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인물을 모티브로 한 소설 《녹정기》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색액도(녹정기) 문서 참고하십시오.
청사고(淸史稿)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00386a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00386a |
1권 「태조기(太祖紀)」 | 2·3권 「태종기(太宗紀)」 | 4·5권 「세조기(世祖紀)」 | |||
애신각라 노이합적 | 애신각라 황태극 | 애신각라 복림 | ||||
6·7·8권 「성조기(聖祖紀)」 | 9권 세종기(世宗紀)」 | 10·11·12·13·14·15권 「고종기(高宗紀)」 | ||||
애신각라 현엽 | 애신각라 윤진 | 애신각라 홍력 | ||||
16권 「인종기(仁宗紀)」 | 17·18·19권 선종기(宣宗紀)」 | 20권 「문종기(文宗紀)」 | ||||
애신각라 옹염 | 애신각라 민녕 | 애신각라 혁저 | ||||
21·22권 「목종기(穆宗紀)」 | 23·24권 덕종기(德宗紀)」 | 20권 「선통제기(宣統帝紀)」 | ||||
애신각라 재순 | 애신각라 재첨 | 애신각라 부의 | ||||
214권 「후비전(后妃傳)」 | ||||||
효정경황후 · 정강귀비 · 각순귀비 · 효각민황후 · 액이덕특씨 |
※ 26권 ~ 160권은 志에 해당. 161권 ~ 213권은 表에 해당.
청사고 문서 참고
}}}}}}}}}}}} - [ 열전(列傳) ]
- ||<-6><tablebgcolor=#fecd21><tablewidth=100%> 215·216·217·218·219·220·221권 「제왕전(諸王傳)」 ||
애신각라 예돈 · 애신각라 액이곤 · 애신각라 재감 · 애신각라 탑찰편고 · 애신각라 막이합제 · 애신각라 서이합제 · 애신각라 아이합제 · 애신각라 파아랍 · 애신각라 저영 · 애신각라 대선 · 애신각라 아배 · 애신각라 탕고대 · 애신각라 망이고태 · 애신각라 탑배 · 애신각라 아파태 · 애신각라 파포태 · 애신각라 덕격류 · 애신각라 파포해 · 애신각라 아제격 · 애신각라 뇌모포 · 애신각라 다이곤 · 애신각라 다탁 · 애신각라 비양과 · 애신각라 호격 · 애신각라 엽포서 · 애신각라 석새 · 애신각라 고새 · 애신각라 상서 · 애신각라 도새 · 애신각라 박목박과이 · 애신각라 복전 · 영친왕 · 애신각라 상녕 · 애신각라 융희 · 애신각라 윤제 · 애신각라 윤잉 · 애신각라 윤지 · 애신각라 윤기 · 애신각라 윤우 · 애신각라 윤사 · 애신각라 윤당 · 애신각라 윤아 · 애신각라 윤도 · 애신각라 윤상 · 애신각라 윤제 · 애신각라 윤파 · 애신각라 윤례 · 애신각라 윤의 · 애신각라 윤희 · 애신각라 윤호 · 애신각라 윤기 · 애신각라 윤비 · 애신각라 홍주 · 애신각라 홍휘 · 애신각라 영황 · 애신각라 영련 · 애신각라 영장 · 애신각라 영기(永琪) · 애신각라 영종 · 애신각라 영선 · 애신각라 영성 · 애신각라 영기(永璂) · 애신각라 영성 · 애신각라 영린 · 애신각라 면개 · 애신각라 면흔 · 애신각라 면유 · 애신각라 혁위 · 애신각라 혁강 · 애신각라 