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탑골공원이라는 별명을 가진 유튜브 채널에 대한 내용은 스브스뉴트로 문서
, 복면가왕의 탑골공원에 대한 내용은
탑골공원(복면가왕)
문서
참고하십시오.대한민국 사적 제354호 | |
서울 탑골공원 서울 塔골公園 | Pagoda Park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99, 외 ( 종로2가) |
분류 |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역사사건 |
수량 | 1동 |
지정연도 | 1991년 10월 25일 |
제작시기 | 대한제국[1] |
길이 | 76m[2] |
면적 | 15,051㎡ |
|
탑골공원 전경[3] |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99 ( 종로2가)에 있는 서울 도심의 공원.국보 제2호인 원각사지 십층석탑이 있어 '탑골(탑곡;塔谷)'이라고 불렀으며, 탑이 길쭉한 뼈 모양이라 '탑골(塔骨)'이라는 이야기도 있다.[4] 탑을 뜻하는 영어표현을 따서 파고다공원으로도 불렸는데, '파고다(pagoda)'는 '탑파(塔婆)'라는 뜻이니 마찬가지로 탑을 뜻한다.[5]
한국 역사상 최초의 근대식 공원이라고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한국 최초의 근대식 공원은 탑골공원보다 9년 앞서 조성된 인천 자유공원이다. 다만 자유공원은 외국인이 조성한 공원이므로, 한국인이 세운 최초의 근대식 공원을 꼽으라면 탑골공원이 맞다. 한동안 서울특별시 당국이 일반 공원 차원에서 관리해 왔고 현재는 종로구에서 관리하고 있다. 또한 문화재관리국에서 1991년 사적 제354호로 지정하여 문화재 차원에서 보존하고 있다.
탑골공원은 나이가 많은 사람들이 자주 모이는 장소[6]를 가리키는 속어이기도 하다.
2. 역사
|
<colbgcolor=#ffdf00> 탑골공원 조성 전 모습. 원각사지 십층석탑(왼쪽)과 대원각사비(오른쪽) 바로 앞까지 민가가 들어서 있다. |
|
<colbgcolor=#ffdf00> 대한제국 시기 갓 조성한 탑골공원 모습 |
|
<colbgcolor=#ffdf00> 일제강점기 탑골공원. 석탑과 양식 음악당이 보인다.[9] |
|
<colbgcolor=#ffdf00> 1959년 삼일절 기념식 |
|
1960년 4월, 무너지는 이승만 동상 |
국회 오물 투척 사건 당시, 이 곳의 인분을 가져다가 사용하기도 하였다.
|
|
<colbgcolor=#ffdf00> 옛 탑골공원 정문. 현재 서울대학교 동숭캠퍼스에 있다.[11] | <colbgcolor=#ffdf00> 현재 탑골공원 정문인 삼일문[12] |
|
<colbgcolor=#ffdf00> 파고다 아케이드(오른쪽)[15] 신축 공사 중인 낙원상가의 모습이 정면에 보인다. |
하지만 파고다 아케이드는 줄곧 "독립운동 사적지인 탑골공원을 훼손하고 도시 미관을 해친다"는 시민의 지적을 받았고, 결국 1977년 서울특별시청이 아케이드 상인들을 상대로 관리권 명도이전 소송을 걸어 5년 간의 법정 공방 끝에 서울특별시청이 승소했다. 그리고 전두환 정부가 들어선 후인 1982년 파고다 아케이드 철거 방침이 내려져 1983년 하반기에 철거했다.
공교롭게도 파고다 아케이드가 철거되면서 공원 바로 북쪽에 있는 낙원상가가 악기상의 메카로 자리잡았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파고다 아케이드의 철거로 인해 이 상가에 입주하던 악기상들이 줄줄이 낙원상가로 이주한 결과, 낙원상가가 악기 도소매의 메카로 자리매김했던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파고다 아케이드의 건설과 철거 등이 담긴 2018년 8월 15일자 중앙일보 기사를 읽어보자. 동 신문사의 다른 기사도 참고할 만하다.
