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que라는 단어를 쓰는 다른 고유명사에 대한 내용은 클릭(동음이의어) 문서
, 대한민국의 래퍼에 대한 내용은
CLIQUE
문서
참고하십시오.Clique
1. 개요
미국을 비롯한 서양의 학교에서 보이는 학생들간의 파벌. 한국인들에게는 미국 학교를 다룬 영화[1], 소설, 게임 등으로 접해볼 수 있다.미국 학교의 경우 한국과 달리 한 반의 개념이 약하기 때문에, 대충 취향과 성향이 비슷한 아이들끼리 모여서 같이 노는 그룹이 형성되며 이를 일컫는 말이다. 물론 이는 한국에서도 얼마든 볼 수 있는 일이지만, 전술하였듯 미국 창작물에 자주 나오면서 그 개념이 강화되었다.
2. 분류
클리크는 취미, 관심사, 패션, 신념, 스타일 등으로 다양하게 나뉜다. 다른 클리크와 서로 어울리는 경우가 없지는 않지만 그래도 상당히 보기 드문 편이다. 사실상 서로 다른 클리크끼리는 소가 돼지나 닭을 보듯이 관심도 없고 서로 놀거나 사귀지도 않는다. 하지만, 다른 클리크 집단 안에 들어가는 것이 목표라면 스스로의 스타일을 잘 돌아봐야 한다. 경우에 따라 두 종류 클리크에 들어가는 애들도 있다.아래는 미국의 미디어에서 흔히 묘사되는 전형적인 유형들과 그 유형들에 미국인들이 가진 스테레오타입이다. 창작물에서와 달리 현실에서는 얼마든 다양한 차이가 존재하고, 시대의 변화에 따라 학교의 학풍에 따라 바뀐 요소도 많이 있다. 또한, 아래 분류는 수많은 분류 방법 중 한 가지일 뿐 클리크의 분류는 카스트 마냥 확고하게 정형화가 된 것은 아니다. 서양의 엄격한 사립학교는 다 교복을 입고 생활하기에 이모, 고스, 힙스터가 별로 없으며 작은 사립학교로 가면 너드, 긱은 보기가 드물다.
-
작(Jock):
운동부.
엘리트 체육으로 운동부가 분리된 한국과 달리 미국에서는 운동부도 수업에 정상적으로 참여한다. 이는 한국의 운동부가 주로 농구/축구/야구등으로 기초 이론과 자기 포지션을 비롯한 비교적 간단히 암기할 수 있는 경우인 것과 달리 미국의 경우 미식축구처럼 머리가 따라 줘야 원활하게 굴러가는 운동이다 보니[2] 이렇게 된 것. 거기다, 미국이란 국가 자체가 책상머리보다는 몸으로 뛰는 것을 더 우대하는 사회적 환경이 있어서 인싸가 되려면 일단 체격이 좋고 운동을 해서 위압감이 있어야 한다.[3] 그런 외향적인 운동선수들이 팔방미인인 인싸일 경우가 많아서 대체로 체격이 좋다. 드물지만 간혹 작이면서 긱인 이들도 있다. 최근에는 비디오 게임이나 서브컬처등이 미국 인싸들에게도 퍼져서 NFL 슈퍼스타들 중에도 오덕이나 게임매니아들이 종종 있는 편. 작이라는 호칭은 이 운동부 선수들이 사타구니에 끼는 작스트랩(Jockstrap)이라는 보호대에서 유래하였다. 그래서 구글에 jocks라고만 검색하면 눈갱을 당할수 있다. 동양인, 흑인, 히스패닉 학생들 중에도 작이 있지만 보통은 백인들이 많다.[4] 창작물에서 작 캐릭터는 우락부락한 근육 떡대에 야구점퍼를 걸치고 대체로 치어리더[5]를 애인으로 두면서 꼭 복도 사물함에서 주인공과 마주치면 시비를 걸거나 폭력을 가하는 인물들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몇몇 창작물에서는 폭력성은 빠지거나 필요한 만큼만 갖추고 사교성에 매너까지 좋아 인기 폭발인 캐릭터도 찾을 수 있다. 더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한국에서 가장 대접받는 편에 들어가는 클리크는 부모 뒷배가 세던가 성적이 좋은 학생이지만, 반대로 마초주의와 외향성을 중시하는 미국에서는 범생이를 다소 얕잡아보며, 운동부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
치어리더(Cheerleader)
운동부, 특히 축구부 소속의 여자 작도 있지만 미국은 수많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꼭 응원부가 조직되어 있기 때문에 흔히 여자 작 포지션으로는 미국 하이틴 창작물의 필수요소급인 치어리더가 자주 나온다. 남자 작과 크게 다르지 않은 이유다. 학교의 아이돌격인 예쁜 여학생이 응원단의 리더이자 학교의 여왕벌 포지션으로 작과 사귀는 것이 하나의 클리셰. 주인공이 여성인 경우 자주 악역으로 묘사된다. 더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
불리(Bully)
공식적으로는 학교폭력이라는 용어이나, 미드의 묘사에서는 양아치쯤으로 번역할 수 있다. 이름처럼 다른 학생들에게 폭력을 휘두르고 다니는 질 나쁜 학생들을 일컫는다. 매체에서는 작이 불리 역할을 겸하는 경우도 있으나, 작과는 별도로 불리를 갱스터처럼 표현하기도 한다.