혁계 · 애신각라 혁흔 · 애신각라 혁환 · 애신각라 혁합 · 애신각라 혁혜 · 민군왕 222권 「아합출등전(阿哈出等傳)」 아합출 , 석가노 맹가불화 이만주 완자독 맹가첩목아 범찰 동산 탈라 탈원보 불화투, · 왕고 , 왕올당, 223권 「만등전(萬等傳)」 만 , 호이간 맹가포록 대산 오이고대, · 청길노 · 양길노 , 납림포록 금태석 포한 포양고 포이항고, 포점태 · 배음달리 224권 「장황언등전(張煌言等傳)」 225권 「액역도등전(額亦都等傳)」 장황언 , 나륜 장명진 왕익, · 정성공 , 정금 정극장 정극상 정극거, · 이정국 액역도 · 비영동 , 삭해 왜흑, · 하화례 , 다적례 화석례 도류, · 안비양고 · 호이한 238권 「장혁덕등전(蔣赫德等傳)」 장혁덕 · 액색혁 · 차극 · 파합나 · 송권 · 부이점 · 여궁 · 성극공 · 김지준 · 왕영길 · 당숭아 247권 「팽이술등전(彭而述等傳)」 팽이술 · 육진분 · 요연저 · 필진희 · 방국동 · 우붕거 · 왕천감 · 조정표 250권 「이위등전(李霨等傳)」 이위 · 손정전 · 두입덕 · 풍부 · 왕희 · 오정치 · 황기 · 송덕선 · 이상아 · 아란태 · 서원문 251권 「도해등전(圖海等傳)」 252권 「감문혼등전(甘文焜等傳)」 마가도해 · 이지방 감문혼 · 범승모 · 마웅진 · 부홍열 253권 「막락등전(莫洛等傳)」 막락 · 진복 · 왕지정 · 비아달 · 이흥원 · 진계태 · 진단적 · 마비 · 엽앙류 255권 「장용등전(張勇等傳)」 장용 · 조양동 · 왕진보 · 손사극 256권 「채육영등전(蔡毓榮等傳)」 채육영 · 합점 · 항애 · 화선 · 동위국 · 동국정 · 주유덕 · 장덕지 · 윤벽 · 왕계문 257권 「조국조등전(趙國祚等傳)」 조국조 · 허정 · 주구 · 서치도 · 호세영 · 당희순 · 이린 · 조응규 · 조뢰 · 이방술 · 진세개 · 허점수 261권 「양첩등전(楊捷等傳)」 양첩 · 석조성 · 만정색 · 오영 · 감리 · 황오 · 방태 · 목혁림 · 단응거 262권 「위예개전(魏裔介等傳)」 263권 「왕홍조전(王弘祚等傳)」 위예개 · 웅사리 · 이광지 왕홍조 · 요문연 · 위상추 · 주지필 · 조신교 264권 「학유눌등전(郝維訥等傳)」 265권 「탕빈등전(湯斌等傳)」 학유눌 · 임극부 · 유홍유 · 유건 · 주배 · 장정추 탕빈 · 손지욱 · 육롱기 · 장백행 266권 「엽방애전(葉方藹等傳)」 267권 「장옥서등전(張玉書等傳)」 엽방애 · 심전 · 여두눌 · 서원공 · 허삼례 · 왕사정 · 한담 · 탕우증 장옥서 · 이천복 · 오전 · 장영 · 진정경 · 온달 · 소영조 · 숭축 · 왕서령 268권 「미사한등전(米思翰等傳)」 269권 「색액도등전(索額圖等傳)」 미사한 · 고팔대 · 마이한 · 전육선 · 두진 · 살목하 색액도 · 명주 , 여국주 불륜, 270권 「학욕등전(郝浴等傳)」 271권 「서건학등전(徐乾學等傳)」 272권 「탕약망등전(湯若望等傳)」 학욕 · 양소온 · 곽수 서건학 , 옹숙원, · 왕홍서 · 고사기 탕약망 · 양광선 · 남회인 273권 「이솔태등전(李率泰等傳)」 이솔태 · 조정신 · 낭정좌 · 동봉채 · 마륵길 · 시유한 304권 「장조등전(張照等傳)」 장조 · 감여래 · 진덕화 · 왕안국 · 유오룡 · 양여곡 · 장태개 · 양석불 · 팽계풍 · 손희렴 · 몽린 