1988년 5월 서울특별시에서 무료공원으로 개방했으며, 1991년 10월 11일에 정식 명칭을 '탑골공원'으로 개칭했고 2011년 7월 28일에 '서울 탑골공원'으로 재변경했다.
1990년대 이후 종묘 공원과 함께 서울의 대표적인 노인들의 쉼터가 되었다. 그래서 공원 주변에는 노인들을 손님으로 하는 오래된 상가가 많다. 그러나 무료급식 등으로 노숙자가 몰려들고 일부 노인들이 술판을 벌이는 등 고성방가를 일삼으면서 문제를 일으켰다. 게다가 속칭 ' 박카스 아줌마'라고 불리는 노인 전문의 중년 성매매 여성들까지 득실거렸다. 결국 2001년 '탑골공원 성역화' 사업으로 탑골공원의 정비로 일부 설비 철거 및 무료급식소 이전, 고성방가 단속으로 노인 이용객이 하루 수십명 수준으로 격감했다. 풍선효과로 2009년경 노인 인구가 대다수 종묘광장 공원으로 인구이동이 일어났으나, 이후 2007년부터 시작한 종묘 광장 성역화 사업으로 이곳의 노인 이용자 수 역시 격감하는 추세이다.
2021년 제102주년 3·1절 경축 행사가 탑골공원 팔각정 앞에서 거행되었다. 경축식 전체 영상 평년에는 국가보훈처 주최로 민족대표 33인 및 3.1운동 희생선열 추도식이 거행된다.
3. 문화재
공원에는 원각사지 십층석탑, 대원각사비, 탑골공원 팔각정, 앙부일구(해시계) 받침돌, 만해 한용운 기념비, 의암 손병희 동상 등이 있다.3.1. 원각사지 십층석탑
자세한 내용은 원각사지 십층석탑 문서 참고하십시오.
|
<colbgcolor=#ffdf00> 원각사지 십층석탑 |
3.2. 원각사지 대원각사비
자세한 내용은 서울 원각사지 대원각사비 문서 참고하십시오.
|
<colbgcolor=#ffdf00> 원각사지 대원각사비 |
3.3. 팔각정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72호 | ← | 73호 | → | 74호 |
뚝도수원지 제1정수장 | 탑골공원 팔각정 | 순흥 안씨 양도공파 묘역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73호 | |
탑골공원 팔각정 塔골公園 八角亭 |
|
소재지 |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99 (종로2가, 탑골공원) |
분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
수량 / 면적 | 정자 1棟, 토지 152.8㎡ |
지정연도 | 1989년 9월 19일 |
관리자 (관리단체) |
종로구 |
|
|
<colbgcolor=#ffdf00> 팔각정[18] |
대한제국 시기에 탑골공원을 조성하며 함께 지었다. 이곳에서 황실 군악대가 음악 연주를 많이 했으며, 〈 대한제국 애국가〉도 팔각정에서 최초로 연주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3년에는 일반에 공개되었다.
1919년 3.1 운동 때 수많은 시민들이 모였고 학생대표 정재용이 이곳 단상에서 독립선언문을 낭독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후 일제 치하가 계속 이어지면서 울적해하던 시민들이 이곳을 많이 들렀다고 한다.
SBS 드라마 〈 야인시대〉에서도 등장했다. 1부에서는 최동열( 정동환 분)과 원노인( 이순재 분)이 어린 김두한( 곽정욱 분)을 찾을 때와 김두한이 정진영( 서주형 분)에게 자신의 속마음을 얘기할 때 배경으로 나왔고, 2부에서는 중년 김두한( 김영철 분)과 유진산( 이효정 분)이 선거유세한 곳으로 나왔다.
