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12 17:43:53

제주 방언/문법

제주어/문법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주 방언
1. 개요와 주의2. 기초 지식
2.1. 음운
2.1.1. 음소2.1.2. 운소
3. 상대 높임법4. 문법
4.1. ᄒᆞ다 불규칙4.2. ㅅ, ㅈ, ㅊ으로 인한 전설모음4.3. 잇다, 엇다4.4. 활용에 관련된 문법4.5. 음운 현상과 관련된 문법4.6. 판정/설명 의문문 규칙4.7. 어미 관련 문법
4.7.1. 시제/상 선어말어미와 불규칙
4.7.1.1. -아ᇝ/어ᇝ ~ 암/엄시-4.7.1.2. -앗/아시 ~ 엇/어시-4.7.1.3. -아낫/아나시 ~ 어낫/어나시-
4.7.2. 매개모음 '-으-' 의 탈락4.7.3. '-겟-'과 '-(으)ㄹ 거'와 '-(으)크-'의 차이4.7.4. '-(으)ㅁ'의 동명사적 역할4.7.5. '-이다/아니다'의 생략4.7.6. ᄒᆞ라체 평서형 '-(으)ㄴ다'와 '-나'의 차이4.7.7. 현재시제 '-느-'의 문법적 기능
4.7.7.1. 동사에서의 경우
4.7.8. '-어지다'의 기능4.7.9. '-아/어-' 회상 어미의 활용4.7.10. 관형사형 전성어미 '-ㄴ'의 매개모음 '-으-'와 '-느-'4.7.11. '-ㄴ'과 '-ㅇ'의 의미 차이4.7.12. 첨사 '-게'의 용법4.7.13. ᄒᆞᆸ서체의 '-(으)우/수-'4.7.14. -주, -(으)ㅂ주4.7.15. 성별적 표현4.7.16. 인용 어미
5. 어미와 조사
5.1. 어미5.2. 조사5.3. 기타
6.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제주어 표기법
6.1. ㅯ 받침을 써야 하는가?
6.1.1. '-암시-', '-아ᇝ이-'?
6.2. 아래아 표기 문제6.3. '낚으다' 문제6.4. '뒈여' 문제
7. 신조어와 신조 문법
7.1. ᄒᆞ십서7.2. 안녕ᄒᆞ수꽝?7.3. 선어말어미 '-(으)시-' 문제7.4. 과거형 어미 '-안/언' 파생 신조어7.5. '-(으)멘' 파생 신조어7.6. 일부 젊은 화자에게서 나타나는 '헛수다, 함시냐' 현상7.7. 여러 어미에서의 '-어/아-' 탈락7.8. 기타7.9. 옅은 제주어
7.9.1. 옅은 제주어 표기법
8. 어휘
8.1. 이-, 그-, 저-, 의문사 등8.2. 감탄사8.3. 스와데시 리스트8.4. 수사8.5. 육지어와 다른 용언 파생8.6. 의성 · 의태어 8.7. 그외 차이
8.7.1. 날짜/시간 표현8.7.2. 친족어8.7.3. 기타
9. 참고한 자료10. 더보기

이 문서는 옛한글을 사용합니다. 옛한글을 지원하지 않는 기기에서는 글자가 깨져 보일 수 있습니다.

1. 개요와 주의

이 문서는 제주어의 문법을 정리하기 위한 문서다. 제주어는 한국어의 방언으로도 분류되기 때문에 아래 내용은 구차한 설명 없이 한국인에게 바로 이해될 수 있도록 학교 문법처럼 설명되었다. 제주어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통사적으로 연구하고 싶다면 '제주도 방언의 통사론적 연구'와 같은 전문 서적을 찾도록 하자.

제일 좋은 방법은 이 문서 아래 '참고한 자료' 문단에서 링크된 논문과 연구 자료, 전사 자료를 읽고 국립국어원 구비에서 제주민들의 발화 음성을 들어보는 것이다. 시간이 있다면 이 방법을 추천한다.

뒤이어 나올 단어의 표기에서 '()' 속에 있는 단어(주로 매개모음 '-으-')는 특정 조건에서 나타나거나 나타나지 않거나 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 를 경계로 한 앞 뒤의 두 형태는 특정 조건, 어감, 수의적으로 교체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여기서 '()' 속 단어는 '/' 뒤에 있는 단어에까지 있을 수 있다. 즉,' -(으)멘마씀/메마씀'과 같은 표기는 이 한 단어가 특정 조건에 따라 '-으멘마씀', '-으메마씀', '-멘마씀', '-메마씀'의 네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2. 기초 지식

극순수한 제주어를 처음 듣는 사람은 대부분 '외국어 같다. 못 알아 듣겠다'는 생각을 한 번 쯤 해 봤을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제주어는 지금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하지 않는 옛 중세 한국어의 어휘들을 꽤 많이 유지하고 있다. 그 외에도 제주어에는 육지말[1]과 다르게 독자적으로 탄생한 선어말어미, 종결어미, 단어들이 있다.

제주어는 다행히도 지역마다 어미 활용의 차이가 거의 없다. 일부 어휘(특히 동물 도구)에서 큰 차이를 보이니 문법을 먼저 배우고 어휘는 나중에 서서히 배우면 될 것이다.

2.1. 음운

2.1.1. 음소

제주어의 아래아(ㆍ) 발음은 육지어에 존재하지 않으며, 육지 사람에게 ㅏ, ㅓ, ㅗ, ㅜ, ㅡ 따위로 들릴 수 있다. 전설 모음 빼고는 다 나오네. 사람은 본인에게 필요한 발음만 구분하고 인식하기 때문에 그렇게 들릴 만도 하다.

대부분 연구에서 제주어의 아래아 중세 한국어의 아래아와 발음이 약간 다르다고 한다. 제주어 ㆍ의 발음은 후설 원순 저모음인 [ɒ]로 알려져 있으며, 젊은 제주민들은 [ɔ]로 인식하고 있다. 이는 하술할 ㆍ~ㅗ 합류와도 유관하다. [ɒ]와 [o]의 혀의 높이 차에 비해 [ɔ]와 [o]의 혀 높이 차가 더 적다는 점, 발화자의 연령대 등을 감안하면 제주어의 /ㆍ/는 [ɒ > ɔ > o]의 변화를 겪는 중이라고 보아도 될 듯싶다. 후설 원순모음으로서의 특징은 이어지고 혀의 높이가 높아지는(개구도가 작아지는) 것.

일단 이 문서에서는 일반적이라고 생각되는 [ɒ] 발음으로만 소개하도록 한다. 육지 사람이 발음하기 어려울 수 있으니 발음 방법을 소개한다.

【 제주어의 아래아 발음하는 법 펼치기 · 접기 】
1. 먼저 를 번갈아 가며 발음해 보자. (우오우오우오우오) 다음과 같은 특징을 알아차릴 수 있다.
  • 혀 전체 근육이 입 안에서 뒤로 몰려 있고 그 자리에 머물러 있다. (후설)
  • 입술이 항상 둥글다. (원순)
  • ㅜ를 발음할 때는 입이 덜 벌어지고 턱이 덜 내려가며 혀가 높다. ㅗ를 발음할 때는 입이 더 벌어지고 턱이 더 내려가며 혀가 낮다. (고~중모음)
  • 여기에서 혀가 뒤로 몰린 상태를 유지하고(후설) 입술도 계속 둥근 상태로 하되(원순) 턱을 내리며 입만 더 벌려 보자.(저모음)
  • (입을 너무 크게 벌리지 않도록 하자. ㅜ가 1단계, ㅗ가 2단계라고 치면 ㆍ는 3단계나 4단계 사이다.)
  • (턱이 불편할 정도로 벌리지는 않도록 하자. 를 말할 때만큼 벌리면 된다. 간단하게 '가자'라고 말해 보자. 생각보다 턱을 크게 벌리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 그러면 마치 처럼 들릴 수 있다. 그러나 와는 전혀 다른 발음이며 ㅗ보다 입을 더 벌린 것뿐이다. 턱도 약간 더 내려가며 혀도 더 낮아진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ㅜ가 1단계, ㅗ가 2단계라고 치면 ㆍ는 3단계나 4단계 사이다.
  • 입술이 둥글다는 것을 너무 의식한 나머지 입술에 힘을 주지 않도록 하자.
  • ㆍ를 어느 정도 터득했다면, ㅗ와 ㆍ를 번갈아가며 발음해 보자. (오ᄋᆞ오ᄋᆞ오ᄋᆞ오ᄋᆞ)
  • 이번에는 ㅜ와 ㅗ와 ㆍ를 번갈아가며 발음해 보자. (우오ᄋᆞ오우오ᄋᆞ오우오ᄋᆞ오우오ᄋᆞ)
  • 결국 ㅜ - ㅗ - ㆍ의 관계는 - - , 또는 - - 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 혀의 앞뒤 위치가 항상 같다.
  • 입술의 모양이 항상 같다.
  • 뒤로 갈수록 입이 더 벌어지고 턱이 더 내려가며 혀가 더 낮아진다.
  • (현재 제주어의 아래아 발음은 중장년층 아래로 점점 발음에 통합되고 있다. 이는 경기 방언에서 발음을 점점 구별하지 않는 것과 비슷하다. 그리고 표준 한국어에 이미 존재하는 단어는 표준 발음에 이끌려 로 변한다. 예를 들면 하다 하나가 있다.)
  • 사실 입술이 그렇게까지 둥글지 않아도 된다. 우리가 평소에 를 발음할 때도 입술이 약간 펑퍼짐할 것이다. '고추'를 발음해 보면 알 것이다. ㆍ를 발음할 때도 자연스럽게 약간 펑퍼짐하도록 만들자.
  • 중고등학생 때 우리말의 단모음 체계를 잘 배우고 이해했다면 기존 체계에서는 비어 있었던 '후설 원순 저(개)모음'으로 이해하면 된다. 위 설명도 결국 이를 풀이한 것이다. 여전히 감이 안 잡힌다면 ㅏ를 발음하되 입술만 조금 모아 준다고 보면 된다.


다음은 그외 음운 현상에 대한 표기 규칙이다.

2.1.2. 운소

제주어는 성조 음장이 없다. 즉 음의 높낮이와 음의 길이로 단어의 뜻이 구별되지 않는다. 그래서 운소적 특성은 없다고 보면 된다. 제주어를 글로 기록할 때 음장 기호나 성조 기호가 필요 없다. 남부에 위치한 방언인 서남 방언은 음장이 있고, 동남 방언은 성조와 음장이 모두 있는 것과는 대조되는 현상이다.

한편 운소적 특성과 별개로, 제주어의 억양은 육지어와 아주 다르다. 아쉽게도 이에 대한 자료는 그다지 많지 않다.

【 제주어 듣기 자료 펼치기 · 접기 】

가장 추천하는 자료는 이 두 자료다.
  • 국립국어원에서 조사한 제주민의 발화 자료를 자막과 함께 들을 수 있다.
  • 구비라는 사이트 또한 제주민이 말한 연기가 가미되지 않은 자연스러운 발화를 자막과 함께 볼 수 있다. 구비는 옅은 제주어를 쓰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으니 알아서 듣도록 하자.
둘 다 조금 오래된 자료인만큼 옛 제주어를 볼 수 있지만 그만큼 맞춤법 통일이 미흡하다. 그래도 처음 듣는 억양을 듣고 구분하기에 가장 괜찮은 사이트인 듯하다.


유튜브에 제주어 라디오 방송을 올리는 채널이 있다. 관심이 있다면 이 채널에서 억양을 직접 연구하기 바란다.

참고로 이 영상에서 '여보세요'를 사용하는데, 제주어에는 '-요'가 없는 것을 감안하면 '여보세요' 자체를 '전화를 받을 때 쓰는 감탄사'로 들여와서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직접 제주민의 삶을 보여주는 속암수다는 유튜브에서 전회 무료 시청할 수 있다. 다만 토박이 제주어 화자를 찾기가 조금 힘든 게 흠.

이 방송에서 나온 제주어를 몇 가지 해설한 영상도 있으니 참고. 표기는 일부 소리나는 대로 적었고, 육지말에 이끌려 잘못 적은 것이 많다.


어멍의 바당도 제주 사람이 직접 연기한 것이니 참고하도록 하자. 드라마다 보니 조금 연기 톤으로 말한 것 같다. 그래도 한국어 단어에 일대일 대응이 될 정도로 해석이 아주 잘 되어 있으니 처음 제주어 듣기에 가장 좋은 자료다.

제주 방언의 대화체 담화에 나타난 억양 연구. 이 논문에서 제주어의 억양을 다루었다. 많은 내용이 있지는 않지만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3. 상대 높임법

모든 한국어족은 종결어미를 아주 중요시한다. 당장 종결어미를 모르면 정말 아무 말도 할 수 없을 정도이다. 제주어는 육지말과 종결어미가 너무 달라서 진입 장벽이 한없이 높게 느껴진다. 비제주어 화자가 제주어를 공부할 때 가장 먼저 상대 높임법을 배워야 하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이 문서에서 설명하지 않는 대다수의 종결어미가 상대 높임법 문서에 모두 설명되어 있으니 반드시 상대 높임법 문서부터 열람하기 바란다.

아래부터 이 문서의 모든 내용은 제주 방언/상대 높임법을 모두 숙지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 작성되었다.

4. 문법

4.1. ᄒᆞ다 불규칙

'ᄒᆞ-'는 '-아/어-'와 만날 때 불규칙 활용하여 'ᄒᆞ여'가 되며, 그 준말은 '헤'로 나타난다.

'ᄒᆞ여'의 아래아는 양성모음인데 왜 준말은 음성모음 가 되는지 묻는다면, 제주어에서 의 발음이 ㅔ로 바뀌었기 때문이라고 한다.[2]

가끔씩 'ᄒᆞ여'가 [헤여]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는데, ㅣ 역행 동화를 겪어 'ᄒᆡ여'와 같은 형태를 거친 탓으로 보인다.
과거까지만 해도 '동그랑ᄒᆞ다'는 '-아/어-'를 만나도 '동그랑헤'로 줄지 않고, 무조건 '동그랑ᄒᆞ여'로 실현된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이를 필수적으로 따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4.2. ㅅ, ㅈ, ㅊ으로 인한 전설모음

일부 받침이 ㅅ, ㅈ, ㅊ인 용언은 매개모음 '-으-'와 만나면 '-이-'로 바뀌는 모습이 나타난다. 이는 동남 방언에서도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다.

짓- + -(으)민 → 짓이민

' 줏다(줍다)'에 높임 명령어미 '-(으)ㅂ주'가 붙으면 '줏입주'가 되는데, '줏읍주'가 전설모음화된 것이다. 얼핏 들으면 '주다'의 높임말인 '주시다'의 활용형처럼 들릴지 몰라도 제주어는 역사적으로 '-(으)시-' 높임 선어말어미가 없어서 사실 '주시다'라는 형태가 만들어 질 수 없다. 자세한 것은 '-(으)시' 문단에 설명되어 있다.

4.3. 잇다, 엇다

'잇다(있다)'와 '엇다(없다)'는 제주어에서 상당히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고 -지 -으민 -으난 -언 -엇수다
잇다 잇고 잇지 잇이민 잇이난 잇언 잇엇수다
시다 싯고 싯지 시민 시난 셧수다

'있다'에 해당하는 말은 제주어에 두 가지가 있다. '잇다'와 '시다'다. 매개모음 '-으-'는 '잇-'과 만날 때, 항상 '-이-'로 전설모음화한다. 이는 중세 한국어의 '잇다/이시다'와 유사하다.[3] '시다'는 중세 한국어의 '이시다'에서 '이'가 탈락한 형태라는 주장이 우세하다. 표에서 볼 수 있듯,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후행할 때 '시-'로 실현되고,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후행하면 '싯-'으로 실현된다.[4]
-고 -지 -으민 -으난 -언 -엇수다
엇다 엇고 엇지 엇이민/엇으민 엇이난/엇으난 엇언 엇엇수다
읏다 읏고 읏지 읏이민/읏으민 읏이난/읏으난 읏언 읏엇수다
없다 없고 없지 없이민/없으민 없이난/없으난 없언 없엇수다
읎다 읎고 읎지 읎이민/읎으민 읎이난/읎으난 읎언 읎엇수다
제주어의 없다는 간단히 모음이 ㅓ인지 ㅡ인지와 종성이 ㅅ인지 ㅄ인지에 따라 네가지의 형태로 나타난다.

4.4. 활용에 관련된 문법

'-이다'와 '아니다'[5]에 따르는 '-아/어-'는 '-라-'로 바뀌어 활용된다. 이는 전통적인 서남 방언, 동남 방언, 영동 방언 등에서도 나타난다.

예를 들면 '간식이엇다'가 아닌 '간식이랏다'가 옳다. 마찬가지로 '아니엇주'가 '아니랏주'가 옳다.

또 '-이다'와 '아니다'에는 종결 어미 '-여'[6]가 붙을 수 있다. 이는 전통적인 서남 방언 충청 방언에서도 나타난다.

예를 들면 '간식이야'가 아닌 '간식이여'가 옳다. 마찬가지로 '아니야'가 아닌 '아니여'가 옳다. '-여'는 '-마씀'으로 활용되지 않으므로 ᄒᆞ라체로 구분된다.

하지만 최근 실제 구술 자료를 보면 '-이야'가 아주 많이 발견되는데 이는 육지말의 영향으로 본다.
위 '-이다' 계열과 비슷하게 연결어미 '-아/어-'가 '-라-'로 바뀌는 불규칙이 있다.

예를 들어 '오랏주'는 '왔지'라는 뜻이며 '오라고 했지'라는 뜻이 아니다. 형태소를 분석해 보면 '오- + -아/어-[7] + -ㅅ- + -주'이다

최근에는 '오라-' 대신에 규칙 활용을 하여 '와'로 나타나는 경우가 꽤 있는데 과거에는 항상 '오라-'만 쓰인 듯하다.

참고로 '오라고 했지'는 제주어로 '오렌 ᄒᆞ엿주/헷주'다. 형태소를 분석해보면 '오- + -라[8]- + -엔, ᄒᆞ- + -아/어-[9] + -ㅅ- + -주'이다

신기하게도 ᄒᆞ라체 명령과 ᄒᆞ여체 명령의 형태가 같아진다. ᄒᆞ라체는 '오- + -(으)라 = 오라'로 나타나고 ᄒᆞ여체는 '오- + -라(오다 불규칙) = 오라'로 나타난다.
표준어와 같이 ㅂ 불규칙 활용이 나타나는데 표준어와 달리 모음조화를 지켜서 실현된다. 따라서 '웨롭다'는 '웨로와', '춥다'는 '추워'로 활용된다.

* ㅅ 규칙 활용
서남 방언 동남 방언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게도 표준어에서 ㅅ 불규칙 용언들이 불규칙 활용을 하지 않는다. 즉, '낫다'는 '낫아', '붓다'는 '붓은'로 활용한다.

육지어의 영향인 탓인지 '짓다'를 '지은'처럼 불규칙 활용 하기도 한다.

4.5. 음운 현상과 관련된 문법

어간에 '-르-'가 포함된 용언[10]은 '-ㄹ르'로도 발음된다.

쉽게 설명하면 다르다는 '다르다' 또는 '달르다', 가르다는 '가르다' 또는 '갈르다'로 발음되는 식이다. 이는 실제 발음대로 적도록 한다.

이는 르 불규칙 활용에서 온 역형성 형태일 수 있다. '다르다'가 '달라'로 불규칙 활용하는 것을 보고 원형을 '달르다'로 본 것이다.
'-(으)ㄹ까', '-(으)ㄹ꼬'는 거의 대부분의 경우 '-(으)카', '-(으)코'로 발음되며, '-(으)ㄹ 거'는 '-(으)ㄹ 커'로 발음되기도 한다. 표기도 이에 따른다.
ㅎ이 종성인 용언이 활용할 때, 'ㅎ'은 모음 사이에서 탈락하므로 모음이 연속되게 된다. 즉, '좋아'는 \[조아\]로 발음되는 것이다. 하지만 연속하는 두 모음이 한 음절 길이로 축약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놓은'은 \[논\], '놓아'는 \[놔 ~ 나\]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표기도 이에 따른다.

4.6. 판정/설명 의문문 규칙

판정 의문문은 말 그대로 긍정/부정 대답을 원하는 의문문이다. 설명 의문문은 구체적인 설명을 요구하는 의문문이다.

