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134A8E>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134A8E><colcolor=#ffffff> 투수 | 6 마노아 · 17 베리오스 · 29 로드리게스 · 31 데 거스 · 34 가우스먼 · 40 배싯 · 43 버 · 44 프란시스 · 45 낸스 · 50 스완슨 · 52 로버트슨 · 54 리틀 · 56 팝 · 57 그린 · 60 아이서트 · 62 루카스 · 64 마코 · 65 대너 · 93 가르시아 · # 블로스 · # 피터슨 · # 샌들린 · # 바스타도 | |
포수 | 30 커크 · 55 하이네만 | ||
내야수 | 7 와그너 · 11 비솃 · 13 마르티네즈 · 22 클레멘트 · 27 게레로 Jr. · 47 바저 · 49 L.히메네스 · # A.히메네스 | ||
외야수 | 4 스프링어 · 8 클라세 · 10 로퍼피도 · 25 바쇼 · 36 슈나이더 · 37 베로아 · 38 룩스 | ||
존 슈나이더 드말로 헤일 돈 매팅리 피트 워커 데이비드 팝킨스 헌터 멘스 · 루 이아노티 그레이엄 존슨 마크 버드진스키 · 카를로스 페브레스 | |||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 |
크리스 배싯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크리스 배싯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
||||||||||||||||||||||||||||||||||||||||||||||||||||||||||||||||||||||||||||||||||||||||||||||||||||||||||||||||||||||||||||||||||||||||||||||||||||||||||||||||||||||||||||||||||||||||||||||||||||||||||||
2021 |
2023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다승왕 | ||||
저스틴 벌랜더 ( 휴스턴 애스트로스) |
→ |
크리스 배싯 ( 토론토 블루제이스) 잭 에플린 ( 탬파베이 레이스) |
→ |
타릭 스쿠발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61번 | ||||
찰스 리스먼 (2013~2014) |
→ |
크리스 배싯 (2014) |
→ |
케반 스미스 (2016)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40번 | ||||
제이슨 해멀 (2014) |
→ |
크리스 배싯 (2015~2021) |
→ |
샘 셀먼 (2022) |
뉴욕 메츠 등번호 40번 | ||||
제프 하틀립 (2021) |
→ |
<colcolor=#ffffff> 크리스 배싯 (2022) |
→ |
드류 스미스 (2023) |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40번 | ||||
피트 워커 (2012~2022) |
→ |
크리스 배싯 (2023~) |
→ | 현역 |
}}} ||
|
|
<colbgcolor=#134a8e><colcolor=#fff> 토론토 블루제이스 No.40 | |
크리스 배싯 Chris Bassitt |
|
본명 |
크리스토퍼 마이클 배싯 Christopher Michael Bassitt |
출생 | 1989년 2월 22일 ([age(1989-02-22)]세) |
오하이오 주 톨레도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게오나 에어리어 고등학교 - 애크런 대학교 |
신체 | 196cm | 98kg |
포지션 | 선발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입단 | 2011년 드래프트 16라운드 (전체 501번, CHW) |
소속팀 |
시카고 화이트삭스 (2014)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15~2021) 뉴욕 메츠 (2022) 토론토 블루제이스 (2023~) |
계약 | 2023 - 2025 / $63,000,000[option] |
연봉 | 2025 / $21,000,000 |
에이전트 | Pro Star Management, Inc. |
등장곡 | Alive - Lil Jon, Offset & 2 Chainz |
가족 |
아버지 존 배싯, 어머니 던 배싯, 남동생 맷 배싯 배우자 제시카 배싯, 딸(2017년생) |
종교 | 개신교 |
SNS | | |
[clearfix]
1. 개요
토론토 블루제이스 소속 우완 투수.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크리스 배싯/선수 경력 |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3. 피칭 스타일
구속은 빠르지 않으나 굉장히 다양한 구종으로 타자를 속이는 유형이다. 2023년 시즌에는 싱커, 커터, 스위퍼, 커브, 포심, 슬라이더, 스플리터, 체인지업을 던지는데, 보다시피 FB계열이 뼈대를 이룬다.평균 93마일 정도 나오는 싱커와 90마일 초반대의 컷 패스트볼, 그리고 90마일 중반대의 포심패스트볼까지, 3가지 종류의 패스트볼이 구종 구사 비율에서 70퍼센트가 넘을 정도로 패스트볼 위주의 피칭을 하는 투수다. 2 스트라이크 이후에는 70마일 대의 슬로커브를 유인구로 종종 던진다. 2021시즌에는 커브와 구속이 비슷한 70마일 대의 슬라이더의 비중을 늘리면서 재미를 보고 있다.
