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08 19:30:25

차내전광판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안내방송
, 안내방송/열차
, 안내방송/역
,
,
,


1. 개요2. 고속열차
2.1. KTX
2.1.1. 과거 (개통 초기)2.1.2. 현재
2.2. SRT
3. 일반열차
3.1. ITX-마음3.2. ITX-새마을3.3. 새마을호
3.3.1. LED 시절3.3.2. 코모넷 시절3.3.3. 코모넷 철수 이후3.3.4. 개조 새마을호
3.4. 무궁화호3.5. 누리로
4. 관광열차5.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5.1. 한국철도공사 차량
5.1.1. 구형 (LED)5.1.2. 구형 (LCD)5.1.3. 신형 (LCD)
5.2. 서울교통공사 차량
5.2.1. 구형 (LED)5.2.2. 구형 (CRT)5.2.3. 신형 (LCD)
5.3. 서울시메트로9호선 차량

[clearfix]

1. 개요

기차 지하철에서 승객들에게 정차할 명을 안내하는 차내전광판.

2. 고속열차

2.1. KTX

2.1.1. 과거 (개통 초기)

KTX-1에는 거대한 CRT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었다.

2.1.2. 현재

KTX-1은 1차로 17인치 LCD 모니터로 교체 되었고, 이후 19인치 LED 모니터로 교체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기사

KTX-산천 KTX-이음을 포함한 모든 KTX 열차의 표출 방식은 같다.
출발 대기
출발 직후 (정차역 안내)
정차역 안내
파일:20170108_113058_KTX-Sancheon_140000_monitor.jpg
평상시 운행 중

2.2. SRT

3. 일반열차

3.1. ITX-마음

광역전철과 비슷한 방식이다.

3.2. ITX-새마을

광역전철과 비슷한 방식이다.

3.3. 새마을호

3.3.1. LED 시절

객실 내 출입문 위에는 LED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정차역 안내 등을 하였다.

큼지막한 글씨가 가로로 스크롤하는 방식이었다. 출처
파일:새마을호 전광판.gif
새마을호 LED 시절 전광판

3.3.2. 코모넷 시절

2000년 6월부터 객실에 15인치 LCD TV를 설치하여 영상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기사

3.3.3. 코모넷 철수 이후

무궁화호와 표출 방식이 같다.

3.3.4. 개조 새마을호

무궁화호와 비슷한 방식이나 운영 체제와 폰트 등이 달라졌다. 장애인 객차를 포함하여 전 객실에 설치되었다.
출발 직후 (안전사고 예방)
파일:리마을LCD.jpg
정차역 안내

3.4. 무궁화호

거의 3호차로 편성되는 장애인 객차에만 편성되어 있다. 정차역 안내는 기본이고, 현재 위치를 간략하게[1] 안내해 준다.

이 모니터는 장애인 객차 방송실의 방송 장치 화면을 그대로 미러링 해 준다. 다만 방송 장치 재부팅 시 Windows XP 로고가 나온다는 건... 코모넷 철수 이후 새마을호와 표출 방식이 같다.
파일:무궁화호 LCD.png
130km/h 이상 고속 주행 시
파일:무궁화호 리미트 장애인객차 LCD 모니터.jpg
정차역 안내[2]

3.5. 누리로

정차역 안내

4. 관광열차

4.1. S-train

S-train

4.2. G-train

G-train

5.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5.1. 한국철도공사 차량

5.1.1. 구형 (LED)

'행선지' → '이번 역' 및 '내리실 문' → '환승 정보' 순서대로 띄워 주는 형태이다.
{{{#!folding [ 목록 ] (펼치기 / 접기)
파일:1호선 (구).jpg
1호선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3호선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4호선
파일:중앙선 (구).jpg
중앙선
파일:분당선 (구).jpg
분당선
}}} ||

5.1.2. 구형 (LCD)

현재의 서울 지하철 5호선 ~ 8호선 열차처럼 출입문 위에 LCD 모니터가 달린 시절이 있었다.

9호선 열차와 비슷한 느낌은 많이 나지만, 표출 형태는 차이가 크다.
{{{#!folding [ 목록 ] (펼치기 / 접기)
파일:1호선 (광명).jpg
1호선 (광명 셔틀 열차)
파일:경의선 (구).jpg
경의선
}}} ||

5.1.3. 신형 (LCD)

현재 생산되는 거의 모든 열차에는 LED 모니터 대신 LCD 모니터를 적용하고 있는데, 정보가 다채로워지면서 보기도 편하며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수도 늘어났다.