아래 예문은 이해하기 쉽도록 작성한 것이다.
판정 의문문[11] 가/냐 설명 의문문[12] 고/니
Q. 이거 그것가
A. 으/아니
Q. 무사 그것고
A. (설명)영 ᄒᆞ난 그거라
Q. 경 ᄒᆞ느냐
A. 경 ᄒᆞ여/경 안 ᄒᆞ여
Q. 어떵 경 ᄒᆞ느니
A. (설명)나가 영 ᄒᆞ영 경 ᄒᆞ주
Q. 밥 먹어샤
A. ᄋᆞ게[13]/아니게
Q. 무신거 먹어시
A. (설명)이신 ᄂᆞ물이영 밥이영 먹엇어게
Q. 어느제 가큰가
A. 예/아니예
Q. 어느제 가큰고
A. (설명)내일예
Q. 뭐 헴시냐
A. 예게/아니예게
Q. 뭐 헴시니
A. (설명)일ᄒᆞ여ᇝ수다게

제주어에서 판정/설명 규칙을 따르는 의문문 어미를 모두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자세히 보면 실질적으로는 '-(으)냐, -(으)니', '-디야, -디', '-(이)가, -(이)고'에서 파생된 어미들이다.
판정 의문문 설명 의문문
ᄒᆞ라체 -느냐, -(으)냐 -느니, -(으)니
-더냐 -더니
-어냐 -어니
-(으)크냐 -(으)크니
-(으)ㄹ댜, -(으)ㄹ탸 -(으)ㄹ디, -(으)ㄹ티
-엄댜, -언댜 -엄디, -언디
-엄샤, -어샤 -엄시, -어시
-(이)가 -(이)고
ᄒᆞ여체 -ㄴ가 -ㄴ고
-던가 -던고
-언가 -언고
-(으)큰가 -(으)큰고
-(으)카 -(으)코

요즘 전사 자료[14]를 참고하면 일부 지역에서 '-(으)냐'와 '-(으)니'의 구분이 조금 모호하다. 이는 '-(으)냐'와 '-(으)니' 사이의 경계가 조금씩 무너지는 현상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부분 지역에서 확실하게 구분하니 아직까지는 문법이 무너졌다고 할 수 없다.

4.7. 어미 관련 문법

4.7.1. 시제/상 선어말어미와 불규칙

다음 선어말어미들은 제주어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불규칙 문법이다.
4.7.1.1. -아ᇝ/어ᇝ ~ 암/엄시-
'-아ᇝ/어ᇝ ~ 암/엄시-'은 진행상(어느 특정 시간대에서 진행)을 나타내는 제주어의 선어말어미다. -암/엄시-는 주로 자음소, -아ᇝ/어ᇝ-은 주로 모음소와 어울려 쓰인다.

자세히 살펴보면 '-암/엄시-'는 '-아ᇝ/어ᇝ-'과 다른 것이 아니라 그저 '-아ᇝ/어ᇝ-'에 매개모음이 붙은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즉, -'암/엄시-'는 '-아ᇝ/어ᇝ- + -이(전설모음화된 매개모음)-'로 구성된 것이다. 다만 여러 예외와 보편적인 표기 방식 때문에 '-암/엄시-'로 표기한다.

아래 표는 제주도 방언의 시상 형태에 대한 연구(문숙영)를 참고했다.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해당 연구 자료 참고.
종결 어ᇝ -주1(평서), -고, -다, -저, -젠1(인용), -고나, -수게, -수다, -수가, -어
엄시[15] -(으)ㅂ주, -(으)ㅂ서, -(으)ㅂ네다, -(으)ㅂ니다, -(으)ㄴ게, -(으)메, -(으)멘, -(으)ㄴ다, -(으)녜, -(으)ㅂ네까, -(으)ㅂ데가, -(으)ㄴ고, -(으)ㄴ가, -(으)니, -(으)냐[16], -(으)ㅂ서, -(으)ㅂ주, -(으)ㄴ고라, -(으)마, -(으)려, -(으)ㄹ티, -(으)라, -주2(청유), -게, -자, -지어/저, -젠2(의도), -나(요구)
[17] '-엄-(현재진행), -언-(과거)' 라는 특이한 어미 뒤에 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더 이상한 것은 '-엄-, -언-' 과 결합하지 않으면 아예 사용할 수가 없다.] -나?[18], -디?, -디야/댜?
연결 어ᇝ/엄시[19] -(으)난, -(으)메, -(으)메선, -(으)민, -(으)ㄴ들, -어도, -언게, -(으)ㄴ디, -(으)ㄴ디사, -관디, -건데, -관대, -걸랑, -거든, -주만, -기로, -건만, -거든, -건, -건디
엄시 -(으)ㄹ수록, -언, -(으)ㄴ즉, -어사, -(으)멍, -느니, -단, -어당, -게끔, -거니, -도록, -곡
선어말 어ᇝ -어-, -더-
엄시 -(으)크-, -느-

예외의 예를 들면 청유 어미인 '-주'는 매개모음 -으-가 없는데도 '-어ᇝ-'과 결합하면 '-어ᇝ주'가 아닌 '-엄시주'로 활용된다. 이는 -으-로 인한 영향이 아니라 '-어ᇝ-'의 원래 형태가 '-엄 시-'에서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어ᇝ이-'를 '-엄시-'로 표기하자는 주장은 역사적 표기와 예외를 모두 절충하는 표기이므로 이를 지키는 것이 현재로써는 가장 이상적인 방식이다. 한국어의 방언/선어말 어미 참고

제주어의 '-어ᇝ/엄시-'는 육지말 '-고 있-'에 완전히 대응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제주어: 옷을 입어ᇝ저
표준어: 옷을 입고 있다

표준어에서 '옷을 입고 있다'는 '옷을 입고 있는 상태이다'와 '옷을 입는 행동을 하는 중이다' 두 가지 중의적인 표현으로 쓰이지만, 제주어에서 '옷을 입어ᇝ저'는 '옷을 입는 행동을 하는 중이다'라는 의미밖에 없다. 제주어의 '-아ᇝ/어ᇝ-'는 정말 순수한 진행상의 의미만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옷을 입고 있는 상태이다'는 '옷을 입엇저'라고 표현하는 모양.

'-아ᇝ/어ᇝ-'의 어원은 한국어의 방언/선어말 어미에 설명되어 있다.
4.7.1.2. -앗/아시 ~ 엇/어시-
'-앗/아시 ~ 엇/어시-'은 과거 시제, 어떤 일이 완료된 후 지속 상태를 나타내는 제주어의 선어말어미다. -어시-는 주로 자음소, -엇-은 주로 모음소와 어울려 쓰인다. 자세히 살펴보면 '-아시/어시-'도 '엄시'와 마찬가지로 특별히 다른 것이 아니라 그저 '-앗/엇-'에 매개모음이 붙은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즉, -'아시/어시-'는 '-앗/엇- + -이(전설모음화된 매개모음)-'로 구성된 것이다. 다만 '-아시/어시-'로 표기하는 것이 보편적이기 때문에 위와 같이 적는다.
-앗/아시 ~ 엇/어시-는 평서형이나 의문문에서 쓰이지만 육지말의 '-았/었-'과 달리 명령형, 청유형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즉 육지말의 '-았/었-'과 완전히 의미가 상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먹엇어'는 '먹었어(평서)', '먹었어?(의문)', '먹고서 있어/먹은 상태로 있어(명령)' 세 가지 의미를 가진다.

불규칙은 현재진행형과 동일하다. 다만 의미적으로 말이 안 되면 사용할 수 없는 표현이 있다. 예를 들어 '-(으)ㄹ수록'은 과거형으로 활용하면 이론적으로 '*-어실수록'(먹어실수록)이 되겠지만 표준 한국어로 치면 '*-었을수록'(먹었을수록) 같은 이상한 말이 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어ᇝ/엄시-'와 '-엇/어시-'가 함께 있으면 항상 '-어ᇝ/엄시-'가 먼저 온다.
가ᇝ어시켜
가고 있었겠다.

'-어ᇝ/엄시-', '-엇/어시-' 뒤에 연결어미 '-아/어'가 올 때, '-어'로만 실현된다. 육지말에서 '갔아'가 아닌 '갔어'가 되는 것과 같다.
4.7.1.3. -아낫/아나시 ~ 어낫/어나시-
'-아낫/어나시-'은 보통 완료상(어떤 일이 완료된 후 지속)을 뜻하며, 어원은 '-어 + 놓- + -앗/아시 ~ 엇/어시-'이다.[20] 즉 문법적 규칙은 '-앗/아시 ~ 엇/어시-'와 동일하다. 제주어는 표준어의 '먹었었어'와 같이 '먹엇엇어'같은 활용이 불가능하다. 그대신 '먹어낫어'를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단, 이 또한 육지말과 달리 명령형, 청유형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4.7.2. 매개모음 '-으-' 의 탈락

육지말과 동일하게 받침이 없거나 받침이 ㄹ이면 매개모음 -으-가 탈락한다.[21]

다만 '-(으)크-', '-(으)쿠다', '-(으)켜'등 '-(으)크-' 형태에서는 어간의 받침이 'ㄱ, ㅋ, ㄲ'일 때에 한해서 매개모음 -으-가 생략되기도 한다.

4.7.3. '-겟-'과 '-(으)ㄹ 거'와 '-(으)크-'의 차이


일부 종결 어미 '-(으)크라', '-(으)쿠다', '-(으)켜', '-(으)크냐', '-(으)큰고', '-(으)클[22]'등에서만 나타난다. '-(으)크-'는 일반적으로 '-(으)ㄹ 것-'의 발음이 변형된 '-(으) 커-'에서 온 것으로 본다.
특이하게도 '-(으)크라', '-(으)쿠다', '-(으)켜'이 세가지만이 '-(으)ㄹ 거'뿐만 아니라 '-겟-'의 의미로서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ᄎᆞᆽ아사크라[23]'는 직역하면 '찾아야 할 거야(추측법)'이 되겠지만 실제 의미는 '찾아야 할 거야, 찾아야겠어(추측법, 의도법)' 두 가지 의미가 된다. '-(으)크-'가 어떤 상황에 어울려 쓰이는지는 제주어/상대 높임법에 정리되어 있다.

4.7.4. '-(으)ㅁ'의 동명사적 역할

제주어에서 '-(으)ㅁ'은 단순한 명사형 어미를 넘어서 동명사 역할을 한다는 이론이 있다. 이는 중세 한국어의 흔적으로 본다. 제주방언 동명사 구문의 문법화 연구.

위 어미들에 공통적으로 있는 '-(으)ㅁ'을 단순히 표준어의 '-(으)ㅁ'으로 직역하면 문제가 있다. 위 논문은 제주어에서 '-(으)ㅁ'은 '-는 것, -을 것'이라는 의미 또한 가지고 있다고 해석한다. 영어의 '-ing'처럼 말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위 해석에서 현재 시제와 미래 시제의 의미로 해석된다고 서술되어 있는데, 지금은 사실상 현재 진행형의 의미로 사용된다. 그래서 보통 '-고 있어'라고 해석된다. 하지만 가장 가까운 해석은 '-ㄴ다고 ~ -ㄹ 거라고'에 가깝다. '-(으)멘'이 현재진행형 뿐만 아니라 가끔 '추측법'에 쓰이곤 했는데, 동명사 이론은 이런 현상의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으)ㄴ'도 '따문 ~ 때문' 앞에서 비슷하게 나타난다.

4.7.5. '-이다/아니다'의 생략

동남 방언을 잘 안다면 익숙할 종결어미 '-가', '-고'는 ᄒᆞ라체에서 쓰이는 의문 어미다. 중세 한국어에서부터 쓰이던 어미이며, '-이다/아니다'의 활용에만 쓰인다. 다만 동남 방언과 조금 다른 점이 있다면, '-(이)-'의 생략이다. 동남 방언에서는 체언에 받침이 없으면 '-이-'를 생략하여 '뭐고?'라고 하며, 받침이 있으면 '-이-'를 생략하지 않아 '그날이가?'라고 한다. 하지만 제주어는 이에 더해 추가적으로 '-이-'를 생략하는 상황이 있다.

주로 눈에 띄는 것만 보자면

중세 한국어에서 동명사 역할을 한 '-(으/느)ㄴ, -(으)ㄹ, -(으)ㅁ'은[25]은 육지말에서 그 특성을 잃었지만, 바로 위 문단에서도 설명했듯 제주어에서는 그 특성을 완전히 잃지 않았다. 이들도 '-이-'가 생략되었다고 생각하면 편하다.[26]

4.7.6. ᄒᆞ라체 평서형 '-(으)ㄴ다'와 '-나'의 차이

제주어/상대 높임법에서 짧게 설명했지만 '-(으)ㄴ다'와 '-나'는 제주어에서 현재형을 나타내는 어미다.

'-나'(ᄇᆞᆰ나, 걷나)는 어간에 받침이 있을 때만 사용 가능하다.

'-(으)ㄴ다'는 받침이 있든 없든 상관 없이 다 사용할 수 있다.

옛 자료에서 '-(으)ㄴ다'의 이러한 용법을 다루지 않아서 비교적 최근에 나온 비문이 아니냐는 말이 있었다. 하지만 1980년 옛 자료에도 중년의 토박이 화자들에게서 "먹은덴[28] ᄒᆞᆸ데다(1980)"이나 "은 붙은다(1977)"와 같이 나타난다는 것을 근거로 ' 제주도 방언의 형용사에 나타나는 두 가지 현재 시제에 대하여'에서는 '-(으)ㄴ다'는 용언 어간에 받침이 있든 없든 사용된다고 주장했다. 이후에 등장하는 연구 자료들은 대부분 '-(으)ㄴ다'가 받침이 있는 어간에도 쓸 수 있다고 설명하는 편이다.

이때 둘은 의미 차가 없다.
족나 = 족은다

'-나'와 '-(으)ㄴ다'의 ㄴ은 '-느-'에서 온 것으로 본다. 이에 대한 더욱 정확한 용법은 바로 아래에서 설명한다.

4.7.7. 현재시제 '-느-'의 문법적 기능

제주어는 동사뿐만 아니라 형용사에도 '-느-'가 활용된다. 예를 들면 '크다'[29]를 '크다'나 '큰다' 둘 다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육지말에서 나타나지 않는 현상이며, 도대체 왜 제주어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크다'와 '큰다'는 무슨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수많은 논의가 이뤄져 왔다.

제주 방언의 종결형에 나타난 시간 표현 연구(현혜림)에 따른 '-느-'의 용법은 다음과 같다.
사실 일반적인 진리
ᄒᆞ라체 -다[30], -(으)녜 -(으)다, -나, -
-(으)냐/니 -냐/니

고영진은 제주도 방언의 형용사에 나타나는 두 가지 현재 시제에 대하여(고영진), 제주도 방언의 상대높임과 ‘-느-’-‘-수다’와 ‘-읍네다’는 어떻게 다른가?에서 '-느-'가 ᄒᆞᆸ서체의 형용사에서 전형적으로 의미 차이가 나타난다고 보았다.
사실 일반적인 진리
ᄒᆞᆸ서체 -(으)우다/수다[31] -(으)ㅂ다/ㅂ
-(으)우까/수가[32] -(으)ㅂ까/ㅂ

'-느-'는 화자가 느끼는 일반적인 진리를 서술하는 역할을 한다.

'저 낭은 ᄎᆞᆷ 큰다'에서 '저 나무가 큰 것'은 화자에게 일반적으로 느껴지는 진리/사실이다. 즉 저 나무는 일반적으로 크기가 큰 상태이며, 이전부터 항상 컸었다는 사실을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저 낭은 ᄎᆞᆷ 크다' 같은 경우는 나무가 크다는 '사실'만을 말하고 있다. 화자가 나무를 오늘 처음 봤을 수도 있는 것이고, 매일 봤을 수도 있는 것이지만, 그러한 내용은 모두 생략하고 오직 크다는 지금 당장의 '사실'만을 말한다.

이 문장도 마찬가지로 'ᄃᆞᆺ나'는 이 방이 따뜻하다는 일반적인 진리를 내포한다. 즉 '이 방'이 일반적으로 따뜻한 상태이며, 이전부터 항상 따뜻했다는 의미를 드러내고 있다[33]. 'ᄃᆞᆺ다'는 다른 의미 없이 방이 따뜻하다는 '진실'만을 말하고 있다.

'-느-'의 실현은 현재까지 확실하게 밝혀진 바로는 오직 'ᄒᆞ라체'의 '-다, -(으)녜, -(으)냐, -(으)니'와 결합해서만 나타난다.

예시를 들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해석 제일 앞에 '일반적으로'라는 말을 넣으면 어느정도 의미가 상통한다.
'건 벌겅ᄒᆞ느녜'로 또 다른 예를 들어 보자. 다음 물건들은 화자가 '벌겅ᄒᆞ느녜'라고 설명해도 어색하지 않다. 그리고 그 물체를 지금 당장 관찰하지 않아도 설명할 수 있다. 모두 화자에게 '일반적인 진리'이기 때문이다. 만약 '그 물건'을 오늘 처음 본 것이고, 일반적으로 벌건지도 모르지만, 당장은 보았을 때 벌겋다면, '건 벌겅ᄒᆞ녜'라고 말하면 되는 것이다. 다만 며느리가 전화할 때마다 손주 옷이 빨갛다고 말한다면, 화자는 '나 전화ᄒᆞᆯ 때마다 손지 옷이 벌겅ᄒᆞ느녜'라는 말을 쓸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화자에게 통화할 때마다 일어나는 일반적인 진리가 된 것이다.

항상 얼굴이 붉은 친구가 얼굴이 벌걸 때 '벌겅ᄒᆞ느녜'라고 말해도 상관 없지만 '벌겅ᄒᆞ녜'라고 말해도 상관이 없다. 다만 '벌겅ᄒᆞ느녜'라고 말하면 평소에도 얼굴이 벌겋다는 '일반적인 진리'만을 알려주기 때문에 지금 당장 벌겋다는 '사실'을 일려주는 '벌겅ᄒᆞ녜'와는 의미가 다르다.

'-느-'는 '일반적인 진리'를 나타내기 때문에 '지금, 당장'(오직 이 순간을 나타내는 말)과 같은 부사와 함께 쓰이면 의미 충돌이 일어난다.
'이 구둘은 ᄃᆞᆺ나'는 이 방이 일반적으로 따뜻하다는 '일반적 진리'를 나타내는데 '지금'과 함께 쓰이면 '이 방은 일반적으로 지금 따뜻하다'와 같은 성질을 가지게 된다. 이 같은 문장은 의미적으로 어색해서 비문이 된다.[34]
4.7.7.1. 동사에서의 경우
한국어의 모든 육지말에서 동사만 *나 밥 먹다[35]라는 표현이 성립될 수 없듯이 제주어에서도 *나 밥 먹다라는 표현이 현재형으로 사용될 수 없다. [36]

그렇기에 '-느-'를 첨가하면 '나 밥 먹나/나 밥 먹은다'된다. 하지만 이렇다면 앞선 표현들은 '-느-'에 의해 모두 '일반적인 진리'를 띠게 되어 평범한 '사실'을 서술할 수가 없다. 그래서 동사에는 아래와 같이 주로 '-아ᇝ/어ᇝ-'을 첨가한다.
사실 일반적인 진리
ᄒᆞ라체 -어ᇝ저, -어ᇝ다[37] -(으)다, -나

'철수가 ᄃᆞᆮ나'라는 문장은 '일반적인 진리'이기 때문에 '철수는 일반적으로 달리기를 한다'는 뜻이 되며, 자칫하면 철수가 그냥 늘상 달리는 아이가 돼 버릴 수도 있다. 그러니 철수가 지금 달리고 있다는 사실만을 서술하려면 '철수가 ᄃᆞᆯ아ᇝ저'라고 해야 한다.

또한 '-수다'는 동사 어간과 결합할 수 없기 때문에 ᄒᆞᆸ서체에서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사실 일반적인 진리
ᄒᆞᆸ서체 -어ᇝ우다/어ᇝ수다, -(으)우다 -(으)ㅂ
-어ᇝ우까/어ᇝ수가, -(으)우다 -(으)ㅂ

4.7.8. '-어지다'의 기능

4.7.9. '-아/어-' 회상 어미의 활용

제주 방언의 종결형에 나타난 시간 표현 연구(현혜림)

제주어는 '-더-' 뿐만 아니라 의미가 동일한 '-아/어'라는 육지말에 존재하지 않는 회상 어미를 사용하는데, 이는 연결어미 '-어/아-'와 기능은 달라도 형태, 활용이 완전히 동일하다.

보면 알겠지만 '-아/어'와 같이 모음 조화가 일어나며, 제주어의 '-이다' 불규칙, '오다' 불규칙과 'ᄒᆞ다' 불규칙 또한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이는 '-엇-'이나 '-어ᇝ-'과도 결합하여 나타난다.

4.7.10. 관형사형 전성어미 '-ㄴ'의 매개모음 '-으-'와 '-느-'

동사의 경우 '먹은(과거)', '먹는(진행)'과 같이 '-으-'와 '-느-'의 차이가 과거와 진행의 차이로 나타나고, 형용사는 '족은'과 같이 '-으-' 활용 밖에 나타나지 않는다. 즉 관형사형 전성어미 '-ㄴ'은 육지말과 동일하게 작동한다.

다만 딱 두 가지 예외가 존재하며,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표준어와 동일하게 관형어로는 쓰이지 않는다. 따라서 '*먹엇는/*먹어신 밥[39]'은 틀린 말이며 '먹은 밥'이라고 해야 맞는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표준어와 동일하게 관형어으로는 쓰이지 않는다. '*먹엄신 밥'은 틀린 말이며 '먹는 밥'이라고 해야 맞는다.

다만 매개모음의 차이에 따른 의미 차이는 아직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다.

4.7.11. '-ㄴ'과 '-ㅇ'의 의미 차이

제주방언의 인용문 연구 - 피인용문의 문장어미를 중심으로(강정희)에 따르면 이숭녕(1960)이 주장한 연결어미 '-안/언'과 '-앙/엉'에서 쓰이는 '-ㄴ'과 '-ㅇ'의 의미적 차이가 점점 소멸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당대에는 '-ㄴ'이 과거적인 느낌을 나타내고, '-ㅇ'는 미래적인 느낌을 나타내는 양상이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강정희(1981)는 이런 현상이 인용형 '-엔/엥'에서 나타난다고 보았다.
일부 사람들은 아직 이를 의식하고 있지만[41] 대부분 중년층 아래로는 소멸했을 것으로 보인다.