305권 「전진군등전(錢陳群等傳)」 전진군 · 심덕잠 · 김덕영 · 전재 · 제소남 · 진조윤 · 동방달 · 전유성 · 추일계 · 사용 · 왕창 306권 「조사일등전(曹一士等傳)」 307권 「위위곽전(魏韋郭傳)」 조사일 · 이신수 · 호정 · 중영단 · 시조생 · 저인지 윤계선 · 유우의 · 진대수 · 장윤수 · 진굉모 308권 「나소도등전(那蘇圖等傳)」 나소도 · 왕초증 · 서사림 · 윤회일 · 왕서 · 방현 · 풍광유 · 양석불 · 반사구 · 호보전 · 왕창 318권 「아계전(阿桂傳)」 319권 「우민중등전(于敏中等傳)」 장가아계 우민중 · 뉴호록 화신 · 소릉아 322권 「두광내등전(竇光鼐等傳)」 323권 「황정계등전(黃廷桂等傳)」 두광내 · 이수방 · 범의빈 · 조석보 · 사진정 · 전풍 · 윤장도 황정계 · 악미달 · 양정장 · 장유공 · 이시요 · 오미태 · 관보 324권 「방관승등전(方觀承等傳)」 방관승 · 부찰부명안 · 주원리 · 이한 · 이세걸 · 원수동 · 정대진 · 유아 · 육요 · 관간정 · 장조규 · 호계당 325권 「이청시등전(李淸時等傳)」 326권 「개태등전(開泰等傳)」 이청시 · 요입덕 · 이굉 · 하위 · 오사작 · 살재 · 난제석 · 한횡 개태 · 아이태 · 계림 · 원푸 340권 「왕걸등전(王傑等傳)」 341권 「경규등전(慶桂等傳)」 왕걸 · 동고 · 주규 경규 · 유관지 · 대구형 · 대균원 · 탁진 · 장후 · 노음부 342권 「보녕등전(保寧等傳)」 343권 「서린등전(書麟等傳)」 보녕 · 송균 · 배탄 · 박계특 서린 · 각라길경 · 각라장린 · 비순 · 장백령 · 백린 344권 「늑보등전(勒保等傳)」 345권 「영보등전(永保等傳)」 늑보 · 액륵등보 , 호시현, · 덕릉태 영보 · 혜령 · 의면 · 영선 · 복녕 · 경안 · 태승은 386권 「문경등전(文慶等傳)」 387권 「숙순등전(肅順等傳)」 388권 「계량등전(桂良等傳)」 문경 · 문상 · 보윤 숙순 · 목음 · 초우영 계량 · 서린 · 관문 · 문욱 389권 「백준등전(柏俊等傳)」 390권 「가정등전(賈楨等傳)」 391권 「왜인등전(倭仁等傳)」 백준 · 인괴 · 서상 · 전경 가정 · 주조배 · 주봉표 · 단무겸 왜인 · 이당계 · 오정동 392권 「새상아등전(賽尙阿等傳)」 393권 「이성원등전(李星沅等傳)」 394권 「서광진등전(徐廣縉等傳)」 새상아 · 눌이경액 이성원 · 주천작 · 노숭광 서광진 · 엽명침 · 황종한 395권 「상대순등전(常大淳等傳)」 상대순 , 쌍복 왕금수 왕수동, · 장문경 · 도은배 , 다산, · 길이항아 · 나준전 · 서유임 · 왕유령 396권 「오문용전(吳文鎔等傳)」 397권 「육건영등전(陸建瀛等傳)」 오문용 · 반탁 · 등이항 육건영 · 양정문 · 청린 · 숭륜 · 하계청 399권 「여현기등전(呂賢基等傳)」 여현기 · 추명학 · 대희 · 장비 · 황종 · 도정걸 · 풍배원 · 손명은 · 심병원 · 장석경 400권 「하계진등전(何桂珍等傳)」 401권 「상영등전(向榮等傳)」 하계진 · 서풍옥 · 온소원 · 김광저 · 이맹군 · 조경현 상영 · 화춘 · 장국량 402권 「오란태등전(烏蘭泰等傳)」 오란태 · 등소량 · 주천수 · 요문선 · 문서 · 팽사거 · 장옥량 · 노점오 · 유계삼 · 서쌍래 · 구등룡 · 왕국재 · 호곤원 · 대문영 403권 「승보등전(勝保等傳)」 404권 「승격림심등전(僧格林沁等傳)」 승보 · 탁명아 · 진금수 · 덕흥아 승격림심 · 서통액 · 항령 · 소극금 · 하건오 · 전순 · 사영춘 · 악선 405권 「증국번전(曾國籓傳)」 406권 「낙병장등전(駱秉章等傳)」 407권 「강충원등전(江忠源等傳)」 증국번 낙병장 · 호림익 강충원 · 나택남 408권 「이속빈등전(李續賓等傳)」 409권 「탑제포등전(塔齊布等傳)」 이속빈 · 정예의 · 증국화 · 이속의 · 왕진 · 유등홍 · 장익풍 탑제포 · 필금과 · 다융아 · 포초, 송국영 누운경 담등달, · 당인겸 · 유송산 410권 「팽옥린등전(彭玉麟等傳)」 411권 「이홍장전(李鴻章傳)」 팽옥린 · 양악빈 · 왕명산 · 손창개 · 양명해 · 사준여 이홍장 412권 「좌종당전(左宗棠傳)」 413권 「증국전등전(曾國荃等傳)」 좌종당 증국전 · 심보정 · 유곤일 414권 「이신전등전(李臣典等傳)」 이신전 · 소부사 · 이원길 · 유연첩 · 팽육귤 · 장시일 · 오유수 · 주남계 · 나봉원 · 이상화 · 소경연 · 오종국 415권 「황익승등전(黃翼升等傳)」 황익승 · 정의방 · 왕길 · 오가방 · 이성모 · 이조빈 · 강복산 · 유배원 416권 「정학계등전(程學啟等傳)」 정학계 · 하안태 · 정국괴 · 유명전 · 장수산 · 주성파 · 주성전 · 반정신 · 오장경 418권 「원갑삼등전(袁甲三等傳)」 419권 「낙병장등전(左宗棠傳)」 420권 「한초등전(韓超等傳)」 원갑삼 · 모창희 유장우 · 유악소 · 잠육영 한초 · 전흥서 · 증벽광 · 석보전 421권 「심조림등전(沈兆霖等傳)」 심조림 · 조육영 · 허내보 · 조광 · 주준 · 이함 · 장상하 · 나돈연 · 정돈근 · 방종로 422권 「왕무음등전(王茂廕等傳)」 왕무음 · 송진 · 원희조 · 문서 · 육록 · 서계여 · 왕발규 · 염조윤 · 뇌이함 · 도양 · 오존의 · 은조용 423권 「종직진등전(宗稷辰等傳)」 424권 「오진역등전(吳振棫等傳)」 종직진 · 윤경운 · 왕증 · 목집향아 · 유백천 오진역 · 장량기 · 모홍빈 · 장개숭 425권 「이혜등전(李僡等傳)」 426권 「왕경운등전(王慶雲等傳)」 이혜 · 오당 · 영한 · 유용 · 교송년 · 전정명 · 오원병 왕경운 · 담정양 · 마신이 · 이종희 · 서종간 · 왕개태 · 곽백음 451권 「이조의등전(李朝儀等傳)」 이조의 · 단기 · 정수창 · 증기봉 · 저유립 · 서철산 · 계중행 · 유함방 · 진횡거 · 유지개 · 이용청 · 이금용 · 김복증 , 웅기영 사복가, · 동조용 452권 「홍여규등전(洪汝奎等傳)」 홍여규 · 양종렴 · 사박 · 사극관 · 심보정 · 주기앙 , 주기조, · 종원한 · 서경장 · 서진 · 괴광전 · 진휼성 · 반민표 · 엄작림 · 당석진 · 누춘번 457권 「장동재등전(蔣東才等傳)」 장동재 · 이남화 · 동리고 · 동전승 · 우사한 · 조덕경 · 마복진 · 정문병 · 방요 · 등안방 458권 「서연욱등전(徐延旭等傳)」 서연욱 · 당형 · 하경 · 장조동 459권 「풍자재등전(馮子材等傳)」 풍자재 · 왕효기 · 진가 · 장종한 · 소원춘 · 마성치 · 왕덕방 · 장춘발 · 소득룡 · 마유기 · 오영안 · 손개화 · 소득승 · 장고원 · 구양이견 460권 「좌보귀등전(左寶貴等傳)」 461권 