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7 12:36:25

펫 샵 보이즈

펫 샵 보이스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4px -9px; padding: 5px -0px; border-radius: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0626, 50%, #010650)"
{{{#!wiki style="margin-top: -5px; display:inline-block; color:#f8f7f5; min-width: 33.3%"
{{{#!folding [ 스튜디오 앨범 ]
<tablewidth=1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161616; word-break: keep-all"
}}}}}}
[ 멤버 ]
||<tablebgcolor=#010626,#010626><tablewidth=100%><width=10000px> 닐 테넌트 ||<width=50%> 크리스 로우 ||
}}} ||
펫 샵 보이즈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fff,#ccc> 파일:브릿 어워드 로고.png 브릿 어워드 그룹상 수상자
Brit Award for British Group (1977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77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비틀즈 폴리스 다이어 스트레이츠 컬처 클럽 Wham!
<rowcolor=#fff>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다이어 스트레이츠 파이브 스타 펫 샵 보이즈 이레이저 파인 영 카니발스
<rowcolor=#fff>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더 큐어 The KLF & 심플리 레드 심플리 레드 스테레오 엠씨스 블러
<rowcolor=#fff>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오아시스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 버브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 트래비스
<rowcolor=#fff>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콜드플레이 트래비스 콜드플레이 더 다크네스 프란츠 퍼디난드
<rowcolor=#fff>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카이저 칩스 악틱 몽키즈 엘보우 카사비안
<rowcolor=#fff>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테이크 댓 콜드플레이 멈포드 앤 선즈 악틱 몽키즈 로열 블러드
<rowcolor=#fff>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콜드플레이 The 1975 고릴라즈 The 1975 포울스
<rowcolor=#fff>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리틀 믹스 울프 앨리스 웻 레그 정글
같이보기 : 영국 - 앨범, 싱글, 남성, 여성, 그룹, 신인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fff,#ccc> 파일:브릿 어워드 로고.png 브릿 어워드 공로상 수상자
Brit Award for Outstanding Contribution to Music (1977, 1982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EFD990 음악에 대한 뛰어난 기여'''
※ 1977년, 1982년 ~ 2010년, 2019년 부터 현재까지는 Brit Award for Outstanding Contribution to Music 라는 이름으로 수여되고 있다.
1977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비틀즈 존 레논 비틀즈 조지 마틴 더 폴리스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엘튼 존, Wham! 에릭 클랩튼 더 후 클리프 리처드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Status Quo 프레디 머큐리 로드 스튜어트 밴 모리슨 엘튼 존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데이비드 보위 비 지스 플리트우드 맥 유리드믹스 스파이스 걸스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U2 스팅 톰 존스 듀란 듀란 밥 겔도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폴 웰러 오아시스 폴 매카트니 펫 샵 보이즈 로비 윌리엄스
2012년 2014년 2016년 2017년 2019년
블러 엘튼 존 데이비드 보위 로비 윌리엄스 P!nk
2021년 2024년 - - -
테일러 스위프트 카일리 미노그 - - -
출처 }}}}}}}}}

역대 브릿 시상식
파일:external/www.jdhlifestyle.co.uk/BRIT-Awards-2014-Logo.jpg
올해의 싱글상
제 7회
( 1986년)
제 8회
( 1987년)
제 9회
( 1988년)
Everybody Wants to Rule the World
티어스 포 피어스
West End Girls
펫 샵 보이즈
Never Gonna Give You Up
릭 애스틀리

{{{#!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파일:기네스 세계기록 로고.svg 기네스
세계 기록
}}}
Most entries in the UK top 40 chart by a duo
(UK 차트 탑 40에 가장 많은 싱글을 진입시킨 듀오)
<rowcolor=#fff> 대상 기록 장소 등재 시일
<rowcolor=#000,#fff>
펫 샵 보이즈
42개
영국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파일:기네스 세계기록 로고.svg 기네스
세계 기록
}}}
Most successful duo in UK Music histroy
(영국 음악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듀오)
<rowcolor=#fff> 대상 기록 장소 등재 시일
<rowcolor=#000,#fff>
펫 샵 보이즈
''
영국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1980년대 아티스트
29위