4.7.12. 첨사 '-게'의 용법


'-게'는 상황과 화자에 따라 '-기/계' 그리고 가끔 이 첨가되어 '-겐/곈' 등으로 나타난다. 보통 문장 제일 끝에 붙는다. '-게'는 '-그래'에서 온 말이며, 표준어로 동일한 표현은 '-그래/그려'가 있다. 하지만 제주어의 '-게'는 '-그래/그려'보다 사용 빈도가 높으며 용도도 몇 가지 다른 특성을 보인다.

'-게'는 고립된 말이 아닌데, 제주어에서 감탄사 '게/기(그래)'로 사용되며, '게다/기다(그렇다)'도 쓰인다.

4.7.13. ᄒᆞᆸ서체의 '-(으)우/수-'

제주어에는 존대의 의미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로 '-(으)ㅂ-'과 '-(으)우/수-'가 있다. 사실 '-(으)ㅂ-'과 '-(으)우/수-'는 어원이 동일한데, 이에 대한 내용은 한국어의 방언에 설명되어 있다.

이때 '-(으)우/수-'는 여러 규칙을 따른다.
-(으)우- -수-
받침이 있음[43] 동사 ? X
형용사[붙임] O
선어말어미 O
받침이 없음 동사 X
형용사[붙임] O X
선어말어미 O X
-(으)우- -수-
받침이 있음 동사 먹으우다(?) 먹수다(X)
형용사[붙임] 족으우다(△) 족수다
선어말어미 먹엇우다(△) 먹엇수다
받침이 없음 동사 가우다(△) 가수다(X)
형용사[붙임] 크우다 크수다(X)
선어말어미 가쿠다 가크수다(X)

위 사실을 보면 동사는 선어말어미가 붙지 않는 한 '-수-'로 절대 활용이 불가능하며, '-(으)우'로 활용해도 조금 어색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다. 동사는 대부분 '-암시-'로 활용해서 현재형을 대신하는 편이다. 즉 '먹으우다(?)' 보다는 '먹어ᇝ우다'라고 하고, '가우다(△)' 보다는 '가ᇝ우다'라고 하는 편이니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최종적으로는 가장 편한 법은 '받침이 있으면 '-수-'고 받침이 없으면 '-(으)우-'지만. 동사는 '-엄시-'를 붙여야 한다.'정도가 되겠다. 다만 '-(으)우-'는 지역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한다.

의문형 종결 어미는 '-(으)우-' 뒤에 오는 경우에는 보통 된소리 계열인 '-까/깡/꽈/꽝'으로 오며, '-수-' 뒤에 오는 경우에는 보통 예사소리 계열인 '-가/강/과/광'이 온다.

아래 예는 의미가 완전히 동일하더라도 '-(으)우-'를 쓰는가 '-수-'를 쓰는가에 따라 의문어미가 바뀐다는 것을 보여준다.

ᄒᆞᆸ서체의 의문형 어미 '-가/과/강/광'을 모음을 로 하는가 로 하는가, '-'을 넣는가 빼는가에 따라 어감이 다르다고 한다.[48] 기원적으로 원래 ㅏ계열 뿐이었으나 ㅘ로 변형된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고 한다.

4.7.14. -주, -(으)ㅂ주

'-(으)ㅂ주'에서 '-(으)ㅂ-'은 존대의 의미를 갖는 종결 어미이며 기본적으로 상대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보통 '-주'는 '-지', '-(으)ㅂ주'는 '-지요'로 해석된다. 즉 '-(으)ㅂ주'는 ᄒᆞᆸ서체에서 평서형/의문형으로 쓰여도 어색하지 않다.

그런데 가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으)ㅂ주'를 쓰기도 한다. 예를 들면 '나영 가주'라고 해도 될 것을 '나영 갑주'라고 하기도 한다.[49] 이는 비교적 최근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으)ㅂ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존대의 의미가 점점 약화되고 있다. 그래서 현재는 ᄒᆞᆸ서체 청유형에서 '-(으)ㅂ주마씸', '-주마씸'과 같이 '-마씸'을 덧붙여 다시 한 번 높여 사용하기도 한다. '-마씀'은 '-(으)ㅂ-'과 어울려 쓰일 수 없는데도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으)ㅂ주'에서의 '-(으)ㅂ-'에 대한 어원 의식이 사라지고 있다는 뜻이다.

현재 이 현상을 받아들이는 방법은 '-주'를 어느정도 평대, '-(으)ㅂ주'를 존중 표현으로 보고 이 둘은 그냥 상호 교체가 가능한 이형태로 생각하면 된다.

4.7.15. 성별적 표현

제주어는 실질적인 여성어, 남성어 체계가 없다. 하지만 표준어의 '오호호'와 같이 일부 성별적 표현이 존재하긴 하나 이는 현대에 들어 점점 무너지는 중이다.

여성들에게 특징적으로 자주 나타나는 3가지 종결 어미가 존재한다. 특히 '-심'과 '-순'은 대부분 여성만 사용한다.

4.7.16. 인용 어미

'-엔/엥'은 'ᄒᆞ연/ᄒᆞ영'의 준말인 '헨/헹'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래서 '-덴'의 원형태는 '-다 ᄒᆞ연'인 것이다.

<제주방언의 인용문 연구 - 피인용문의 문장어미를 중심으로>에 따르면 제주어에서 인용형 어미는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표준어에서 '먹는다고 한다'를 '먹는다 한다'라고 할 수 있듯 제주어도 '먹은덴 헤ᇝ저'를 '먹은다 헤ᇝ저'라고 할 수 있다. 그저 간접인용과 직접인용의 차이다.
단어 구성 의미 예시
-엔/엥 인용형 어미
-덴/뎅 -다 + -엔 -다고
-넨/넹 -나 + -엔 -는다고
-(으)렌/렝 -어라 + -엔 -어라고 경 가지 말렌 헤도
-(으)렌/렝 -(으)라 + -엔 -(으)라고 경 가지 말렌 헤도
-젠/젱 -자 + -엔 -자고
-(으)녠/녱 -냐 + -엔 -냐고
-(으)닌/닝 -니 + -엔 -냐고
-안덴/언덴, -안뎅/언뎅 -안디 + -엔 -었느냐고
-(으)멘/멩 -마 + -엔 -(으)마 라고(약속)
-겐/겡 -게 + -엔 -자고
-(으)ㅂ니껜/껭, -(으)ㅂ네껜/껭 -(으)ㅂ니까 + -엔 -(으)ㅂ니까라고
-(으)ㅂ센/ㅂ셍 -(으)ㅂ서 + -엔 -(으)십시오라고
-젠/젱 -저 + -엔 -(으)려고 난 아버지엔 말을 스물ᄒᆞᆫ 살에 가시아방한티 강 아버지렌 ᄒᆞ젠 하난 눈물이 괄괄괄[51]
-(이)엔/엥 '-이여 + -엔' -이라고 끗이엔 ᄀᆞᆮ주, 무시거엔? [52]
-딘/딩 -디 + -엔 -더냐고
-곤/공 -고 + -엔 -냐고
-준/중 -주 + -엔 -자고

5. 어미와 조사

5.1. 어미

어미의 뜻풀이는 제주어 사전을 참고했다.

이곳에서 설명되지 않은 모든 어미는 제주어/상대 높임법에 있다.
어미
제주어 한국어 예문[표기]
-거든, -건, -거드란, -거드랑/거들랑 -거든 연결어미. 사물이나 행동을 조건 삼아 말할 때 연결어미. 사용 빈도는 아주 적다. 경ᄒᆞᆫ디 요 집터는 조심ᄒᆞ영 살다가, 부ᄌᆞ 뒈건 떠나라 ᄒᆞᆫ 거라[54]
-거든, -거든이 (동일) -거든 종결어미 겐디 이쪽으로는 옛날엔 무가 잘 안 됏거든
-건디 '-건데' 말고도 '-는지'라는 의미로 쓰일 때가 있다. 예문 참고 허여낫주마는 이제 그거 헤여 나건디가 멧 년이라게[55]
-게/계/겐/곈 강조를 나타내는 첨사. 종결어미 뒤에 붙어 '-다게, -(으)라게'처럼 쓰이기도 하고 명사 뒤에 붙기도 한다. 항상 무슨 일이 있어도 문장 제일 끝에 붙는다. 집에선 잘 안 입주게
-게 (동일) 훤허게 ᄀᆞᆯ으민 이디 사람덜 다 알아
-게 (동일)'-겠어?'의 뜻을 가지는 '-게' 종결어미 그 동싱만 잘헤 주민 부모님 ᄆᆞ음이 오족 펜안ᄒᆞ게?
-게끔, 게시리 -스럽게, -도록, -게끔 싱그난 퍼렁케시리 막 퍼렁허게시리 ᄉᆞ뭇 ᄒᆞᆷ도, 선장 열 철이 나가믄 봄 나가믄 막 ᄉᆞ뭇 다닥다닥다닥 허게시리 막 굼벗 부뜨듯 막 그냥 부떠그네 막 피짝허게 ᄋᆢᆯ아오지 안 허멘?[56]
-겟- -겠- 콩ᄂᆞ물 아이(아니) 키우겟다
-곡, -고 -고 농ᄉᆞ짓는 거 ᄒᆞ끔썩 시꺼 오고, ᄒᆞ끔썩 시꺼 오곡[57]
-고나/구나, -로고나/로구나[58] -구나, -로구나 감탄 으, 뎅침. 막 ᄌᆞᆷ질게 허민, 아이고 뎅침헤ᇝ구나 허고 호는, 그자 막 둠성둠성 허민 호완 내 벳인게[59]
-고대고, -고대라, -고대나 -고 되고, -고 되나 어떵 줏곡 대곡 헐 게 시냐게
-고서 (동일) -고서, -하면서 아싯날 가그네 미릇미릇 둘리고서 그 아싯날 가그네 감저줄을 막 걷어[60]
-고저, -고장, -구장, -구정, -구저 -고자 기자, 지네 허고저 ᄒᆞᆫ데로 난 시켯어
-아근/어근, -앙근/엉근, -앙은/엉은 -고서
-아근에/어근에[61], -앙근에/엉근에 -고서, -아서/어서, -다가 훍게 썰엉 놧당 세 번 ᄌᆞᆷ자 나근에 올를 때 뒈민 안 썰어[62]
-아근엥에/어근엥에 둘 이상의 행동이나 묘사를 나열할 때 장차 행동이나 묘사를 나타내는 -아서/어서 저 무에 고칫물이 들어근엥이 희지 안 형 ᄇᆞᆯ그릉ᄒᆞ주[63]
-글랑 거든 연결어미
-기, -지 명사형 어미
-ㄴ가푸뎅 -ㄴ가 싶어
-ㄴ덜, -ㄴ들 -ㄴ들
-ㄴ덜사, -ㄴ들사 -ㄴ들 어찌
-ㄴ디 문장을 이어주는 -는데, 주로 반대되는 사실을 말 할 때 쓴다. 오란 머졋는디, 다 조반 헨에 밥헨에 낭푼이가 어딧어, 나무도고리에 밥헨에 다 푸노렌 허난에 요쪽으로 팩팩[64]
-ㄴ디 질문어미 -는데. 오직 주어로 2인칭만 올 수 있다. 즉 '대화를 듣고 있는 사람'만이 질문의 주체가 된다. 무시거 어떵 뒈엇저 ᄀᆞᆯ아나신디?
-ㄴ디 잇다, 읏다에 붙어 막연한 질문 '-ㄴ지...?'
-ㄴ지 (동일) 보통 막연한 질문어미 -는지. 그럼 어, ᄂᆞ물쿡은 어떵 끓이는지?
-ㄴ지 (동일) -ㄴ지
-(으)나 (동일) 그거 다 농사지레 두린 때 게나제나 우리 어머니네 일만 일만 헤부난 다리가 처녀 때 다리가 고장 난 거.[65]
-(으)나따나, -(으)너떠나 -하더라도, -하지마는
-(으)난, -(으)난에, -(으)니, -(으)니까 -니까, -니깐은. 상황에 따라 '-어서', '-기 때문에'로 해석해도 괜찮다. 이제 이디 문화마을 생겨 부난 벡구십 가구 넘을걸
-(으)난 -ㄹ지라도 그대로
-아네/어네 -고 나서 밥 먹어네 테레비 바ᇝ어라[66]
-니까니 '-니까'의 강조. '-니깐' + '-에'
-니까니 -고 하니
-다가설란 -다가
-다간/다근/당근/당은, -다간에/다네/당근에/당은에 -다가는 으, 겨난 거자 끓여져 갈 때 고기만 다 단속헷다근에 들이쳐 불민 그 엿기름 헐 때 허는 재료 똑 그와 겉이 그추룩 경 허는 거[67]
-다서 -다가 대썹을 타다서 이거 대썹이면 욜로 나무에 붙여 놩 그치곡 꼭다리 그치곡 헤영 반찍 씻어다 놔서 시루 창에 그 대썹을 싹 ᄁᆞᆯ어 가지고 그 가루 밀어 논 걸 뒈는 거여[68]
-단/당, -단에 -다가 거 아무 낭이나 헷당 부러져 불엉 못 써[69]
-단도/당도 -다가도
-다여 -다고 하여. 잘 쓰이지 않는다.
-다마는 (동일) -다마는 아이구, 거 알아진다마는 잊어 부러졋저
-다면/다민/데민 -다면
-도 (동일) 골고로 그자 많도 아녀고 족도 아녀고 그자 경 뒈엇어마씀
-도록 (동일) 이제 잘 그 거기에 이제 적응하도록이 후배에게도 가르키고 그러지마는, 이 새 사름덜이 자꾸 들어와 놓니까 으, ᄆᆞᆫ 범벅덜 뒈연
-뒈 -되
-들 -지를. 하지를 못하다 따위로 쓰이는 그 -지를이다.
-듯 (동일) 응 보리허듯이? 보리랑 뭐가 달라?
-ㄹ걸 (동일) 그땐 잘 살아 불어시민 좋을걸
-ㄹ디, -ㄹ지, -ㄹ디사 -ㄹ지
-ㄹ란, -ㄹ랑, -ㄹ라근에 -ㄹ랑은, -서는, -다가
-ㄹ랴고, -레 -려고
-ㄹ로고 -겠네 경 ᄒᆞ고 이번은 차비가 엇어. 어, 자 부탁헐로고.[70]
-ㄹ로고나 -겠구나
-ㄹ수록/ㄹ소록 -ㄹ수록 건 게난 수확은 늦게 갈수록 족아[71]
-ㄹ지라도 (동일)
-라- 체언이나 -이다/아니다에 붙는 '-아/어' 불규칙 여기서 젤 많이 나는 거는 메역이랏는디
-라고 (동일) 인용형이 아닌 '-라고' 연애라고 할 수 잇지
-라코, -라콧 -려고, 거의 쓰지 않고 대신 '-젠'을 쓴다
-이랑 마랑 -이든 말든 사진 찍음이랑 마랑 그때 사진 찍는 사름 멧 사름 엇엇저
-리영 -려고. 잘 쓰이지 않는다.
-(으)러, -(으)레 -러. 먹으러 가다 할 때 그 '-러'다.
-로고 -로군 막 이것덜은 잘사는 것들이로고, 숨메도 모르는 거 보난[72]
-리 (동일) ~하리 할 때 그 -리다.
-(으)ㅁ광 왜 그렇게 '-ㄴ지' 할 때 -ㄴ지다. 쉐 코 썩은 낸 무사 ᄋᆢ름에 남광[73]
-(으)ㅁ서 -으면서 콩씨 자루에 담앙 메여둠서 작작 뿌려 놓고
-(으)마 약속법 아이고 나 ᄄᆞᆯ아, 나 나가 허여 주마
-(으)멍 -며/면서 우리 아신 저 강원도 강 살멍 아기덜 댓 오누이 나고 쌍둥이ᄁᆞ지난에 잘 살아
-(으)멍은 -면서는 옆에 돌아가멍은 멍석 다 ᄁᆞᆯ아
-(으)민, -(으)면, -(으)믄 -(으)면 밧 엠이 조 ᄇᆞᆯ릴 떼 밧 엠더레 무수 씨 ᄒᆞ나썩 뎃경네 불민 그 무수가 낭[74]
-므로 (동일) 땅이 이제 북삭지므로 이걸 땅을 뒈게 만들엉[75]
-안/언, -앙/엉 -아서/어서, -고, -고서 가족이엔 헌 게 ᄀᆞᇀ이 더불엉 막 살아지면 얼마나 좋으리야마는
-어- -더-
-아노니/어노니 -아 놓으니 요즘 세상은 경헌 세상이라노니까
-아단/어단, -아당/어당 -아다가/어다가 기자 아침에 그 ᄎᆞᆷ 쉐막에 메엇당, 쉐 아침에 네놩, 일찍 ᄒᆞ며는 오늘은 누게가 갈 ᄎᆞ레여[76]
-아도/어도 (동일) 굴무기 도구리도 한동에 그 도구리가 잇단 말 들어도양 확인을 헹 내 거다 말을 못 허컵디다[77]
-아두서, -아두어서 -아서/어서. -아 두어서
-아사/어사 -아야/어야 고춧ᄀᆞ루 쓰젠 허민 경 헤도 ᄒᆞ끔 심어사 될 거 아니우꽈예?
-아자 도라서/어저 도라서 -아서/어서. 잘 쓰이지 않는다.
-악 -악/억 -억 두 동일한 동사가 반복될 때 '-아서 -아서'
-아설란/어설란, 고설란, -고서랑, -고서람으란, -고설랑 -고서는 우이 앉아설란, 할망은 어드레 가는 할망입네까고 질문ᄒᆞ니까
-저 말저 -ㄹ까 말까
-주[78] -지. 난 연송극만 보주, 다른 건 안 바
-주마는 -지마는 아니, 엿날에사게 메루치도 허곡 젓도 담갓주마는 요즘은 경 ᄒᆞ는 게 엇주게
-지 (동일) 연결 어미 기능.
-지도 (동일)
-지를, -질 (동일)
-(으)커건/(으)케건/(으)컨 -겠거든 저디 커피 먹컨 먹어
-(으)컨데 -기에
-(으)컬 -을걸

