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5 14:47:45

추노마크/해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추노마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의 추노마크 예시에 대한 내용은 추노마크/대한민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추노마크의 해외 예시를 정리한 문서.

2. 미국

2.1. 버라이즌

파일:attachment/추노마크/note2_3.jpg
버라이즌에서 시판하는 갤럭시 노트 2

위의 사진에 나온 기종은 삼성전자 미국 통신회사 버라이즌을 통해 출시한 갤럭시 노트 II이다.

미국 통신사들 중에서는 추노마크로는 가장 큰 크기와 흉측한 디자인을 자랑하며 추노마크의 임팩트도 엄청나 전 세계 통신사들 중에서도 악명이 높다. SK텔레콤의 참성(T | SAMSUNG) 시리즈와 팔로팔로미 U+ LTE 100% X8은 명함도 못 내밀고 추노마크를 앞뒤로 뒤범벅해버리고 통합메시지함과 유사한 홈 런쳐 통일화를 시도한 NTT 도코모 마저도 한 수 접을 정도. 그 중에서도 흉학했던 악행은 위에 있는 갤럭시 노트 2의 홈 버튼에 추노마크를 박아버린 일인데, 얼마나 심각한지 못 생긴 추노마크로 한 때 아우성이였다. # 사용자들은 버라이즌의 크고 아름다운 통신사 로고를 가리기 위해 홈버튼에 스티커를 사다가 붙였는데, 스티커가 불티나게 팔렸다고.
파일:external/core0.staticworld.net/verizon-galaxy-nexus_0-100379667-orig.jpg
버라이즌으로 시판하는 갤럭시 넥서스

추노마크의 의지는 노트 2 출시 전 갤럭시 넥서스에서도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 레퍼런스 기기는 원래 통신사 마크를 달지 않고 출고되지만, 버라이즌은 갤럭시 넥서스의 뒷짝에 크고 아름다운 추노마크를 달더니, 아예 이름마저 자사의 브랜드 네이밍에 맞추어 '드로이드 프라임 (Droid Prime)' 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정말 잔혹하다.

또 버라이즌에서는 설정의 핫스팟 (테터링) 설정 부분에도 '버라이즌 핫스팟'이라는 앱이 실행되도록 박아넣기도 하였다. 사실 버라이즌은 핫스팟을 이용할 수 있는 요금제와 없는 요금제가 나눠져 있어서 그걸 컨트롤하기 위해 넣은 것이라 카더라. 문제는 아이폰은 적용 대상이 아니라는 점.
파일:attachment/추노마크/ff.jpg 파일:attachment/추노마크/fshr.png
갤럭시 S III 미니 갤럭시 S4 mini
버라이즌 미니 시리즈

갤럭시 노트 2에서 추노마크로 제대로 재미 본 버라이즌은 결국 갤럭시 S III mini 갤럭시 S4 mini에서 두번 더 시전했다! 그리고 SK텔레콤은 버라이즌을 따라해서 결국 베가 LTE A 터치형 홈 버튼에 추노마크를 넣는 만행을 저질렀다.
파일:attachment/추노마크/camera.jpg
버라이즌 로고가 박힌 디지털 카메라
이제는 하다하다 못해 추노마크를 박을 제품이 없자 디지털 카메라에도 흉측한 추노마크를 박는 만행을 저질렀다.

파일:external/www.droid-life.com/verizon-galaxy-s7-edge-5.jpg
그나마 버라이즌의 CI가 바뀌고 나서는 추노마크가 다듬어졌다. 큼지막한 V자에 추노마크를 2배로 키워주는 '4G LTE' 같은 끔찍한 단어들은 사라졌고 그나마 좀 봐줄만하게 개편된 버라이즌 로고만 삽입하였다. 이후 갤럭시 S8 시리즈부터는 아예 전후면 추노마크를 삭제하여 시장의 추세를 따라가게 되었다.

2.2. AT&T

파일:attachment/추노마크/어쩜.jpg
AT&T에서 판매중인 갤럭시 노트

버라이즌 뺨치는 AT&T. 삼성 갤럭시 노트를 보면 삼성 로고가 들어갈 자리에 자기 통신사 로고를 박아놓고 삼성 로고를 밑으로 내쫓았다. 이를 T모바일이 보고 배워서 같은 짓을 저질렀다. 게다가 AT&T는 알림 표시줄에 자사 로고를 박았다. 한국의 통신사들도 이런건 기가 막히게 배워갔다. 단 한국의 통신사들은 기기에 장착된 유심이 다른 통신사의 유심이면 뜨지 않지만[1], 이쪽은 그 어느 유심을 써도 유심을 빼도 추노마크가 박혀서 나온다. 또한 4G/LTE 표시도 지들 꺼로 바꿔놓았는데, 이건 KT가 LTE 표시를 올레체로 바꾸는 방식으로 배워갔다.
파일:attachment/추노마크/이럴수있니2.png
AT&T에서 판매중인 넥서스 6