}}} ||
파일:asaㅁㅁs.png
파일:5616.webp
왼쪽부터 크리스, 닐
<colbgcolor=#010626><colcolor=#fff> 멤버 닐 테넌트 (Neil Tennant)[1]
크리스 로우 (Christ Lowe)[2]
출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활동 시기 1981년 - 현재
장르 신스팝, 댄스팝, 디스코, EDM[3]
소속 Parlophone, EMI, x2
관련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 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최근 활동3. 디스코그래피
3.1. Please (1986)3.2. Actually (1987)3.3. Introspective (1988)3.4. Behaviour (1990)3.5. Very (1993)3.6. Bilingual (1996)3.7. Nightlife (1999)3.8. Release (2002)3.9. Fundamental (2006)3.10. Yes (2009)3.11. Elysium (2012)3.12. Electric (2013)3.13. Super (2016)3.14. Hotspot (2020)3.15. Nonetheless (2024)
4.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펫츠88리마.jpg
1988년, 듀오의 최전성기 시절
영국 런던 첼시에서 결성된 신스팝 듀오 뮤지션. 영국에서 가장 성공한 팝 듀오로 불리며, 팀의 프로듀싱과 키보드를 담당하는 영국 랭카스터 블랙풀 출신인 크리스 로우와 보컬을 맡고 있는 노섬벌랜드 출신인 닐 테넌트로 이루어져있다. 국내에서는 Go West 개그콘서트의 오프닝으로 사용된 One in a Million으로 가장 유명하며 첫 부분을 들으면 대부분 바로 개그콘서트를 떠올릴 수 있을 정도로 널리 알려졌다.

신디사이저를 재 발명했다는 평을 들을 정도로 신디사이저를 이용한 정교한 팝 음악을 만들어내어 뉴 오더와 같이 90년대 일렉트로니카 신스팝, 디스코 열풍에 큰 영향을 미쳤다. 뉴 오더처럼 전형적 싱글 밴드지만, 싱글도 엄청 강력한데다 앨범의 완성도까지 절대로 뒤떨어지지 않는것은 물론이고 모두 훌륭한 퀄리티를 자랑할 정도로 꼼꼼한 프로듀싱을 보여준다. 거기다가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닐 테넌트의 독특한 음색으로 그룹의 색채가 뚜렷한 편이다.

서정적이고 댄서블하면서 유쾌하고 밝은 멜로디와 안 어울리게 가사는 독기가 넘치는 편. 한 예로 'Rent'에서는 '난 너를 사랑해 왜냐하면 니가 내 집세 내주니깐', 'Opportunities (Let's Make Lots of Money)'에서는 머리가 있고 넌 외모가 있으니 떼돈이나 벌자라는 가사가 나온다. ' It's a Sin'은 제목답게 기독교의 원죄를 다룬 곡인데 이런 가사 역시 높은 평가를 받는데 일조했다.

활동한지 거의 40년이 되는 그룹인만큼 스튜디오 앨범만 14개나 냈을 정도로 커리어가 엄청나게 방대하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항상 앨범의 타이틀을 한 단어로 지으며 정규앨범뿐만 아니라 EP와 라이브 앨범, 베스트 앨범을 막론하고 이 원칙은 철저하게 지켜진다. 심지어 여태까지 낸 네 장의 리믹스 앨범 제목도 각각 'Disco', 'Disco 2', 'Disco 3', 'Disco 4'다. 또 한 가지 특이한 점은 노래 제목을 문장처럼 여겨서 대문자는 딱 한 번만 쓴다는 것이다. 고유명사인 노래 제목의 경우 명사나 동사 등 중요 단어는 앞글자를 대문자로 써 주는게 일반적인데, 이들은 그런거 없고 무조건 대문자는 딱 한 번이다. 즉 'Always On My Mind'가 아니라 'Always on my mind', 'Left to My Own Devices'가 아니라 ' Left to my own devices' 라고 표기한다.[4][5]

또한 동시대에 데뷔한 아티스트들의 저작권이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데 비해 저작권 관리에 누구보다 아주 민감하다.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과거 본인들의 작품을 리메이킹 하거나 리마스터링을 즐긴다 싶을 정도로 매우 자주 하는 편으로 리마스터에 따라서 곡의 색채가 조금씩 바뀌기도 한다. Go West도 리메이크이고, 국내에 잘 알려진 Always On My Mind도 리메이크한 곡으로 편곡으로 원곡과는 전혀 다른 분위기가 되었다. 그 외 U2의 'Where The Streets Have No Name'와 Can't Take My Eyes off You를 뒤죽박죽 패러디해 새 곡으로 만들기도 했다.