5.2. 조사

조사의 뜻풀이는 제주어 사전을 참고했다.
조사
제주어 한국어 예문[표기]
-은/는 (동일)
-(이)랑 강조. -은/는[80]
-이/가[81] (동일) 아는 사름이 잇단 이젠 엇주게
-을/를 (동일) 허여도 영 ᄎᆞᆷ으멍 이때도록 다 인생을 ᄆᆞᆽ까시녜게[82]
-의 (동일) 또 재작년엔 ᄄᆞ루 이디산디 어디 찔런에 경 꽝 껏디 들어가믄 요놈의 가시가 이 쿳가시 ᄀᆞ트민 곪아가민 우터레 올라온다게[83]
-에[84] (동일) 거기에 잇주게
-에서, -서 (동일)
-(이)사 -이야. 강조 격조사. 나'야' 좋지 따위의 의미. 바당이사 우리 물에 들곡 헤나난이
-안티 -한테, -에게 이제 우리 ᄄᆞᆯ덜안티 경 ᄀᆞᆯ으민 그거 무신 말인지 도저히 알아듣지 못 허여
-신디 -한테, -에게. 어원은 '시-(있다) + -ㄴ + 디(장소)'로 직역하면 '있는 데/곳'이다. 또 나신디 올 수벳기 엇엇주
-아피 -한테, -에게. 어원은 '앞 + -이(-에)'다. 어떤 사람 앞에 몫이 돌아갈 때, 아니면 그 사람의 바로 앞에 있을 때 자주 쓰인다. 부처님아피 기도를 드리멍
-ᄀᆞ라 -더러 날ᄀᆞ라 공부허렌 허지 맙서
-ᄀᆞ라만 '-ᄀᆞ라'에 '-만'이 붙어 -더러의 뜻을 더욱 강조.
-ᄀᆞ란 -더러는
-께 (동일) -에게의 높임말
ᄁᆞ지, ᄁᆞ장 -까지 사름이 이때ᄁᆞ지 살다보니까
-(이)ㄴ덜 -ㄴ들
-(이)나 (동일) 이거나 저거나 할 때 -나다.
-(이)나따나 -나마
-(이)나 (동일) 씩이나 많다, 퍽이나 많다 할 때 '-이나'다.
-(이)나마 (동일) 그것이나마 만족한다 할 때 '-이나마'다.
-대로 (동일)
-더레 -으로. 어떤 방향으로 진행하는 그 '-으로'만 나타낸다.
-러레 -로, 받침이 없거나 받침이 ㄹ일 때 -더레 대신 쓰임.
-더렌 -으로는
-(이)덜랑 -들랑
-덜도/덜토 -들도
-도 (동일)
-든지 (동일)
-ㄹ -에게
-ㄹ도 -에게도
-(이)ㄹ란, -(이)란, -(이)ㄹ랑, (이)ㄹ라근, -(이)ㄹ랑근, -(이)ㄹ라근에, -(이)ㄹ랑근에 -(이)ㄹ랑
-ㄹ로 누구의 힘도 빌리지 않고 자기 힘으로
-ㄹ로 -를
-라 -들이
-(이)라도 -(이)지마는, -이라도
-(이)란, -(이)란에 -이라고, -이라고는
-(이)란 (동일) 인생이란 무엇인가 할 때 '-이란'이다
-(이)란 대상의 내용을 나타내는 '-은, -에는'이다
-(이)랑마랑 -는커녕
(동사의 명사형 '-기')랑마랑 B (하기)는 고사하고 B조차 아니하다
-(으)로, -ㄹ로 (동일)
-(으)로나 (동일). 선택의 의미 -나가 첨가됨. 그것으로나 써 볼까 할 때 -로나.
-(으)로다 (동일) '-(으)로다가'의 준말
-(으)로 -에서
-만 (동일)
-만히/만이/만씩/만썩/만콤/만큼/만 -만큼/만치
-(이)멍 -이며
-며 (동일)
-민 -면
-보고 (동일)
-보고다 (동일) '-보고다가'의 준말.
-보단도 (동일) '-보다도' 그때는 국민학교 부뜨기가 지금보단도 어려완에 간에 칠판에 강 뭐 글을 썻는디 그 글을 읽지 못 허민 못 부뜨는 거여
-부떠/부텀 -부터
-신더레, -신데레, -신드레 -에게더러
-신디, -신디랑 소유격의 의미인 '-의', 행동의 대상임을 나타내는 '-에게, -더러'.
-아, -야 (동일) 사람을 부르는 조사.
-안, -얀 '-야라는'. 사람을 부르는 조사 뒤 이미 지난일을 뜻하는 '-ㄴ'이 붙음.
-안트레 -한테로
-안티 -한테
-안티서 -한테서
-안티다 -한테다가
-안티라근에 -한테랑은
-에 (동일)
-에가 '-에'의 강조
-에게 (동일)
-에나 (동일) 선택의 의미 -나가 첨가됨. 그곳에나 가볼까? 할 때 그 -에나
-에란, -에라근 -엘랑, -엘랑은
-에서랑 -에설랑
-에영 -에며, -에랑
-엣 -에의 관형사적 용법 ᄑᆞᆺ 우엣 물
-(이)영, -(이)여 -(이)랑, -하고. 대상이 되는 어떤 객체를 나타낼 때. 점심이영 다 앗앙 가사주
-(이)영 -(이)랑, -하고. 두 개 이상 사물을 열거하며 말 할 때. 삭가링이영 설탕ᄀᆞ를이영 줍디다
-으라근, -(이)라근, -으라근에, -(이)라근에 -을랑은
-으랑, -(이)랑 -을랑
-이는 (동일) 보통 사람 이름 뒤에 붙여, 'OOO이는'처럼 쓰인다.
-인들 (동일)
-왕/광 -와/과
-왕도/광도 -와도/과도
-왕이랑/광이랑 '-왕/광'에 '-이랑'이 붙어 -와/과의 뜻을 더욱 강조.
-처름/처럼/처륵/ᄎᆞ록/추록 -처럼
-ᄒᆞ곡, ᄒᆞ고 -하고 지금 배추ᄒᆞ고는 틀리지 않읍니까?[85]

다음은 불규칙 조사다. 대부분은 중세 한국어의 고어형 흔적이다. ㄷ이 ㅌ으로 발음되거나 ㅇ이 ㅎ으로 발음되는 것은 당대 해당 단어에 받침이 있었기 때문이다. ㅅ받침이 ㅇ을 만나 가끔 ㄷ으로 발음되는 것은 발음 변화가 진행중인 단어들이다.
불규칙 조사
제주어 한국어 예문[표기]
-디, -디랑 -에, -에는.‘밧(밭)ㆍ바깟(바깥)ㆍᄀᆞᆺ(가장자리)'등에만 쓰이는 특수형. -에 조사가 들어간 다른 합성 조사에서도 쓰인다.
-기 '밧(밖)'에 붙어 '밖에'의 뜻을 나타냄[87] 체육관밧기 엇어
-레 '바다ㆍ내(흐르는 시내)ㆍ제주(제주도)'등에만 쓰이는 '-더레'의 변형. 뜻은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으로'라는 뜻이다.
-이 '집ㆍ바당(바다)ㆍ앞ㆍ옆ㆍ밤ㆍ낮ㆍ알(아래 방향)'등에만 쓰이는 '-에'의 변형. '-의'라고 발음될 때가 있는데 무조건 '-이'라고 표기한다.
-터레, -트레, -트로, -테레 '안(방향)ㆍ우(위 방향)ㆍ서(방향)ㆍ내(흐르는 시내), 바꼇(바깥)'등에만 쓰이는 '-더레'의 변형. 뜻은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으로'라는 뜻이다.
-토 'ᄒᆞ나(하나)ㆍ안(방향)ㆍ우(위 방향)'등에만 쓰이는 '-도'의 변형.
-티 '우(위 방향)ㆍ밋(밑)'등에만 쓰이는 '-에'의 변형.
-헤 '드르(들판의 들)ㆍ질(길)'등에만 쓰이는 '-에'의 변형. 이것 말고도 모든 조사의 ㅇ이 ㅎ으로 바뀐다.

5.3. 기타

다음은 조사, 어미는 아니지만 자주 쓰이는 표현이다.
제주어 한국어 예문[표기]
덜/들
-고정[89] 하다, -고저라 -고 싶다
-ㄹ 침 엇다 -할 필요가 없다. -할 가치가 없다.
-(으)ㄹ 철 '-ㄹ 것'을 낮잡은 느낌[90]
-ㄴ 것 닮다 -ㄴ 것 같다
-ㄴ 셍이다 -ㄴ 모양이다, -ㄴ가 보다
-아/어 불다, -어/아 부다, -아/어 비다, -아/어 부리다 '-아/어 버리다'. '-어 부난'은 '-어 버려서/어 가지고'로 해석하면 된다.[91]
-(으)카 부덴? -(으)ㄹ까 보냐? -(으)ㄹ줄 아니?

6.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제주어 표기법

2018년에 시행된 제주어 표기법 토론회에 따르면 아직까지 학자마다 이견이 있어 맞춤법을 통일하지 못 한 사례가 있다.

6.1. ㅯ 받침을 써야 하는가?

제주어 표기법의 뜨거운 감자다.

이 문서에서는 ㅯ 받침을 적극적으로 사용했다. 하지만 이 ㅯ 받침은 육지 사람에게 제주어를 어렵게 느끼게 할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표기하자는 주장이 있다.
형태주의적 표기 표음주의적 표기
먹어ᇝ어 먹엄서
먹어ᇝ저 먹엄저[된소리]
먹어ᇝ수다 먹엄수[된소리]
먹어ᇝ주 먹엄주[된소리]

ㅯ이 어색한 육지 사람들에게는 표음주의적 표기가 더욱 친근하게 다가올 수도 있다. 하지만 문제가 있다. '감저, 감수다, 감주' 등은 실제로 [감쩌, 감쑤다, 감쭈]로 발음되는데, ㅯ 받침 없이 이를 발음 그대로 표기하면 왜 이런 음운 현상이 나타나는지 설명하기 힘들다. 즉 장기적으로 볼 때 타지인에게는 이런 음운 현상이 '보이지 않는 무언가'처럼 느껴질 수 있으며 제주어를 배우기가 더 힘들어진다.

이런 이유에도 ㅯ이 자주 쓰이지 않는 이유는 따로 있다. 현대 한글 조합형으로 표기가 불가능해 전산화에 불리한 것이 아주 큰 문제다.[95] 지금 당장 모바일 기기로 보고 있는 유저들은 깨진 글자가 불편하게 느껴질 것이다.[96]

이에 대한 의견은 학자마다 아직 대립이 팽팽하여 아직 통일된 바가 없다. 2014년 제주어 맞춤법 표기안에서도 이에 대해 의도적으로 다루지 않음으로써 작성자에게 표기 방법 선택을 맡기고 있다.

6.1.1. '-암시-', '-아ᇝ이-'?

'-어ᇝ이/엇이-'로 적어야 하나 '-엄시/어시-'로 적어야 하나에 대한 논쟁이다.

이에 대한 학자들의 의견이 매우 다양한데 이에 대한 문제는 이 문서의 맨 아래에 있는 '-어ᇝ-'의 기원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6.2. 아래아 표기 문제

공식 맞춤법은 ㆍ( 아래아)를 사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옛한글 키보드를 내려받아서 아래아를 쓰려는 사람은 많지 않다. 게다가 쓴다고 해도 삼성전자 애플 모바일 기기에서 깨진다.[97]

현재 대부분의 제주도민들은 실제로 아래아 발음을 사용하고 있더라도 모든 아래아를 로 표기하거나, 아예 표준 한국어 어휘로 대체한다.

일부 등지에서는 아래아를 마침표로 작성하기도 한다. 가독성과 미관은 포기하더라도 표기만은 제대로 지켜보자는 것이다. 아래아마을 카페등 일부 단체는 를 쓰는 것보다 마침표를 사용하는 것이 아래아 발음을 전승하는 데에 더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고 보아 이를 장려하고 전파하려 노력하기도 한다.
펜안ᄒᆞ우꽈. ᄒᆞᆫ저덜 옵서.
펜안ㅎ.우꽈. ㅎ.ㄴ저덜 옵서.
ᄋᆢᄉᆞᆺ 사름 ᄎᆞᆽ이민 뒈는가?
ㅇ..ㅅ.ㅅ 사름 ㅊ.ㅈ이민 뒈는가?

6.3. '낚으다' 문제

옛날에 '나끄-' 어간으로 파악되었던 '나끄다'는 '-는'으로 활용하면 '나끄는'으로 나타나지 않고 '낚는'으로 나타난다. '나끄다'가 단순히 '나끄다'가 아닌, '낚다'에 '-으-'가 첨가된 것으로 봐야한다는 것이다.

2014년 제주어 표기법은 이를 반영하여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용언은 '-으-'를 형태소로 파악하여 적도록 했다.
낚으다[釣] 낚안 낚으민 낚으곡 낚는
좇다[從] 좇안 좇으민/좇이민 좇으곡/좇이곡 좇는
ᄎᆞᆽ다[索] ᄎᆞᆽ안 ᄎᆞᆽ으민/ᄎᆞᆽ이민 ᄎᆞᆽ곡 ᄎᆞᆽ는

다만 '노프다' 같은 경우는 사람에 따라 '노프고'만 쓰기도 하고 육지말의 영향으로 '높고'만 쓰기도 한다. 이러면 '높고'만 쓰는 사람은 '높으다'로 표기하고, '노프고'만 쓰는 사람은 '노프다'로 표기해야 하냐는 문제가 발생한다. 앞으로 이런 일들은 점차 더 나타날 예정이므로 그냥 속 시원히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모든 '-ㅡ다'를 '-으다'로 통일하는 것이 가장 좋는 방법으로 보인다.

6.4. '뒈여' 문제

제주어에서 '뒈다'와 '-아/어-'가 만나면 '뒈여'라고 발음된다. 이를 따라 실제 표기도 '뒈여'라고 한다.

하지만 이는 표준어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며 또한 국립국어원은 이렇게 발음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즉 표준 한국어에서도 '되어'는 '뒈여'라고 발음 가능하며 사실 '뒈여'라고 발음하는 사람이 압도적으로 많다. 그렇다고 해서 '되여'라고 표기하지는 않는다. 왜 제주어만 이렇게 표기되어야 하는지 의문점이 생길 수 있다.[98]

'ㅚ'를 'ㅞ'에 통합시키는 것도 효율적인지 꽤 의심스럽다. 동남 방언은 많은 지역에서 의 발음을 구분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둘을 통합해서 표기하지 않는다. 즉 이릏게 슦으 쓰그나 합츠스 쓰지 않는다는 긋이다. 제주어에서 굳이 둘의 표기를 통합해서 이질감을 느끼게 할 필요가 있는지는 조금 더 고민할 필요가 있다.

제주어에서 의 발음이 모두 ㅞ로 발음되는 현상은 ㅚ를 ㅞ로 읽으면 해결되는 문제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순우리말이 아닌 한자어만 '외'라고 적는 것, 즉 '외 자는 한자어니까 '웨'라고 적지 않고 '외'라고 적는다'는 것은 표기의 일관성 측면에서 비합리적이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또한 제주어에서 '뒈다'가 연결어미 '-아/어-'를 만나 활용할 때 '돼'가 되어버리는 이상한 현상을 해결하려면 '되다'로 되돌려 놓는 것이 더 좋을 수 있다.

7. 신조어와 신조 문법

언어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한다. 제주어 또한 점점 변화하고 있다. 다만 표준 한국어의 영향으로 인해 급속도로 변하고 있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날이 갈수록 새로 생겨나는 신조어 문법을 무작정 받아들이기만 하면 문법이 무너져 혼란을 초래하므로 언어의 소멸을 가속화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변화를 무시하고 옛 제주어만 사용하자는 생각은 언어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이 항목에서는 제주어에 비교적 최근 나타난 여러 신조어들을 다루어 현재 어떤 신조어를 받아들이거나 보완하면 좋을지 고찰한다.

또한 아래 내용들은 대체 역사물을 창작할 때 어떤 언어 표현을 첨삭하면 좋을지 역사 반영의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7.1. ᄒᆞ십서

'-(으)십서'는 비교적 최근, 하지만 최소 60~70년 전부터 제주어에 나타난 오래된 신조어체다.

간혹 ᄒᆞᆸ서체에 상대방을 높이는 육지말의 '-(으)시-' 선어말어미를 넣어서 '먹으십서, 먹으십주'처럼 활용하는 사람이 있다. 주로 명령형, 청유형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육지어[99]의 영향이라고 하며 먼 옛날에는 이렇게 활용하지 않았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제주어에는 '-(으)시-' 선어말어미가 없으며 '-(으)시-'를 첨가하는 모든 현상은 육지어의 영향으로 봐야 한다고 한다.

이런 현상에 1978년 이숭녕 교수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대개 노년층의 토박이 화자들 사이에서는 '-(으)시-'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학교 교육의 영향을 받은 중·장년층에서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주체 존대 선어말어미 '-(으)시-'와 공기 관계에 있는 높임 주격조사 '-께서'가 제주 방언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는 사실도 제주 방언에 '-(으)시-'를 삽입한 극존칭을 설정한다는 것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준다.[100]

물론 그 당시 중년층까지 사용하고 있었다면, 현재 나이 구분 없이 모두 사용하고 있다는 말이 된다. 현재는 제주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어체기 때문에 이를 무시하면 안 될 듯하다. 제주어가 육지어에 동화되었다는 것은 모두가 불편하게 생각하는 일이지만 그 지역 사람들이 실제로 사용하기로 약속한 그 지역의 방언이며, 언어에서 이러한 변화는 자연스러운 일이다.

7.2. 안녕ᄒᆞ수꽝?

'-수-'는 어간 끝에 받침이 있는 형용사에만 붙을 수 있다. 그리고 '-수-' 뒤에는 '-가/강/과/광?'(족수과?) 등 보통 여린소리, '-(으)우-' 뒤에는 '-까/깡/꽈/꽝?'(머우꽈?) 등 보통 된소리가 온다. 즉, 전통적인 사투리에서 형용사 '안녕ᄒᆞ다'의 ᄒᆞᆸ서체 의문형은 '안녕ᄒᆞ우까/안녕ᄒᆞ우꽈/안녕ᄒᆞ우깡/안녕ᄒᆞ우꽝'으로만 나타난다. 하지만 요새 젊은 층에서 '하수꽈?'같은 형태가 등장하고 있다.

7.3. 선어말어미 '-(으)시-' 문제

ᄒᆞ십서 문단을 보면 원래 '-(으)시-'는 제주어에 없는 말이란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이 '-(으)시-' 선어말어미는 제주어의 골칫덩이 같은 존재다. '-(으)시-'는 과거형 선어말어미 '-앗/엇-'과 헷갈릴 수 있다.

'-(으)시-'와 '-아ᇝ/어ᇝ-', '-앗/엇-'이 만나면 '-(으)시-'가 먼저 온다. 표준 한국어와 동일하다.

7.4. 과거형 어미 '-안/언' 파생 신조어

-안/언은 과거 의미를 만드는 제주어의 종결어미다. 예를 들어 '먹언?'은 '먹었어?'로, '간'은 '갔어'로 풀이된다. 그런데 젊은 화자들 사이에서 '-안/언'을 '-ㄴ'으로 착각해 다양한 불규칙 활용이 생기고 있다. 이런 활용은 일부 지역에서 사용하지 않으며 나이든 사람은 전혀 사용하지 않는 등 분명한 세대 차이가 있다.
주로 서귀포시에서 사용하는 '인'과 '언'은 각각 '있어'와 '없어'를 뜻한다. 이는 '잇다'와 '엇다'에서 받침을 없애 버리고 '-ㄴ'을 붙인 형태이다. 나이 든 사람의 구술 채록 자료에서는 흔적을 찾아볼 수 없으며,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2008년에 쓰여진 이 블로그 글이다. 일부 사람들은 30여 년 전에 생긴 신조어라고 주장하기도 하기도 하지만, 여러 가지 정황으로 미뤄봤을 때 적어도 2000년대에 들어서 생겨난 말이라고 봐야 한다. '-언'이 '-엇-'에서 왔을 것이라는 잘못된 분석으로 인해 '-ㅅ-'이 들어가는 표현을 '-ㄴ'으로 치환하는 현상이 일어난 듯하다.지금은 젊은이들 사이에서 꽤 자주 사용되므로 완전히 지양하지는 않는 분위기다. 심지어 '제주어 배우기'를 검색하면 한 번씩은 눈에 띌 정도로 일반적인 표현이 되었다. 만약 젊은 사람과 대화하고 싶다면 이 표현을 익혀 두는 것이 좋다.
'-지 않?'은 '-지 않아?'라는 뜻이다. '괜찮?'이라는 말도 사용된다. 일단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은 제주어에 '않다'가 없다는 것이다. 제주어로 '않다'의 뜻을 가진 것은 '아녀다'가 있다.[101] '-지 않'은 아주 독특하게 생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먼저 학교 교육으로 '않다'에 익숙해진 세대들이 '않다'의 '않'에서 [안]이라는 소리만을 도출해 내고, 이를 '-안/언'과 혼동해 의문형 어미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표현은 젊은 사람들이 듣고도 조금 불편해 하는 기색이 있다.
'-ㄴ 거 닮다'는 제주어로 '-ㄴ 거 같다'라는 뜻이다. '-ㄴ 거 닮다' 자체는 신조어가 아니다. 여기서 말하는 신조어는 아무런 종결 어미 없이 어간으로 끝나 버리는 '-ㄴ 거 닮.'이다. '-안/언'으로부터 도출해 냈다는 것이 도저히 믿기 힘든 이 단어는 '-ㄴ 거 같아'를 뜻한다. 유래는 꽤 신비롭다. 일단 화자가 '간?'(갔어?) 같은 단어들을 보고 '-안/언'이라는 의문어미를 활용한 것이라 분석하지 않고, '먹어' 같은 단어에서 어미 '-아/어'를 없앤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단, 이렇게 그냥 '-아/어'를 생략해 버리면 어색하니 '-안/언'과 비슷한 소리가 나는 비음 어간만 추려내는 것이다. 즉 '닮'이 단순히 '-안'과 비슷한 소리가 나니 곧 의문형 어미일 것이라는 단순한 생각에서 도출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 표현 또한 젊은 사람들이 듣고도 조금 불편해 하는 기색이 있다.
'-겐'은 '-겠어'의 뜻을 지닌 신조어로 상당히 최근에 만들어졌다. '-언'이 '-엇-'에서 왔을 것이라는 잘못된 분석으로 인해 '-ㅅ-'이 들어가는 표현을 '-ㄴ'으로 치환하는 현상이 일어난 듯하다.
'-안/언' 파생 신조어의 발전 가능성은 그다지 희망적이지 않다. 지금은 단순히 어간 받침이 비음인 용언만 불규칙적으로 활용하는 양상을 보인다. 하지만 어간 받침이 비음이 아닌 용언은 종결 어미 없이 활용하려면 구분이 거의 불가능해져 확장성이 떨어진다. 예를 들어 높다, 녹다, 놓다는 종결어미 없이 활용하면 거의 비슷비슷하게 들려서 혼란만 가중시킨다. 모두 불파음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최근 들어 '밥 먹?'처럼 쓰는 젊은이가 생기긴 생기는 모양이다. 이는 용언의 '-아/어' 종결 어미를 생략하는 새로운 문법이 형성되고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위의 예시 (높, 녹, 놓)처럼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하면 불규칙 문법으로 남거나 소멸될 가능성이 높다.

7.5. '-(으)멘' 파생 신조어

'-(으)멘'은 '-(으)ㅁ' 동명사 활용과 인용형 '-엔'이 합쳐져서 굳어진 꼴이다. '-(으)멘' 자체는 신조어가 아니다.

