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0 03:01:10

커터

1. 사전적 의미2. 개별 문서가 있는 커터
2.1. 대중매체
3. 군함, 해경함의 등급: Cutter
3.1. Cutter 관련 문서
4. 프로레슬링의 기술
4.1. 커터의 바리에이션4.2. 4.3. 여담

1. 사전적 의미

커터(Cutter)는 날붙이를 뜻하는 영단어이다. 후술할 내용들은 여기서 유래된 것들이다.

2. 개별 문서가 있는 커터

2.1. 대중매체

3. 군함, 해경함의 등급: Cutter

소형 쾌속정을 부르는 말이다. 20세기 이후는 경무장의 소형 경비정, 초계정이나 원양초계함 해안경비대의 경비함을 크기에 관계없이 부르는 말로 정착되었다. 미 해안경비대의 경비함들은 모두 함명 앞에 USCGC(United States Coast Guard Cutter)가 붙는다.

3.1. Cutter 관련 문서

National Security Cutter
Cutter (boat)

4. 프로레슬링의 기술

파일:external/www.wwe.com/WOWRES128.jpg

DDP의 다이아몬드 커터

등진상태로 상대의 목을 팔로 휘감아, 그대로 넘어져서 상대의 턱과 목에 타격을 주는 브레이커계 기술. 많은 사람들이 얼굴을 바닥에 부딪히게 하는 페이스버스터류로 알고 있다. 엄밀히 이야기하면 조 브레이커 계열이지만 눈으로 보기에 피폭 부위가 애매한지라 인버티드 넥브레이커로 부르기도 한다.

최초 사용자는 바로 쟈니 에이스. 에이스 크러셔라는 이름의 피니쉬 무브이기도 했으며 설붕식,나락식, 길로틴식[1] 등 다양한 변용과 정확한 시전으로 커터의 달인으로 불렸다.

파일:1PuYz.gif [2]
파일:1519536520.gif [3]

북미 메이저에서 가장 유명한 커터는 DDP의 다이아몬드 커터(Diamond Cutter). 이런 형태의 조 브레이커가 뭉뚱그려 커터란 이름을 가지게 된 것도 이 다이아몬드 커터라는 기술명이 기원이다. DDP 본인이 쟈니 에이스에게 에이스 크러셔를 쓸 수 있도록 양해를 구하고 피니쉬 무브로 사용한 다이아몬드 커터는 장신인 DDP의 시원시원한 움직임덕분에 멋진 피니쉬로 인기를 끌었고 DDP의 상징이기도 했다. 그리고 또한 거의 대부분의 커터 배리에이션은 다이아몬드 커터에서 나온것 이다.

파일:external/i189.photobucket.com/RKO.gif
파일:external/ak-hdl.buzzfed.com/anigif_enhanced-buzz-20521-1421807080-10.gif

현재는 랜디 오턴의 피니쉬 무브인 R.K.O.[4]로 유명하다. 랜디 오턴은 처음에 이 기술을 사용하지 않았지만, DDP가 직접 이 기술을 사용하도록 권유해서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한동안 알려졌으나 랜디 오턴이 직접 밝힌 바에 의하면 피니쉬기를 못 찾고 다이빙 크로스바디나 오-존을 사용하고 있는 랜디 오턴에게 개발자인 쟈니 에이스가 직접 찾아와 자신의 에이스 크러셔를 피니쉬기로 사용해 보라고 권유했고 랜디 오턴이 이를 받아들인 후 자신의 스타일로 개량해서 사용했다고 한다. 원조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잡는 동작에 점프가 기본으로 들어가 있다. 그래서 점핑 커터라고 분류하기도 한다. 이 점프동작 덕분에 랜디는 경력내내 등에 대미지가 누적되었고, 2022년에 척추융합수술을 받으면서 의사로부터 은퇴권고까지 듣게 되었다. 그래도 어찌어찌 회복에 성공하여 2023년 서바이버 시리즈에서 복귀, 24년도에도 경력을 이어가는 중.

파일:external/stream1.gifsoup.com/randy-orton-botch-o.gif

기술을 처음 사용할 때는 DDP와 차별화하기 위해서인지 직접 달리면서 점프하는 방식으로 사용했다. 이 때문에 이런 흑역사 연출한 적도 있다. 잡는 동작이 부실하다보니...[5] 초창기 때 한 손으로 커터를 날리는 방식으로 사용했지만 위의 gif에서 삑사리 나는 바람에 두 손을 잡고 커터를 날리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달리는 동작 역시 이 시기를 기점으로 점점 사라지고 제자리 점프로 바뀌었다.

