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5 07:21:39

형이상학

1. 개요
1.1. 예시1.2. 표현의 함의1.3. 어원
2. 분야
2.1. 일반 형이상학(존재론)2.2. 특수 형이상학
3. 서양 형이상학의 역사

[clearfix]

1. 개요

/ Metaphysics

형이상학이라는 단어는 사람들 사이에서 다양한 의미들로 쓰이기 때문에 다른 개념들처럼 쉽게 정의할 수 없는 편이다. 이것의 주제 특성상 정의하려고 해도 순환 논법 혹은 재귀적 정의에 해당하기 때문에 더 어려운 편이다.
형이상학은 존재의 본질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정의의 문제점은 존재 본질이라는 개념이 형이상학을 정의하는 데 쓰인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두 개념들 모두 이것들 자체로 형이상학의 탐구 주제들이며, 형이상학을 이해하기 전에, 이미 그 의미를 이해하거나 파악하는 것으로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1.1. 예시


형이상학자들의 목표는 근본적인 질문들에 관하여 나름의 답변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대답의 근거를 보임으로써 그들의 주장을 입증하는 것이다.[2]

1.2. 표현의 함의

현대의 한국어에서 일상적으로 "~은 형이상학적이다"라는 말은 "~은 너무 사변적이다", "~은 너무 추상적이다", "~은 뜬구름 잡는 소리다"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는 한다. 이는 비단 한국어만이 아니라 영어의 "metaphysical" 같은 표현의 일상적 쓰임새에서도 잘 드러난다. 즉 "형이상학"은 종종 '너무나 사변적이고 추상적인 소리만 하는 나머지 도저히 무슨 얘기를 하는 건지 종잡을 수 없는 것들'의 총칭으로 여겨진다.

그 타당성은 차치하고서라도 이러한 부정적 견해는 비단 일반인만이 아니라 많은 철학자, 심지어는 후대에 '형이상학자'로 분류되는 철학자들조차 종종 드러내는 견해이기도 하다. 즉 "x의 얘긴 너무 형이상학적이라 글러먹었어!"라고 하는 누군가의 주장이 후대의 철학사 작업에선 형이상학적 주장으로 여겨지는 것.

일반적으로 형이상학에 대해 말하거나 할 때 할 수 있는 한 물리적이거나 실체적인 방향으로 쓰는 편이 좋다. 선술된 키워드를 봐도 감각, 물리학, 자아, 의지, 신의 실존 여부 등 나름대로 꽤 실체적인 물음에 기반하고 있고 이것을 하다 보니 존재니 본질이니 하는 모호한 부분까지 올라가는 것이다. 이런 부분에서 형이상에 대비해서 형이하니 하는 말은 별로 쓸 이유도 없다.[3] 주술, 초능력, 마법 등 초현실적인 부분은 형이상학적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은 큰 관련이 없다. 선술된 예시 가운데 본질이란 건 어떤 초월적인 본체다 따위의 답변, 신은 있는가 따위는 주술 등등과 아주 연관이 없다고 할 수 없겠지만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없다.

1.3. 어원

"Metaphysics"라는 표현은 고전 그리스어 "τὰ μετὰ τὰ φυσικὰ βιβλία (Ta meta ta physika biblia)"라는 표현에서 유래했으며, 그 본래 뜻은 '자연학 뒤에 오는 책'이다. 왜냐면 자연철학을 연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책이 『자연학(Φυσικὴ ἀκρόασις)』인데, 로도스의 안드로니쿠스(BC 284?~BC 204?)라는 인물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물을 정리하면서 아리스토텔레스 자신이 "제1철학"이라고 부른 자료를 모아 "『자연학』 뒤에 오는 책"이라는 제목으로 종합한 것. 어쨌든 원래는 책 제목이었는데, 어째 표현이 "자연적인 것(물리적인 것)의 너머에 있는 것" 정도의 의미도 되는지라 학문의 이름으로 정착되었다.