가다 → (감 + -엔) → 가멘
살다 → (삶 + -엔) → 살멘
먹다 → (먹음 + -엔) → 먹으멘

여기서 말하는 신조어는 다음과 같다. 일부 젊은이는 '-(으)멘'을 매개모음이 없는 '-멘'으로 착각해서 '*뭐 먹멘~?', '*집 가고 싶멘.'처럼 쓰는 경우가 보이는데, 이는 언어의 사회성과 동떨어지므로 대부분 사람들이 어색하다고 느낀다. 젊은이들은 이를 억지밈처럼 여기는 경향이 있으며, 심지어 듣고 짜증난다고 하는 사람도 있는 듯. 만약 제주어를 배우고 있다면 이런 사용은 아직까지는 지양해야 한다.
'-안/언' 파생 신조어보다는 낙관적이다. 만약 '-멘' 자체가 첨사 역할을 하게 된다면 강조 첨사 '-게'와 비슷하게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7.6. 일부 젊은 화자에게서 나타나는 '헛수다, 함시냐' 현상

'ᄒᆞ다'는 '-아/어-'가 붙어 활용될 때 'ᄒᆞ여, 헤'로 나타나며, 이는 제주도의 모든 지역에서 예외 없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ᄒᆞ엿수다, 헷수다'가 나타난다.

하지만 일부 젊은 세대에서 '허다'가 '-아/어-'로 활용될 때 '허'가 나타나기도 한다. 어째서 이런 일이 일어나는지는 불명확하다.

보통 이런 상황은 다음과 같이 지역적 차이로 인해 단계적으로 변화되었다고 해석되어야 하지만,
ᄒᆞ여

옛 구술자료부터 현대 구술자료까지 모든 지역에서 'ᄒᆞ여, 헤'만 나타나는 것이 문제다. '혀'는 아주 극소수로 등장하며[103] '허' 자체가 나타나지 않는다.
ᄒᆞ여 (혀)

제주어는 옛날에 '헤'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며, 젊은층과 노년층의 소통이 줄어든 공백기 후에 새로운 형태가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ᄒᆞ여 (혀[104]) 헤(헴시냐)
X[105] 허여 허(험시냐)
X[106] 하(함시냐[107])

조금만 생각해도 알 수 있지만, '하시냐, 함시냐' 등은 표준어로 따지면 '핬냐?, 그렇게 하, 가자고 하서 핬다'처럼 하다 불규칙을 완전히 무시하는 것이므로 상당히 어색하다. 제주어를 배우는 입장이라면 '뭐 헴시니'처럼 'ᄒᆞ여, 헤'만 사용하도록 하자.

7.7. 여러 어미에서의 '-어/아-' 탈락

'아껴ᇝ저'를 '아끼ᇝ저'라고 말 하는 등 '-아ᇝ-'을 '-ㅯ-'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7.8. 기타

젊은층에서 '-(으)냐'( 판정 의문문)과 '-(으)니'( 설명 의문문)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다. 이에 대해서 대부분 사람들이 크게 신경 쓰지 않는 듯하다. 표준어의 '-냐'와 '-니'와 형태가 같은데[108] 표준어는 이 둘의 구분이 없기 때문에 그것에 이끌려 문법이 무너진 것 같다.[109] 다만 나이 든 사람은 확실하게 구분하는 편이니 대화 상대가 고령 화자라면 재대로 구분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가, -ㄴ가'(판정 의문문)와 '-고, -ㄴ고'(설명 의문문) 등은 아직까지 젊은 사람들 사이에서 뚜렷히 구분되고 있다.

7.9. 옅은 제주어


옅은 제주말은 약한 제주어, 쉽게 말해서 육지말에 오염된 제주어를 뜻한다. 이 영상은 전형적인 '옅은 제주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아래와 같은 특징이 나타난다.[110]

7.9.1. 옅은 제주어 표기법

사실상 옅은 제주어는 표기법이 정해져 있지 않다.

공식 제주 사이트에서는 짙은 제주어와 옅은 제주어 예문을 함께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 사이트도 꽤나 오래되어서 그런지 짙은 제주어에서 2014년 제주어 표기법을 따르지 않을 정도라 신뢰성이 떨어진다.

가장 좋은 옅은 제주어 표기는 짙은 제주어와 같되 아래아 발음이 소멸되었으므로 아래아만 로 바꾸면 될 것으로 보인다.

8. 어휘

우선 읽기 전에 지역마다 어휘가 꽤 많이 차이난다는 것을 숙지하기 바란다. 제주도 방언의 언어지리학적 연구. 특히 동물 도구 이름이 천차 만별이다. 민달팽이가 지역마다 엇인ᄃᆞᆯ펭이(집없는달팽이), 벗인ᄃᆞᆯ펭이(옷벗은달팽이), 민ᄃᆞᆯ펭이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소라게도 거드레기, 게들레기, 게들메기, ᄂᆞᆷ의살이(남의집살이)로 나타난다. 최종 보스급인 해파리는 물 이슬, 물 방석, 물쿠셍이, 물쒜기, 물미셍이, 물망테, 수박망테, 우박망테, 미우설, 미설, 미실, 물어음, 물우슬, 물이시랭이, 물이실, 물이실멩이, 물룻 등으로 나타난다.

제주어 사전 우리말샘에서 제주어의 어휘와 뜻, 중세 한국어 등을 참고했다.

8.1. 이-, 그-, 저-, 의문사 등

이거, 그거, 저거: (동일)
이게, 그게, 저게: (동일)
이디, 그디, 저디: 이곳에, 그곳에, 저곳에
이 아이/야이, 그 아이/가이, 저 아이/자이: 얘, 걔, 쟤
이 아이네/야이네, 그 아이네/가이네, 저 아이네/자이네: 얘네, 걔네, 쟤네
※ 사람이나 생명 뒤에는 보통 '-네'를 붙여 복수형을 만든다.

이영/영, 기영/경/그영/겅, 저영: 이렇게, 그렇게, 저렇게
영ᄒᆞ다, 경ᄒᆞ다/기다/게다, 저영ᄒᆞ다: 이렇다, 그렇다, 저렇다
영 ᄒᆞ다, 경 ᄒᆞ다/기다/게다, 저영 ᄒᆞ다: 이렇게 하다, 그렇게 하다, 저렇게 하다
이추룩/이초록, 그추룩/그초록, 저추룩/저초록: 이처럼, 그처럼, 저처럼
경ᄒᆞ난, 게난, 겨난: 그러니까
경ᄒᆞ민, 게민, 겨민: 그러면
경ᄒᆞ건, 게건, 겨건: 그러면
경ᄒᆞ고, 게고, 겨고: 그러고, 그러고나서
경ᄒᆞ영, 경헹, 경형, 경ᄒᆞ연, 경헨, 경현: 그래서, 그러고나서
경ᄒᆞ여서, 게서, 겨서: 그래서
경ᄒᆞᆫ디, 겐디, 견디: 그런데
경ᄒᆞ주마는, 게주마는, 겨주마는: 그렇지만
경ᄒᆞ여도, 게도, 겨도: 그래도
※ 앞에 있는 '경'은 '영, 저영'으로 의미를 바꿀 수 있다.
※ '경ᄒᆞ여-'의 준말인 '게-, 겨-'가 쓰이지만, '영ᄒᆞ여-, 저영ᄒᆞ여-'는 준말이 없다.
게나제나[112]: 그러나 저러나

게/기: 그래
게/기?: 그래?

언제/어느제: 언제
어디/어디서: (동일)
누게: 누구
누게가/누가: 누가
무신/무슨: 무슨
무신거/무슨거/뭣/뭐: 무엇/뭐
어떵: 어떻게
어떵사: 어떻게든
무사: 왜
: 몇

아무: (동일)
아며나/아메나: 아무렇게나. '아무리 허나'의 준말
아며도/아메도: 암만 해도. 아무래도. '아무리 허여도'의 준말
어쩻든[113]ᄒᆞ엿든의 준말이므로 '어쨌든'이 아닌 '어든'이라고 적는다]: 어쨌든

8.2. 감탄사

제주어 의미
오/ᄋᆞ 오냐, 그래, 옳지, 응
메께라/메시께라[114] 어머나. 남의 행동이나 말에 놀라거나 기가 막힐 때 내는 소리
게메 그러게. '-(으)멘'에서 이 탈락된 '-(으)메'라는 종결어미를 사용했다.
기자 그, 저. 아무 의미 없는 표현이다.

8.3. 스와데시 리스트

스와데시 리스트는 비교언어학에서 언어의 계통을 알아낼 때 사용하는 비교용 단어 모음이다. 다음은 제주어와 현대 한국어, 중세 한국어를 비교한 스와데시 리스트이며, 원래의 200여 단어뿐만 아니라 일부 기본적인 어휘도 추가했다.

참고로 '기'가 '지'로 변하는 현상, '히'가 '시'로 변하는 현상은 구개음화이며 제주어, 서남 방언, 동남 방언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읽기 전에 주의해야할 점이 있다. 제주어 단어의 형태가 매우 다양하게 표기되어 있을 것인데 이는 지역 차이이며, 중세 한국어와 최대한 여러 방면에서 객관적으로 비교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형태를 포함했다. 가장 많이 쓰이는 통일형은 최대한 앞쪽에 쓰려고 했다. 그리고 일부 단어는 표준 한국어에서 들여왔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명확한 증거 자료가 없으니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는 것을 참고하기 바란다.

또한 현재 공식 표기법에 따르면 '의/이'로 발음되는 것은 '이'로 통일하고, 'ᄋᆞ/아/어/오/으'로 발음되는 것(혹은 그렇게 들리는 것)은 'ᄋᆞ'로 통일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또 표준 한국어에서는 '자/쟈, 차/챠' 발음을 구분하지 않아 '자, 차'로 표기를 통합하는데 이것에 영향을 받아 제주어도 '쟈, 챠'를 '자, 차'로 통합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제주어에는 두 발음 차이가 있다고 하니 주의하도록 하자.

일부 한자어도 포함시켰다.

