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3 00:54:07

조선 엔

조선은행권에서 넘어옴
한반도의 화폐 변천사
조선 문 조선 양 대한제국 원 조선 엔 북한 원
조선은행 원 대한민국 환 대한민국 원


1. 개요2. 역사
2.1. 대한제국 시기2.2. 조선 총독부 시기2.3. 해방 이후
3. 종류
3.1. 금(金)권 시리즈3.2. 개(改)권 시리즈3.3. 갑(甲)권 시리즈3.4. 미발행권
4. 환율과 가치5. 지폐의 인물은 누구인가?6. 화폐수집시 가치7. 같이보기

1. 개요

파일:조선은행권1.jpg

조선 엔은 1905년 이후의 대한제국 시기와 일제강점기에 쓰이던 한반도 통화이다.

제일은행권, 구(舊)한국은행권, 조선은행권의 세종류가 있다. 그러나 시기적으로 앞의 두 종류는 짧은 시간 동안만 유통되었고, 대부분의 시기는 조선은행권이 사용되었다.

2. 역사

2.1. 대한제국 시기

러일전쟁이 1904년에 터지고, 제1차 한일협약이 맺어지면서 대한 제국 정부에 일본이 2명의 고문을 파견한다. 이중에서 서양인 외교 고문이 뒤에 암살당하는 더럼 스티븐스이고, 일본인 경제 고문이 메가타 다네타로였다.

이렇게 파견된 메가타가 역점을 두고 진행한 것이 화폐정리사업이다. 메가타는 대한 제국의 전환국에서 발행했던 기존의 백동화 상평통보를 폐지하기 위해서 1905년 일본 제일은행[1]에 위탁해 지폐를 발행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조선 엔의 시작이다.[2]

1909년 이후에는 한국통감부의 사실상의 지배하에 있었던 대한제국의 구(舊)한국은행에 업무를 이관한다. 그리고 경술국치 이후 조선총독부가 들어서자 1911년 3월 구(舊)한국은행은 조선은행으로 이름을 바꾸게 된다.[3] 그러나 경술국치후 조선은행으로 바뀐 뒤에도 준비부족 등의 이유로 1914년까지 전의 제일은행권과 구(舊)한국은행권을 혼용하였다.

보조 단위로는, 당시 일본에서 사용하던 보조단위 동전인 '전(센, )'이 쓰였다.[4]

2.2. 조선 총독부 시기

조선 엔은 일본 은행권 금엔 지폐를 정화보증으로 삼아 찍어냈다. 한국에서만 쓰이지 않고 만주, 요동, 일본의 지배하의 중국에서도 통용되었다. 식민지 내에서만 쓰는 화폐를 따로 만든 셈이다. 식민지도 외국이라면 일종의 국제 화폐 역할을 한 것이다.

당시에 조선 은행은 지폐만 발권하였으며, 동전은 일본 엔화가 그대로 통용되었다. 그래서 현재도 한국의 오래된 집에서 大日本이라는 글자가 쓰여진 동전을 간혹 볼 수 있으며, 한국의 고화폐 수집상에서 소장중인 해방 전 일본 동전도 상당히 많다. 특히 다이쇼 시대부터 국가총동원법이 선포된 1938년 전까지 대량으로 발행 및 유통되었던 봉황 50전 은화가 많이 보이는데, 도합 6억개 이상 발행되었다. 그리고 배재학당 건물에서도 10엔짜리 금화가 발견된 적이 있다.

민간에서는 일본어 상용 정책이 본격화되기 전까지는 '원'이라고 한국식 독음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았다. 초창기에는 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에 조선 엔을 사용하면서, 원으로 부른 경험이 있는 세대들은 해방이 된 이후에도 일본 엔을 '원'으로 부르기도 했다.( 1968년 중앙일보 기사)

2.3. 해방 이후

일본이 항복한 1945년 8월부터 미군이 주둔한 1945년 9월까지 일본 정부는 도쿄에서 급히 돈을 발행하여 공수하고, 닳아서 폐기해야 할 구권을 계속 보관하는 등의 작업으로 기존 발행량의 2배가 넘는 돈을 쌓아둔 후, 패망이 확실시 될 때부터 미군정이 들어올 때까지 돈을 살포하여 일본인 귀향 자금, 식민지 체제 협력자에 대한 재산 분배, 퇴직금, 재조선 일본인 단체의 귀국 자금으로 사용했고, 그 돈이 풀리자 한국 내의 물가가 넉 달 사이에 수십배로 폭등하였다.