메타피직스(metaphysics)의 메타(meta)는 '이후'와 '초월적'이라는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된다. 어떤 이들은 이 책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책 다음에 엮여 있었기에 『형이후학』이라고 불리게 되었고 나중 철학자들이 이를 형이상학이라고 잘못 해석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다른 이들은 메타피직스라는 용어로 줄여부르는 것 자체가 이미 초월적이라는 뜻으로 해석될 것을 의도한 행위였다고 주장한다. 만약 메타피직스가 가진 두 가지 의미중 '초월적'을 강조한다면 '파타피직스(pataphysics)'라 부르는게 더 어울릴 수 있다. 이 파타피직스라는 단어는 사이비 철학을 의미하는 단어로 쓰이기도 한다.

그 후 일본의 학자들이 "Metaphysics"를 『 주역』 「계사」에 나오는 표현("形而上者謂之道, 形而下者謂之器")[4]을 빌려서 형이상학(形而上學)이라고 번역했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자연학[5] 뒤에 "Metaphysics"를 둔것은 다분히 의도적인 것이었다. 그는 방대한 자연산물의 연구를 통해서 그 대상들을 체계적인 지식안에서 정리하였다. 그 다음, 자신의 연구를 되돌아 보았을 때, 모든 자연물에 대한 연구는 어떤 규칙이 포괄적으로 적용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그래서 그는 자연 만물의 대상의 규칙을 파악하는 인간 정신의 어떤 규칙적인 능력이 있음을 확인했고, 그것을 '지혜'라고 불렀다. 그리고 그 '지혜를' 배우는 학문을 '형이상학'이라 명명한 것이다.
아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언급이다.
즉, 지혜라고 명명할 수 있는 인식은 제1의 원인이나 원리를 대상으로 삼는다는 사실이 모든 사람들의 통념이라는 점에 있다. 따라서, 앞서도 말한 바와 같이, 경험자도 단순한 감각만 가지고 있는 사람과 비교하면 한층 지혜 있는 사람이지만 다만 이 경험자보다도 기술자 쪽이, 또 일꾼보다도 설계자 쪽이, 그리고 제작적(생산적)인 지식보다도 관조적인 지식 쪽이 한층 지혜가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이상으로 보면 지혜란 그 어떤 원인이나 원리를 대상으로 하는 학문임이 분명하다.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김천운 역, 동서문화사, 제1권 제1장.

2. 분야

17세기~18세기 철학자였던 크리스티안 볼프는 형이상학을 두 분야들로 나누었다. 칸트의 순수이성-실천이성 비판에도 영향을 주었다는 설이 있다. 하지만 현대에는 해당 분야들이 통용되지 않는다.

2.1. 일반 형이상학(존재론)

/ Ontology

'존재로서의 존재(τοῦ ὄντος ᾗ ὂν; tou ontos e on)'를 다루는 분야. 존재론이라고도 불리며, 플라톤의 <소피스테스>에서의 일화를 따 종종 ' 거인들의 싸움'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수리논리학이나 언어철학, 과학철학[6]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전통적으로 다루어지는 주제들, 그리고 각 주제에 관한 고전적인 견해들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2.2. 특수 형이상학

대표적으로 , 영혼, 자유의지를 다루고자 하는 분야. 기독교적 영향력이 강했던 서양중세철학 때부터 대두된 분야로, 중근세 서양인들은 도덕 혹은 윤리학의 성립근거가 완전한 것에 기반해야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를 중요하게 여겼다. 대표적인 질문들은 다음과 같다: 이런 주제들은 현대엔 주로 종교철학, 심리철학 등의 독립된 분과에서 다루어지지만, 여전히 넓은 의미에서의 '형이상학'에는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다.[10]

3. 서양 형이상학의 역사

3.1. 고대 철학

탈레스 등의 이오니아 자연철학자들은 '있는 것이란 곧 x이다'라는 주장을 펼쳤다는 점에서 형이상학의 효시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이후 형이상학의 본격적인 논의틀은 헤라클레이토스 파르메니데스 때부터 마련되었다. 특히 파르메니데스는 흔히 '변화하지 않는 것만이 진짜 존재하는 것이고, 변화하는 현상은 전부 가짜'라고 주장한 것으로 해석된다.