통신사 로고를 넣지 않는 구글 레퍼런스 제품인 넥서스 6에 당당하게 추노마크를 박아 넣은 모습. 답이 안나온다. 버라이즌, 스프린트, NTT 도코모 갤럭시 넥서스 이후의 추노 레퍼런스가 다시 등장했다. 추노마크에서 밀리는 게 서러웠던지 버라이즌 AT&T와 함께 넥서스 6 하단에 위치한 부분에 자사들의 로고를 박았다.

2.3. T-Mobile

파일:external/img.gadgetian.com/ZTE-T-Mobile-Concord.jpg
제조사 로고를 없애버린 ZTE Concord

Un-carrier 라는 놀라운 정책을 시행하는 요즘은 최소한 주요 제품에는 추노마크를 안 넣고 있으며, 추노 앱들도 거의 사라젔지만[2], 추노마크가 들어가는 제품들이 없는 건 아니다. 그리고 추노마크를 일단 넣기로 했다면, 버라이즌 뺨치게 온갖 기상천외한 추노를 시전한다.

위의 사진을 보라. 아예 제조사 마크가 없다. 원래는 ZTE Concord라는 기종이지만, T모바일에서 팔면서 제조사 로고는 아예 없애버렸다. 한국의 LG U+도 보고 배워서 화웨이 X3에 같은 짓을 저질렀다.

3. 일본

3.1. NTT 도코모, KDDI

파일:attachment/추노마크/sgs4_ntt.jpg
NTT 도코모로 출시된 갤럭시 S4
일본 NTT 도코모에서도 이 쪽 방면에선 둘째 가라면 서러울 정도.

프라다폰 3.0을 제외하고는 오히려 한술 더 뜬다. 일본 통신사들은 추노마크는 물론 폰 모델명까지 통신사가 만들어낸 규칙으로 변경한다. NTT 도코모의 경우는 @@-##@ 같은 형식이 주로 사용된다. 갤럭시 S의 경우는 SC-02B. 제조사에 따라 @@ 부분의 알파벳이 바뀌며 출시 모델 순서에 따라 ## 부분의 숫자가 바뀌지만 형식 자체는 제조사 불문 위 방식으로 통일한다. 이쯤 되면 모든 폰이 통신사의 ODM 제품일 정도.

제조사 로고는 뒤로 내쫓고 그 자리를 자기네 로고가 차지한다. 갤럭시 에이스 갤럭시 지오, SHW-A280S에다가 제조사 로고를 오른쪽으로 밀어내고[3] 지들 로고를 넣은 SK텔레콤 AT&T보다는 나은 행동이기는 하지만. 이는 KDDI도 보고 배워서 같은 짓을 저지르는 중. 물론 한국도 이런 건 기가 막히게 배워갔다.[4] 다만 갤럭시 노트 엣지부터는 뒤에 박긴 한데 갤럭시 S6의 경우 플랫에는 늘 하던대로 앞에 박아주나, 엣지는 뒤에 박는다. 또한 KDDI도 갤럭시 S5부터는 전면 추노마크와 한국 내수용을 포함한 해외판과는 다르게 후면 삼성로고를 포기하였다. 그 덕분에 KDDI용 갤럭시 S5는 전세계에서 매우 깔끔하다. 배터리커버에는 지들 로고와 일본 독자 NFC 로고, GALAXY S 뿐이다.
파일:attachment/추노마크/1.jpg
NTT 도코모로 출시된 갤럭시 S의 배터리

NTT 도코모는 하다못해 위 사진처럼 스마트폰 배터리에도 자기네 통신사 이름을 박아 넣는 만행을 저질렀다. 이 짤방은 도코모로 출시된 갤스의 배터리다. 이는 KDDI도 마찬가지. 이는 기본적으로 NTT 도코모의 폰에 대한 시각 때문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삼성에서 기획,제조한 삼성 갤럭시 S'가 아니라 'NTT 도코모에서 기획하고 삼성에 생산을 주문한 NTT 도코모 SC-02B 폰'이이란 인식이 제일 강하기 때문이다. 즉 NTT 도코모의 시각으로는 자사가 출시한 폰이다. 다만 일본으로 출시되는 단말기의 모든 AS는 일본에서는 통신사가 대행을 한다. 이 때문에 그런 것으로 보여진 듯. 하지만 삼성전자는 직접 일본에서도 사후 지원을 하며, 삼성전자 측 모델명도 배정한다.[NTT도코모][소프트뱅크][KDDI] 즉 AS도 직접 한다는 소리다. 이통사 사후 지원을 믿지 못하면 쓸만할지도.