4. 주변 정보
길 하나만 건너면 인사동길이다. 가끔 지도를 보고 찾는 관광객이 여기까지 오곤 한다.[19] 또한, 근처에 낙원상가도 있다.탑골공원 동문 앞에는 서서 먹는 포장마차가 많으며, 낙원상가 근처까지 종로 3가를 포함하여 이 근처는 오래된 노포들의 집합소이다. 평양냉면부터 돼지머리국밥, 짜장면까지 해방 전부터 현대까지 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저렴하고[20] 오래된 가게가 많다. 그렇지만 외관이 낡고 빈곤한 노인층이 주 고객이라 관광지로 갈만한 곳은 아니다. 젊은층은 근방에 방송으로 유명해진 평양냉면 집이나 몇몇 맛집 등을 찾는 경우 혹은 요 몇년새 유명해진 익선동 한옥마을을 찾아가는 경우에 종종 지난다.
노인층이 많다 보니 2016년 종로구청은 여기서부터 낙원상가까지 이르는 골목에다 어르신들의 홍대거리를 표방한 ' 락희거리'를 조성했다. 1960~ 70년대 당시의 모습을 컨셉으로 한 것이 특징이다. 방송인 송해가 〈 전국노래자랑〉 녹화가 없는 날이면 이 주변의 목욕탕과 식당을 주로 들렀다는 점을 착안해 송해길이라는 명칭을 추가로 부여해서 홍보하고 있다.
탑골공원 맞은편에는 버거킹 국내 1호점 있다. 버거킹에서 종각 방향 맞은편의 경영빌딩 1~2층에는 KFC의 국내 1호점이 있었지만 문을 연 지 38년만인 2022년 1월 2일 폐점했다.[21] 또한 KFC에서 종각 방향 옆에 맥도날드 국내 2호점이 있었지만 2016년 3월 29일에 폐점했다. 대신 맥도날드 종로 3가점이 남아있다. 위치 특성상 값싼 커피를 마시기 위해서 패스트푸드점을 찾는 중~노년 고객이 많다.
5. 논란 및 사건사고
5.1. 2001년, 삼일문 박정희 친필 현판 철거 사건
정문격인 삼일문에는 해방 뒤부터 서예가 일중 김충현이 쓴 현판이 걸렸지만 1967년 파고다 아케이드 조성 후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 현판으로 바뀌어 기존 김충현의 현판은 서울특별시청 창고로 넘겨졌다.그러나 민주화 직후인 1990년대 들어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비판적 평가가 공론화되면서 현판 존치에 대한 논란이 몇몇 지식인들 사이에서 제기되었고, 2001년 11월 23일 한국민족정기소생회장 곽태영(1936~2008)[22] 등 5명이 해당 현판을 떼낸 후 소각시키려다 경찰에 의해 저지됐다.[23] 이 사건을 계기로 현판 존치 논란이 점차 이슈화되기 시작했다.
현판을 철거한 곽태영 등 5명은 경찰에 불구속 입건된 후 2002년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1인당 벌금 100만원형을 선고받았지만 이들이 항소에 상고까지 했음에도 2004년 대법원에서 최종적으로 유죄가 확정되었다. 이와는 별개로 서울특별시 측은 2003년 독립선언문 서체로 쓴 새 현판으로 바꿨다.
5.2. 2023년, 노인 및 노숙인들의 악취 논란
2001년 '탑골공원 성역화'로 한 번 해산했던 때처럼, 20여년이 지나 다시금 이 공원에 노인 및 노숙인들이 가득해졌다.노인 및 노숙인들이 취식과 노상방뇨로 악취로 뒤덮여 논란이 발생했다. 이들은 "볼일을 볼 화장실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라 주장했지만, 이들의 불평과 달리 탑골공원 내부에도 공용화장실이 있었으며 도보 1분 거리에는 인사동 문화지구 지하 1층 개방화장실이 있다. 경찰이 노상방뇨를 하는 이들한테 주의를 줬다가 오히려 욕설을 듣고 맞기까지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2024년까지 전문 용역업체에서 조사 과정을 거쳐 문화재청, 서울시와 관련 협의 개선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
6. 같이 보기
[1]
문화재청은 서울 탑골공원의 정확한 건설 시기를 밝히지 않았다.