파르메니데스로부터 영향을 받은 플라톤은 (적어도 중기 저작부터) '정말로 존재하는 것은 눈 앞에 있는 시공간 상의 물체가 아니라, 이를 초월한 불변하는 형상'이라고 주장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흔히 개별자(예. 눈 앞의 고양이)와 보편자(예. '고양이'라는 형상)을 나누고, 보편자를 우선하는 최초의 본격적인 입장으로 여겨지고는 한다.

이를 비판적으로 계승한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이상학』에서 실체를 탐구하는 학문을 "제1철학" 혹은 "신학"이라고 부른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한편으로는 모든 존재와 생성의 보편적 근원인 " 부동의 원동자" 혹은 " 제1실체"를 상정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를 계승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감각적/현실적/개별적인 것들이 모여 보편적인 종을 성립한다고 보는 점에서 플라톤과는 다른 입장을 제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11][12]

이후 신플라톤주의, 스토아 학파 고대 로마를 거쳐가며 또한 다양한 형이상학적 논쟁을 이어나갔다. 특히 이러한 논쟁은 영지주의 등 초기 기독교의 정립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플로티노스에 의해 창시되었다고 여겨지는 신플라톤주의는 만물의 영장인 인간이 현상계[13] 속에서도 초월적인 일자의 흔적을 눈치챌 수 있고, 이를 통해 노력함으로써 초월적 세계에 도달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침으로써 영지주의 및 기독교에 사상적 토대를 제공했다. 이처럼 신플라톤주의 등으로부터 유래한 ' 실체, 세계는 현상'이라고 보는 관점이 중세, 나아가 근대까지 유지되었다는 시각도 있다.[14]

3.2. 중세 철학

로마시대 말 속주 출신인 아우구스티누스는 신플라톤주의를 상당부분 계승한 철학자로서 시간을 비롯한 다양한 형이상학적 주제들에 대한 독창적인 업적을 남겼다.

샤를마뉴 시기의 문예 부흥기에 본격적으로 스콜라 철학이 시작되면서 형이상학은 다시금 발전하기 시작한다. 특히 『범주론』 등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에서 제기되는 여러 문제들은 속성의 존재 여부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낳기 시작했으며, 이런 ' 보편 논쟁'을 통해 본격적으로 보편자 실재론 유명론 간의 차이가 명시화되기 시작한다.[사실] 기욤 드 샹뽀, 로스켈리누스, 아벨라르두스, 토마스 아퀴나스 등이 대표적인 인물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슬람 문화권에서 보존 및 ( 이븐 시나 같은 철학자를 통해) 발전된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들이 13세기 무렵부터 서유럽으로 흘러들어옴에 따라 재발굴된 아리스토텔레스주의적인 형이상학 또한 이런 여러 논쟁에 본격적으로 개입한다.[16] 토마스 아퀴나스가 대표적인 아리스토텔레스주의 형이상학자에 해당한다. 이에 반하여 오컴의 윌리엄 등에 의하여 유명론 또한 지속적으로 보다 세련되게 발전을 이루어나간다.[17]

