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2 00:22:22

호위함/국가별 생산 동향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호위함
세계의 군함 생산 동향
초계함/국가별 생산 동향 호위함/국가별 생산 동향 구축함/국가별 생산 동향

1. 개요2. 아시아
2.1. 동아시아 3국의 호위함 생산2.2. 동남아시아 5국의 호위함 생산2.3. 남아시아 3국의 호위함 생산
3. 유럽
3.1. 서유럽, 남유럽, 동유럽 5국의 호위함 생산3.2. 북유럽, 중부유럽 5국의 호위함 생산
4. 관련 항목

1. 개요

2014년 기준으로 비교하면 근 6년 동안 호위함을 가장 많이 생산한 국가는 중국이다.

2. 아시아

2.1. 동아시아 3국의 호위함 생산

2008년 이후, 한중일 3국의 호위함 진수 ( 배수량: 만재기준)
시기 대한민국 일본 중국
2009년 2월 运城/Yuncheng(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2009년 4월 玉林/Yulin(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2009년 11월 益阳/Yiyang(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2010년 5월 常州/Changzhou(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2010년 8월 烟台/Yantai(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2011년 4월 인천( 인천급 Batch-1; 만재 3,251 톤) 盐城/Yancheng(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2011년 5월 衡水/Hengshui(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2011년 12월 柳州/Liuzhou(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临沂/Linyi(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2012년 5월 岳阳/Yueyang(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2012년 7월 潍坊/Weifang(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2012년 11월 三亚/Sanya(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2013년 4월 扬州/Yangzhou(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2013년 7월 경기( 인천급 Batch-1; 만재 3,251 톤)
2013년 9월 黄石/Huangshi(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三门峡/Sanmenxia(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2013년 11월 전북( 인천급 Batch-1; 만재 3,251 톤)
2014년 7월 黄冈/Huanggang(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2014년 8월 강원( 인천급 Batch-1; 만재 3,251 톤)
2016년 6월 대구( 인천급 Batch-2( 대구급); 만재 3,650 톤)

2.2. 동남아시아 5국의 호위함 생산

2008년 이후, 동남아시아 5국의 호위함 진수/인수 ( 배수량: 만재기준)
시기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2010년 12월 Dinh Tien Hoang( 게파르트급; 1,930 톤)
2011년 3월 Ly Thai To( 게파르트급; 1,930 톤)
2011년 5월 Gregorio del Pilar( 해밀턴급[1]; 3,250 톤)
2012년 5월 Ramon Alcaraz( 해밀턴급; 3,250 톤)

2.3. 남아시아 3국의 호위함 생산

2008년 이후, 남아시아 5국의 호위함 진수/인수 ( 배수량: 만재기준)
시기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2008년 4월 Zulfiquar( 줄피쿠아르급[2]; 3,144 톤)
2008년 10월 Shamsheer( 줄피쿠아르급; 3,144 톤)
2009년 5월 Saif( 줄피쿠아르급; 3,144 톤)
2009년 11월 Teg( 탈와르급; 4,035 톤)
2010년 6월 Tarkash( 탈와르급; 4,035 톤)
2010년 8월 Alamgi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4,200 톤)
2011년 5월 Trikand( 탈와르급; 4,035 톤)
2011년 6월 Aslat( 줄피쿠아르급; 3,144 톤)
2013년 5월 Somudro Joy( 해밀턴급; 3,250 톤)
2013년 12월 Abu Bakar[3]( 지앙후급; 2,393 톤)
Ali Haider( 지앙후급; 2,393 톤)

3. 유럽

3.1. 서유럽, 남유럽, 동유럽 5국의 호위함 생산

2008년 이후, 서유럽, 남유럽, 동유럽 5국의 호위함 진수 ( 배수량: 만재기준)
시기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러시아
2010년 4월 Aquitaine( 아키텐급; 6,000 톤)
2010년 10월 Admiral Flota Sovetskogo Soyuza Gorshkov(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4,550 톤)
2010년 11월 Cristóbal Colón( 알바로 데 바잔급; 6,391 톤)
2011년 7월 Carlo Bergamini( 베르가미니급; 6,900 톤)
2012년 3월 Virginio Fasan( 베르가미니급; 6,900 톤)
2012년 10월 Normandie( 아키텐급; 6,000 톤)
2013년 6월 Carlo Margottini( 베르가미니급; 6,900 톤)
2013년 9월 Provence( 아키텐급; 6,000 톤)
2014년 3월 Carabiniere( 베르가미니급; 6,900 톤) Admiral Grigorovich(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4,035 톤)
2014년 7월 Languedoc( 아키텐급; 6,000 톤)

3.2. 북유럽, 중부유럽 5국의 호위함 생산

2008년 이후, 북중유럽 5국의 호위함 진수 ( 배수량: 만재기준)
시기 독일 폴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2009년 2월 Thor Heyerdahl( 프리드요프 난센급; 5,290 톤)
2010년 3월 Iver Huitfeldt( 이버 후와이츠필트급[4]; 6,645 톤)
2010년 12월 Peter Willemoest( 이버 후와이츠필트급; 6,645 톤)
Niels Juel( 이버 후와이츠필트급; 6,645 톤)
2013년 12월 Baden-Württemberg( 바덴-뷔르템베르크급; 7,200톤)
2015년 4월 Nordrhein-Westfalen( 바덴-뷔르템베르크급; 7,200톤)
2016년 3월 Sachsen-Anhalt( 바덴-뷔르템베르크급; 7,200톤)
2017년 5월 Rheinland-Pfalz( 바덴-뷔르템베르크급; 7,200톤)

4. 관련 항목


[1] http://en.wikipedia.org/wiki/Hamilton_class_cutter [2] http://en.wikipedia.org/wiki/F-22P_Zulfiquar_class_frigate [3] http://en.wikipedia.org/wiki/BNS_Abu_Bakar [4] http://en.wikipedia.org/wiki/Iver_Huitfeldt-class_frigate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