도코모는 이것도 모잘라서 홈 런쳐까지 통합메시지함처럼 만들려고 시도했다.

그리고 도코모가 또 한건 해냈다! 이번엔 올해 7월 24일부터 일본 시장 10,000대 한정으로 판매되는 갤럭시 S10+ 올림픽 에디션에도 뒷면에 도코모 마크를 박아버렸다. 직접 확인해보자

현재 KDDI는 2018년 겨울모델 이후론 추노마크가 사라졌다. 물론 NTT도코모는 현재도 안드로이드 모델에 한해 추노마크를 열심히 달고 있다

4. 북한

이쪽은 말 다했다. SK텔레콤을 뛰어넘는 스펙다운에 버라이즌, NTT 도코모를 뺨치는 일괄된 UI를 강요하는 것으로도 악명이 높다.
파일:attachment/추노마크/py.jpg
일반 북한 휴대전화

우선은 북한 당국의 의도대로 제조사 로고가 들어갈 자리에 평양이라는 문구가 들어가고 터치폰에는 류성이라는 문구가 들어간다. 그리고 당 간부들이나 인민군 고위 간부들에게 지급되는 휴대폰에는 김일성 김정일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파일:attachment/추노마크/ys.jpg
영상통화 기종

이 모델은 영상통화를 지원하는 고려링크 폰으로, 홈버튼에 천리마 로고와 더불어 고려링크 사명이 영어로 들어간다. 심지어는 UI에서도 김일성 가문 찬양 일색에 일정 관리에서도 김부자의 생일[8]과 겹경축일[9]은 기본으로 탑재해주는 서비스 신공을 발휘해 주시고 이는 절대 못 지운다. 이는 해당 날짜가 북한에서는 기념일 개념이라 우리나라 단말기에서 광복절 삼일절 등을 못 지우는 것과 동일하다.

그리고 북한 체제 특성상, 메세지에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이름이 들어가면 자동으로 굵은 글씨로 변환되는 기능도 기본 탑재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휴대 전화/북한 문서 참조.

5. 중국

5.1. 차이나모바일

파일:attachment/추노마크/cm.jpg 파일:attachment/추노마크/mtr.jpg
차이나모바일이 시판중인 TD-SCDMA 단말기

차이나모바일은 전면부 단말기에 박힌 로고로 네트워크 구분이 가능한 구조이다. 한국의 통신사들도 이는 기가 막히게 배워가서 후면 배터리 커버에 박아넣는다. 일단 전면부에 네트워크를 알려주는 추노마크가 박히며, 후면에는 통신사 로고를 박는다. 위 짤방은 차이나모바일의 자사 3세대 TD-SCDMA 이동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로고가 박히고, 후면에도 회사 사명인 CHINA MOBILE 사명 추노마크를 박힌 단말기들.
파일:attachment/추노마크/4cm.jpg
4세대 TD-LTE 단말기

위 짤방은 차이나모바일로 시판하는 엑스페리아 SP로 차이나모바일의 4세대 이동통신인 TD-LTE를 나타내는 로고를 가운데 새긴 모습이다. 그냥 안테나 신호를 나타내는 그림 왼쪽으로 단순하게 4G라고 새겼다.

5.2. 차이나유니콤

파일:attachment/추노마크/cu.jpg
차이나유니콤 휴대폰. 외형상 Wave 723으로 추정된다.

전면부에 통신사 3G 브랜드를 나타내는 Wo沃 로고가 있고 뒤에는 차이나유니콤을 박았다. 차이나유니콤의 경우에는 스마트폰으로 넘어오면서 그냥 Wo沃만 박는다. 4세대 제품의 경우 여기에 4G라고 추가로 박는다.

5.3. 차이나텔레콤

파일:attachment/추노마크/ctm.jpg 파일:attachment/추노마크/ct2.jpg
3G CDMA 단말기
차이나텔레콤의 단말기

차이나텔레콤은 단말기 전면이나 후면 중에서 하나를 택해서 저렇게 티엔이 브랜드를 나타내는 심플한 달팽이 모양의 로고를 박는다.

LTE 단말기는 여기에 특유의 4G 브랜드 로고를 추가로 박는다.