「송경등전(宋慶等傳)」 좌보귀 · 원영산 · 등세창 · 유보첨 · 대종건 송경 · 여본원 · 서방도 · 마옥곤 · 의극당아 · 장순 462권 「정여창등전(丁汝昌等傳)」 463권 「당경숭등전(唐景崧等傳)」 정여창 · 위여귀 · 엽지초 당경숭 · 유영복 464권 「이단분등전(李端棻等傳)」 이단분 · 서치정 · 진보함 · 황준헌 · 증화 · 양심수 · 양예 · 유광제 · 담사동 · 임욱 · 강광인 465권 「서동등전(徐桐等傳)」 466권 「서용의등전(徐用儀等傳)」 서동 · 강의 · 조서교 · 고아랍계수 · 하영년 · 희탑랍유록 · 육현 서용의 · 허경징 · 원창 · 토묵특입산 · 최가연원 471권 「성선회등전(盛宣懷等傳)」 472권 「육윤상등전(陸潤庠等傳)」 성선회 · 서징 육윤상 · 세속 · 이극탄 · 양정분 · 서방 · 노내선 · 심증식 473권 「장훈등전(張勳等傳)」 474권 「오삼계등전(吳三桂等傳)」 475권 「홍수전전(洪秀全傳)」 장훈 · 강유위 오삼계 · 경정충 · 상지신 · 손연령 홍수전 476·477·478·479권 「순리전(循吏傳)」 백등명 , 탕가상 임진단 우종요, · 송필달 · 육재신 · 장목 , 장훈(張塤), · 진여함 · 목수 , 진시림, · 요문섭 , 황정린, · 낙종린 , 최종태 조진조, · 조길사 · 장근 · 강고 , 장극억 가박, · 소사요 , 위입정 고음작 근양, · 최화 · 주중횡 · 유계 · 도원순 · 요기형 · 동국롱 · 육사 · 공감 · 진덕영 · 예복전 · 장림 · 염요희 · 남정원 · 엽신 · 시초정 · 진경문 · 주인룡 · 동화 · 이위 · 사중훈 · 이대본 · 우운진 · 장견도 · 소대업 · 주극개 , 정기 강기연 언여사 주제화, · 왕휘조 , 여돈화 주휴도, · 유대신 · 오환채 · 기대규 · 소희증 · 장길안 , 이육창, · 공경한 · 개방필 · 사소등 · 이갱예 · 이병수 · 적상경 · 장돈인 · 정돈윤 · 이문경 · 유체중 , 유후, · 장기 , 석가소, · 유형 , 서동, · 요간지 · 오균 · 왕조겸 · 조근 · 계초만 · 장작남 · 운무기 · 서대영 · 우수매 · 하왈유 · 오응연 · 유병림 , 진숭지 하자령 소세본, · 이병도 , 유주 주근인 추종준 왕무훈, · 괴덕모 · 임달천 · 방대제 · 진호 · 양영서 · 임계 · 왕인복 · 주광제 · 냉정형 · 손보전 · 가소경 · 도관준 · 진문불 · 이소 · 장해 · 왕인감 480·481·482·483권 「유림전(儒林傳)」 손봉기 · 황종희 · 왕부지 · 이옹 · 심국모 · 사문존 · 고유 · 탕지기 · 육세의 · 심윤 · 응휘겸 · 주학령 · 심호정 · 백환채 · 호승락 · 조본영 · 유원록 · 안원 · 이공 · 조포 · 이내장 · 이광파 · 장형양 · 왕무굉 · 이몽기 · 호방 · 노사 · 고동고 · 맹초연 · 왕불 · 요학상 · 당감 · 오가빈 · 유희재 · 주차기 · 성유 · 소의진 · 고염무 · 장이기 · 만사대 · 호위 · 모기령 · 염약거 · 혜주역 · 진후요 · 장림 · 임계운 · 전조망 · 심융 · 강영 · 저인량 · 노문서 · 전대흔 · 왕명성 · 대진 · 단옥재 · 손지조 · 유대공 · 공광삼 · 소진함 · 왕염손 · 왕중 · 무억 · 장술조 · 척학표 · 정걸 · 손성연 · 왕빙진 · 능정감 · 계복 · 강성 · 전대소 · 