미군정이 시작되었지만, 1945년 11월 2일 군정법령 21호에 의해 조선은행법 효력이 존속되어 미군 군표와 함께 조선은행권이 계속 통용되었다. 이후 도안이 동일한 상태로 조선은행 원을 발행하게 된다.

3. 종류

1945년 8월 15일 이전의 조선 은행권의 종류는 발행 순서대로 금권 → 개권 → 갑권이며, 지급 어음으로는 1차, 2차, 3차가 발행되었다.

3.1. 금(金)권 시리즈

조선은행권 첫 발행 권종이다. 금과 교환해줄 수 있는 권종이라고 해서 금권이라고 불린다.

1914년에 백원권이 먼저 나왔으며, 1년 뒤인 1915년에 일원, 오원, 십원이 발행되었다. 고액권인 백원권이 먼저 발행된 이유는 당시 소액권의 경우 구 한국은행권과 일본은행권이 유통 가능했고,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현상으로 고액권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발행순서는 금 백원권 -> 금 일원권 -> 금 오원권 , 금 십원권 순서이다.
앞면 뒷면
파일:금권 일원.jpg 일원
(1915.01.04)
수노인상, 오동꽃 채문[5]
파일:금권 오원.jpg 오원
(1915.11.01)
수노인상 채문
파일:금권 십원.jpg 십원
(1915.11.01)
수노인상, 오동꽃 채문
파일:금권 백원.jpg 백원
(1914.09.01)
대흑천 채문
일본 내각인쇄국에서 인쇄한 판과 조선총독부에서 인쇄한 판 두 종류가 있다.

3.2. 개(改)권 시리즈

1931년 만주사변을 일으킨 일본은 만주에서 사용할 통화 및 군자금을 조선은행을 통해 조달하기 위해, 금본위제도를 폐지하고, 금과 교환해주던 금권 발행을 중지하고 개권을 발행했다.

이때부터 조선은행권의 전체적인 도안이 정해졌으며, 이 수노인 도안은 해방 후 발행된 마지막 조선은행권까지 이어진다.

발행 순서는 개 일원권 유번호 → 개 십원권 → 개 오원권 → 개 백원권 순서이다.
앞면 뒷면
파일:개 일원 유번호.jpg 개(改) 일원 (유번호)
(1932.01.04)
수노인 당초 및 채문
파일:개 오원.jpg 개(改) 오원
(1935.06.01)
파일:개 십원.jpg 개(改) 십원
(1932.06.01)
수노인상 조선은행 본관
파일:개 백원.jpg 개(改) 백원
(1938.12.01)
수노인상 당초 및 채문
뒷면에 표시된 금과 일본은행권으로 교환해 준다는 영어 태환 문구를 삭제했고, 대신 같은 뜻의 앞면의 중세 일본어 서면어투 소로분(候文)으로 된 '此券引換に金貨又は日本銀行券〇[6]圓相渡可申候也'[7] 태환 문구는 남겼다. 이때부터 퀄리티가 점점 조잡해지기 시작한다.

3.3. 갑(甲)권 시리즈

1941년 태평양 전쟁을 일으킨 일제는 전쟁을 지속함에 따라 물자 부족이 심각해지자, 종이의 질을 낮추고 색조도 줄인 갑권을 발행하게 된다.

일련번호가 있는 유번호가 먼저 나오고, 이후에 일련번호가 없는 무번호가 나오게 된다.

발행 순서는 갑 오원권, 십원권 → 갑 백원권 → 갑 십원권 무번호 → 갑 오원권 무번호 순서이다.
앞면 뒷면
파일:갑 오원 유번호.jpg 갑(甲) 오원 (유번호)
(1944.02.01)
파일:갑 오원 무번호.jpg 갑(甲) 오원 (무번호)
(1945.02.15)
파일:갑 십원 유번호.jpg 갑(甲) 십원 (유번호)
(1944.02.01)
수노인상 조선은행 본관
파일:갑 십원 무번호.jpg 갑(甲) 십원 (무번호)
(1944.11.15)
파일:갑 백원.jpg 갑(甲) 백원
(1944.11.01)
수노인상 당초 및 채문
조악한 퀄리티의 끝판왕이며, 이 갑권을 마지막으로 조선 엔은 발행이 중지되었다가, 해방 후 조선은행 원으로 계속 발행된다. 그때도 도안은 수노인이다.

3.4. 미발행권

파일:미발행 갑 천원.jpg
미발행 갑 천원권
1944년 말까지 조선은행권은 대부분 일본 대장성인쇄국에서 인쇄했으나, 패색이 짙어지고, 미군에 의한 해상 보급로 차단과 봉쇄가 강화되자, 조선에서의 조선은행권 발행을 준비하게 된다.