- 존재하지 않음
? 확실하지 않음
! 현재 잘 쓰이지 않거나 옛과 현재의 단어 뜻이 다름
영어 제주어 표준 한국어 옛 한국어[주의]
I
나가/내/내가[116] 내가
- -
you(단수) 느/너
당신 당신 당신
he/she - [그] -
가이[ㅢ] 그 + 아ᄒᆡ > 아희 > ☆아히
we 우리 우리 우리
you(복수) 너의, 너의들/느으덜/느으들 너희, 너희들 너희/너ᄒᆡ
느네/너네, 느네들/느네덜/너네들/너네덜 -[119] -
they - 그들[그] -
가이[ㅢ] 걔들 그 + 아ᄒᆡ > 아희 > ☆아히 + ᄃᆞᆶ
this 이거/이것 이것/이거 이것
that 그거/그것 그것/그거 그것
저거/저것 저것/저거 뎌것
here - 이곳 이 곧
이디[디][ㅢ] - (이 + ᄃᆡ)
여기[ㅢ] 여기 이ᅌᅥ긔 > 이어긔 > 여긔
이쪽 이쪽 (이 + 쪽)
이레 이리 일히/이리
일로 이리로, 일로 (이리 + -로)
이녁[125] !이녁[126] 이녁
there - 그곳 그 곧
그디[디][ㅢ] - (그 + ᄃᆡ)
거기[ㅢ] 거기 그ᅌᅥ긔 > 그어긔 > 거긔
그쪽 그쪽 (그 + 쪽)
그레 그리 ☆그리
글로 그리로, 글로 (그리 + -로)
? - 그녁
- 저곳 뎌 곧
저디[디][ㅢ] - (뎌 + ᄃᆡ)
저기[ㅢ] 저기 뎌ᅌᅥ긔 > 뎌긔
저쪽 저쪽 (뎌 + 쪽)
저레 저리 (뎌 + -리)
절로 저리로, 절로 (뎌리 + -로)
지녁 - 뎌녁
who 누게 누구 누 > 누고 > 누구
누게가/누게/누가 누가
what 무신거/무시거/무스거/뭣/무엇, 뭐 무엇, 뭐 므스것 > 므섯 > 므엇 > 무엇
무신 무슨 므슷 > 므슴 > ☆므슨
where 어디[ㅢ], 어디서, 어드[134] 어디, 어디서 어듸/어ᄃᆡ
when 언제, 어느제 언제 언제(어느 저긔)
how 어떵[135] 어떻게 ?
어찌[136] 어찌 엇디 > ☆엇ᄶᅵ
어째서 어째, 어째서 엇디ᄒᆞ여/엇뎨ᄒᆞ여 > 엇지ᄒᆞ여
why -[137] -
무사 - -[138]
- -
not 아니, 안 아니, 안 아니
아니ᄒᆞ다/아녀다[139] 아니하다, 않다 아니ᄒᆞ다
all 모도 모두 모도
ᄆᆞᆫ/ᄆᆞᆫ딱/ᄆᆞᆫ짝/멘딱/문짝
모돈 모든 모ᄃᆞᆫ > 모든
전부 전부 ~
오꼿 - -
many 만ᄒᆞ다 많다 만ᄒᆞ다 > ☆만흐다
하다 - 하다
하영/해 -
some 조곰/조꼼/조기/줴기 조금 죠곰
ᄒᆞ꼼/ᄒᆞᄊᆞᆯ[140] - -
아쓱/아씩/야씩 - -
어떤[141] 어떤 엇던(엇더ᄒᆞᆫ)
few 족다 적다 젹다
- 약간 ~
other 다른/딴/달른/다ᄅᆞᆫ/ᄄᆞ난/ᄄᆞᆫ난/ᄐᆞ난/ᄐᆞᆫ난 다른/딴 다ᄅᆞᆫ > 다른
ᄂᆞᆷ/놈 ᄂᆞᆷ
very (막/마구) (마고)
잘도 (잘도) (잘 + 도)
매우 매우 ☆ᄆᆡ오 → ☆ᄆᆡ우
아주[142] 아주 아조
너미 너무 너모/너무/너므
truth 정말 정말 ?
ᄎᆞᆷ말 참말 ?
진ᄍᆞ 진짜 ?
big 크다[143] 크다 크다
small 족다/작다, 쪼끌락ᄒᆞ다 작다 쟉다
ᄒᆞ끌락ᄒᆞ다/헤끄만ᄒᆞ다
long 질다[144]/길다 길다 길다
소랑ᄒᆞ다[145] - -
short ᄍᆞ르다/ᄍᆞᆯ르다 짧다 뎌르다/댜ᄅᆞ다/댜르다 > ☆져르다 > ☆졀다
wide 넙다/넓다 넓다 넙다
널르다 너르다 너르다
narrow 좁다 좁다 좁다
thick 두껍다 두껍다 둗겁다 > ☆둣겁다
두텁다/두덥다 !두텁다[146] 두텁다
훍다 굵다 굵다
야드락지다[147] -[148] -
thin 얇다/얄룹다 얇다 엷다
ᄀᆞ늘다/ᄁᆞ늘다/깨늘다 가늘다 ᄀᆞᄂᆞᆯ다 > ☆ᄀᆞ늘다
heavy 무겁다 무겁다 므거ᇦ다
베다 - -
light 가벱다/개벱다/개붑다 가볍다 가ᄇᆡ얍다 > 가븨얍다/가븨엽다
high 노프다/노끄다 높다 높다
low ᄂᆞ잡다/ᄂᆞ찹다/ᄂᆞᆽ다 낮다 ᄂᆞᆽ다
deep 지프다/지끄다 깊다 깊다
shallow 야프다/예프다/야트다 얕다 녙다
fast ᄈᆞ르다 빠르다 ᄲᆞᄅᆞ다 > ☆ᄲᆞ르다 > ☆ᄲᅡ르다
재다 재다 재다
걸ᄒᆞ다[149] - -
ᄒᆞᆫ저[150] - -
slow 느리다 느리다 ☆느릐다
woman 여ᄌᆞ/여제 여자 녀ᄌᆞ
지집/제집/기집 계집 겨집 > 계집
- -[151] 갓나ᄒᆡ/가ᄉᆞ나ᄒᆡ
man(male) 남ᄌᆞ/남저/남제 남자 ~
ᄉᆞ나이/소나이 사나이, 사내 ᄮᅡᄒᆡ(ᄉᆞᆫ + 아ᄒᆡ) > ☆ᄉᆞ나희 > ☆사나희 > ☆사ᄂᆡ
- -[152] (머섬 + 아ᄒᆡ)
man(human) 사름[153] 사람 사ᄅᆞᆷ > 사람
child 아이[ㅢ] 아이, 애 아ᄒᆡ > 아희 > ☆아히
?[155] 어린이/어린아이 어린아ᄒᆡ
두린아이[ㅢ]
- 꼬마[157] -
wife - 아내 안해
부인 부인 부ᅀᅵᆫ
각시 각시 각시
집읫사름 집사람 ?
마누라 마누라 마노라
지서멍/지세어멍[158] 지어미[159] 짓어미 > ☆지어미
husband 남펜/냄펜/남편[160] 남편 남편
서방 서방 셔바ᇰ > 셔방
임제 임자 ?
집읫어른 - ?
지서방[161] - -
- 지아비 집아비/짓아비 > ☆지아비
- - 샤오ᇰ
mother 어멍 어머니 어미 > ☆어마니 > ☆어머니/엄마
father 아방 아버지 아비 > ☆아바지 > ☆아버지
parent 부모/부무/부뮈 부모 ~
어버시/어버이 어버이 어버ᅀᅵ > 어버이
animal ? 동물 ~
[ㅢ]승/짐셍/즘승 짐승 쥬ᇰᄉᆡᆼ /즘ᄉᆡᆼ > 즘스ᇰ
fish 물궤기/물퀘기/물고기/물코기 물고기 믌고기 > 믈고기 > ☆뭀고기
잔궤기/잔고기 잔고기 ?
생선[163] 생선 ᄉᆡᇰ션
bird 생이/상이/새
dog 가히 > 개
louse [ㅢ]
snake 베염/버염/베미 ᄇᆞ얌 > ☆배암
worm 지롱이/지룡이/지룽이 지렁이 디로ᇰ이 > 디룡이 > 지룡이
게우리[165]/거우리 - 거ᇫ위
게수리[166] - 거ᇫ위
버렝이 벌레 벌에 > ☆버ᄅᆡ/버레/벌레
tree 낭/나모/나무/남 나무 나모
낭기/낭이/남이 나무가 남기
forest 숨풀/수풀/숲 수풀/숲 수플/수풀/숲/숩
곶/고지[167] - ?[168]
곶자왈[169] - -
stick 낭가지/낭가젱이 나뭇가지 나못가지
막댕이 막대기, 막대 막다히
고지 꼬치
꼬챙이 꼬챙이 ☆곳챵이 > ☆ᄭᅩᆺ창이 > ☆ᄭᅩ창이
fruit - 과일, 과실 ~
ᄋᆢᆯ메/열메/ᄋᆢ름/여름/낭여름 열매 ☆열매/열ᄆᆡ/여름
seed 씨앗, 씨 ᄡᅵ > ☆씨/씨아/씨앗
leaf 섭/썹/입
낭섭/낭썹/낭입 나뭇잎 나못닢 > ☆나무닢 > ☆나무잎
이파리 이파리 (잎 + 아리)
입사귀 잎사귀 -
bark(tree) 껍죽/겁질/껍질 껍질 겁질 > ☆ᄭᅥᆸ질
거죽 (가죽) (가족)
껍데기 껍데기 대가리
flower 꼿/고장/곳 곶 > ☆ᄭᅩᆺ > ☆ᄭᅩᆾ
grass 테역/잔뒤역 잔디 ᄠᅱ > ☆쟘ᄠᅱ > ☆쟌ᄠᅱ
잡초 잡초 ~
검질 기ᅀᅳᆷ > 기음
rope
!바[170]
- 밧줄 (바 + -ㅅ + 줄)
끄넷기/끄깨기[171] 긶 > ᄭᅵᆭ > ☆ᄭᅵᆫ > ☆ᄭᅳᆫ
skin 피부 피부 ~
가죽 가죽 가족
- 살갗[172] (ᄉᆞᆶ + 갗)
피지가죽[173] - 피ᄌᆞ
meat 궤기/고기 고기 고기
blood [174]
bone ᄲᅧ
- -
~
fat ᄉᆞᆯ ᄉᆞᆶ > ☆ᄉᆞᆯ
- 지방 -
? 비계 -
- - 고지
egg
ᄃᆞᆰ의알 달걀 ᄃᆞᆯᄀᆡ앓 > ᄃᆞᆯ긔알 > ☆ᄃᆞᆰ의알
ᄃᆞᆨ새기[175] - -
계란 계란 ~
horn ᄲᅳᆯ > ☆ᄲᅮᆯ
tail 꼴리/촐리/꼬리 꼬리 ᄭᅩ리
꼴렝이/꼬렝이/꽁당지/꽁댕이 꼬랑이 (ᄭᅩ리 + -앙이)
!총지[176] 꽁지 ᄭᅩᆼ지
꽁무니 꽁무니 옹무니
feather 짗/짓
- 깃털 (짓 + 털)
hair 머리까락/머리꺼럭 머리카락 ☆머리카락
터럭/털/꺼럭/껄 털/터리
head 머리 머리 머리
ear
eye
nose 곻 > 콯 > 코
mouth
굴레/굴에[177] ( 굴레) (굴에 > ☆구레 > ☆굴레)
tooth [ㅢ], 니빨 이, 이빨
tongue
fingernail 손콥/손톱 손톱 소ᇇ돕 > 소ᇇ톱 > 손톱
foot
leg - 다리 다리
!가달[179] 가랑이 가ᄅᆞᆯ (+ 앙이)
knee ᄆᆞᄅᆞᆸ 무릎 무뤂
- -
독ᄆᆞᄅᆞᆸ[180] - -
hand
wing ᄂᆞᆯ개/ᄂᆞᆯ가기/ᄂᆞᆯ개기[181] 날개 ᄂᆞᆯ개/ᄂᆞᆯ애/ᄂᆞ래
belly ᄇᆡ
guts[182] 창지/창아리 창자 챠ᇰᄌᆞ > 챵ᄌᆞ > ☆창ᄌᆞ
베설/베ᄉᆞᆯ !배알 ᄇᆡᅀᆞᆶ > ☆ᄇᆡ알
베설창지/베ᄉᆞᆯ창지/베ᄉᆞᆯ창아리 - (ᄇᆡᅀᆞᆶ + 챠ᇰᄌᆞ)
-[183] ~
neck
야가기/야가지/야각지/야개기[184] - -
back 드ᇰ/등
breast 가슴/가심 가슴 가ᄉᆞᆷ > 가슴
heart 심장? 심장 ~
ᄆᆞ슴/ᄆᆞ음/ᄆᆞᆷ 마음/맘 ᄆᆞᅀᆞᆷ > ᄆᆞᄋᆞᆷ > ☆ᄆᆞ음
ᄋᆢᆷ통/염통 염통 렴통 > 념통
liver ~
!애[185] !애
to drink 마시다 마시다 마시다
to eat[186] 먹다 먹다 먹다
- 들다 들다
- 자시다 좌시다
- 잡수다 ☆잡ᄉᆞᆸ다 > ☆잡숩다 > ☆잡숫다
to bite 물다 물다 믈다
깨물다 깨물다 ᄭᅢ믈다
to suck 뿔다 빨다 ᄲᆞᆯ다 > ☆ᄈᆞᆯ다
to spit 바끄다/바트다 뱉다 밭다/비왇다 > 받다 > ☆밧다/비왓다 > ☆뱃다
to vomit 게우다 게우다 개우다/개오다
내치다 - ?
?[187] 토하다 ~
to blow 불다 불다 블다 > 불다
to breathe 숨쉬다 숨쉬다 숨 쉬다
to laugh 웃다 웃다 웃다
to cry 울다 울다 울다
지우다[188] - -
happy 지쁘다/지끄다[189] 기쁘다 깃브다
반갑다 반갑다 ☆반갑다
sad ? 슬프다 슳다/슬프다
angry - 화나다 ?
부에나다 부아가 나다 부하 + 나다
노ᄒᆞ다 노하다 ?
용심나다 용심이 나다 ?
to see 보다 보다 보다
베리다/ᄇᆞ레다/바레다 !바라다 ᄇᆞ라다
ᄇᆞ레보다/바레보다 바라보다 ᄇᆞ라보다
to hear 듣다 듣다 듣다
to know 알다 알다 알다
to do not know 몰르다/모르다 모르다 모ᄅᆞ다
to think 생각ᄒᆞ다 생각하다 ᄉᆡᇰ각ᄒᆞ다 > ᄉᆡᆼ각ᄒᆞ다 > ☆생각ᄒᆞ다
- 떠오르다 ᄠᅥ오ᄅᆞ다 > ☆ᄯᅥ오르다
튼나다/튼내다[190] - -
내기다 여기다 너기다 > ☆녀기다
to smell 마트다 맡다 마ᇨ다 > ☆맛ㅌ다
내ᄒᆞ다 - (내 + 하다)
to fear ᄆᆞᄉᆞᆸ다/ᄆᆞ습다/무섭다 무섭다 므ᅀᅴ다/므ᅀᅴ엽다 > ☆무셥다
두렵다 두렵다 두립다
to sleep ᄌᆞᆷ자다 잠자다 ᄌᆞᆷ자다
to live 살다 살다 살다
ᄂᆞᆯ- 날- ᄂᆞᆯ-
휏- !회 ?
to die[191] 죽다 죽다 죽다
- 돌아가다 도라가다 > 돌아가다
앞세우다[192] 앞세우다 앏셰다 > ☆앏셰우다 > ☆압셰우다
to kill 죽이다 죽이다 주기다
to fight 쌉다 싸우다 싸호다 > ☆싸오다
ᄃᆞ투다 다투다 ᄃᆞ토다 > ☆다토다
틉다 - -
지싯거리다 (지싯거리다[193]) -
제끼다[194] - -
to hunt 사냥[195] 사냥하다 산ᄒᆡᆼᄒᆞ다
잡다 잡다 잡다
to hit ᄄᆞ리다/떼리다 때리다 ᄣᆞ리다 > ☆ᄠᆞ리다 > ☆ᄯᆞ리다 > ☆ᄯᆡ리다
치다 치다 티다
내박다[196] - -
to cut ᄌᆞ르다 자르다 ᄌᆞᄅᆞ다 > ☆ᄌᆞ르다
지르다[197] 지르다 즈르다
페다 패다 ᄑᆡ다
ᄆᆞ르다 마르다[198] ᄆᆞᄅᆞ다 > ☆ᄆᆞ르다
to split 가르다/갈르다 가르다 가르다/가ᄅᆞ다
- 쪼개다 ?
벌르다/버르다[199] 벌리다? 버리다?
ᄇᆞ르다/바르다/발르다[200] (바르다[201]) ᄇᆞ리다
찌지다/치지다/찢다/칮다 찢다 ᄧᅳᆽ다 > ☆ᄶᅳᆽ다 > ☆ᄶᅵᆽ다
ᄇᆞ리다/버리다[202] 벌리다? 버리다?
ᄂᆞ누다 나누다 ᄂᆞᆫ호다 > ☆난호다
to stab 찌르다/찔르다 찌르다 디ᄅᆞ다/디르다 > ☆지르다
쑤시다/수시다 쑤시다 ᄡᅲ시다 > ☆쓔시다
to scratch 긁다 긁다 긁다
- 할퀴다 헐퀴다
ᄀᆞᆨ주다 - -
to dig 파다 파다 ᄑᆞ다
도르다/돌르다 도리다 -
to swim 히엄치다/시엄치다 헤엄치다 ☆헤옴티다 > ☆헤염치다
-[203] 수영하다 ~
to fly ᄂᆞᆯ다 날다 ᄂᆞᆯ다
to walk 걷다 걷다 걷다
둥글다 - -
to run ᄃᆞᆮ다[204] !닫다[205] ᄃᆞᆮ다 > ☆닷다
ᄃᆞᆯ리다 달리다 ᄃᆞᆯ이다 > ᄃᆞᆯ리다
튀다/퀴다/뛰다 뛰다 ᄠᅱ다 > ☆ᄯᅱ다
to go 가다 가다 가다
예다 - -
to come 오다 오다 오다
to give 주다 주다 주다
드리다 드리다 드리다/들이다
안네다[206] - -
건네다 건네다 걷내다 > 건내다 > 건네다
내왇다[207] - -
to get 받다 받다 받다
얻다 얻다 얻다
게펭ᄒᆞ다[208] - -
가지다/ᄀᆞ지다/아지다/ᄋᆞ지다 가지다 가지다
to lie 눅다/눕다 눕다 눕다
걸러지다[209] - -
to sit 앉이다/앚이다/앚으다/앉다/앚다 앉다 앉다
to stand 사다/ᄉᆞ다 서다 셔다
to turn 돌다 돌다 돌다
to fall 털어지다 떨어지다 ᄠᅥ러디다 > ☆ᄯᅥ러디다 > ☆ᄯᅥ러지다 > ☆ᄯᅥᆯ어지다
흘트다[210] - -
to give 주다 주다 주다
드리다 드리다 드리다
to hold 잡다 잡다 잡다
심다 - -
- 움키다 우희다
줴다 쥐다 쥐다
드르다/들르다 들다 들다
to squeeze 짜다/빠다 짜다 ᄧᆞ다 > ☆ᄶᆞ다 > ☆ᄶᅡ다
to rub 문지르다/문질르다 문지르다 믄디르다/믄디ᄅᆞ다 > ☆믄지르다/문지르다
비비다 비비다 비븨다
to wash 싯다 씻다 싯다/ᄡᅵᆺ다
to wipe 다끄다 닦다 다ᇧ다
to pull ᄃᆞᆼ기다/ᄃᆞᆼ이다 당기다 ᄃᆞᆼᄀᆡ다 > ᄃᆞᆼ긔다 > ☆당긔다
끗다[211] 끌다 그ᅀᅳ다/ᄭᅳᅀᅳ다 > ☆ᄭᅳ으다 > ☆ᄭᅳ을다/ᄭᅳᆯ다
to push 밀리다/밀다 밀다 밀다
to throw 던지다/더지다 던지다 더디다 > ☆더지다 > ☆던지다
ᄂᆞᆯ리다/널리다[212] 날리다 ᄂᆞᆯ이다 > ☆ᄂᆞᆯ리다
네끼다 - -
내부찌다 - -
to tie 무끄다 묶다 뭇다/무ᇧ다 > ☆뭇다/무ᇄ다/뭈ㄱ다/묶다/므ᇧ다
메다 매다 ᄆᆡ다 > ☆ᄆᆡ다/ᄆᆞ이다/매다
ᄆᆞᆽ다 맺다 ᄆᆡᆽ다
-[213] 짓다 짓다
- 매듭 ᄆᆡᄃᆞᆸ > ☆ᄆᆡ듭
ᄆᆞ작 - -
가미 - -
to sew 꿰다 꿰다 ᄢᅦ다 > ☆ᄭᅦ다/ᄞᅦ다/ᄭᅰ다
바느질/바농질/바늘질 바느질 ☆바ᄂᆞ질
침ᄌᆞ질 - -
to count 세다 세다 혜다
세아리다 헤아리다 헤아리다/혜아리다
to say 말ᄒᆞ다 말하다 말ᄒᆞ다
ᄀᆞᆮ다[214], ᄀᆞᆯ다 !가로다 ᄀᆞᆮ다
말ᄀᆞᆮ다, 말ᄀᆞᆯ다 - (말 + ᄀᆞᆮ다)
나불나불? 나불대다 ?
- 씨불이다 ?
to sing 부르다/불르다 부르다 브르다
노래ᄒᆞ다/놀레ᄒᆞ다[215] 노래하다 놀애ᄒᆞ다
to play 놀다 놀다 놀다
to float 뜨다 뜨다 ᄠᅳ다 > ☆ᄯᅳ다
to flow 흐르다/흘르다 흐르다 흐르다
to freeze 얼다/얼위다 얼다 얼다
to swell 붓다 붓다 븟다
부풀다 부풀다 부플다
bright ᄇᆞᆰ다 밝다 ᄇᆞᆰ다
dark 어둡다/어둑다 어둡다 어듭다
light 빛/빚[216]
darkness 어둠 어둠 어드ᇦ움 > 어두움
sun ᄒᆡ
moon ᄃᆞᆯ ᄃᆞᆯ
star 벨/빌
다ᄆᆞᆯ[217] - -
water
rain
liver ~
- - ᄀᆞᄅᆞᆷ
[잔재]
lake ? 호수 ~
sea 바당 바다 바닿
salt 소곰 소금 소곰
stone
바위 바위 바회
sand 몰레/모살 모래 몰애
dust 몬지/먼지/몬지락 먼지 몬ᄌᆡ > ☆몬지
구둠[219] - -
earth 따/땅 ᄯᅡᇂ > ☆ᄯᅡᆼ
? 지구 ~
cloud 구름/구룸 구름 구룸/구롬
fog 안개 안개 안개
- -
sky 하늘 하늘 하ᄂᆞᆶ > 하ᄂᆞᆯ > ☆하늟
wind ᄇᆞ름 바람 ᄇᆞᄅᆞᆷ > ᄇᆞ람
snow
ice 얼음 얼음 어름
smoke ? 연기 ~
[220] !내 ᄂᆡ
찌다 끼다 ᄭᅵ다
fire
ash ᄌᆡ
불치 (불티[221]) ☆불틔
불껑 - -
그시렁/그스렁/그슬먹/그시렝이 그을음 그ᅀᅳ름 > ☆그으름
to burn 카다/ᄏᆞ다/타다[222] 타다 ᄐᆞ다
굽다 굽다 굽다
road 긿
mountain 오름[223] - -
-[224] !뫼 묗 > 뫼
산? ~
red 붉다 붉다 븕다/ᄇᆞᆰ다
빨강ᄒᆞ다 빨갛다 ᄇᆞᆯ가ᄒᆞ다
빨강 빨강 -
green 푸리다 푸르다 프르다
파랑ᄒᆞ다 파랗다 (ᄑᆞᄅᆞᄒᆞ다) > 파라ᄒᆞ다
파랑 파랑 -
녹색[225] 녹색, 초록색 ~
yellow 노리다 노르다 노ᄅᆞ다 > ☆노르다
노랑ᄒᆞ다 노랗다 노랗다
노랑 노랑 -
white 희다 희다 ᄒᆡ다 /희다
하양ᄒᆞ다/해양ᄒᆞ다/허영ᄒᆞ다 하얗다 하야ᄒᆞ다/해야ᄒᆞ다
하양/해양 하양 -
black 검다 검다 검다
까망ᄒᆞ다 까맣다 거머ᄒᆞ다
거멍 검정 -
night
저냑/저낙/저뭇 저녁 ☆져녁
day 낮/해낮
~
아적/아척/아칙/아침 아침 아ᄎᆞᆷ > ☆아츰
year [226] ᄒᆡ
연/년 연/년
나이/나 나이 낳 > ☆나히
설/ᄉᆞᆯ 설/ᄉᆞᆯ
warm ᄄᆞᄄᆞᆺ하다/ᄄᆞ똣하다 따뜻하다 ☆ᄯᆞᆺᄯᆞᆺᄒᆞ다 > ☆ᄯᅡᄯᅳᆺᄒᆞ다
덥다 덥다 덥다
미지근ᄒᆞ다/미시근ᄒᆞ다 미지근하다 ☆미지근ᄒᆞ다
멘도롱ᄒᆞ다[227] - -
cold 시원ᄒᆞ다/씨원ᄒᆞ다 시원하다 싀훤ᄒᆞ다 > ☆싀원ᄒᆞ다
춥다 춥다 칩다
얼다[228] (얼다) (얼다)
full ᄀᆞ득[229] 가득 ᄀᆞ득
차다 차다 ᄎᆞ다
new 새롭다 새롭다 새롭다
old -[230] 낡다 ᄂᆞᆰ다
헐다 헐다 헐다
엿/옛
늙다 늙다 늙다
good 좋다 좋다 둏다
낫다 낫다 낫다
동뜨다[231] - -
bad 나쁘다/ᄂᆞᆺ다 나쁘다 낟ᄇᆞ다 > ☆낟브다 > ☆낫브다
궂다 궂다 궂다
to like 좋아ᄒᆞ다 좋아하다 둏아 + ᄒᆞ다
to love ᄉᆞ랑ᄒᆞ다 사랑하다 ᄉᆞ라ᇰᄒᆞ다 > ᄉᆞ랑ᄒᆞ다 > ☆사랑ᄒᆞ다
to hate 실프다[232]/싫다 싫다 슬ᄒᆞ다 > ☆슳다
rotten 썩다/석다 썩다 석다
dirty 더럽다/데럽다/덜럽다 더럽다 더럽다
straight 곧다/곧작ᄒᆞ다 곧다 곧다
구짝/고짝/과짝/구짱/굳작 곧장 -
바로/바르/그발롸 바로 바ᄅᆞ
ᄂᆞ다 - -
-
round 둥글다/둥을다 둥글다 ☆둥글다
sharp ᄂᆞ실다/ᄂᆞ슬다/ᄂᆞᆯ쓰다 날카롭다 ᄂᆞᆯ캅다 > ☆날캅다 > ☆날카다
dull 무끼다 무디다 무듸다
smooth 부드럽다 부드럽다 브드럽다/부드럽다
wet 젖다 젖다 젖다
축축ᄒᆞ다 축축하다 축축ᄒᆞ다
발착ᄒᆞ다[233] - -
dry ᄆᆞ르다/ᄆᆞᆯ르다 마르다 ᄆᆞᄅᆞ다 > ☆ᄆᆞ르다
건조ᄒᆞ다? 건조하다 ☆간조ᄒᆞ다
여이다[234] - -
correct 옳다 옳다 올ᄒᆞ다 > 올흐다
바르다 바르다 바ᄅᆞ다
맞다 맞다 맞다
wrong 틀리다/뜰리다 틀리다 틀이다
그르다 그르다 그르다
웨다 - 외다
same ᄀᆞ트다/ᄀᆞ뜨다 같다 ᄀᆞᆮᄒᆞ다 > ᄀᆞᇀ다
similar 비슷ᄒᆞ다 비슷하다 비슥ᄒᆞ다 > ☆비슷ᄒᆞ다
닮다 닮다 닮다
different 다르다/달르다/다ᄅᆞ다/ᄄᆞ나다/ᄄᆞᆫ나다/ᄐᆞ나다/ᄐᆞᆫ나다 다르다 다ᄅᆞ다
near[235] 가찹다/가깝다 가깝다 갓갑다
ᄇᆞ디다 - -
far 멀다 멀다 멀다
right 오른착/오른짝/오른쪽 오른쪽 -
- - 올ᄒᆞᆫ녁[236]
ᄂᆞ단[237]착/ᄂᆞ단짝/ᄂᆞ단쪽 - -
-[238] 바른쪽 -
left 웬착/웬짝/웬쪽 왼쪽 -
- - 왼녁/좟(左)녁
next 에염/어염/엠/염, ᄋᆢᇁ 녑 > ☆녚 > ☆엽ㅎ
ᄌᆞᄁᆞᆺ/저껏/저꼇/저끗/적/제꼇/ᄌᆞᄀᆞᆺ/ᄌᆞᆨ/젓
ᄀᆞᆺ/ᄀᆞ ᄀᆞᇫ > ᄀᆞ
up [잔재] 웋 > ☆윟 > ☆위
down 아레/알 아래 아래
front
behind [잔재]
outside 밧/박[241] 바ᇧ
바깟/바꼇[242] 바깥 ☆밧곁 > ☆밧갓
inside [잔재]
middle ᄉᆞ이/세 사이/새 ᄉᆞᅀᅵ > ᄉᆞ이
가운디[ㅢ] 가운데 가ᄫᆞᆫᄃᆡ/가운ᄃᆡ > ☆가운대/가온대
중간 중간 듀ᇰ간
at -에 -에 -에
in 안에 안에 안헤
with -왕/광 -와/과 -와/과
and -곡/고 -고 -고
if 만약 만약 ?
- - ᄒᆞ다가
because ?[245] 왜냐하면 ?
따문에/따문, 때문에/때문 때문에 ?
name 일흠/일름/일롬 이름 일훔/일홈 > ☆일흠 > ☆일음
spring
summer ᄋᆢ름 여름 녀름
autumn ᄀᆞ슬 가을 ᄀᆞᅀᆞᆶ > ᄀᆞᄋᆞᆶ > ᄀᆞᄋᆞᆯ > ☆ᄀᆞ읋/가읋
winter 저슬 겨울 겨ᅀᅳᆶ/겨ᅀᅳᆯ > 겨읋/겨을

8.4. 수사

순우리말
숫자 제주어 한국어 옛 한국어[주의]
1 ᄒᆞ나 하나 ᄒᆞ낳 > ☆ᄒᆞ나
ᄒᆞᆫ ᄒᆞᆫ
2 둟/둘
3 [ㅢ]
[ㅢ] 세, 석 세, 석
4 [ㅢ]/넷
[ㅢ]/네 네, 넉 네, 넉
5 다ᄉᆞᆺ/닷/다섯/다슷 다섯 다ᄉᆞᆺ > 다슷
6 ᄋᆢᄉᆞᆺ/ᄋᆢ슷/여섯 여섯 여슷
7 일곱 일곱 닐굽 > 닐곱
8 ᄋᆢᄃᆞᆸ/ᄋᆢᄃᆞᆯ 여덟 여듧
9 아홉/아옵 아홉 아홉
10
20 쑤물/수물/싀물 스물 스믏 > ☆스믈
30 설흔/서른 서른 셜흔 > ☆셔른
40 마은/마흔 마흔 마ᅀᆞᆫ > 마ᄋᆞᆫ > ☆마은
50
60 예쉰/예순 예순 여ᄉᆔᆫ > 여슌 > 예슌
70 일은/일흔 일흔 닐흔
80 ᄋᆢ든/여든 여든 여든/여ᄃᆞᆫ
90 아은/아흔 아흔 아ᄒᆞᆫ > 아흔
100 - -
1000 - - 즈믄
10000 없음[251]
1~2 ? 한두/한둘/하나둘 ᄒᆞᆫ두
2~3 ? 두세 두세
3~4 ? 서너 서너
2~4 ? 두서너 -
4~5 너다섯/네다섯 네다섯/네댓/너더덧/너덧 네다ᄉᆞᆺ/네닷
~5~ - -
5~6 대ᄋᆢᄉᆞᆺ/대ᄋᆢᆺ 대여섯/대엿 다엿
6~7 예슬곱/예실곱 예닐곱 여닐굽
7~8 일고ᄋᆢᄃᆞᆸ 일고여덟/일여덟 -
8~9 ? 여덟아홉/엳아홉 엳아홉
한자어
숫자 제주어 한국어 옛 한국어[주의]
1 <동>·ᅙᅵᇙ
2 ᅀᅵ, <동>·ᅀᅵᆼ
3 <동>삼
4 ᄉᆞ <동>·ᄉᆞᆼ
5 <동>:ᅌᅩᆼ
6 <동>·륙
7 <동>·치ᇙ
8 <동>·바ᇙ
9 <동>구ᇦ
10 <동>·씹
100 ᄇᆡᆨ
1000
10000 ?
서수사
숫자 제주어 한국어 옛 한국어[주의]
1 쳇째 첫째 첫재
2 셋-[254] - -
3 말잣/말젯-[255] - -
날짜
숫자 제주어 한국어 옛 한국어[주의]
1 ᄒᆞ르/ᄒᆞ를[257]/하루 하루 ᄒᆞᄅᆞ/ᄒᆞᇐ/ᄒᆞᇍ > ☆ᄒᆞ로/하로 > ☆ᄒᆞ루
2 이틀[258] 이틀 이틀
3 사흘/사을 사흘 사ᄋᆞᆯ > 사흘
4 나흘/나을 나흘 나ᄋᆞᆯ > 나ᄒᆞᆯ
5 닷쉐/닷세 닷새 닷쇄 > 닷새
6 ᄋᆢᆺ쉐/엿쉐 엿새 엿쇄
7 일뤠 이레 닐웨 > 닐에 > ☆니레
8 ᄋᆢ드레/여드레 여드레 여ᄃᆞ래 > ☆여드래
9 아흐레/아으레 아흐레 아ᄒᆞ래 > ☆아흐래
10 열흘 열흘 열흘
11 열ᄒᆞ르/열ᄒᆞ를/열ᄒᆞ루 열하루 열 + ᄒᆞᄅᆞ/ᄒᆞᇐ/ᄒᆞᇍ > ☆ᄒᆞ로/하로 > ☆ᄒᆞ루
14 두일뤠 열나흘 두 + 닐웨 > 닐에 > ☆니레
15 열닷쉐/열닷세 열닷새 열 + 닷쇄 > 닷새
보름 보름 보롬

제주도에서는 소의 나이와 말의 나이를 세는 단어가 다르다.
쉐의 나이
숫자 제주어 한국어 옛 한국어[주의]
2 다간 두습 -
3 사릅/사롭 사릅 사ᄅᆞᆸ
4 나릅 나릅 -
5 다습/다솝 다습 다ᄉᆞᆸ/다습
6 ᄋᆢ습/여습 여습 -
7 일곱 - -
8 ᄋᆢᄃᆞᆸ - -
9 아흡 - -
ᄆᆞᆯ의 나이
'삼수매/삼쉬매'와 같이 나이를 붙여 말하면 'ᄆᆞᆯ'이 '매'로 변한다.
숫자 제주어 한국어 옛 한국어[주의]
1 금승 - -
2 이수/이쉬 이듭 -
3 삼수/삼쉬 - -
4 ᄉᆞ수/ᄉᆞ쉬 - -
5 오수/오쉬 - -
6 육수/육쉬 - -
7 칠수/칠쉬 - -
8 팔수/팔쉬 - -
9 구수/구쉬 - -
10 십수 - -

8.5. 육지어와 다른 용언 파생

8.6. 의성 · 의태어

의성어와 의태어가 풍부하며, 육지어에 나타나지 않는 독자적인 표현도 많이 존재한다.