허강좌 · 공음식 · 육기 · 광계 484·485·486권 「문원전(文苑傳)」 487·488·499·490·491·492·493·494·495·496권 「충의전(忠義傳)」 497·498·499권 「효의전(孝義傳)」 주용순 · 오번창 오겸목 · 주정 · 적요 · 이경염 · 왕호 · 황농 · 조형 · 황가장 · 정명윤 · 유종수 · 하복한 · 허계각 500·501권 「유일전(遺逸傳)」 502·503·504·505권 「예술전(藝術傳)」 506 · 507권 「주인전(疇人傳)」 설봉조 · 공사연 · 왕석천 · 방중통 · 매문정 · 명안도 · 유상규 · 왕문계 · 주홍 · 박계 · 허여란 · 이황 · 왕래 · 진걸 · 시왈순 · 이예 · 낙등봉 · 항명달 · 정취충 · 사가화 · 오가선 · 나사림 · 고관광 · 좌잠 · 증기홍 · 하란상 · 추백기 · 이선란 · 화형방 508·509·510·511권 「열녀전(列女傳)」 518·519·520·521·522·523·524·525권 「번부전(藩部傳)」 526·527·528·529권 「속국전(屬國傳)」 조선 · 유구 · 월남 · 면전 · 섬라 · 남장 · 소록 · 구르카 · 호한 · 보노특 · 합살극 · 안집연 · 마이갈랑 · 나목간 · 탑십간 · 바다흐샨 · 박라이 · 아부한 · 감거시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ecd21><tablebgcolor=#fecd21> ||
ᡥᡝᠰᡝᡵᡳ ᠰᠣᠩᡤᠣᡨᡠ, [ruby(赫舍里 索額圖, ruby=Hè shě lǐ Suǒ é tú)](혁사리 색액도), 1636년 ~ 1703년 (향년 67세)
1. 개요
청나라의 개국 공신 중 하나이자 재상이었던 허서리 소닌의 셋째아들로, 현 랴오닝성 선양(瀋陽) 출신이다. 허서리 소닌이 죽자 자연스레 그의 지위를 물려받았고, 강희제의 통치 기간에 권신으로서 활동하였다.2. 생애
2.1. 화려한 전적
일찍이 친척들로부터 만주어, 몽골어, 중국어를 배웠고, 부친 허서리 소닌이 청나라의 건국에 큰 공을 세워 의정대신(議政大臣)으로써 내무부(內務府) 총괄직을 맡게 되자 송고투 역시 그동안 배운 지식과 아버지의 후광으로 1668년(강희 7년)부터 이부시랑(吏部侍郎) 자리에 앉아 활동하고 있었다.강희제 치세 초기에는 황제의 나이가 어려 구왈기야 오보이, 허서리 소닌, 나라 숙사하, 니오후루 어빌룬이 보정대신으로서 국정을 총괄했는데, 그 중 구왈기야 오보이가 가장 크게 권세를 휘둘러 자신과 같은 보정대신이었던 숙사하를 죽이기에 이른다. 강희제는 오보이를 제거하려 했으나, 오보이가 군권(軍權)을 장악하고 있었고 그를 대신할 사람이 마땅히 없었으며, 그와 같은 보정대신들 중 니오후루 어빌룬은 양황기(鑲黃旗)로 오보이와 같은 팔기군에 속했기 때문에 믿을 수 없었다. 결국 허서리 소닌을 통하여 오보이를 견제하기로 하고 효장문황후 보르지기트씨의 주도로 소닌의 장손녀와 혼인하고, 송고투를 시켜 무술 수련을 시킨다는 명목으로 선영(善營)이라는 특별군을 조직하고 관람한다. 그러나 실상은 바로 황제의 친위대를 조직하여 오보이에 맞설 준비를 한 것이었고, 이는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오배는 죄인으로 몰려 사망하고, 송고투는 공신으로 인정받는다.