실제로 갑 천원권을 70억원어치 발행했으나, 인플레이션 조장을 이유로 끝까지 유통되지 못했고, 해방된 후 일본인들이 불법 유통시키려 하였으나, 조선인 직원들이 이를 막았다고 한다.
파일:미발행 가쇄 천원.jpg
미발행 가쇄 천원권
원래 일본에서 사용하려고 발행해 둔 천 엔권 지폐를, 조선은행권이라는 붉은 글씨를 가쇄한 천원권이다.

당시 일본 식민 지배 하에 놓여있던 조선 대만에서는 일본은행권, 조선은행권, 대만은행권이 모두 1:1:1의 가치로 사용 가능했다.

그러나 누군가가 조선에서만 유통시킬 목적으로 조선은행권이라는 글씨를 가쇄하고, 만일의 일을 대비해 조선으로 보내놨던 것인데, 유통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일본의 신화 속에서 영웅, 12대 천황 게이코 덴노의 아들이라 전해지는 야마토타케루노 미코토가 도안이다.

4. 환율과 가치


한편,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낙성대경제연구소에 따르면, 남한의 자유시장에서 거래하는 최고급 품질의 쌀 1kg당 쌀값의 도매가격 및 도매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1910년부터 1953년까지 무려 10만 배만큼 올랐다. 이는 미군정의 실패한 물가 정책과 일제 패망 이후 지속되어온 위조지폐 유통 및 그로인한 인플레이션 때문이다.
㉠ 1905년부터 1945년까지 100배만큼 인상(0.1円→10円)
㉡ 1946년부터 1948년까지 10배만큼 인상(10円→100円)
㉢ 1949년부터 1953년까지 100배만큼 인상(100円→10000円)

5. 지폐의 인물은 누구인가?

새겨져있는 노인이 누구인지 확실한 정설은 없다. 일단 외모 기준으로 해서 보통 수노인이라고 부른다.

수노인 문서 참조.

6. 화폐수집시 가치

애초에 일제가 식민지 조선에서 유통시킬 목적으로 발행한 것이기 때문에, 도안이 거의 모두 동일하고, 퀄리티가 심하게 낮다.

몇몇 특정 지폐(미발행 갑 1,000엔 등)는 한번 경매나 상점에 올라오면 수천만원에서 수억원까지의 거액에 거래되고 있는 것도 있으나, 위의 사진은 개10원짜리로, 접혀 좀 쓴 듯한 느낌을 받는 지폐는 5,000원에서 2만원 정도로 거래된다.

7. 같이보기


[1] 미즈호은행의 전신이 된 은행. 시부사와 재벌에 소속된 은행으로 대한 제국 시기부터 정부의 중앙 은행 역할을 하였고, 이렇게 모인 돈을 대한 제국에서 활동하려고 하던 일본인들에게 대출하는 역할도 하고 있었다. 이런 일본의 경제적 영향력을 벗어나기 위해서 진행되었던 것이 한러은행 설치였는데, 독립협회의 방해로 한러은행 설치가 저지되고 일본 제일은행은 계속 꿀을 빨 수 있었다. 1971년에 일본권업은행과 합병되어 제일권업은행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같은 해에 서울사무소를 개설하였으며, 잃어버린 10년으로 인한 구조조정과 제일권업은행 내부의 주주총회 비리 사건으로 인한 타격으로 2002년 해체되었다. [2] 그래서 극초기 지폐에는 다이이치은행 로고가 박혀있었다. 다만 강점기 이후 조선 엔이 공식 화폐로 지정되었음에도, 일부 도서 지역에서는 보조 화폐급으로 여전히 상평통보가 유통되고 있었다. 상세는 문서 참고. [3] 비슷하게 일제 중앙은행을 다른 침략지였던 일본령 대만 대만은행, 만주국에는 만주중앙은행, 중국점령지에는 몽강국 몽강은행, 중국연합준비은행, 화흥은행을 각각 설립하였다. [4] 전후 일본의 물가폭등으로 인해 1946년도 전후를 기점으로 사라져 현대 일본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5] 물결 모양, 호선(弧線), 원형 따위를 써서 정밀하게 그린 기하학적 무늬. 흑채문과 백채문이 있으며, 지폐나 증권 따위의 위조를 막기 위하여 그 도안의 바탕 그림으로 쓰기도 한다. [6] 액면가가 들어간다, 일원이면 壹, 오원이면 五, 십원이면 拾, 백원이면 百 [7] 相渡(아이와타스)는 '맞교환', 可(베쿠)는 '~(하)도록', 申候也(모우시소우로우나리)는 '아뢰는 바입니다'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