3.3. 근현대 철학

3.3.1. 17세기- 18세기

아리스토텔레스가 다양한 유형의 실체를 상정한 것과 달리, 기계론적인 사유에 영향을 받은 르네 데카르트 물질 정신이라는 두 가지 실체만이 존재한다고 주장한 이원론을 제시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런 데카르트의 견해는 곧 몸과 마음 간의 관계를 따지는 심리철학 분야를 촉발시킨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데카르트의 이런 합리주의적 접근법은 스피노자에게 이어져 일원론임과 동시에 범신론에 해당하는 당대의 이단적인 학설로 이어졌고, 다른 한편으로는 모나드 가능세계로 유명한 라이프니츠의 독창적인 형이상학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다른 한편 영국 경험론적 전통에서는 형이상학 자체에 대한 문제의식이 발전하게 된다. 그 선구자라고 할 수 있는 존 로크는 명시적으로 경험이 닿지 않는 형이상학적 실체를 인정한다는 점에서 그런 문제의식을 완전히 성취하지는 못했지만, 조지 버클리는 이런 실체, 특히 물리적 실체를 인정할 만한 근거가 없다는 논증을 펼침으로써 관념론을 옹호하였다. 한 발 더 나아가 데이비드 흄 실체, 인과 등을 아예 거부하며 전통적인 형이상학과 결별해야한다는 입장을 펼침으로써 근대 경험주의 전통을 확립했다.

이런 흄의 정신은 임마누엘 칸트에게 이어졌으며, 결국 칸트는 유명한 『순수 이성 비판』에서 경험을 넘어서는 ' 사물 자체'를 연구하려 시도하는 전통적인 형이상학이 원리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표하며, 형이상학의 소임은 그 대신 인간의 "순수 이성의 범위"를 규정하고 따지는 데 있다는 반실재론적 견해를 정식화한다.

3.3.2. 19세기

피히테, 셸링 등은 칸트 이론철학의 특정한 측면을 발전시켜 이른바 '독일 관념론'으로 알려진 관념론적 철학을 구축해나가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런 흐름은 헤겔의 방대한 철학 체계에서 정점을 이루었다고 간주된다. 종종 "헤겔 좌파"로 분류되기도 하는 카를 마르크스 역시 루트비히 포이어바흐 유물론과 더불어 이런 헤겔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존재의 보편적 원리와 형식에 대한 철학적 이론으로서의 존재론은 부르주아 저술가들에 의해 형이상학으로 불린다. 맑스주의 저술가들은 형이상학을 17-18세기 학문에서 사용된 일정한 인식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그리고 그것(형이상학-역자)의 특수한 방법은 객관적 세계의 개별적 측면의 절대화이다. 이 방법은, 과학이 자연이나 사회생활에 있어서 복잡한 과정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과 해석에 이르기 전에, 사실들의 수집, 기술, 분류에 주요하게 종사하던 시기에 일정한 긍정적인 결과를 산출했다. ‘형이상학’이라는 용어의 이러한 의미는 헤겔로부터 기원했다.
P. 코프닌, 『인식론‧논리학으로서의 변증법에 관한 맑스-레닌주의적 견해』, 박한솔 역, 노동사회과학연구소.

반면 헤겔과 동시기를 보낸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는 당대 헤겔의 철학 체계에 대하여 강력히 반발하였으며, 이런 기조는 서양 철학 자체를 전복시키려 한 프리드리히 니체에게도 상당 부분 이어진다. 힘에의 의지 같은 개념이 대표적인 예시다. 쇠렌 키르케고르 역시 전통적인 형이상학에 대한 의문을 표함으로써 실존주의의 기틀을 닦았다.

다른 한편 신칸트주의자들은 칸트의 정신을 이어 여러 근본적인 형이상학적 개념들에 대한 성찰을 이어갔고, 또한 철학 외적으로는 자연과학의 발달에 따라 사변적인 형이상학에 대한 회의적인 시선이 점정 증대되기 시작했다.

3.3.3. 20세기 대륙철학

현상학을 창시한 에드문트 후설은 적어도 초기 사상에선 형이상학에 대해 회의적이거나, 혹은 관념론에 가까운 입장을 취했다고 보는게 통설이다. 마르틴 하이데거는 후설에게 헌정한 『존재와 시간』에서 "존재(Das Sein)와 존재자(Das Seiende)[18]를 구분하고, 플라톤부터 헤겔에 이르기까지 서양 철학사의 유력한 철학자들이 모두 " 존재"가 아닌 "존재자"를 문제삼았음을 비판함으로써[19] 20세기 대륙철학 전통에서의 형이상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논란은 있지만 하이데거의 철학이 장폴 사르트르 등을 비롯한 실존주의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점 역시 지적되고 있다.