그러나 운남(雲南)의 오삼계(吳三桂), 광동(廣東)의 상지신(尙之信), 복건(福建)의 경정충(耿精忠) 등의 삼번(三藩)이 세력을 확장하여 역모를 준비한다는 풍문이 일어 강희제가 이들을 철폐하려 하자, 삼번이 청의 중국 통일 과정에서 수많은 전투에 종군하여 혁혁한 전공을 세웠고 이후로도 해당 지역을 안정시키고 있다면서 반대하였다. 하지만 삼번은 오삼계를 위시하여 끝내 1673년 삼번의 난을 일으키고 말았고, 허서리 송고투는 영시위내대신(領侍衛內大臣)이 되어 내전이 일어나는 동안의 혼란을 정리하였다. 하지만 8년만에 삼번의 난이 겨우 진압된 뒤, 반란군들의 편을 들었단 이유로 황제의 신임을 잃는다. 그러나, 그가 다시 신임을 얻을 기회는 오래지 않아 다시 찾아왔다.
1650년대부터 러시아 제국의 전신 루스 차르국이 동쪽으로 영토를 확장하여 청나라와 국경 분쟁을 하자 청나라 측은 변방이었던 만주 주둔군의 열악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조선 병사들까지 동원하여 러시아의 원정대를 격파했다. 결국 러시아 측은 처음에는 농업 생산력이 높은 지역이라 생각되었던 아무르 강 일대가 별로 생산력이 높은 땅이 아니었고, 패배가 계속되는데다 당시 복잡했던 자국 내 사정[1][2]을 해결해야 해서 만주 일대를 포기하고 중국과 교역관계를 재개하는 것이 훨씬 이득이라고 판단했다. 그리하여 청 정부에 연락하여 1689년, 러시아의 상업 활동 허가와 국경 확정에 합의하는 조약을 체결하니, 이것이 네르친스크 조약이었다. 이에 허서리 송고투는 청 협상 대표단으로서 1689년 6월 네르친스크에 도착하고, 8월 19일부터 회담에서 지켜야 할 사항을 정했다. 여담으로 당시 러시아 측의 사절은 천여 명이었으나 송고투는 선교사 출신 통역사, 만여 명의 승려 및 군사 등 엄청나게 많은 사절을 데리고 왔었다.[3]
네르친스크 조약을 성공적으로 체결한 후, 송고투는 청 조정에서 없어서는 안 될 인물이 된다. 여기서 끝났으면 좋았으련만...
2.2. 최후
강희제 시절 송고투의 가문인 허서리씨는 청 황실과 사돈을 맺으며 황후를 배출하는 영광을 누렸다. 송고투의 조카딸로[4] 효성인황후 허서리씨(孝誠仁皇后 赫舍里氏, 1653~1674)가 강희제의 제1황후가 되었는데 허서리씨는 마침내 강희제가 고대하던 적자를 낳았지만 곧 산후병으로 붕어했다. 그런 허서리씨의 유일한 자식이자[5] 송고투의 종손자가 바로 이밀친왕 윤잉이었다. 삼번의 난으로 뒤숭숭하던 때에 효성인황후가 윤잉을 낳고 곧바로 사망하여 강희제는 효성인황후에게 주던 사랑을 윤잉에게 쏟아 그를 매우 총애하였다. 만주족은 원래 적자를 중시해서 강희제는 윤잉 외에 다른 황자를 후계자로 고려하지 않았다.강희 40년, 송고투는 나이가 들어서 사직을 청했고 강희제는 허락했다.
