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한국철도공사 사내의 자체 문화재 제도.2011년 2월 "철도문화재 관리 지침"을 제정하면서 시행되었으며, 역사적으로 보존 가치가 있는 유물을 철도기념물과 준철도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1]
철도기념물 같은 경우 철도사적으로 보존 가치가 있는 유물 중에서 철도공사 사장이 지정한다.
신규 지정된 철도기념물이나 준철도기념물의 자료는 일반 경로로 찾기 힘들다는 한계가 있다.
2. 철도기념물
철거되거나 매각되어 없어진 경우에는2.1. 제1호~제10호
- 제1호: 증기기관차 터우 5형
- 제2호: 디젤전기기관차 4102호
- 제3호: 디젤전기기관차 4201호
- 제4호: 디젤전기기관차 5025호
- 제5호: 디젤전기기관차 6230호
- 제6호: 디젤전기기관차 7001호
- 제7호: 전기기관차 8001호
- 제8호: 새마을동차(PMC) 126호(객차 335호 포함) 및 새마을디젤동차(PMC) 130호
- 제9호: 침대객차(무궁화)
- 제10호: 전호등
2.2. 제11호~제20호
- 제11호: 일면 후부 표지등
- 제12호: 입실역사 기록물
- 제13호: 심천역사 기록물
- 제14호: 기관사 제복[2]
- 제15호: 故 김재현 기관사 순직비
- 제16호: 영암선 개통기념비
- 제17호: 산업선전철준공기념비
- 제18호: 경경선 전통기념비
- 제19호: 경전선 전통기념비
- 제20호: 모터카 MB8901
2.3. 제21호~제30호
- 제21호: 궤도안정기 DTS9201[3]
- 제22호: 수동핸드카[4]
- 제23호: 완목식신호기등
- 제24호: 통표폐색기[5]
- 제25호: 자석식 전화교환기
- 제26호: 공전식 전화교환기
- 제27호: 완목식신호기(신호레버 포함)[6]
- 제28호: 철도역사용지도
- 제29호: 안성천안간 선로준공 종단면도
- 제30호: 선로조사도
2.4. 제31호~제40호
- 제31호: 주주증권(조선철도주식회사)
- 제32호: 주주증권(조선경남철도주식회사)
- 제33호: 주주증권(경춘철도주식회사)
- 제34호: DEC형 특별동차 1호 (대통령 전용)
- 제35호: DEC형 특별동차 2호 (경호용)
- 제36호: 경복호 (PMC형 특별동차 1호, 대통령 전용)
- 제37호: 경복호 (PMC형 특별동차 2호, 경호용)
- 제38호: 업무용 동차
- 제39호: 디젤전기기관차 7301호
- 제40호: 전기기관차 8091호
2.5. 제41호~제50호
- 제41호: 경주역사
- 제42호: 불국사역사
- 제43호: 철도안전수송비
- 제44호: 통표폐색기
- 제45호: 통표
- 제46호: 표지부 선로전환기(신호등 포함)
- 제47호: 완목식신호기 일체[7]
- 제48호: 완목식신호기 일체[8]
- 제49호: 표지부 선로전환기 신호등
-
제50호: 정규도 및 표준도
3. 준철도기념물
철도기념물과 동일하게 철거되거나 매각되어 없어진 경우에는3.1. 제1호~제10호
- 제1호: 객차(비둘기호)[9]
- 제2호: 객차(통일호)[10]
- 제3호: 수화용 저울
- 제4호: 승차권 일부기
- 제5호: 승차권 개표가위
- 제6호: 집표도장
- 제7호: 승차권 체송함
- 제8호: 김유정역사
- 제9호: 영월역사
- 제10호: 풍기역 급수탑
3.2. 제11호~제20호
- 제11호: 화본역 급수탑
- 제12호: 수원역 급수탑
- 제13호: 수원역 급수탑[11]
- 제14호: 보성역 급수탑
- 제15호: 순천역 급수탑
- 제16호: 경주역 급수탑
- 제17호: 철도시발기념지비[12]
- 제18호: 영등포역 위령비
- 제19호: 테르밋트 용접기
- 제20호: 톱(침목절단용)
3.3. 제21호~제30호
- 제21호: 단고마와 켄트게이지
- 제22호: 선로게이지
- 제23호: 수동 레일천공기
- 제24호: 트렉젝크
-
제25호: 모터카 TMM9401[13] - 제26호: 휴대용 전화기(PT-93)
- 제27호: 휴대용 전화기(PT-65)
- 제28호: 자석식 전화기[14]
- 제29호: 표지부 선로전환기(신호등 포함)
- 제30호: 금고(현금보관용)
3.4. 제31호~제40호
- 제31호: 규정집(교통부소관국유재산취급규정)
- 제32호: 관내지도( 황해도 곡산군)
-
