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인물을 모티브로 한 소설 《녹정기》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정극상(녹정기)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20%, #fff 80%, #fff);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0> 초대 | 임시 | 제2대 | 감국 |
조무왕 | 정습 | 조문왕 | 정극장 | |
제3대 | ||||
정극상 | ||||
}}}}}}}}} |
[clearfix]
1. 개요
鄭克塽( 1670년 8월 13일 ~ 1717년 9월 22일)
대만 동녕 왕국( 명정시기)의 제3대이자 마지막 국왕으로 제2대 왕 정경의 차남이었으며, 정극장의 이복동생이었다.
2. 생애
장인인 풍석범이 역모를 꾸며 형 정극장을 죽이자(동녕의 변) 1681년에 옹립되었다. 숙부인 정총(鄭聰)을 섭정으로 뒀지만, 실권은 왕대비 동씨 부인(정극상의 할머니)과 장인인 풍석범이 장악했으며, 즉위 과정이 정당한 방법이 아니었기 때문에 지지받지 못한 데다가 풍석범이 권력을 휘둘러 나라가 어지러워졌고, 이 틈을 노려 정성공의 옛 부하였던 청나라의 수사제독 시랑이 대만 섬을 공격하자 펑후해전에서 패배하고는 청나라의 제4대 성조 강희제에게 항복을 위한 특사를 보냈다.시랑이 대만에 있는 자들 모두를 대신해 직접 나와서 항복하라고 요구하자 1683년 9월 초에 변발을 하고 시랑을 만났다가 북경의 강희제에게 가서 항복 문서를 전달했다. 이후 해징공(海澄公)으로 봉해져 실권이 없는 귀족으로 살면서 8기 중에 하나인 정홍기(正紅旗)에 배속되었다가 다시 양황기에 배속되어 중국 북부 지역에서 살다가 청나라의 수도인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3. 대중매체
4. 둘러보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
명(明) | ||||||
제13대 만력제 |
제14대 태창제 |
제15대 천계제 |
제16대 숭정제 |
||||
틈왕 정권 | |||||||
초대 고영상 |
제2대 이자성 |
||||||
순(順) | 서(西) | ||||||
초대 이자성 |
제2대 이자경 |
임시 이과 |
초대 장헌충 |
||||
명나라 부흥군 | |||||||
초대 홍광제 |
제2대 융무제 |
제3대 영력제 |
|||||
비정통 주이해 · 주형가 · 소무제 · 동무제 · 정무제 | |||||||
동녕국(東寧國) | |||||||
초대 조무왕 |
제2대 조문왕 |
제3대 조왕 |
|||||
삼번(三藩) | |||||||
오주(吳周) | 평남왕(平南王) | 정남왕(靖南王) | |||||
초대 태조 고황제 |
제2대 오세번 |
초대 상지신 |
제2대 경정충 |
||||
후금(後金) → 청(淸) | |||||||
초대 천명제 |
제2대 숭덕제 |
제3대 순치제 |
제4대 강희제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