강희 41년, 순행 중 황태자 윤잉이 병에 걸리자 강희제는 송고투를 불러 윤잉을 치료하게 하였다. 이때 송고투의 문하 중 고사기라는 자가 송고투를 고발하였다. 고사기는 송고투의 추천을 받았으나 나중에 사이가 나빠졌고 나라 밍주의 문하생이 되었다.
강희 42년 5월 18일, 강희제는 송고투가 당을 결성하고 국정을 농단했으며 반역을 꾀했다는 이유로 그를 구금한다. 이후 송고투는 사사되었고 그의 당원들은 유배되거나 구금되었다.
이후로도 강희제는 송고투를 미워하여 비난을 퍼부었다. "윤잉의 심성이 포악해지고 부자 사이가 멀어진 것은 전부 송고투 탓이다", "윤잉이 송고투의 복수를 하려한다", "송고투는 대청 제일가는 죄인이다."
3. 기타
권신이기도 했고, 해먹은 일이 있다보니 청사고 269권에 열전(列傳)이 존재한다.4. 대중매체
- 드라마
- 1994년 드라마 《강희대제》에 조연으로 등장한다.
- 1997년 드라마 《강희미복사방기》에 조연으로 등장한다.
- 1998년 드라마 《녹정기》에 조연으로 등장한다.
- 2001년 드라마 《강희왕조》에 등장한다. 보정대신의 아들, 황제의 장인, 황태자의 외조부로 엄청난 권세를 누린다. 또 다른 권신인 납란명주와는 라이벌 관계이며 둘은 나이를 먹어갈수록 유치하게 싸운다. 나중에 붕당결성, 모반, 살인교사, 모함, 뇌물, 매관매직 등의 죄로 실각했다. 그나마 사형당한 실제 역사와 달리 목숨은 부지 한다. 파직당한 후 관리들이 그를 수사하는데 애를 먹자 강희제는 먼저 감옥에 가 있던 납란명주를 데려와 수사를 시킨다. 그전까지 관리들의 심문을 요리조리 빠져나가던 송고투는 납란명주가 등장하는 걸 보고 나라 잃은 김구 표정을 짓는다.(...) 송고투와 납란명주 둘은 끝까지 살아 남아서 죄수복을 입은 채로 강희제의 즉위 60주년 잔치에도 참석한다.
- 2002년 드라마 《천하무쌍》에 조연으로 등장한다.
- 2004년 드라마 《황태자비사》에 조연으로 등장한다.
- 2004년 드라마 《소년강희》에 조연으로 등장한다.
- 2006년 드라마 《강희비사》에 조연으로 등장한다.
- 2008년 드라마 《녹정기》에 조연으로 등장한다.
- 2011년 드라마 《소림사전기지대막영호》에 조연으로 등장한다.
- 2014년 드라마 《녹정기》에 조연으로 등장한다.
- 2017년 드라마 《용주전기》에 등장한다. 강희제의 수족으로서 거의 모든 명령을 수행한다.
- 2020년 드라마 《녹정기》에 조연으로 등장한다.
- 2022년 드라마 《천하장하》에 조연으로 등장한다.
[1]
당시 러시아의 차르였던
표트르 대제는 이복 누나였던
소피아 알렉세예브나의 반란으로 세력이 약화되고, 소피아의 동복 형제였던
이반 5세와 공동 차르가 되어 소피아의 섭정을 받는 신세였다. 그러나 소피아 공주는
오스만 제국, 청나라 등과 싸워 패배하는 등 실정을 거듭하여 조정에서 소피아에 대한 불만이 많았고, 표트르 대제는 이를 이용하여 소피아를 몰아내고 통치권을 되찾으려 했다.
[2]
네르친스크 조약 체결 직후, 소피아는 애인과 함께 조정의 불만을 무마하기 위한 국면 전환을 시도하다 도리어 표트르에 의해 역적으로 몰려 유폐된다.
[3]
즉 무력시위를 한 것 이다.
[4]
송고투의 맏형인 갈포라(褐布剌)의 딸.
[5]
사실 윤잉 이전에 적장자인 승호를 낳았지만 4살에 요절해서 윤잉이 강희제의 유일한 적자로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