대신 기습용도로 활용도가 높아서 기습적으로 사용하거나 상대의 탑로프 점프 공격을 반격하는 등 참으로 예상치 못 한 상황에서 강제로 우겨넣으며 쓴다. 이를 헌팅 RKO라고도 하지만, 오턴의 안티들은 대부분 로또 RKO라고 한다더라(...). 이 로또RKO는 2003년 RKO를 피니셔로 쓰기 시작한 랜디 오턴의 경기들이 경기 내내 밀리다가 에볼루션 빽이나 RKO 한 방으로 역전시킨다는 경기 내용에 대한 비아냥에 가까웠다. 최근엔 태그팀 파트너인 맷 리들도 종종 RKO를 쓴다.

파일:external/i1269.photobucket.com/AceCutter.gif

트리플 H도 데뷔 당시 페디그리 퍼펙션 / 페디그리 판데모니엄이라는 기술명으로 사용한 적 있으나 DDP의 요청으로 현재의 페디그리로 피니쉬를 변경했다고 한다. DDP는 당시 트리플 H가 자신의 부탁을 정말 쿨하게 들어줬다는 후일담을 남겼다.[6] 그 외에도 동형기 커터를 피니쉬로 쓰는 선수가 몇 있는데, 대표적으로 신일본때의 칼 앤더슨이 있다. 이름은 건 스턴. WWE에서는 오턴이 이미 RKO로 쓰고 있어서인지 사용하지 않는다. 건 스턴 자체는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타마 통가가 물려받아 사용 중. 다만 문제는 삑사리 확률이 상당히 높다는 것인데, 2016년 당시에는 거의 3번에 1번꼴로 삑사리가 났다. 지금은 어느정도 괜찮아졌다지만 불안불안 해 보이는건 사실. 이쪽도 WWE로 이적하면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AEW 레슬러 QT 마샬도 QT 커터라는 이름으로 사용했다. DDP에게 전수받았다.

4.1. 커터의 바리에이션

커터는 사용하기 쉽고 임팩트가 있으며 원조인 쟈니 에이스가 많은 변용을 보여준 덕에 현재도 꽤 바리에이션이 많은 편이다.

파일:external/hardytheboys.unblog.fr/1646510326.gif

매트 하디의 트위스트 오브 페이트. 상대를 DDT준비 자세로 잡고 어필을 한번 해준 뒤 시전자만 몸을 비틀어서 커터로 내리찍는 기술. 형의 기술답게 동생 제프 하디[7]나 전 애인이자 동료였던 리타도 사용했다.[8]

파일:external/stream1.gifsoup.com/finisher-tko-o.gif

상대를 파이어맨즈 캐리로 들쳐올린 뒤 돌려서 커터로 내려찍는 TKO. WWE에서 활약했던 복서 기믹 프로레슬러 마크 메로(Marc Mero)의 피니쉬 무브였고 TKO도 그가 붙인 이름이다. 이후 그의 아내였던 세이블 테스트도 사용했으며, 현재는 고질적인 목 부상으로 기존의 피니셔를 포기한 니키 벨라가 사용했다.[9] 현재는 신예 오스틴 시어리가 ATL이라는 이름으로 사용 중이다.
전일본 프로레슬링 소속 레슬러이자 자이언트 바바의 마지막 제자였던 마우나케어 모스맨(하와이 출신, 링네임 타이요 케어)도 하와이안 스매셔 라는 이름으로 사용했다.

파일:external/stream1.gifsoup.com/cody-rhodes-cross-rhodes-seth-rollins-o.gif

상대를 인버티드 DDT 자세로 잡은채로 반바퀴 돌아 커터로 마무리하는 롤링 커터. 크리스토퍼 다니엘스의 피니쉬 무브로도 유명하다. WWE에서는 2002년에 테스트가 롤링 커터를[10] 테스트 드라이브라는 이름으로 사용했고 그 이후 루서 레인즈, 칼리토 코디 로즈가 크로스 로즈라는 이름으로 사용했으며 코디의 형인 골더스트는 인버티드 DDT 자세가 아닌 슈플렉스 자세에서 넥브레이커를 시전하는 파이널 컷을 피니쉬로 사용하고 있다. WWE에서도 데미안 프리스트가 힛 더 라이츠 라는 이름으로 사용했으나 코디 로즈가 돌아오면서 봉인.

파일:3연벙크로스로즈.gif
코디 로즈는 WWE로 돌아온 이후 크로스 로즈를 메인 피니셔로 사용하고 있으며 3연속 크로스로즈가 사용되면 거의 확실히 경기가 끝난다.