-
긱(Geek)
원 뜻은 괴짜지만, 덕후쯤으로 말할 수도 있겠다. 특정 취미에 몰두하는 이들이다. 다만 일본 애니메이션 오타쿠는 위아부(Weeaboo)라고 따로 부르는 단어가 있으며, 긱은 그 외의 프로그래밍이나 게임, 발명 등 특정한 취미 하나에 꽂혀 그것에만 파고드는 이들을 칭한다. 사회성이 낮다는 이미지가 큰 너드와 달리 긱은 긱인 동시에 작, 힙스터 등 다른 클리크에 속한 이들도 있는 등 사회성 부족과는 큰 관계가 없다. 창작물에서는 좀 현실적인 느낌의 경우에는 스마트 기기와 드론, 빵판 등을, 애니메이션 등에서는 기상천외한 발명품(...)을 들고 다니는 것으로 자주 묘사된다. 더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
너드(Nerd)
범생이 등으로 번역된다. 몰입이라는 점은 긱과 비슷하나, 긱과 달리 그 스펙트럼이 학구적인 것에 가깝고 지능이 높고 사회성이 떨어진다는 이미지가 강하다. 긱과 마찬가지로 대다수가 남자들이다. 물론 공부를 잘 한다고 꼭 너드라고 하지는 않는다.[6] 창작물에서는 주로 키가 작고 멜빵과 셔츠, 안경을 쓰고 책을 들고 다니는 등의 클리셰를 따라가는 경우가 잦다. 더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
포저(Poser)
특정 그룹에 속하는 척하는 사람이란 뜻으로 포저 긱, 포저 너드 같은 식으로 쓰인다. 관심을 받거나 인기를 얻기 위해 펑크, 힙합, 고스, 스케이터 등의 스테레오타입 복장을 갖춰입고 SNS에 열심히 사진을 찍어 올리지만 정작 흉내내는 문화들을 제대로 즐기고 실력을 기르거나 가치를 이해하려는 노력은 없어 그 그룹에 속해있는 이들에게 진정성 없는 가짜라고 까인다.
-
로너(Loner)
아싸나 외톨이쯤으로 번역할 수 있다. 미국의 고등학교는 학점제이다 보니 중학교 때까지 친구층이 넓게 갖춰지지 않거나, 고등학교 시점에서 유학 오는 경우 로너가 되기 쉽다. 고등학생이 아니라도 어느 클리크에도 딱히 못 끼고 혼자 따로 노는 스타일이면 자연스레 로너가 된다. 한국의 아싸처럼 보통은 혼자 있는 시간을 더 좋아한다. 또한 서양의 고등학교는 클리크끼리 노는것이 대한민국에서보다도 너무 일반적이라 딱히 특정 클리크 안에 끼지 못하면 저절로 완전히 로너가 되어 버린다. 물론 로너끼리 뭉치는 경우도 가끔 있다. 미드에서는 그냥 존재감 없이 묘사되기도 하나, 현재는 불리 못지 않게 무서운 학생들이다. 특히 학사관리가 열악한 학교일 경우 문제학생이 로너가 되거나, 최악의 경우 총기 난사같은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 위험군이기 때문.