이렇게 자신들의 앨범을 끊임없이 관리하는 것과 동시에 리마스터링, 리믹싱 등의 음악적인 새로운 도전을 절대로 주저하지 않는 뮤지션이기도 하다. 크게 세 번의 대형 리마스터링 프로젝트가 있었는데, 2001년에 'Further Listening' 이라는 타이틀로 80-90년대에 발표한 초기 앨범 6개 (Please, Actually, Introspective, Behaviour, Very, Bilingual)를 리마스터링하고 CD2로 리믹스, 데모곡, 미공개곡 등을 수록했다. 2017년에도 마찬가지로 'Further Listening' 명의로 00-10년대의 앨범 5개 (Nightlife, Release, Fundamental, Yes, Elysium)를 리마스터링했다. 2018년 부터는 박스세트 개념의 'Catalogue'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Please, Actually, Introspective까지 진행된 상태이며 Further Listening (2018 Remaster)라는 무시무시한 제목으로 공개하고 있다. 2018년 마지막 공개가 발표되었다.

이러한 도전정신의 연장선으로 굉장히 파격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예를 들면 Go West의 뮤직비디오에는 아예 대놓고 공산당이 나오며 자유의 여신상도 대놓고 흑인이다. 이런 펫 샵 보이즈의 파격적인 성향으로 인해 데뷔앨범 "Please"는 " West End Girls", "Opportunities", "Suburbia", "Violence"이 모조리 금지곡으로 지정당하는 처분을 당한 적도 있었다.

상업적으로는 전세계적으로 1억장의 레코드를 팔아치워 영국 일렉트로니카 뮤지션 중에서는 가장 많은 성공을 했으며 데뷔 이래 모든 정규 앨범이 UK Chart 10위 안에 들었다. 음악적으로는 2집 'Actually'를 시작으로 발돋움하기 시작하였고, 4집 'Behaviour'와 5집 'Very'에서 전성기를 맞았다. 이들의 가장 유명한 싱글인 ' Being Boring'이나 ' Go West' 등은 이 시절의 곡들이다. 전성기가 지난 뒤로는 조금 힘이 빠졌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2013년의 12집 Electric을 기점으로 재도약에 성공해 새로운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한때 라이브를 거부했던 적도 있는데 라이브를 거부했던 이유는 이들이 록 음악을 그렇게 좋아하지 않았다는 점 때문이었다. 록 음악의 마초성을 싫어했고 라이브 역시 그런 마초성의 일부분이라고 생각했었으나 이후 생각이 바뀌였는지 언젠가부터는 라이브 또한 잘 다니고 있다. 다만 전형적인 스튜디오 밴드이기에 라이브에는 그다지 어울리는 편은 아니다. 애초에 펫 샵 보이즈의 음악은 키보드와 기타, 간혹 들어가는 현악 세션 정도를 제외하면 죄다 미디로 찍은 것이고 또 그걸로 유명했다. [6] 무대엔 밴드 대신 맥북 1대가 올라간다. 보컬 키보드의 2인 구성이기에 라이브 초기엔 어색하고 재미없다고 비판받기도 했으나 [7] 재빠르게 군무나 화려한 의상, 비디오 아트 등의 여러 무대장치를을 동원하여 자칫 정적인 공연이 될 수 있는 약점을 보완하는데 성공했다. 영화감독 데릭 저먼이나 건축가 자하 하디드[8]가 라이브 공연 기획에 참여한 적도 있다. 라이브 무대에 신경을 가장 많이 쓰는 가수 중 하나이며, 따라서 라이브 무대의 퀄리티 역시 출중하다.