파일:attachment/d0031151_483bf184ec361.gif
커터를 변용한 합체기 3D. 태그팀 합체 피니쉬 무브중에서도 손꼽히는 인지도를 자랑하는 명품 피니쉬.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n0cdngaPTe1sdqajoo1_400.gif
참고로 원조격인 쟈니 에이스는 이 3D를 혼자서 해내는 엄청난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11] 랜디 오턴 역시 2014년 10월 RAW에서 돌프 지글러를 상대로 플랩잭으로 띄워서 RKO로 마무리하며 혼자서 3D를 성공시켰다. 인상적인 장면으로 남으면서 이후 RKO 합성 영상도 이즈음 등장하게 되었다.

파일:external/i47.tinypic.com/j8zl07.gif
사실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 스터너도 커터의 바리에이션이다. 전일본 시절의 쟈니 에이스가 쓴 에이스 크러셔도 가끔 스터너같이 시전하기도 한다. 퍼포먼스성 오버접수이 적었던 초기 스터너를 보면 정말 커터스럽게 들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시전자가 등으로 떨어지느냐 엉덩이로 떨어지느냐의 차이일 뿐. 다만 이쪽이 워낙 유명해지다 보니 엉덩이로 떨어지는 커터들은 아예 스터너 계열로 따로 독립해 분류하기도 한다. 프로레슬링 기술 구분과 작명이 그렇게 엄밀한 편은 아니니 편한 대로 받아들여도 무방하다.

파일:external/3.bp.blogspot.com/CharlotteQueen.gif
샬럿 플레어의 내추럴 셀렉션.[12] 이 기술은 샬럿이 덤블링을 하며 커터를 시전하는 형태였는데, 점차 변형을 거쳐 페이스버스터에 가까운 형태를 갖게 되었다.

파일:fc3f0ab29bbec6f5e1197541438a09fe.gif
아테나의 오-페이스.[13] 다이빙 코크스크류 커터(또는 스터너)로 연결시키는 기술로 상당히 멋지게 들어간다.

파일:PO99wAY.gif
브라운 스트로우먼의 요코스카 커터.[14] 처음에는 피니쉬 무브인 트라이앵글 초크가 너무 임팩트가 없다는 이유로 대체용으로 사용했으나 이마저도 몇 번 쓰고는 거의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이 기술은 어좁이가 아니라 폼이 더 나는바비 래슐리가 가져갔다.

파일:코커디터.gif
윌 오스프레이는 오스커터 라는 이름으로 점핑 커터를 사용하며 코디 로즈도 코디커터 라는 이름으로 미들로프를 밟고 뒤로 도약함과 동시에 상대의 목을 잡고 커터로 연결하는 기술을 자주 사용한다. 두 선수 외에 2020년 이후 많은 선수들이 비슷한 점핑 커터 배리에이션을 자주 사용한다. 지본 에반스도 엄청난 체공 시간을 자랑하는 스프링보드 점핑 커터를 사용한다.

파일:4e9JMxs.gif
솔 루카는 코너/로프에서 반동을 이용해 앞으로 270도 돌면서 커터로 연결시키는 솔 스내쳐를 피니쉬 무브로 사용하고 있다.

4.2.

해외에선 커터의 바리에이션인 R.K.O가 기습으로 자주 쓴다는 점과 준비자세나 오턴의 묘한 표정연기가 인기를 끌면서 외국에는 R.K.O의 해설을 붙이거나 오턴을 합성하는 형식으로 Unexpected Cena와 같이 R.K.O Outta Nowhere[15]라는 밈으로서 애용받고 있다. 심지어 이는 공식으로도 공인되었으며 밈의 장본인인 랜디 역시 밈의 제목이 새겨진 티셔츠를 입으며 RKO를 시전해 등 뒤에 있는 문구를 가리키는 팬서비스까지 보일 정도. 이 RKO Outta Nowhere의 밈으로 만들어지는 패턴은 두가지.

첫번째
  1. 평화로운 장면이 나온다.
  2. 어디선가 랜디 오턴이 달려온다
  3. 넘어지는 누군가에게 적절하게 랜디 오턴의 RKO 시전자세를 편집한다 + 마이클 콜의 해설은 기본 사양,
  4. 특유의 승리포즈를 지으며 랜디 오턴 퇴장

두번째
  1. 평화로운 상황을 보여준다
  2. RAW의 로고가 나타난다
  3. 마이클 콜이 "Watch out Watch out!" 이라고 외치는 해설이 나온다
  4. 난입한 무언가에 의해 평화로운 상황을 엎어버린다.
  5. 마이클 콜의 "R.K.O!" 라고 외치며 영상 종료

어떤 영상이든 일단 마이클 콜의 Oh my god!! 이라는 해설은 거의 필수불가결로 자주 들어간다. 일단은 첫번째 유형이 가장 많이 존재하지만 두번째 유형도 어렵지않게 찾을 수 있다.