제33호: 전기동차 1047-1247-1347-1147호[15] - 제34호: 통지낭
- 제35호: 전령자 완장
- 제36호: 금낭
- 제37호: 개집표 가위
- 제38호: 2004년형 승차권 발매단말기(WTIM) 일체
- 제39호: 2004년형 승차권 자동발매기 (ATIM)
- 제40호: 장항선 원죽역 역명판(향나무 포함)[16]
3.5. 제41호~제50호
- 제41호: 북전주역 역명판[17]
- 제42호: 가야역 역사 기록서
- 제43호: 거제역 역사 기록서
- 제44호: 군산역 역사 기록서
- 제45호: 간치역 역사 기록서
- 제46호: 남포역 역사 기록서
- 제47호: 웅천역 역사 기록서
- 제48호: 웅천역 역세권 보고
- 제49호: 경주역 직원 사진첩
- 제50호: 구열차운전시행절차
3.6. 제51호~제60호
- 제51호: 열차운전시각표[18]
- 제52호: 규정류찬(제3편 운수)[19]
- 제53호: 뱃지[20]
- 제54호: 제모[21]
-
제55호: 하양역 화물상옥[22] - 제56호: 덕산역사
- 제57호: 동래역사[23]
-
제58호: 포항역사[24] - 제59호: 극락강역사
- 제60호: 명봉역사
3.7. 제61호~제70호
- 제61호: 기장역 철도공사
- 제62호: 함평역 추모비
- 제63호: 모산건널목 사고 위령비
- 제64호: 일산역장 순직비[25]
- 제65호: 보선분소 직원 순직비[26]
- 제66호: 선임시설장 직원 순직비[27]
- 제67호: 기관사 직원 순직비[28]
- 제68호: 통신 직원 순직비[29]
- 제69호: 영등포역 위령비[30]
- 제70호: 이리역 위령탑[31]
3.8. 제71호~제80호
- 제71호: 명암터널 위령비[32]
- 제72호: 모터장착 핸드카
- 제73호: 토사적재트레일러(SLT9807-9809)
- 제74호: 초음파 레일탐상기(ASP7072)
- 제75호: 토오크렌치
- 제76호: 곡선정정계산기
- 제77호: 대곡자
- 제78호: 휴대용전화기 상자 제작도
- 제79호: 한국교통동란기(속편)
- 제80호: 철도창설 제59주년 기념 종합체육대회
3.9. 지정번호 미상
[1]
다만 보존에 대한 강제성이 없다 보니 일부 문화재는 내·외적 요인으로 사라진 경우도 있다.
[2]
1974년 제작.
[3]
Dynamic Track Stabilizer.
[4]
승부역 구내에 보존
[5]
통표, 휴대기, 수수기 포함.
[6]
문경선
주평역 소재.
[7]
삼화역 소재.
[8]
장생포역 소재.
[9]
대전철도차량정비단 소재.
[10]
국립대전현충원 소재.
[11]
수인·수려선 급수탑.
[12]
노량진역 소재.
[13]
2021년 고철매각.
#
[14]
제천역 소재.
[15]
2020년 10월 지정 해제 및 고철매각.
[16]
2020년부터 역명판만 따로
철도박물관에 전시 중.
[17]
개업 당시 디자인 그대로 2019년에 새걸로 교체.
[18]
1952년 제작.
[19]
1942년부터 1977년까지 발행.
[20]
1950년대 육운국 시절 제작.
[21]
1960년대 제작.
[22]
대구선 복선전철화 공사로 인해 철거.
[23]
2019년 6월 국가등록문화재 제753호로 지정.
[24]
도로 공사로 인해 철거.
[25]
일산역 2번 출구 왼편에 위치해 있으며, 승객을 구하다 순직한 역무원과 역장의 넋을 기리기 위해 1979년 구 역사에 설치되었다가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26]
1967년 제막.
[27]
2002년 제막, 동해관리사무소 내에 위치.
[28]
1999년 봉화군 소천면 분천리에서 발생한 기관차 탈선 사고로 순직한 기관사와 부기관사를 기리기 위해 조성, 영주역 기점 62.4㎞ 지점에 위치.
[29]
1950년대 조성.
[30]
1946년 발생한 영등포역 열차 충돌 사고로 인해 사고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1948년 조성 및 1946년 5월 24일부 코레일 인재개발원으로 이전.
#
[31]
이리역 폭발사고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조성.
[32]
충북선 목행 - 봉양 구간 건설당시 순직한 일곱 명의 노동자를 기리기 위해 조성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