2. 최근 활동

2009년 브릿 어워드에서[9] 2009년, It Doesn't Often Snow At Christmas 라이브
2010년 지산 록밸리에서의 내한공연 {{{#fff 2012년 {{{#fff,#fff 런던 올림픽}}} 폐회식에서}}}
{{{#fff 2017년, {{{#fff,#fff This Must Be the Place I Waited Years to Leave}}}}}}[10]}}} {{{#fff 2024년, {{{#fff,#fff 아일 오브 와이트}}}에서}}}

2013년 8월 14일 슈퍼소닉 페스티벌을 통해 두 번째 내한공연을 가졌다.

2015년 12월 2일에 홍콩에서 열린 2015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에 출연하였다! f(x)와 콜라보레이션 무대를 펼쳤다. 더스티 스프링필드와의 듀엣곡이었던 What Have I Done to Deserve This와 비교적 최근 곡이었던 Vocal을 불렀다.

3. 디스코그래피

3.1. Please (1986)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lease(앨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Actually (1987)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ctually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Introspective (1988)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ntrospectiv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Behaviour (199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ehaviour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Very (199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Very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Bilingual (1996)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ilingual(펫 샵 보이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7. Nightlife (1999)

파일:external/cps-static.rovicorp.com/MI0001529096.jpg

도시 젊은이들의 우수를 컨셉으로 삼아 만든 앨범. 음악적으로는 트랜스를 받아들이는 등의 새로운 시도를 하였으며, 이들이 항상 강점을 보이던 비쥬얼적 측면에서도 상당히 신경을 썼다. 결과적으로 상업적으로는 어느 정도 성공하긴 했지만 옛 스타일과의 괴리감으로 인해 별로 좋은 평가를 얻지 못한 비운의 앨범. 역대 펫 샵 보이즈 앨범 중 가장 이질적인 느낌을 준다. New York City Boy 라는 싱글은 그래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3.8. Release (2002)



파일:external/cps-static.rovicorp.com/MI0001914077.jpg

이들 전체 앨범들을 통들어서 가장 서정적이고 차분한 컨셉의 앨범. 멜로디가 약간 맥빠진 듯한 전작과는 달리 멜로디에 상당히 신경을 써서 만들었으나, 이 과정에서 이들 본연의 신스팝 색채를 많이 잃어 또 다른 의미로 좋은 평가를 얻지 못한 앨범이 되었다. 펫 샵 보이즈가 만들었다는 사실만 잊으면 꽤 괜찮은 앨범. 더 스미스 조니 마가 이 앨범의 대부분의 곡의 기타를 쳤다.

3.9. Fundamental (2006)



파일:external/cps-static.rovicorp.com/MI0000629637.jpg

Bilingual 앨범 이후로 죽 이어졌던 실험들을 마치고 초심으로 돌아가자는 컨셉으로 내놓은 앨범. 어느 앨범들보다 가사들이 날이 서 있으며, 이들의 1~2집 시절을 연상시키는 스타일의 음악으로 돌아가려는 시도를 하였다. 다만 이러한 시도가 2% 부족해서 그런지 이 앨범 역시 좋은 평을 받지는 못했다. 그래도 지나치게 이질적이었던 앞의 두 앨범들에 비해 원래의 펫 샵 보이즈 스타일에 가까워져 재기의 기미를 보여준 앨범.

3.10. Yes (2009)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Yes(펫 샵 보이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 Elysium (2012)

파일:external/cps-static.rovicorp.com/MI0003434486.jpg

전작과 달리 상당히 차분한 앨범. Elysium이라는 단어에서 느낌이 오듯, 전작보다는 오히려 Release 앨범과 비슷한 성향의 앨범이다. 덕분에 그리 좋은 평은 받지 못했고, 대중적으로도 역대 앨범 중 가장 낮은 차트 성적을 기록했으며[11], 1년만에 Electric이 나와 묻혀버린 앨범이 되었다. 런던 올림픽을 타겟으로 만든 'Winner'가 수록되었다.