[2]
보행로 설치로 서북단 일부가 매몰되어 현재 길이는 62.9m 이다.
[3]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4]
RTHK 등 중화권에서는 탑동공원이라고도 부른다.
[5]
파고다는 종로2가의 파고다 어학원 등에 남아있다.
[6]
실제 공원 주변에 가보면 어르신들이 많다. 온라인상으로는 추억팔이를 위한 가상장소를 나타내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특히
스브스뉴트로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7]
그 이유는 자신이 놀
기생방을 만들기 위함이었다.
[8]
주미조선대사 출신 친미개화파로, 한성부 판윤 자리에 오른 이후 한성개조사업을 통해 한성부 가로망과 도시공간을 정비했으며 한성전기회사를 설립해 한성에
전차를 도입했다.
[9]
사진 출처 - 서울역사아카이브.
[10]
이 때문에 이승만 동상을 철거하는 장면은 4.19 혁명을 상징하기도 한다.
[1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12]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13]
안내문에는 이렇게 적혀있지만 사적 지정 전의 일이라 기록이 미비해 실제 교문 위치는 아직도 알 수 없으며, 동숭동 시절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출신들 사이에서도 교문이
방송통신대학교 쪽으로 나있다고도
주장했다.
[14]
1975년 동숭동 캠퍼스가 관악으로 이전한 뒤에도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 교문으로 여전히 쓰이고 있다.
[15]
사진 출처 - 서울역사박물관.
[16]
박정희 정부는 집권 이후
3.1 운동과
4.19 혁명을 의도적으로 깎아내렸고,
삼일절의 위상도 낮췄다. 그렇기에 파고다 아케이드를 건설한 것도 3.1 운동과 4.19 혁명의 발상지인 탑골공원을 말살하려는 정부의 의도가 있다는 역사학계 일부의 지적이 있었다.
[17]
아케이드 건축 과정에서 공원 경내 남쪽에 있던
서울특별시교육청종로도서관이 쫓겨나 현재의
사직공원 뒤편으로 자리를 옮겼다.
[18]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19] 관광안내소 지도를 보면 인사동 끝자락에 탑골공원이 걸려있어 마치 마지막 코스처럼 보이게 한다. [20] 국밥, 찌개, 면 등이 2 ~ 3천원선이다. [21] 지금은 국내에서 자취를 감춘 브랜드이지만 하디스 1호점도 이 근처에 있었다. 이후 지오다노가 영업했었지만 지오다노 매장은 2021년 4월 폐점했다. [22] 1965년에 백범 김구 살해범 안두희를 칼로 찌른 인물로, 2000년 문래공원 박정희 동상 철거운동 등에도 앞장서며 일제 잔재 청산과 백범 암살 진상규명 투쟁 등에 나섰다. [23] 앞서 10월 26일에 소각을 시도했지만, 경찰의 제지로 무산된 바가 있다. 다분히 박정희가 피살당한 날짜가 갖는 상징성을 염두에 둔 행동이었던 듯.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19] 관광안내소 지도를 보면 인사동 끝자락에 탑골공원이 걸려있어 마치 마지막 코스처럼 보이게 한다. [20] 국밥, 찌개, 면 등이 2 ~ 3천원선이다. [21] 지금은 국내에서 자취를 감춘 브랜드이지만 하디스 1호점도 이 근처에 있었다. 이후 지오다노가 영업했었지만 지오다노 매장은 2021년 4월 폐점했다. [22] 1965년에 백범 김구 살해범 안두희를 칼로 찌른 인물로, 2000년 문래공원 박정희 동상 철거운동 등에도 앞장서며 일제 잔재 청산과 백범 암살 진상규명 투쟁 등에 나섰다. [23] 앞서 10월 26일에 소각을 시도했지만, 경찰의 제지로 무산된 바가 있다. 다분히 박정희가 피살당한 날짜가 갖는 상징성을 염두에 둔 행동이었던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