6. 프랑스

6.1. 프랑스텔레콤

파일:attachment/추노마크/fr.jpg
프랑스텔레콤으로 출시된 샤프전자의 스마트폰 실물 사진 보기

이제는 칼라 추노마크가 등장하셨다. 전면부에는 제조사 로고가 들어가서 별 다를 것이 없었으나, 프랑스텔레콤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에서는 크게 볼 일이 없던 칼라 추노마크로 떡하니 박아주신다. 사실 저 기종은 NTT 도코모로 출시되었던 샤프 스마트폰을 프랑스텔레콤으로 출시한 기종이라서 # NTT 도코모 자리에 저걸 박은 것일 수도 있다. 물론 통신사를 끼고 출시되지 않은 모델이라면 추노마크 그런 거 없다. https://youtu.be/Frj_-vSOj3Y?t=122

7. 남미

7.1. 텔레포니카

파일:attachment/추노마크/tx.png
텔레포니카의 Movistar 브랜드로 출시된 갤럭시 S

그런데 스페인 텔레포니카가 원조다! 위 사진은 텔레포니카 브랜드인 Movistar를 통해 출시된 갤럭시 S. 개봉기 구글 로고가 위로 가 있고, 가운데에는 칼라로 자사 브랜드를 새겼으며, 밑에는 삼성 로고. 유튜브 채널에 있는 동영상에서 미루어 보면 한동안은 박스까지 간섭을 하다가 어느 순간부터 거기까지는 터치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프랑스텔레콤이 배워갔다. 그리고 햅틱 8M에서도 SKT가 이걸 시전해 주셨다.

7.2. 텔셀

파일:telcel_boot_a10.jpg
멕시코 텔셀 갤럭시 A10 부팅화면

멕시코 텔셀은 그나마 양호한 편이다. 부팅 화면에만 자사 로고를 박으며, 그 외에는 어디에도 추노마크를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10] 다만 자급제 폰과는 달리 통신사 앱 등은 깔려있으며, 이 중 일부는 삭제할 수 없다.

그런데 텔셀 이용자가 텔셀 대리점에서 구입한 휴대폰이 아니면 자사 서비스를 100% 누리기 어렵다. 텔셀 대리점이 아닌 단말기 자급제 등 다른 곳에서 전화기를 구매한 사람들의 경우 추노마크가 없고, 4.5G까지는 무난히 사용할 수 있지만, VoLTE 등 몇몇 서비스가 제한된다. 그런데 텔셀 대리점에서 전화기를 구입한 경우 대부분 컨트리 락이 걸려있어서 해외에서의 사용이 제한될 수도 있다. 약정 구매를 한 사람들은 캐리어 락까지 걸린다.

8. 호주

8.1. 텔스트라

파일:external/www.telstra.com.au/mobile-phones-pc-galaxy-s5-black-detail400-4.jpg
호주 텔스트라로 출시된 갤럭시 S5

호주 텔스트라의 경우 여타 해외 통신사와는 다르게 추노마크가 밑으로 내려왔다.[11] 호주에서는 유일하게 텔스트라만 추노마크를 박는다.


[1] LG전자 스마트폰중 LG U+로 나온 기기는 타사 유심을 끼워도 유심 통신사에 맞게 로고가 뜬다. [2] 그래도 T모바일이 밀어주는 자사 서비스용 앱은 항상 들어간다. 그래도 사용중지 처리가 불가능한 앱은 없다. [3] SHW-A280S는 애니콜 로고 왼쪽에다 지들 로고를 넣어놨다. 대신 삼성로고를 밀어내고 지들 로고를 넣어둔 A280K/L과는 다르게 배터리커버에는 안 박았다. [4] 대표적으로 지즈원 베가 LTE A, 스마트볼, KT로 출시된 옵티머스 원이 있다. 피처폰까지 범위를 넓히자면 kt테크의 몽글몽글과 BRICKS, SKT로 출시된 삼성전자의 Shape도 포함되긴 한다. [NTT도코모] SGH-Nxxx → SM-YxxxD [소프트뱅크] SGH-Vxxx → SM-YxxxZ [KDDI] SCH-Jxxx → SM-YxxxJ [8] 대김 - 4월 15일. 태양절, 소김 - 2월 16일. 광명성절 [9] 12월 24일, 한국이나 미국 등 전 세계는 크리스마스 이브로 지내는 날인데 이날은 김정일이 최고사령관으로 추대가 된 날이자 김정은이 김일성군사종합대학을 졸업하고 그와 동시에 김정숙의 생일이라고 한다. [10] 사실 이건 한국에서도 2017년부터 보급형, 피처폰, 특정 통신사 전용기가 아닌 이상 하드웨어 추노마크는 없다. [11] 다만, 대한민국에서도 태블릿에는 명목상 스마트폰이고 기기 분류상으로는 태블릿인 갤럭시 W를 제외하면 밑에 박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