아울러 앙리 베르그송 프랑스 전통에서의 형이상학에 관한 기틀을 마련했으며, 이런 흐름은 상기한 현상학, 실존주의 및 그외 여러 흐름들과 결합하여 질 들뢰즈 현대에 잘 알려진 여러 프랑스 형이상학자들로 이어진다.

3.3.4. 20세기 분석철학

고틀로프 프레게, 버트런드 러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분석철학 선구자들의 형이상학적 입장은 통일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반면 분석철학을 실질적으로 수립한 논리 실증주의는 영국 경험주의의 영향을 깊게 받아 "형이상학적 진술은 무의미하다"는 과격한 입장을 옹호한 것으로 유명하며, 이는 21세기 현재까지도 세간에서 분석철학에 대해 품는 인상 중 하나로 남아 있다.

다만 실제 학계에서는 1950년대 이래 논리 실증주의가 붕괴하고 콰인에 의해 존재론이 복권되었으며, 더욱이 양상논리가 발달하면서부터 솔 크립키의 『 이름과 필연』, 데이비드 루이스의 『세계의 다수성에 관하여』 등으로 대표되는 형이상학자들의 연구는 분석철학 가운데 가장 활발한 학제로 떠오르게 된다. 다만 21세기부터 이런 사변적 '분석 형이상학'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 또한 다시 떠오르게 된다. 자세한건 해당 문서 참조.