-
프렙(Prep)/프레피(Preppy)
입시를 준비하는 사립 학교를 프렙 스쿨(prep school)이라고 하는데 여기서 따온 단어로 사립 학교 스타일의 학생들을 말한다. 중, 상류층의 부유한 집안 자제들 느낌. 특히 사립 학교 동양인 학생들 중에 프렙이 아주 많다. 공부에 관심이 많지만 너드와는 달리 옷을 단정하게 잘 입고 다니며 사교성도 좋다. 홈커밍 데이나 프롬 파티 등 학교 행사에서도 늘 눈에 띄는 역할을 맡는다. 명실상부 단정함을 중시하는 사립 학교 선생님들이 가장 좋아하는 학생 타입이기도 하다. 복장은 사립 학교 교복이나 스웨터, 버튼다운 셔츠, 흰색 더비 슈즈 등을 주로 착용한다는 이미지가 있다. 일명 프레피 룩. 창작물에서는 주로 친절한 선배 이미지로 나오지만 선민 의식을 가지고 있거나 집안 배경으로 작을 뛰어넘는 비선실세, 혹은 반대로 허수아비로 묘사될 때도 있다. 더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
힙스터(Hipster)
보수적인 관습, 규범 및 대중성과 유행에 반발하는 이들로 다른 그룹과 차별되는 본인들만의 독립적인 가치관과 독특한 패션에 관심을 가진다. 빈티지 등 비주류 패션을 선호하며 플란넬 셔츠에 청바지를 입고 수염을 기른 모습이 스테레오타입이다. 더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미국 곳곳에 퍼져 있지만 특히 캘리포니아 지역에 많다. 기독교 성향이 심하고, 보수적인 지역으로 갈수록 수가 많이 줄어든다. 당연하지만 이들도 본인과 가치관이 적당히 닮은 동질감이 있는 사람들한테 매력을 느끼는 건 비슷하다.
-
스케이터(Skater)
스케이트 펑크(Skate punk)라고도 한다. 반항아 기질이 다분한 이들로 헐렁한 옷을 입고 스케이트보드를 타고 다니며 새총으로 기물파손을 하거나 벽에 온갖 낙서를 하는 것이 미디어에 클리셰로 자주 등장한다.[7] 포저들이 인기를 얻기 위해 자주 따라하는 그룹이기도 하다.
- 메탈헤드(Metalhead)
- 펑크족/펑스(Punx)
이 외에도 특이한 문화가 있는 지역이나 학교 분위기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클리크가 있다.
3. 한국의 클리크
한국에서는 청소년 때에 클리크의 개념이 없지는 않지만 희박한 편이었다. 학점제가 아니다 보니 반내 모든 학생이 똑같은 과정에 똑같은 수업을 받는 일률적인 방식이고 애초에 학교나 학부모측이 엄격한 동일규율을 준수할 것을 요구하는 만큼 이모, 고스, 힙스터에 가까운 학생들은 약간의 장신구 등으로만 개성을 나타낼 수 밖에 없으며 주말이나 방학 등에 마음껏 개성을 뽐내는 정도였다. 작(Jock)의 경우 철저하게 분리되는 엘리트 체육을 제외하면 생활체육에 관심있는 사람 반 그렇지 않은 사람 반이라 활발하게 형성되지는 않았고, 로너의 경우 소규모로 모여 다니는가 거의 혼자 다니는가 정도의 차이가 있었고, 너드의 경우는 공부를 잘하는 엘리트들로 취급받았고, 긱의 경우 특성화고를 제외하면 기계 잘 만지는 재주꾼이나 조예가 있는 취미인[8]이라 볼 수 있었고, 프렙의 경우는 외향성과 내향성에 상관없이 반 내에서 권위자 집안 자제가 있을 경우 풍문으로라도 알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그런데 고교학점제의 시행으로 인해 이 구조에 변화가 찾아오고 있다.서양과 달리 우리나라를 포함한 대부분의 아태지역에서는 집단이란 개인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도구 중 하나이고 실제 권력은 학내에서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자들[9] 과의 관계에 따라 점조직 연결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소집단의 의미는 그런 구심점이 될 자들과 자신과의 관계에 따라 형성되고, 그것이 상하권력관계로 기능하기 쉬워서 클리크 활동이 눈에 띈다는 것은 오히려 자신의 위치를 너무 대놓고 드러내기 때문에 집단이 형성되어도 눈에 띄는 방향으로 해당 집단의 성향이 표출되는 일은 잘 없다. 이렇기에 클리크의 개념이 가장 확고하게 나타나는 곳은 다름아닌 초등학교다.