4.3. 여담

IB SPORTS의 스맥다운 중계진들이 수플렉스 시티에 맞서는 RKO 빌리지를 만들려고 했던 것 같다. 그러나 랜디 오턴이 WWE에서 오랜 기간 풀타임으로 활동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 WWE에서 활동했던 레슬러들 중에 RKO 한 번 안 맞아 본 레슬러들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마이클 콜 등이 RKO에도 비슷한 시도를 하려고 했지만 실패했다. 대신 로또 RKO,헌팅 RKO 시리즈가 작렬할때 RKO Outta Nowhere라는 고정 멘트가 추가되었다.

공교롭게도 랜디 오턴, 타마 통가 등 커터를 피니시로 사용하는 선수들 상당수가 소위말하는 '움짤만 재미있는 선수'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철권 8에서 킹의 잡기 기술중 하나로 RKO가 존재한다.


[1] 켈리 켈리의 K2랑 동형기다. 상대 팔 하나 잡고 시전하는 페임애써라고 보면된다. [2] 피폭자는 히스 슬레이터 [3] 피폭자는 빌 골드버그 [4] 이 이름은 랜디 오턴의 풀 네임인 "Randal Keith Orton"의 이니셜을 따서 지었다. [5] RAW가 생방이라 편집도 안 되는 상황에서 이런 삑사리가 나온 건데 랜디는 그대로 다시 달려가 RKO를 시전하는 데 성공한다. 그런데 이 때는 접수해야 하는 크리스 제리코도 뭔가 불안했는지 기술을 맞아주기 전에 이미 월스 오브 제리코를 풀어주고 있었다.(...) 그런데 사실 저 상태에서 제리코가 월스 오브 제리코를 안 풀어주고 있었던게 실패의 주된 요인이기는 하다. 팔로 깍지끼고 남의 허리를 꺾고 있는 상태에서 앞으로 자빠지면 어떻게 될지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자 [6] 사실 지금 와서 생각하자면 정말 잘 바꾼것이다. 트리플 H는 엄청난 벌크와 힘을 가지고 있음에도 악역 레슬러에 최적화된 스타일의 경기법을 준용하기 때문에, 슬램이나 수플렉스같은 힘쓰는 기술을 최소화하고 반격과 타격기로 경기를 이끌어간다. 따라서 적은 힘으로도 상대에게 정말 아파보이게 만들 수 있는 페디그리를 선택한것은 신의 한 수. 그리고 트리플 H는 자세만 뒤집은 형태의 정석적인 폴링 넥브레이커를 주요 무브셋에 추가해 잘 써먹고 있다. [7] 이쪽은 매트 하디의 보통 트위스트 오브 페이트도 사용하고 형과의 구분을 위해서인지 인버티드 트위스트 오브 페이트도 많이 사용했었다. 만일 제프가 악역 기믹을 소화하게 되면 이름이 트위스트 오브 헤이트로 바뀌어서 사용한다. [8] 다만 제프 하디의 트위스트 오브 페이트는 최근 들어선 등보다 엉덩이가 먼저 떨어지는 식으로 스톤콜드의 스터너와 상당히 비슷하게 바뀌었다. 아마도 제프의 트위스트 오브 페이트는 스완턴 밤을 쓰기 전의 셋업 무브로서의 역할이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조치인 듯했으나 정확히는 등 부상 문제로 인해서 그런 것이다. 이후 매트 하디가 계약 만료로 WWE와 결별한 뒤에는 다시 원래의 모션으로 돌아왔고 기존 방식과 스터너 비슷한 방식을 번갈아서 쓰고 있다. [9] 위 짤방에서 사용하는 선수는 NXT 출신의 알렉스 라일리. [10] 당시에는 이를 제대로 접수할 선수가 부족하다보니 선수들의 부상 위험도가 매우 높아서 그리 오랫동안 쓰지 못 했다. 그럼에도 상당히 임팩트가 강한 기술이었기에 이를 기억하는 팬들도 있다. [11] 피폭자를 플랩잭 형식으로 높이 띄운이후 에이스 크러셔로 마무리. 맥시칸식 에이스 커터라고 불렀다. [12] 이전엔 바우 다운 투 더 퀸이라 불렸다. [13] WWE 활동 당시에는 링네임 엠버 문에 맞춰 이클립스(Ecilpse)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14] 원조는 요코스카 스스무이다. 북미에서는 WCW,WWE에서 태그팀 챔피언을 지냈었던 ' 척 팔럼보'도 사용했었다. [15] 갑작스레 튀어나오는 R.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