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17:37:12

산화수



물리화학
Physical Chemistry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87CEFA> 기본 정보 원소( 할로젠 · 금속 · 준금속 · 비활성 기체 · 동위원소) · 원자( 양성자 · 중성자 · 전자) · 분자 · 이온
물질 순물질( 동소체 · 화합물) · 혼합물( 균일 혼합물 · 불균일 혼합물 · 콜로이드) · 이성질체
화학 반응 · ( 앙금) · 작용기 · 가역성 · 화학 반응 속도론( 촉매 · 반감기) · 첨가 반응 · 제거 반응 · 치환 반응 · 산염기반응 · 산화환원반응( 산화수) · 고리형 협동반응 · 유기반응 · 클릭 화학
화학양론 질량 · 부피 · 밀도 · 분자량 · 질량 보존 법칙 · 일정 성분비 법칙 · 배수 비례의 법칙
열화학 법칙 엔트로피 · 엔탈피 · 깁스 자유 에너지( 화학 퍼텐셜) · 열출입( 흡열 반응 · 발열 반응) · 총열량 불변의 법칙 · 기체 법칙 · 화학 평형의 법칙( 르 샤틀리에의 원리 · 동적평형)
용액 용질 · 용매 · 농도( 퍼센트 농도· 몰 농도 · 몰랄 농도) · 용해도( 용해도 규칙 · 포화 용액) · 증기압력 · 삼투 · 헨리의 법칙 · 전해질
총괄성 증기압 내림 · 끓는점 오름 · 어는점 내림 · 라울 법칙 · 반트 호프의 법칙
전기화학
·
양자화학
수소 원자 모형 · 하트리-포크 방법 · 밀도범함수 이론 · 유효 핵전하 · 전자 친화도 · 이온화 에너지 · 전기음성도 · 극성 · 무극성 · 휘켈 규칙 · 분자간력( 반 데르 발스 힘( 분산력) · 수소 결합) · 네른스트 식 · 준위
전자 배치 양자수 · 오비탈( 분자 오비탈 · 혼성 오비탈) · 전자껍질 · 쌓음원리 · 훈트 규칙 · 파울리 배타 원리 · 원자가전자 · 최외각 전자 · 옥텟 규칙 · 우드워드-호프만 법칙
화학 결합 금속 결합 · 진틀상 · 이온 결합 · 공유 결합( 배위 결합 · 배위자) · 공명 구조
분석화학 정성분석과 정량분석 · 분광학
분석기법 적정 · 기기분석( 크로마토그래피 · NMR)
틀:양자역학 · 틀:통계역학 · 틀:주기율표 · 틀:화학식 · 틀:화학의 분과 · 틀:산염기 · 화학 관련 정보 }}}}}}}}}

1. 개요2. 규칙3. 활용법4. 화학Ⅰ에서

1. 개요

산화수(, oxidation number)는 화학에서 산화·환원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되는 개념으로, 물질 속 원자에 걸리는 상대적 전하량을 나타내는 수치이다. 복잡한 반응에서 산화제와 환원제를 판단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온 결합에서는 전자의 이동이 분명하지만 공유 결합에서는 그렇지 않으므로, 공유 결합에서는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가 공유 전자쌍을 완전히 차지한다고 가정하고 산화수를 구한다. 예컨대 H2O의 경우, 전기음성도가 큰 산소원자가 공유 전자쌍을 독차지한다고 가정하면 2[H+][O2-]가 되며, 따라서 수소의 산화수는 +1, 산소의 산화수는 -2이다.

그러나 실제 화학결합에서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가 전자쌍을 완전히 차지하는 것은 아니므로 산화수는 어디까지나 가상의 수치이다. 이 허점을 보완하기 위해 산화수에 여러 규칙이 존재한다.

2. 규칙

산화수 결정에는 기본 규칙과 보조 규칙이 사용된다. 아래의 4개 기본 규칙은 절대적으로 성립하므로 보조 규칙보다 우선하여 적용한다.
다음으로, 아래의 보조 규칙은 화합물에서 자주 나오는 원소의 산화수를 결정할 때 알아 두면 편리하다. 규칙끼리 상충되는 경우 우선 순위가 높은 규칙부터 따르는데, A, B, C 순으로 우선 순위가 높다.

3. 활용법

어떤 원자나 이온이 전자를 잃으면( 산화) 산화수가 증가하고, 전자를 얻으면( 환원) 산화수가 감소한다. 따라서 화학 반응식에서 반응 전과 후의 산화수를 비교하여 특정 원소가 산화됐는지 환원됐는지, 산화제로 작용했는지 환원제로 작용했는지 따질 수 있다.

실제로 산화수를 이용해서 산화제와 환원제를 파악해 보자. 아래의 반응은 굳이 산화수를 계산하지 않고도 파악할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예시이므로 계산해 보기로 한다.
이 반응에서 반응 전에는 Fe2O3와 3C가 있고, 탄소의 산화수는 0이다. 산소의 경우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면 산화수는 -2이다. 화합물 내의 원소들의 산화수 총 합은 0이다. 따라서 철의 산화수는 +3이다. 반응 후에는 2Fe와 3CO가 있고, 철의 산화수는 0이다. 산소의 산화수는 -2이다. 따라서 탄소의 산화수는 +2이다. 산화수의 변화를 정리해 보면 철의 산화수가 감소하였으므로 철은 이 반응에서 환원되었다. 그리고 탄소의 산화수는 증가하였으므로 이 반응에서 산화되었다. 따라서 산화제는 Fe2O3이고, 환원제는 C이다.

4. 화학Ⅰ에서

산화수는 산화·환원 반응을 파악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래 선지를 예로 들어 보자.

[1] 전기 음성도가 가장 큰 원소이므로 언제나 전자를 얻기 때문이다. [2] 금속의 전기 음성도가 수소의 전기 음성도(2.1)보다 작기 때문이다. [3] 산소보다 전기음성도가 큰 물질이 플루오린 뿐이기 때문이다. [4] H2O2의 경우, 화합물에서 산화수의 총합은 항상 0이라는 기본 규칙과 우선 순위가 높은 규칙 A, B에 의해 O의 산화수가 -1이 된다. [5] 중화 반응이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