전세계에서 한국어족에서만 특징적으로 나타난다고 여겨지는 여린말/센말/거센말(졸졸/쫄쫄/촐촐), 작은말/큰말(다닥다닥/더덕더덕)으로 인한 6가지 의미 차이가 제주어에서도 당연히 나타난다. 사실 이는 모든 한국어족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제주어 대응하는 한국 표준어 부가 설명
가동가동, 가동강가동강 버둥버둥, 달랑달랑 매달린 것이 허둥대는 모양, 매달린 것이 이리저리 흔들리는 모양
가들락가들락, 가들랑가들랑, ᄀᆞ들락ᄀᆞ들락 - 아기가 누운 상태로 발을 위로 치켜올려 발을 쥐었다 폈다 하는 모양
가랑가랑, 그랑그랑, 갈가리, 갈리갈리, 갈기갈기 갈가리, 가리가리, 갈기갈기 찢어지는 모양, 찢어진 모양
가물가물, 검실검실 가물가물 기억이 날듯 말듯한 모양
가물가물, 거물거물, 가뭇가뭇, 거뭇거뭇, 거무스름, 검스름, 거무룽 가뭇가뭇, 거뭇거뭇, 거무스름 약간 검은 모양
가뿐 가뿐 가벼운 모양
가슬락가슬락, 고슬락고슬락, 게삭게삭 고슬고슬 찌거나 익힌 곡물에 진기가 없는 모양
가슬락가슬락, 거끌거끌, 거치렁 까끌까끌, 꺼끌꺼끌 거친 모양
간들간들, 건들건들 산들산들 바람이 산뜻하게 불어오는 모양
간실간실, 갠실갠실 간실간실 남에게 자꾸 간사스럽게 비위를 맞추려는 모양
갈착갈착 옷이나 비슷한 것이 (젖어서) 축 늘어진 모양
갓다왓다, 갓닥왓닥 왔가갔다, 오락가락 이리저리 돌아다니는 모양
강강 멍멍 조금 큰 개 짖는 소리
객객 꽥꽥 짖궂게 소리지르는 모양
객객 개굴개굴 개구리 우는 소리
객객 웩웩 자꾸만 헛구역질이 나오는 모양
거뜬 거뜬 편하거나 손쉬운 모양
거들거들 흔들흔들 바람에 흔들리는 모양
거들락 우뚝 높이 솟은 모양
거들거들, 거들락, 거짝거짝 거드럭거드럭, 거들거들 거만하게 잘난 체 하는 모양
거령청, 거렁청, 거렁셍 - 말이나 행동이 사리에 맞지 않게 허황된 모양
거정청 엉뚱 상식적으로 일반적이지 않고 이상한 모양
걱걱 꺽꺽 숨이 자꾸 막히는 소리
건드렁 - 바람이 불어 시원한 모양
건듯건듯 건듯건듯 일을 대강 하는 모양. 바람이 자꾸 슬쩍 부는 모양
걸삭걸삭 성큼성큼 크게 한 걸음씩 걸어가는 모양
걸짝 걸쩍 사람이 활달하고 시원스런 모양
걸충, 출삭 촐랑 경망스러운 모양
검숭 검숭 털 따위가 검은 모양
겅충 껑충 신이 나서 거드럭 거리는 모양
게더분 - 깨끗하지 않는 모양
게삭게삭, 게실게실, 게살게살, 헤삭헤삭 - 가루 성분이나 곡물이 차진 기가 없는 모양
게작게작
게삭이 벙긋이 입이 벌어진 모양
과랑과랑 쨍쨍 해가 비치는 모양
옹공공 왈왈 개 짖는 소리

8.7. 그외 차이

8.7.1. 날짜/시간 표현

-4 -3 -2 -1 0 +1 +2 +3 +4
제주어 그직아시날또아시날 그직아시날 [ㅢ]지게/그저끼 아시날[262]/어제/어저괴 오널/오늘 [ㅢ]/넬 모리/모릿날 글피 저녁날/정날/제녁날/제역/ᄌᆞ낙날/ᄌᆞ냑날/ᄌᆞ녁날
한국 표준어 - 그끄제/그끄저께 그제/그저께 어제/어저께 오늘 내일 모레 글피 그글피
제주어 대응하는 한국 표준어 부가 설명
ᄀᆞ쎄/ᄀᆞ세/ᄀᆞᆺ쎄/ᄀᆞᆺ사/아까 아까/방금
눈설메/눈서미역/눈설미역 눈 깜짝할 사이
늘/느리/느랑/느량
이시껭이 한참동안
후제/그르후제/그지후제/글지후제 후제 후의 어느 때, 후에
ᄒᆞᆫ동안/ᄒᆞᆫ때/ᄒᆞᆫ시/ᄒᆞᆫ참 한동안/한때/한시/한참

8.7.2. 친족어

대상이 없는 자리에서는 보통 '-앙/엉' 계열(아방, 어멍, 하르방, 할망)을 쓰며, 눈앞에서 얘기를 나눌 때는 보통 '-앙/엉' 계열을 사용하지 않고 관계에 따라 호칭을 달리한다(하르바지/하르바님/하라바님/하르비/하리비/하르방)

즉 '-앙/엉' 계열(하르방)은 대상을 가리키는 지칭이며, 그 외(하르바지/하르바님/하라바님/하르비/하리비/하르방)는 대상을 눈 앞에서 부르는 호칭 표현이다. 이 둘은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 # 남에게 자신의 할머니를 표현할 때는 '우리 할머니는...'이 아니라 '우리 할망은...'이라고 할 수 있지만, 자신의 할머니를 직접 부를 때 '할망'이라고 부르면 콩가루 집안이 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제주어 대응하는 한국 표준어 부가 설명
당/친/성- 친- 부친 계열 가족, 아래 직계 가족
웨- 외- 모친 계열 가족
씨- 시- 시가 계열 가족
가시/처- 처- 처가 계열 가족
큰- 큰-
족은- 작은-
하르방/하르바지/하르바님/하라바님/하르비/하리비 할아범/할아버지/할아버님/할아비
할망/할마니/할머니/할마님/할머님/할미 할멈/할머니/할머님/할미
부모/부무/부모님/어버시/어버이 부모/부모님/어버이
아방/아바지/아바님/아벰/애비 아범/아버지/아버님/아비/아빠
어멍/어머니/어머님/애미/엄매/엄메 어멈/어머니/어머님/어미/엄마
궤우[264]/두갓/두갓세 부부
남펜/냄펜/소나이[ㅢ]/서방/지서방/집읫어룬 남편/서방/바깥사람
각시/지서미/마누라/집읫사름 아내/각시/마누라/안사람
성제, 누이[ㅢ], 오노이[ㅢ] 형제, 자매/누이, 자매/오누이
누님 누나/누님, 언니
오라방/오라바님/오라벰, 성/성님 오빠/오라비/오라버님, 형/형님
아시/동셍/동승/동싱[ㅢ] 동생
오랍동셍 남동생
누이[ㅢ] 여동생/누이
ᄌᆞ식/ᄌᆞ석/ᄌᆞᄉᆞᆨ, ᄌᆞ녀 자식, 자녀
동공- 아ᄃᆞᆯ, ᄄᆞᆯ 앞에 붙어 '귀엽게 모셔 키운'이라는 뜻을 나타냄
아ᄃᆞᆯ/아덜/아들 아들
장남, 큰아ᄃᆞᆯ, 상아ᄃᆞᆯ 장남, 큰아들, 맏아들, 첫째아들
ᄎᆞ남, 셋아ᄃᆞᆯ, 셋놈 차남, 둘째아들
말잣아ᄃᆞᆯ/말젯아ᄃᆞᆯ, 말잣놈/말젯놈 3남, 셋째아들
[270]족은말잣아ᄃᆞᆯ/족은말젯아ᄃᆞᆯ, 족은말잣놈/족은말젯놈 4남, 넷째아들
하남, 막아ᄃᆞᆯ, 막둥이아ᄃᆞᆯ 하남, 막내아들
ᄄᆞᆯ, ᄄᆞᆯ아기/ᄄᆞᆯ애기
? 장녀, 첫째딸
셋ᄄᆞᆯ, 셋년, 셋지집아이[ㅢ] 차녀, 둘째딸, 맏딸
말잣ᄄᆞᆯ/말젯ᄄᆞᆯ/말젯ᄄᆞᆯ애기, 말잣년/말젯년, 말잣지집아이[ㅢ]/말젯지집아이[ㅢ] 3녀, 셋째딸
막ᄄᆞᆯ 막내딸
양념ᄄᆞᆯ 집안의 분위기를 화목하고 어우러지게 만드는 딸
ᄀᆞᆯ레기/ᄀᆞᆯ로기/ᄀᆞᆯ루기/ᄀᆞᆯ에기/ᄀᆞᆯ오기, 쌍동이/쌍둥이 쌍둥이

8.7.3. 기타

제주어 대응하는 한국 표준어 부가 설명
어금, 엄지 엄지 손/발가락은 손/발ᄀᆞ락이라고 한다.
안주웨기, 아금지 검지, 집게
중지, 가운데
노니에기, 노니왜기, 노내기, 노널왜기 약지, 무명지
새끼, 생게 소지, 새끼
쥥이헤치, 쥐헤치 쥐띠
쉐헤치 소띠
범헤치 호랑이띠
톳헤치 토끼띠
미리헤치 용띠 '미르'는 용의 순우리말 고어이며 '미리'는 이의 제주 방언이다.
베염헤치 뱀띠
ᄆᆞᆯ헤치 말띠
염쉐헤치, 염헤치 양띠 특이하게도 이 아니라 염소를 사용한다.
납헤치 원숭이띠 '납'은 원숭이의 순우리말 고어다
ᄃᆞᆨ헤치 닭띠
개헤치 개띠
돗헤치 돼지띠

9. 참고한 자료

10. 더보기

국립국어원에서 조사한 제주민 발화 자료를 자막과 함께 들을 수 있다.

구비라는 사이트에서 제주민이 말한 연기가 가미되지 않은 자연스러운 발화를 자막과 함께 볼 수 있다. 다만 아래아가 들어간 글자가 모두 깨져 있다(...)

제주 교육청 사이트에서 제주어 초등 교재와 중등 교재를 배포하고 있다. 관심 있으면 참고하도록 하자. # 다만 문법 교재는 아니며 제주어와 그에 대한 표준 한국어 해석 밖에 없다. 게다가 일부 교재는 높임말인 ᄒᆞᆸ서체를 해라체로 번역해 놨다.


