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군함 생산 동향 | ||
초계함/국가별 생산 동향 | 호위함/국가별 생산 동향 | 구축함/국가별 생산 동향 |
1. 개요
2014년 기준으로 비교하면 근 6년 동안 호위함을 가장 많이 생산한 국가는 중국이다.2. 아시아
2.1. 동아시아 3국의 호위함 생산
2008년 이후, 한중일 3국의 호위함 진수 ( 배수량: 만재기준) | |||
시기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2009년 2월 | 运城/Yuncheng(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
2009년 4월 | 玉林/Yulin(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
2009년 11월 | 益阳/Yiyang(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
2010년 5월 | 常州/Changzhou(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
2010년 8월 | 烟台/Yantai(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
2011년 4월 | 인천( 인천급 Batch-1; 만재 3,251 톤) | 盐城/Yancheng(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
2011년 5월 | 衡水/Hengshui(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
2011년 12월 | 柳州/Liuzhou(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
临沂/Linyi(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
2012년 5월 | 岳阳/Yueyang(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
2012년 7월 | 潍坊/Weifang(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
2012년 11월 | 三亚/Sanya(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
2013년 4월 | 扬州/Yangzhou(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
2013년 7월 | 경기( 인천급 Batch-1; 만재 3,251 톤) | ||
2013년 9월 | 黄石/Huangshi(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
三门峡/Sanmenxia(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
2013년 11월 | 전북( 인천급 Batch-1; 만재 3,251 톤) | ||
2014년 7월 | 黄冈/Huanggang( 장카이급 II; 054A형 호위함; 만재 4,053 톤) | ||
2014년 8월 | 강원( 인천급 Batch-1; 만재 3,251 톤) | ||
2016년 6월 | 대구( 인천급 Batch-2( 대구급); 만재 3,650 톤) |
2.2. 동남아시아 5국의 호위함 생산
2008년 이후, 동남아시아 5국의 호위함 진수/인수 ( 배수량: 만재기준) | ||||||
시기 | 인도네시아 | 태국 | 말레이시아 | 필리핀 | 베트남 | |
2010년 12월 | Dinh Tien Hoang( 게파르트급; 1,930 톤) | |||||
2011년 3월 | Ly Thai To( 게파르트급; 1,930 톤) | |||||
2011년 5월 | Gregorio del Pilar( 헤밀턴급[1]; 3,250 톤) | |||||
2012년 5월 | Ramon Alcaraz( 헤밀턴급; 3,250 톤) |
2.3. 남아시아 3국의 호위함 생산
2008년 이후, 남아시아 5국의 호위함 진수/인수 ( 배수량: 만재기준) | ||||
시기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
2008년 4월 | Zulfiquar( 줄피쿠아르급[2]; 3,144 톤) | |||
2008년 10월 | Shamsheer( 줄피쿠아르급; 3,144 톤) | |||
2009년 5월 | Saif( 줄피쿠아르급; 3,144 톤) | |||
2009년 11월 | Teg( 탈와르급; 4,035 톤) | |||
2010년 6월 | Tarkash( 탈와르급; 4,035 톤) | |||
2010년 8월 | Alamgi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4,200 톤) | |||
2011년 5월 | Trikand( 탈와르급; 4,035 톤) | |||
2011년 6월 | Aslat( 줄피쿠아르급; 3,144 톤) | |||
2013년 5월 | Somudro Joy( 헤밀턴급; 3,250 톤) | |||
2013년 12월 | Abu Bakar[3]( 지앙후급; 2,393 톤) | |||
Ali Haider( 지앙후급; 2,393 톤) |
3. 유럽
3.1. 서유럽, 남유럽, 동유럽 5국의 호위함 생산
2008년 이후, 서유럽, 남유럽, 동유럽 5국의 호위함 진수 ( 배수량: 만재기준) | ||||||
시기 | 영국 | 프랑스 | 이탈리아 | 스페인 | 러시아 | |
2010년 4월 | Aquitaine( 아키텐급; 6,000 톤) | |||||
2010년 10월 | Admiral Flota Sovetskogo Soyuza Gorshkov( 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4,550 톤) | |||||
2010년 11월 | Cristóbal Colón( 알바로 데 바잔급; 6,391 톤) | |||||
2011년 7월 | Carlo Bergamini( 베르가미니급; 6,900 톤) | |||||
2012년 3월 | Virginio Fasan( 베르가미니급; 6,900 톤) | |||||
2012년 10월 | Normandie( 아키텐급; 6,000 톤) | |||||
2013년 6월 | Carlo Margottini( 베르가미니급; 6,900 톤) | |||||
2013년 9월 | Provence( 아키텐급; 6,000 톤) | |||||
2014년 3월 | Carabiniere( 베르가미니급; 6,900 톤) | Admiral Grigorovich( 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4,035 톤) | ||||
2014년 7월 | Languedoc( 아키텐급; 6,000 톤) |
3.2. 북유럽, 중부유럽 5국의 호위함 생산
2008년 이후, 북중유럽 5국의 호위함 진수 ( 배수량: 만재기준) | ||||||
시기 | 독일 | 폴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스웨덴 | |
2009년 2월 | Thor Heyerdahl( 프리드요프 난센급; 5,290 톤) | |||||
2010년 3월 | Iver Huitfeldt( 이버 후와이츠필트급[4]; 6,645 톤) | |||||
2010년 12월 | Peter Willemoest( 이버 후와이츠필트급; 6,645 톤) | |||||
Niels Juel( 이버 후와이츠필트급; 6,645 톤) | ||||||
2013년 12월 | Baden-Württemberg( 바덴-뷔르템베르크급; 7,200톤) | |||||
2015년 4월 | Nordrhein-Westfalen( 바덴-뷔르템베르크급; 7,200톤) | |||||
2016년 3월 | Sachsen-Anhalt( 바덴-뷔르템베르크급; 7,200톤) | |||||
2017년 5월 | Rheinland-Pfalz( 바덴-뷔르템베르크급; 7,200톤) |
4. 관련 항목
[1]
http://en.wikipedia.org/wiki/Hamilton_class_cutter
[2]
http://en.wikipedia.org/wiki/F-22P_Zulfiquar_class_frigate
[3]
http://en.wikipedia.org/wiki/BNS_Abu_Bakar
[4]
http://en.wikipedia.org/wiki/Iver_Huitfeldt-class_frig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