아래에는 자막으로 '행선지' → '이번 역' 및 '내리실 문' → '환승 정보' 순서대로 띄워 주는 형태이다. 내리실 문의 안내는 모니터 양쪽에 달린 화살표 조명으로 안내를 해 준다.
{{{#!folding [ 목록 ] (펼치기 / 접기)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1호선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3호선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4호선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경의선
파일:중앙선 (신).jpg
중앙선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수인선
파일:분당선 (신).jpg
분당선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경춘선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경강선
}}} ||

5.2. 서울교통공사 차량

5.2.1. 구형 (LED)

'행선지' → '이번 역' 및 '내리실 문' → '환승 정보' 순서대로 띄워 주는 형태이다.
{{{#!folding [ 목록 ] (펼치기 / 접기)
파일:1호선 저항 (LED).jpg
파일:1호선 VVVF (LED).jpg
1호선
파일:4호선 VVVF (LED).jpg
4호선
}}} ||

서울메트로 시절에 도입된 전동차이다.
{{{#!folding [ 목록 ] (펼치기 / 접기)
파일:서울도시철도공사 시절 (LED).jpg
초기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시절
}}} ||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시절에 도입된 전동차이다.

5.2.2. 구형 (CRT)

'행선지' → '이번 역' 및 '내리실 문' → '환승 정보' 순서대로 띄워 주는 형태이다.
{{{#!folding [ 목록 ] (펼치기 / 접기)
파일:2호선 초퍼 (CRT).jpg
2호선
파일:3호선 초퍼 (CRT) (2).jpg
3호선
}}} ||

서울메트로 시절에 도입된 전동차이다.

5.2.3. 신형 (LCD)

현재 생산되는 거의 모든 열차에는 LED 모니터 대신 LCD 모니터를 적용하고 있는데, 정보가 다채로워지면서 보기도 편하며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수도 늘어났다.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운행하고 있는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는 아직 신차가 도입되지 않은 관계로 LCD 모니터를 탑재한 모델을 볼 수 없다.
{{{#!folding [ 목록 ] (펼치기 / 접기)
파일:2호선 로템 구형 (외선순환).jpg
2호선
}}} ||
{{{#!folding [ 목록 ] (펼치기 / 접기)
파일:3호선 로템 구형 (대화행).jpg
파일:3호선 다원시스 (구파발행).jpg
3호선
}}} ||
{{{#!folding [ 목록 ] (펼치기 / 접기)
파일:4호선 다원시스 (사당행).jpg
4호선
}}} ||
{{{#!folding [ 목록 ] (펼치기 / 접기)
파일:5호선 구형.jpg
파일:5호선 현대로템.jpg
파일:5호선 우진산전.jpg
5호선
파일:7호선 구형.jpg
파일:7호선 로윈 SR.jpg
파일:7호선 우진산전.jpg
7호선
}}} ||

서울 지하철 5호선 ~ 8호선 열차의 경우 파랑 + 검정 그라데이션 배경에 위에는 행선지가, 왼쪽 측면에는 '이번 역 / STATION'과 '내리실 문 / DOORS'이 있고, 오른쪽 측면에는 역명이 적혀져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환승역에서는 장면 하나가 더 있는데, 왼쪽 측면에는 '환승 / TRANSFER'이 있고, 오른쪽 측면에는 '환승이 가능한 노선 번호/이름'이 써져 있다.

5호선과 7호선에 신조 전동차가 도입되면서, '객차 위치' / '이번 역'과 '내리실 문' / '역 번호' / '환승 노선의 방면' 등이 추가되면서 정보가 다채로워졌다.[3]

5.3. 서울시메트로9호선 차량

앞서 소개한 도시철도들의 LCD 모니터와는 다르게 '이번 역 (STATION)'과 '내리실 문 (EXIT)'이 차례로 나오게 된다. 이 전동차는 시승식 때를 포함하여 가장 혁신적인 LCD 모니터였다. 오늘날의 LCD 모니터에서 알려주는 정보를 거의 모두 갖추고 있었다. 또 환승역에는 환승되는 노선을 알려 주었는데, 이는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전동차의 LCD 모니터와 모습이 흡사했다.[4]
9호선 노량진역 안내


[1] 주로 인근 역이 표출되며, 목포 유달산 등도 표출한다. 그런데 업데이트를 잘 안 하는 건지 경전선에서 구 선로의 역 위치와 구 역명이 나오기도 한다. (예: 입교역, 앵남역, 개양역 등) [2] 2018년 LCD 모니터의 교체 작업을 실행해서 현재는 이 사진처럼 필립스 와이드스크린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다. [3] 아직 6호선과 8호선에서는 신조 전동차 LCD 모니터를 볼 수 없다. [4] 김포공항역은 환승 노선이 너무 많아 노선을 띄울 때 겹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