액과 용해도곱 상수에서 사용하고, 또한 공식과 결부시켜서 자유에너지 및 전기화학에서도 사용한다, 더 간다면 결정장론에서까지 형성 상수 형태로 쓰이는 등 일반화학 후반부는 웬만하면 평형과 연계된다.

화학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반응에서 반응의 정도와 반응물·생성물의 안정성을 파악하는 공식인 만큼 화학도라면 반드시 친해져야 할 개념이다.

예상외로 물리학과도 3학년에 듣는 열역학 통계역학에서 화학 평형을 다시 보게 된다. 다만 화학과와 달리 산-염기 평형은 크게 다루지 않는다.

유기화합물의 안정성과 여러 반응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유기화학[5]과 화학 반응 메커니즘의 물리적 수치를 판단하는 물리화학, 화학·화공 열역학 등등 화학 관련 학문에서도 기본으로 깔고 가는 이론.

[1] 더 정확히 하면 정반응과 역반응의 속도가 동일한 경우여야 한다. 이러한 조건이 없을 경우 거의 모든 반응이 가역반응에 속하게 된다. [2] 특정 용질의 몰수/전체 용액의 몰수 [3] 이때, [math(\rm [A], [B], [C], [D] \it )]는 몰 농도(단위 부피(L)당 몰 수)를 의미한다. [4] 역반응의 엔탈피는 [math(-{\Delta{H}})]이다. 즉 정반응의 엔탈피의 부호만 반대. [5] 주로 pKa 형태로 유기화합물의 산/염기성 또는 안정성 판단에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