3.12. Electric (201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lectric(펫 샵 보이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 Super (2016)

파일:Pet_Shop_Boys_-_Super.png

전작의 방향성을 기조로 이런저런 실험을 가한 앨범. 대부분의 곡들은 레트로한 과거 펫샵의 팝과 일렉트로니카가 적절히 섞여 있으며, 보컬이 거의 없는 인스투르먼트에 가까운 트랙들도 여럿 실려 있다. 멤버들은 발매 전 인터뷰에서 대놓고 '이제는 팝이 아닌 일렉트로니카를 하겠다'라고 선언하였고, 과거와 현재의 조화가 적절히 이루어진 앨범으로 탄생하였다. 전작의 흥행을 이어 무난하게 성공하였다.

3.14. Hotspot (2020)

2020년 1월 24일 발매. 앞의 두 앨범과 동일하게 대부분의 곡을 독일 Hansa 스튜디오에서 작업했으며, 스튜어트 프라이스가 사실상 제 3의 멤버 수준으로 참여했다. 하지만 이전 2개의 앨범과 달리 EDM의 색채가 많이 줄어들었고, 커버 아트나 부클릿의 미니멀한 디자인도 사라져 앞의 두 앨범와 여러모로 차이나는 앨범이 되었다. 이들의 초중기 작품들인 Introspective 앨범과 Behaviour 앨범의 스타일을 현대적인 톤으로 다듬었다는 평을 받았다.

https://youtu.be/JPx8P8pcrdA

3.15. Nonetheless (2024)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Nonetheles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언니네 이발관 이석원이 이 그룹의 광팬이다. 창법 닐 테넌트의 그 무엇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거의 성대모사처럼 느껴지는 부분이 있을 정도이다.
나는 펫 샵 보이즈의 음악을 좋아한다. 많은 사람들이 나의 이 말에 놀랄 테지만, 나는 그들의 음악이 아주 좋고, 그들이 매우 똑똑한 뮤지션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의 노래 " It's a Sin"은 아름다운 노래다. 그 노래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노래 중의 하나다.
의외일 수도 있겠지만 리치 블랙모어, 노엘 갤러거[12]도 펫 샵 보이즈의 음악을 좋아한다고 인터뷰에서 밝힌 적이 있다.

파일:a9d3f17185681d658a90f7b49231c7a6.jpg

또한 액슬 로즈 또한 펫 샵 보이즈의 광팬인데, 4집 Behaviour와 Being Boring이 최애곡이라고 한다.[13]

한국인들에게 친숙한 노래들도 몇 개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5집에 실린 Go West[14]( 빌리지 피플의 원곡을 리메이크했다. 원곡을 들어보면 거의 환골탈태 수준으로 편곡을 했음을 알수 있다. 가사는 거의 비슷하다.) 원곡인 빌리지 피플의 Go West는 게이의 이상향으로 가자는 곡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이 노래의 제목은 19세기의 미국 부 개척 붐 속에서 호레이스 그릴리가 말했던 'Go West, young man(서쪽으로 가라, 젊은 그대여)'에서 따온 것이다. 원곡을 부른 그룹에 게이들이 많았기 때문에 'Go West'는 1970년대 게이 해방 운동의 본거지이던 샌프란시스코로 가자는 게이 찬양의 노래라고 받아들일 수 있다. 이것만 해도 중의적인 의미가 있는데, 이곳에 의미가 한 가지 더 첨가되었다. 이 곡을 펫 샵 보이즈가 리메이크했을 당시는 냉전이 끝나가던 때다. 당시의 사회성을 반영해 뮤직비디오 사회주의/ 공산주의 아래에 살던 사람들에게 '자유를 찾아 서쪽으로 가자'는 메시지를 불어넣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래서 들어보면 (러시아) 남성 코러스가 꼭 소련 국가같은 게, 공산주의 치하의 사람들을 배려해서 만든 것이다. 뮤비는 대놓고 붉은 별과 같은 공산주의 국가의 상징들을 활용했으며 심지어 자유의 여신상도 빨간 옷의 흑인이다.[15][16] It's a Sin Always On My Mind는 과거 80년 90년도 당시 농구대잔치 KBS 1TV 예고곡으로 나왔다.

죠죠의 기묘한 모험 스타더스트 크루세이더즈에서 나오는 펫 숍의 이름은 이 밴드 이름을 딴 것이다.