[1] 사람들이 정말로 이런 생각들을 하기도 한다. [2] 형이상학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형이하학이 있다. 어원은 형이하학이라는 말은 끼워맞춰진 것에 가깝고, 정의는 자연학과 비슷하지만, 사전에도 등재되었다. [3] 쓸데없이 사변적이거나 추상적으로 되기 쉽다. 그냥 물체 등으로 표현하면 그만이다. [4] 형이상자(形而上者). 즉 형상 이전의 것을 일컬어 도(道)라고 하며, 형이하자(形而下者). 즉 형상 이후의 것을 일컬어 기(器)라고 한다. [5] (그리스어) Φυσικὴ ἀκρόασις Phusike akroasis, (라틴Physica), (영문)Physics, 현재는 물리학이라고 명칭되는 단어. [6] 특히 양자역학의 해석이나 과학적 실재론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7] 이것은 칸트가 인식론에서 오성의 선험적 범주라는 개념을 도입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8] "four-dimensionalism". 논란의 여지는 있으나 데이빗 루이스가 붙인 "perdurantism"이라는 이름도 자주 쓰인다. [9] "3차원 시간 단면"은 물리적 공간이 일단 3차원이라는 가정하에서 붙인 명칭이다. 만약 초끈 이론에서 말하듯 공간이 10차원이라면 "10차원 시간 단면"이 된다. [10] 이외에도 인식론을 형이상학의 분야로 보는 시각도 있는 듯하나 데이비드 흄이 인식론에서 형이상학의 역할을 분리시킨 이래로, 인식론은 현재 거의 별도의 분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11] The Metaphysics,Aristotle, by Hugh Tredennick(영역) MCMXXXIII(1933) https://archive.org/details/in.ernet.dli.2015.185284/mode/2up [12] (wikisource)Metaphysics by Aristotle, translated by W. D. Ross and J. A. Smith https://en.wikisource.org/wiki/Metaphysics_(Ross,_1908) [13] 주로 동아시아 철학과 불교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인간이 경험하고 인식할 수 있는 현실 세계를 말한다.(인간의 시각, 촉각, 미각, 후각을 통해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세계를 말하며 오감을 통해 인식되고 현실 세게ㅔㅇ서 직접 접하는 사물과 사건들을 포함했다.) 현상은 '드러나는 것 혹은 표면에 나타나는 것'이고 계는 '계층 혹은 세계'를 의미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감각을 통해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물리적이고 감각적인 세계를 의미한다 할 수 있다. 현상계의 개념은 불교 철학에서 특히나 중요한 것으로 이 현상계는 일시적이고 변화무쌍한 것으로 궁극적 진리와 본질적 실체는 현상계 너머에 있고 이를 매개로 현실의 본질을 이해하고 진정한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탐구했고(이외에도 상속계와 같은 개념으로 현상계는 인간의 감각과 마음에 의해 형성된 본질적으로 무상하고 변동적이며 궁극적 실체가 아닌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들의 집합체를 의미했다.) 동아시아 철학에서는 주로 감각적 경험과 관련된 세계를 의미하고 이 세계를 넘어서 있는 본질적이고 영원한 진리를 추구하는 것이 철학적, 종교적 목표로 삼아지기도 했고 이마누엘 칸트는 인간의 감각과 인식에 의해 형성된 세계로 설명했는데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것들은 '현상'으로 물자체(noumenon)라는 객관적 현실에 따라 우리가 직접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개념으로 즉, 현상계는 우리가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세계는 물자체의 본질을 완전히 반영한다 할 수는 없는 것이라 설명했다. 끈힘없이 변화하고 각 개인의 주관적 인식에 따라 다르게 경험될 수 있고 자연의 법칙에 따라 작동해서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 다양한 학문 및 분야에서 연구되는 원리와 벛빅들이 이 세계(=현상게)를 설명하며 현상계 내의 사물과 사건들은 서로 상호작용하고 연관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호작용은 복잡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모든 것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관점을 제공하며 인간의 인식과 경험을 통해 형성된 복잡하고 변화무쌍한 현실을 의미했다. [14] 김용옥이 플라톤부터 헤겔까지의 철학은 신화 또는 종교에 불과했다고 비판했다고 한다. 진지하게 받아들일지 여부는 보는 이가 판단할 몫. [사실] 보편논쟁의 시발점은 신플라톤주의의 수장이었던 플로티노스의 제자 포르피리오스가 쓴 아리스토텔레스 『범주론』입문서인 『이사고게』에서 종과 유의 실재성을 물어보면서 시작되었다. 포르피리오스는 이 질문이 논리학적인 질문이 아니라 형이상학에 관련된 질문이라면서 대답을 회피했고, 이에 대한 최초의 해답을 내놓은 것은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교부시대의 보에티우스였다. 보편논쟁이 스콜라 시기 및 후기 스콜라 시기까지도 논쟁거리이긴 했지만 단초는 스콜라 철학이 발생하기 훨씬 전부터 존재했다. [16] 더불어 신플라톤주의 또한 비슷한 경로로 재유입되어 르네상스 미학에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17] 이러한 형이상학적 논쟁은 신학적 함축을 갖는 것으로도 해석된다. 예컨대 토마스 아퀴나스의 아리스토텔레스주의가 '이성을 통한 신학 체계의 구축'에 동정적이었던 반면, 오컴은 이성에 기초한 신학체계의 구축에 반대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18] 유(有)라고도 번역하고, 중국에서는 마태오 리치가 존유(存有)로 번역한 것을 계기로, 존유라 쓰기도 한다. '존재자(存在者)'라는 번역은 일본에서 처음 한 것인데, 학자에 따라서는 '존재자'라는 번역을 매우 혐오하는 경우도 있다. 재(在)라는 한자는 언어적으로 볼 때 '그러그러한 상태에 현재적으로 있음'의 뉘앙스를 가지고, 자(者)라는 한자 역시도 부적절하다는 시각이 있기 때문. 이를테면 서강대 철학과 정의채 교수는 <신학대전>을 번역하면서, 1권의 말미에 작가의 말 중 상당수를 할애해서 '존재자'로 번역한 일본인들을 비판했다. [19] 하이데거는 이를 '존재망각의 역사'라고 규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