팔각도가 몸과 거의 수직인 사이드암 수준의 팔각도를 가진 선수지만 막상 투구가 이뤄질 때는 45도선에서 이뤄지는 특이한 선수. 이는 상체를 상당히 눕히면서 투구를 하기 때문인데, 직접 폼을 보면 구 데드볼시대 에이스들이 생각나는 폼이다. 6피트 5인치라는 훌륭한 수준의 피지컬을 지니고도 평속 92마일의 느린 싱커를 던지지만 선발투수 치고 K/9가 8.1로 상당히 높은데, 이는 하체를 잘 이용하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투구동작이 끝날 때 상체가 상당히 안정적으로 세워지며 딜리버리 이후 내딛는 발도 일정한 편으로, 실제로 BB/9도 2.65에 이르는 것처럼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WHIP만 보면 브레이크 아웃한 19년 이후로 1.1수준의 에이스급 출루허용을 보여주지만, BB/9에서 나타나는 만큼 압도적인 것은 아닌데, 이는 상당히 높은 수준의 커리어 xBABIP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투구동작의 안정성과는 별개로서 보다 보면 뭔가 투구동작의 끝이 느릿느릿하다는 느낌을 받는데, 실제로 필딩은 이런 류의 제구력 좋은 투수들이 보여주는 것과는 달리 조금 부족한 편이다. 하지만 이러한 딜리버리 스피드에도 불구하고 도루허용률은 낮은 편으로, 통산도루허용이 30개가 되지 않는 선수. 셋업포지션 역시 깔끔하게 해내는 편으로서,주자가 있을 때의 Men on scoring이나 Men on base에서의 피OPS, FIP가 0.6~0.7, 3.84~4.03 수준.
다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그가 오클랜드에서 뛰는 것이 아니면 이러한 평가를 유지할 수 있을지 의문이 있다. FB/GB가 1.2수준인 꽤 심한 수준의 뜬공투수이며, 리그 평균 HR/FB를 대입한 xFIP-FIP갭이 상당한 선수이기 때문이다[2]. 물론 브레이크 아웃한 지 3년밖에 되지 않아 표본이 부족하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피치타입은 70%가 FB타입인 상남자.SI:36%, FC:20%, FA:20%, CH:9%, SL:8%, CU:7%로서, 이전 편집의 70마일 슬라이더는 아마 커터일 가능성이 높다.(브레이크 아웃한 19시즌 이후 SL로 분류되는 공의 비율 13.9%-2.9%-8.7%)
이 선수의 구종중 가장 깊은 인상을 주는것은 얼마 던지지 않지만 60마일 후반-70마일의 슬로우커브인데, 우타자 상대로는 몸쪽 존의 높은 쪽, 낮은 쪽을 가리지 않고 던지며 쳐도 IFF가 나올 법한 공. 실제로 원래는 이런 커브를 20%정도 던지던 투수였는데, 브레이크 아웃 전 부상 없는 3년 간 인필드플라이 비율이 18.8%-14.9%-10.5%라는 기막힌 수치를 보여주었다.
4. 수상 내역
5. 여담
그림을 상당히 못 그린다. 위의 그림은 인터뷰어가 오클랜드의 마스코트 코끼리인 스톰퍼를 그리라고 하자 그린 것. 원래는
이렇게 생겼다. 참고로 저 그림도 꽤 오랜 시간 정성들여 그린 것이다.
- 야구 외에는 미식축구, 농구, 캠핑을 좋아한다고 한다.
6. 관련 문서
[option]
골드 글러브, 올스타, 월드 시리즈 MVP 수상 시 인센티브 각각 $50,000/사이 영 상 수상 시 인센티브 $150,000 추가 지급 | 8개 구단 트레이드 거부권 포함
[2]
참고로 오클랜드의 홈구장인
오클랜드-앨러메다 카운티 콜리세움은 리그에서 손꼽히는 투수 친화 구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