It's a Sin 너티 독의 게임 인터갤러틱: 더 헤러틱 프로펫의 티저 PV곡으로 사용되었다.[17]

4.1. 이름의 기원

팝 밴드 치곤 상당히 독특한 이름인 'Pet Shop Boys' 가 성적 비속어나 특정 페티쉬를 의미한다는 설도 영미권에선 꽤 있으나 보컬 닐 테넌트가 직접 밝히길, 이름을 지을때 딱히 별 생각은 없었고, 그냥 펫샵에서 일하던 친구의 별명을 따와 지은 것이라고 한다.

여담으로, 2009년 급진적 성향의 동물권 단체인 PETA가 듀오 이름을 'Rescue Shelter Boys'(!)로 바꿔 달라는 요청을 했었다고 한다. 2024년 현재까지 이름은 그대로 인 것을 보니 일말의 해프닝으로 끝난 것으로 보인다.
[1] 1954년 7월 10일생([age(1954-07-10)]세)으로 결성 당시 27세였으며 팀의 보컬을 맡고 있다. 게이로도 유명하며 닥터후로 유명한 영국 배우 데이비드 테넌트는 이 양반의 성을 따서 자기 예명을 지었다고 한다. 이 쪽 사정은 해당 문서 참조. [2] 1959년 10월 4일생([age(1959-10-04)]세)으로 결성 당시 22세였으며 팀의 프로듀싱과 키보디스트를 맡고 있다. [3] 밑에서도 서술할 12집 앨범인 Electric으로 EDM씬의 작곡 기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서 작곡했다. [4] 다만 이건 음원 시대로 넘어온 이후로는 워낙 표기가 따로국밥이라 잘 지켜지기 어렵긴 하다. [5] 예외가 없지는 않은데, 그 중 하나가 Being Boring이다. [6] 비슷한 케이스로는 엔야가 있다. 엔야 역시 전형적인 스튜디오 뮤지션이라 라이브에 소극적이고 앨범 쇼케이스 무대 정도만 가지고 있다. [7] 이석원조차 옛날 인터뷰에서 '펫 샵 보이즈 라이브는 재미가 없죠' 이런 식으로 언급하기도 했다. 단 지금은 어떤지는 불명. [8] 크리스 로우는 원래 건축가 지망생였기에 건축 쪽에 조예가 깊다고 한다. [9] 이 날 펫 샵 보이즈는 음악에 대한 뛰어난 공헌상을 수상했다. [10] 실제 관현악단과 함께 연주했다. [11] 물론 그래봤자 UK Chart 9위 [12] 1집 Please에 수록된 Love Comes Quickly를 가장 좋아한다고 한다. [13] 위 사진은 1991년 펫 샵 보이즈 라이브 공연 백스테이지에서 찍힌 사진이다. [14] 뮤직비디오를 보고 마치 공산주의 찬양이라고 착각하는 이들도 매우 많다. 보수 논객이라는 지만원이 그런 경우인데, 이 노래가 동성애 공산주의를 찬양한다고 씹었다. 게다가 붉은 악마의 노래라는 이유도 있다. 사실 뮤직비디오를 보면 90년대 초반, 소련이 무너지고 개방되는 분위기다. [15] 다만 이 뮤직비디오가 동유럽 사람들이 불편해하는 노래라고 하는 건 어쩔 수 없다. 문득 러시아가 다시 소련이 되어 서쪽으로 진군하는 듯한 기분이 든 것은 어쩌기 어렵지 않은가. 그리고 블라디미르 푸틴 때가 되면 다시 러시아의 영향력이 세지면서 실현될 수도 있다. [16] 여담으로 유튜브를 비롯, 각종 동영상 사이트에 이 Go west 노래에다가 공산권 국가의 군사퍼레이드 영상을 합성한 비디오들이 2000년대 중반부터 십여 년이 지난 지금도 수십 종 올라와 있다. 영상의 수가 워낙 많은 관계로 제 나름 하나의 장르가 된 듯. 그만큼 서구권에서도 이 노래의 이미지가 어떤지를 짐작하게 해준다. 영상 중에는 서구권의 유튜버가 북한의 군사퍼레이드에 이 음악을 삽입한 것도 있다. [17] 티저 후반부에 Actually CD를 재생시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