물론 서양과 마찬가지로 학교마다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비교적 자유로운 분위기의 학교에서는 클리크가 취미 등에 따라 소규모지만 다양하고 뚜렷한 형태로 나타나는가 하면 진로가 확고하거나 교사의 권위가 강력한 학교라면 클리크가 옅은 편이다. 특히 후자는 모두가 미래를 위한 학력투쟁에 쏠리거나 그 외의 모든 투쟁의 형태가 철저히 억압되기 때문에 성적을 제외한 내부투쟁에 힘을 쏟을 여력이 없는 것이다.
4. 유학생들의 클리크
유학생들 중에서도 일찍 유학을 가서 현지문화에 이미 익숙해진 이들이나 아니면 늦게 유학을 떠났어도 사회성의 수준이 문화적인 차이를 뛰어 넘을만큼 좋은 이들은 현지 서양애들의 클리크 사회에 그대로 녹아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러지 않을 경우 보통 로너로 남거나 유학생들의 사회에서 어울리는데, 한국 유학생들의 클리크는 한국 본토의 클리크와 비슷하다. 보통 공부를 제법 열심히 하는 범생이와, 놀러다니며 놀기 좋아하는 날라리, 평상시에 별로 말없이 잠수를 잘타며 보통 혼자 지내는 아싸 이렇게 세 부류로 나눠진다.5. 대중문화에서의 클리크
미국 창작물에서는 학교 생활을 묘사하기 위해 클리크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하는 경우가 매우 많이 보인다. 가령 작이 너드나 긱을 괴롭히고 학교 사물함 안에 넣고 가두거나 하는 묘사가 다반사. 또한 프렙들은 선민의식에 빠져서 사람 무시하고 다니는 대립구도가 많이 묘사되었다. 이에 스토리 작가들은 보통 너드나 긱 계열이 많기 때문에 그렇다는 말도 있었다. 이런 장면들은 2000년대 무렵까지만 해도 아주 흔했지만 미국에서도 너드 문화가 어느 정도 인기를 끌고 환경이 변화하면서 이런 묘사도 덩달아 줄어들게 된다.- 1975년 영화 러브 스토리에서는 여주가 남주를 '예비교생(preppy)'이라고 놀리는 장면이 초반에 등장하는데 바로 prep을 의미한다.
- 가면라이더 포제의 아마노가와 학원 고등학교의 학생들이 파벌이 여기서 모티브되었다.
- 진격의 스쿨 카스트에서 메인으로 다뤄진다
- 나는 에이미를 사랑해에서도 클리크 문화에 대해서 잘 다뤄진다.
[1]
흔히
하이틴 영화라고 부른다.
[2]
그러다 보니 공부 못하면 주로
농구를 하는 경우가 많다.
[3]
유명 미국인 유튜버
올리버쌤도 미국에서 학교생활 하려면 일단 힘 있고 강해보여야 무시당하거나 Bullying을 당하지 않는다며 운동해서 근육을 키웠다고 말한 적 있다.
[4]
이는 아무래도 운동부에 등록하기 위해 지불해야하는 비용때문에 그럴 가능성이 높다. 일종의 보이지 않는 인종차별.
[5]
이 치어리더도 하필 주인공의 짝사랑 대상인데 주인공이 작한테 불링 당하면서 얻어맞는 걸 웃으면서 지켜보는 바람에 주인공의 비참한 현실을 더 부각시키는 클리셰도 있다.
[6]
상술했듯 작도 긱도 분야에 따라선 공부도 잘하는 이들도 많다. 아예 특정 분야로만 한정짓는다면 긱 쪽이 좀 더 심화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더 높다.
[7]
심슨 가족의
바트 심슨과
불리(게임)의
지미 홉킨스가 대표적인 예시.
[8]
특히 악기나 춤, 팬덤 등
[9]
클리크의 구심점이 될 취미나 행동, 문화 등에서 우위에 있는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