[1] 제주어를 제외한 모든 한국어 방언 [2] 오구라 신페이 제주 방언에 대한 기록을 보면 옛 제주어는 당시 ㆎ, ㅔ, ㅐ 모두 발음이 구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현지에서 80대 이상의 노인분들의 발음을 들어보면 차이를 느낄 수 있다고 한다. [3] 중세 국어에서는 정확히 자음과 만날 때는 '잇-', 모음과 만날 때는 '이시-'로 나타났기에, '이시-' + '-어' → '이셔'와 같이 활용되었다. [4] '시다'는 위에서 설명한 중세 국어의 방식을 잘 따르는 것이다. [5] '아니다'의 어원은 '아니 + -이다'다. [6] 'ᄒᆞ여'에서 나타나는 연결어미 '-아/어'의 이형태 '-여'가 아니다. [7] 라 불규칙 활용으로 '-라-'로 실현된다. [8] 라 불규칙 활용에서의 '-라-'가 아닌 명령형 종결어미 '-(으)라'이다. [9] ᄒᆞ다 불규칙 활용으로 '-여-'로 실현된다. [10] 사실 용언 뿐만 아니라 '르'가 있는 모든 단어들 [11] 예/아니오로 대답해야하는 의문문 [12] 대답으로 설명을 요구하는 의문문 [13] 'ᄋᆞ'에 강조 첨사 '-게'가 붙은 것인데 처음 들으면 ' 오케'처럼 들릴 수 있다. 의미도 상통한다 [14] 2017년도 제주어구술자료집 구좌읍 참고 [15] 잘 보면 모두 '-(으)-'가 들어가거나 명령/청유형, 의도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6] '-엄시, -엄샤'라는 어미는 각각 '-엄시니, -엄시냐'에서 ㄴ발음이 탈락된 형태다. '먹엄시냐'가 '먹엄샤'가 되는 것이다. [17] 다른 어미들과 다르게 '-어ᇝ-, -엇-'와 결합하지 않 [18] '-나'는 스스로 의구심을 품는 의문어미이다. 비교적 최근에 나타난 어미라고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지역에서 사용되는 특이한 케이스다. 이거 말고 위 칸에 있는 다른 뜻의 '-나'는 상대방에게 넌지시 행동 하기를 요구하는 어미다. [19] 둘 중에 아무거나 골라 써도 의미가 성립한다고 하며, 의미 차이도 없다고 본다. [20] 제주방언 보조용언 ‘-어나다’의 의미 기능에 관한 연구(김보향) [21] '걸으민'는 '걸민'으로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원형인 '걷다'가 ㄷ 받침인 ㄷ 불규칙 용언이기 때문이다. 표준어에서도 '걷다'를 '걸면'으로 활용하지 않는 것과 같다. [22] '-(으)클'은 최근에 사용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23] 'ᄎᆞᆽ아사 ᄒᆞ커라'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24] '-ㅁ가/ㅁ고'는 구분이 더 명확하고 뜻도 같은 '-ㄴ가/ㄴ고, -ㄹ까/ㄹ꼬'에게 밀려 사용이 줄고 있는 중이다. [25] 중세 한국어 문서의 해당 문단을 확인하면 먼 옛날에 '-(으/느)ㄴ, -(으)ㅁ, -(으)ㄹ' 활용은 모두 관형사는 물론 동명사 역할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6] 다만 원래 중세 한국어에서는 '-이-'가 없이 체언에 바로 '-가/고'를 붙었다. 그러니까 엄밀히는 생략되었다고 표현하는 것은 조금 부정확하고 보존되었다고 보는 것이 맞는다. [27] 이는 곧 '-(으)ㄹ까'임을 알 수 있다. 발음은 관형사형 전성어미이므로 '-(으)ㄹ까'이지만, 어원 의식이 옅어졌으므로 실제 표기도 '-(으)ㄹ까'라고 해야 한다. [28] 먹은다 + 인용형 '-엔' [29] 여기서 이 '크다'는 '크기가 큰 상태이다'를 나타내는 형용사이다. [30] 동사는 '-어ᇝ저, -어ᇝ다' 사용 [31] 동사는 '-어ᇝ우다/어ᇝ수다' 사용 [32] 동사는 '-어ᇝ우까/어ᇝ수가' 사용 [33] 이는 맥락에 따라 뜻이 달라질 수 있어서 명확히 해석될 수 없다. 이 방의 온도가 항상 따뜻하다는 뜻일 수도 있고, 이 방이 다른 방보다 항상 더 따뜻하다는 뜻일 수도 있고, 궂은 겨울 날씨에도 춥지 않고 항상 따뜻하다는 뜻일 수도 있다. '일반적인 진리'는 대화 맥락에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맥락을 아주 중시한다. [34] 다만 '지금'이라는 단어가 맥락상 반복되는 날, 예를 들어 '월요일 9시'을 뜻한다면 '이 방은 일반적으로 지금 월요일 9시마다 따뜻하다'는 말이 되므로 맞는 말이 될 수도 있다. [35] 당연하지만 '나 밥 먹는다'가 옳은 말이다. [36] 물론 연결 어미 '-다가, -당'에 쓰이는 '-다-' 부분은 종결 어미 '-다'가 아니므로 '-느-' 없이도 사용 가능하다. [37] 다만 '-어ᇝ다'는 실생활에서 거의 쓰이지 않는다. 아마도 어감이 무뚝뚝해서 그럴 가능성이 있다. [38] 그렇다고 해서 '-(으)ㄹ 수 잇다'가 쓰이지 않는 것은 아니다. [39] 직역하면 '*먹었는 밥'이다. 표준어에서도 '먹은 밥'이 옳은 표현이다. [40] '듣다'를 묻는다는 의미로도 사용한다. [41] 네이버 지식인에서 활동하는 일부 사람이 '오렌 ᄒᆞ냐(오라고 하냐)'를 '오렝 ᄒᆞ냐'으로 고쳐주는 모습이 발견되었다. [42] 여기서 '무사 아니라'는 '왜 아니야!'라며 호통치는 게 아니라 '당연하지, 왜 아니겠어?'라고 맞장구 쳐주는 역할이다. [43] ㄹ 예외, ㄹ 받침으로 끝나는 어간은 ㄹ 탈락을 거쳐 받침 없는 용언과 같이 활용한다. 즉 '멀다'를 '멀수다'로 활용하는 것은 틀리고 '머우다'라고 해야 한다. [붙임] '-이다'는 조사이고 '맞다'는 동사이지만 형용사 규칙을 따른다. 또한 '-ㄴ 것 닮다'도 동사구처럼 보일 수 있지만 형용사구다. [붙임] [붙임] [붙임] [48] 실제 제주도민은 '-가/과/강/광'의 어감 차이를 구분한다. 이를 용법으로 나누는 것은 실제 사용자를 불편하게 만들 수도 있는 부분이니 설명하지 않도록 하며, 배우지 않는 것이 좋다. 다만 제주어를 역사적으로 검토해 보고 싶은 사람은 한번쯤 살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49] 다만 어간에 받침이 있을 때는 잘 일어나지 않는다. '나영 먹주'라고 말해도 되는 상황이라면 굳이 '나영 먹읍주'라고 하지 않는다. [50] 제주 방언의 특징에 대해 [51] 난 아버지라는 말을 스물한 살에 장인어른한테 가서 아버지라고 하려고 하니까 눈물이 콸콸콸. [52] 끝이라고 말하지, 뭐라고 (말할까)? [표기] 아래 예문들 중 상대높임법 문단과 어미/조사 문단을 읽으면 충분히 해석 가능한 문장은 해석하지 않았다. 해석 칸을 따로 만들면 표가 작아져 모바일 버전으로 읽기 어렵기 때문에 해석은 주석으로 대신했다. 예문은 대부분 제주학연구센터에서 발행한 <제주어구술자료집>에서 가져 왔다. 이 구술 자료집에서는 'ᄒᆞ다'가 '허다'로 발음되면 '허다'로 적었다. [54] 그런데 요 집터는 조심해서 살다가, 부자 되거든 떠나라 한 거야 [55] 했었지마는 이제 그거 했었던지가 몇 년이야(강세) [56] 심으니까 퍼렇게 막 퍼렇게 사뭇(거리낌 없이 마구) 하는 것도, 선인장 열 철이 되면 봄 되면 막 사뭇 다닥다닥다닥 하게 막 군부(딱지조개) 붙듯 아주 그냥 붙어서 아주 삐치게 열지(열리지) 않니? [57] 농사짓는 거 쪼끔씩 실어 오고, 쪼끔씩 실어 오고 [58] '-(으)ㄹ로구나' 처럼 '-(으)ㄹ'을 첨가하면 '-을 것이로구나'라는 뜻이다. [59] 응, 박음질. 막 자잘하게 하면, 아이고 박음질 하고 있구나 하고 호는, 그저 아주 듬성듬성 하면 호아서 내 버렸네. '호다'는 '헝겊을 겹쳐 바늘땀을 성기게 꿰매다'라는 뜻으로 표준 한국어와 같다 [60] 전날 가서 미리미리 두르고서 그 전날 가서 고구마 덩굴을 막 걷어 [61] 제주어 표기법에서 형태소를 밝히는 것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근에'가 맞는 말이겠지만, 실질적으로 '-그네'도 자주 사용된다. [62] 굵게 썰어 놨다가 세 번 잠자고 나서 오를 때 되면 안 썰어. 3일이 지난다는 것을 3번 잠을 잔다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참고로 누에에 대해 얘기하는 대화다. [63] 저 무에 고춧물이 들어서 희지 않아 발그레하지. '-근엥이'는 '-에'가 '-이'로 변형된 것이다. [64] 와서 묵었는데(밤을 보냈는데), 다 조반(아침밥) 해서 밥해서 양푼이가 어딨어. 나무함지박에 밥해서 다 푼다고 하니까 요쪽에서 팩팩(불타는 소리). 뒤에 이어지는 말은 집에 불이 붙었다는 내용이다. 제주 4.3 사건에 대해 묘사하고 있으며 지금 누가 집에 불을 붙인 상황이다. 그 다음 내용은 자신과 가족들이 창에 찔린다는 내용이다. [65] 그거 다 농사지으려 어릴 때 그러나저러나 우리 어머니네 일만 일만 해버리니까 다리가 처녀 때 다리가 고장 난 거야 [66] 밥 먹고 나서 텔레비전 보고 있더라. '바ᇝ어라'를 보고 명령형으로 착각할 수 있지만 '-어라/아라'는 회상형 어미이며, 명령형 어미는 '-(으)라'다. '보고 있어라'는 제주어로 '밤시라'다. [67] 응. 그러니까 그거 끓어 갈 때 고기만 장만했다가는 들이뜨려 버리면 그 엿기름 할 때 하는 재료 딱 그거같이 그것처럼 그렇게 하는 거야. 엿기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구어라서 그런지 그거와 겉이, 그추룩, 경 같은 표현이 겹쳐서 사용된다. [68] 댓잎을 따다가 이거 댓잎이면 여기로 나무에 붙여 놓고 자르고 꼭지 자르고 해서 깨끗하게(반짝반짝) 씻어다 놔서 시루 바닥에 그 댓잎을 싹 깔아 가지고 그 가루 밀어 놓은 걸 되는 거야 [69] 그거 아무 나무나 했다가 부러져 버려 못 써 [70] 그렇게 하고 이번은 차비가 없어, 어, 자 부탁할게. [71] 그건 그러니까 수확은 늦게 갈수록 적어 [72] 막, 이것들은 잘사는 것들이로군, '숨메'도 모르는 거 보니까. 이나 에 '숨메 놓'는다고 한다. [73] 소 코 썩은 내는 왜 여름에 나는지 [74] 밭 옆에 조 밟을 때 밭 옆에서 무 씨 하나씩 던져내 버리면 그 무가 나서 [75] 땅이 이제 푸석하므로 이것을 땅을 되게(단단하게) 만들어서 [76] 그저 아침에 그 참 외양간에 매었다가, 소 아침에 내놓아서, 일찍 하면 오늘은 누가 갈 차례야. [77] 느티나무 함지박도 한동(제주도 한동리 한동마을)에 그 함지박이 있다는 말 들어도요, 확인을 하고 내 것이다 말을 못 하겠습디다. [78] '-쥐'라고 발음되면 '-주'로 표기한다. [표기] [80] 참고로 ㄹ받침과 만나도 (-이)가 사라진다. [81] '-가' 대신 가끔 '-라'라고 하시는 어르신도 있다. [82] 해도 이렇게 참으면서 이때까지 다 인생을 마무리했어(강세) [83] 또 재작년엔 따로 여기선지 어디 찔려서 그렇게 뼈 가까이 들어가면 요놈의 가시가 이 꾸지뽕 같으면 곪아가면 위로 올라온다(강세) [84] 특정 단어와 결합하면 '-이'라고 발음한다. 정확한 규칙은 알려지지 않았다. 밑으로 내려보면 불규칙 활용이 나와 있다. [85] 지금(요즘) 배추하고는 다르지 않습니까? 젊은 구사자가 말했으며 '아녀다'가 아닌 '않다'를 사용한다. [표기] [87] 다만 이에 대한 표기법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계속 나오고 있다. [표기] [89] 지역에 따라 '-고적 하다'라고 하기도 한다. [90] '철' 자체는 '뻘'이라는 뜻을 갖고 있어서 명사에 붙으면 '오빠뻘'은 '오라방철'이 된다. 하지만 '-ㄹ 철'로 쓰여 '무신거렌 ᄀᆞᆯ으민 뒐 철이고'라고 하면 '뭐라고 말하면 될 뻘(것)인가'라는 뜻이다. [91] 서남 방언과 동남 방언에서도 비슷하게 보조동사 '버리다'의 축약형이 사용된다. [된소리] 발음나는 대로인 '-쩌', '-쑤', '-쭈'와 같은 된소리가 아닌 예사소리로 표기하는 이유는 예사소리 형태가 본딧말이기 때문이다. 제주어 표기법에서 형태소를 밝히는 것을 권장하기 때문에 예사소리로 된 표기들이 바른 표기다. [된소리] [된소리] [95] 이는 ㅯ을 사용하는 다른 방언에도 불리하게 작용한다. 예를 들면 동남 방언의 '어ᇝ다'가 있다. 사실 제주어는 ㅯ 뿐만 아니라 아래아 또한 이런 문제를 겪고 있으며 현재 젊은 층은 아래아 발음을 로 표기하는 중이다. [96] 물론 LG폰 같이 TTF나 OTF 폰트를 지원하는 폰이면 옛한글 폰트를 적용하면 된다. 그리고 FlipFont 중에서도 옛한글을 지원하는 폰트가 극소수 있다. [97] 특이하게도 LG전자 기종은 옛한글 폰트를 지원하기 때문에 깨지지 않고 볼 수 있다. 또 옛한글 키보드를 기본으로 지원한다. [98] 사실 '되여'는 북한에서 문화어 표기로 사용되고 있다. [99] 표준 한국어가 아니더라도 다른 지방의 말 포함 [100] 완전히 동일하게 인용한 것은 아니고 고맹훈이 정리한 것을 인용했다. [101] 물론 '않다'는 현대 제주어에서 잘 사용되며, 사용을 지양하자는 뜻이 아니다. 옛 제주어를 주제로 작문할 때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102] -(으)멘은 동명사 활용이므로 형용사인 '싶다'에 사용할 수 없다. [103] 특히 '-앙/엉' 활용시 '형'으로 자주 나타난다. [104] 먼 옛날 '혀'가 쓰인 시기가 있었으나 단모음화 된 '헤'가 더 발음하기 쉽기 때문에 '혀'가 더 이상 나타나지 않게 되었다. [105] 제주어를 사용하지 않는 세대. [106] 여전히 제주어를 사용하지 않는 세대. [107] '-어ᇝ-'을 '-ㅯ-'으로 착각해서 표준어 '하다'를 활용할 때 '함시냐'가 나타난다. [108] 다만 제주어는 '-(으)-'가 첨가된다. [109] 동남 방언의 '-나'와 '-노'는 표준어의 의문형 어미와 형태가 너무 달라 표준어의 영향을 받아도 크게 혼동되지 않는 것과 대조적이다. [110] 그렇다고 해서 옅은 제주어 사용자를 비난해야 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 본인이 옅은 제주어를 만들어내는 것도 아니며, 사회적으로 옅은 제주어를 배운 것 뿐이다. 이러한 언어적 현상이 일어난다는 점만을 신중하게 다루어야 한다. [111] 다만 이 영상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듯하다. [112] '제나' 자체는 쓰이지 않으나 '게나제나'에서만 쓰인다. [113] [114] 최근 '메'라고 줄여 말하기도 한다. [주의] 대부분 중세 한국어를 다룬다. 17세기 이후의 단어는 근대 한국어로 보고 ☆표로 표시했다. 한자어의 음가를 알 수 없거나 그 시대에 사용했다는 정확한 증거가 없다면 ~로 표시했다. 또한 동국정운식 표기로 남은 한자어는 당시 발음과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동> 표시를 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훈민정음의 "듀ᇰ·귁"도 당시 실제 발음은 '듕국'일 것으로 보고 있다. 동국정운 표기에서 받침 은 아무 소리를 가지지 않으므로 '장'이라고 적힌 것은 '자'라고 읽어야 한다. ☆표시가 없는 것(중세 국어)들은 ㅺ, ㅼ, ㅽ, ㅾ을 보이는 그대로 읽어야 하고 ☆표가 있는 것(근대 국어)들을 이들을 ㄲ, ㄸ, ㅃ, ㅉ으로 읽어야 한다. 왜 그래야 하는지는 ㅅ계 합용병서 참고. [116] 원래 중세 국어의 '내'는 그 자체가 '나 + -ㅣ'이며 '내가'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현대 표준 한국어인 '내가'는 어원적으로 볼 때 '나가가'로 겹말이 된다. 하지만 제주어는 이런 겹말 현상 없이 '내/나가'라고 활용하기도 한다. [그] 서양 언어의 영향으로 최근에 생긴 표현. 문어체에서만 쓰인다. [ㅢ] 라고 발음되는 경우가 있지만 제주어 표기법 방침으로 인해 라고 표기했다. [119] 서남 방언에서 '너네'를 자주 쓴다. [그] [ㅢ] [디] '디'는 표준 한국어로 '데'이며, 제주어에서는 '이곳, 그곳, 저곳'이라는 표현 대신 '이디, 그디, 저디'를 사용한다. 직역하면 '이 데, 그 데, 저 데'이며 이런 활용은 현대 한국어, 중세 한국어 모두 사용하지 않는 표현이다. 이미 '여기에, 거기에, 저기에'라는 의미를 품고 있으며, 조사와 붙어서 사용하지 않고 단독으로 '이디 오라'처럼 쓴다. [ㅢ] [ㅢ] [125] '자기', '본인' 등 3인칭 재귀를 나타내는 제주도 방언. 자주 쓰인다. 2인칭으로 쓰이지는 않는 듯하다. [126] 듣는이를 낮추어 부르는 2인칭 대명사. 현대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대부분 사람들은 이 단어를 처음 접해봤을 것이다. [디] [ㅢ] [ㅢ] [디] [ㅢ] [ㅢ] [ㅢ] [134] '어드레'는 '어드'의 '-러레' 활용이 불규칙으로 굳어진 것이다, 뜻은 '어디로'다. 이것 말고도 '-로'와 합쳐지면 '어디로, 어드로, 어들로' 등으로 나타난다. [135] '어떡하다'을 '어떵ᄒᆞ다', '어떠하다'도 '어떵ᄒᆞ다'라고 한다. '어떤'을 '어떵ᄒᆞᆫ'이라고 사용하기도 한다. [136] 어찌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어떵을 많이 사용한다 [137] 제주어에서 '웨'라는 단어 자체는 '까닭'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138] 확실하지 않으나 '무슨'과 어원을 공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139] '아니ᄒᆞ다 > 아니허다 > 아녀다'인 것으로 보인다 [140] '조금'과 의미가 완전 동일하며 '이것 쫌 해주세요'의 '쫌'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141] 어떤의 의미로 '아무'를 쓸 때도 있다. '아무 사름'은 '(내가 누군지 모르는)어떤 사람'이라는 뜻이다. [142] '아주가다'는 제일가다라는 뜻이다 [143] '큰큰ᄒᆞ다'는 '크디크다'라는 뜻이다. [144] 길쭉길쭉은 질쩍질쩍이라고 한다. [145] 가늘고 길다 [146] 신앙, 믿음, 관계, 인정이 굳고 깊다는 뜻밖에 없다. [147] 물건이 보통보다 굵어서 실속있다. [148] 비슷한 느낌의 표준어로 무지다가 있다. 들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149] 행동이 재빠르다 [150] 질질 끄는 느낌이 없이 빠르게 [151] 표준 한국어에 없지만 일부 방언에 가스나, 가시나, 가스내로 남아 있다 [152] 표준 한국어에 없지만 일부 방언에 머스마, 머시마로 남아 있다 [153] 예전에는 일부 지역에서 사롬이라고 발음하는 사람이 극소수 존재했었다. [ㅢ] [155] '어린아기'라는 말은 쓴다. [ㅢ] [157] 어원 정보는 없지만 '쪼끔-'과 관련있어 보인다. 비교적 최근에 만들진 표현인 듯. [158] 가정사를 확실하고 깔끔하게 다스리는 아내 [159] 웃어른에게 자신의 아내를 낮춰 부르는 말 [160] 듣는이의 남편을 지칭할 때 ᄉᆞ나이(사나이)를 쓰기도 한다. [161] 가정사를 확실하고 깔끔하게 다스리는 남편. 지서멍을 따라 생겨난 신조어다. [ㅢ] [163] 옥돔을 나타내기도 한다. 참고로 옥돔은 지역마다 부르는 이름이 다르다. '오토미'가 제일 평범한 명칭. [ㅢ] [165] 지렁이, 전라도와 공유한다. 제주어는 추가적으로 회충의 뜻도 가지고 있다. [166] 갯지렁이 [167] 곶/고지는 숲을 뜻하며, 고지는 봉우리를 뜻한다. [168] 주류 학계에서는 순우리말인 꽃(중세 한국어로 '곶')이나, 한자어 ‘고지'(高地)에서 온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169] 덤불이 엉켜있는 어수선한 곳. 90년대에 형성된 제주어-제주어 합성어다. 자왈은 덤불, 어수선한 수풀을 뜻한다. [170] 현대에는 '바'와 '줄'의 합성어인 밧줄을 사용한다 [171] 제주어 말고도 여러 방언에서 '끄네끼'형이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끈 + -아기 → 끄나기 → 끄네기(역행 동화) → 끄네끼(된소리되기)' 음운 변화를 거친 것이다. [172] 사람의 피부를 뜻한다. [173] 사람 피부에 대한 표현은 지역마다 다르며 통일된 표현이 없다. 다른 표현으로 '빈뎅이, 빈지가죽, 살문뎅이, 피치가죽, 핀지가죽, 흘문뎅이'가 있다. [174] 한자 '혈(血)'은 구개음화로 인해 '설'이라고 한다. 혈기는 '설기' 혈맥은 '설맥'. [175] 'ᄃᆞᆨ'은 닭과 같은 말인 듯하나 '-새기'의 어원은 불명확하다. '험벅새기'는 '헝겊 쪼가리','이멍새기'는 '이마빼기'를 뜻한다. 인터넷에는 새끼에서 온 말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제주어에서 '새끼'는 항상 '새끼'라고 발음한다는 것을 참고하기 바란다. 즉 '도새기 새끼'는 '돼지의 새끼'를 뜻한다. 'ᄃᆞᆨ새기'는 달걀을 뜻하기도 하지만 '꿩ᄃᆞᆨ새기'는 꿩알을 뜻한다. [176] 새의 꽁무니 깃털 말고도 동물의 꼬리도 나타낸다. [177] 입안을 조금 나쁘게 이르는 말 [ㅢ] [179] '다리'의 뜻을 가지고 있다 [180] 순제주어 '독'과 ᄆᆞᄅᆞᆸ이 합쳐진 겹말 형태다. 통일된 표현이 없다. 이형태로 도갓ᄆᆞᆯ리, 독머리, 독무럽, 독ᄆᆞ릅, 독ᄆᆞ리, 독ᄆᆞ립, 독ᄆᆞᆯ리가 있다. [181] '날개' 말고 '생선의 지느러미'의 뜻도 가지고 있다. [182] 전복의 창자를 '게웃'이라고 한다. [183] 장 대신 '베설/창지/창'을 쓴다. 대장, 소장은 '큰베설, 작은베설'이다. 돼지의 대장은 그대로 '대창'이다. [184] 목의 양 옆과 뒤쪽 [185] 표준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간'의 의미가 사라져 '애를 쓰다' 등의 형태로 쓰인다. [186] 제주어에는 '들다, 자시다, 잡수다' 등의 표현이 없다. 대신 '어른이 음식을 먹으려고 들다'를 뜻하는 '받주다'라는 말이 있다. [187] 한문을 읽을 때 퉤(吐, 표준 한국어로 토)를 토씨의 의미로 사용하지만 구토의 의미가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188] 서럽게 울다 [189] '지꺼지다'를 직역하면 '기뻐지다'다. 다만 제주어의 '-어 지다'는 표준 한국어와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해석해야 한다. [190] 잊었던 것이 다시 떠오르다. [191] 죽음에 관련된 낮춤말로 '널러지다, 뒈싸지다, 뒤여지다'가 있다. [192] '앞세우다'는 아이가 부모보다 먼저 죽음을 완곡하게 표현하는 표준 한국어와 같은 단어다. [193] 남이 싫어하는 것을 자꾸 요구하다. 싸운다는 의미는 없다. [194] 말다툼하다 [195] 일부 지역에서 '사녕, 사농'이라고 한다. [196] 쥐어박다, 때려박다 [197] 표준 한국어와 같은 뜻으로 식물의 순을 자른다는 뜻이다. [198] 옷감 따위를 자르다. 마름질이 이 단어에서 나왔다. [199] 쪼개다 [200] 속 알맹이를 꺼내기 위해 겉을 쪼갠다는 뜻이다. [201] 겉을 쪼개거나 벗겨서 속 알맹이를 꺼낸다는 뜻이다. [202] 찢다 [203] 수영이라는 말 대신 '히엄/힘', 혹은 구개음화된 '시엄/심'을 쓴다. [204] 'ᄆᆞᆫ딱 ᄃᆞᆯ으라'는 '모두 달려라'라는 뜻이다. '걷다 -> 걸어'와 같이 ㄷ받침 불규칙이다. '몬딱 도르라'라는 노래로 알려져 있다. [205] '달아나다'에서 쓰이는 '닫다'다 [206] 드리다. 공손한 표현이다. [207] 물건을 손에 든 상태에서 건네다 [208] 남이 가지고 있던 것을 조금 나누어 공짜로 받다 [209] 제주어에 '드러눕다'라는 말이 있지만, 이 단어 또한 드러눕는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걸러-'는 '걸러앉다/걸러앉이다'에서도 나타난다. [210] 액체 따위가 떨어지다 [211] 가까이 끌어내는 것은 '끗다'라고 하지만 시간을 끄는 것은 '끌다'라고 한다. [212] 날리다의 뜻 말고 던지다라는 뜻도 있다. [213] 매듭짓다는 'ᄆᆞ작ᄆᆞᆽ다'라고 한다. 짓다는 농사와 집을 지을 때 쓰는 말로 보인다. [214] ㅇ과 만나면 'ᄀᆞᆯ아'가 된다. '걷다 -> 걸어'와 같이 ㄷ받침 불규칙이다. [215] 노래를 뜻하는 말로 '소리'를 쓰기도 한다. [216] 오직 받침과 받침으로만 발화된다. '빗'이라고 발음하는 사람은 없다. 색깔을 나타내는 말로 '빛깔'을 자주 쓴다. [217] 밤하늘 한가운데에 모여서 촘촘하게 반짝이는 별무리 [잔재] '-더레'( '-으로'라는 의미)라는 조사와 합쳐지면 '-터레', '-도'라는 조사와 합쳐지면 '-토'로 바뀌는 불규칙이 존재한다. [219] 경상도에서 먼지가 쌓여 있는 모습을 '먼지구둥이'라고 하는데 이 '구둥이'에서 파생한 것일지도 모른다. [220] 피어오르는 연기는 '네꼿', 직역하면 내꽃이라고 한다. 연기 냄새는 '넷내'라고 한다. [221] 불이 타서 튀는 작은 입자를 뜻하며, 재의 의미가 없다. [222] 애가 타다는 '카다'형을 쓰지 않고 그대로 '애가 타다'라고 한다. [223] 분화 활동으로 솟아오른 화산. 주류 학계에선 '오르다'의 명사형에서 온 것으로 보고 있다. [224] 일부 산 이름에서 '메, 미'로 남아 있다. [225] 녹산, 청산 같은 단어가 있는 것으로 보아 녹색, 청색이 있음이 확실하다. 단, 합성어인 초록색은 옛부터 쓰였는지 확인 불가 [226] 단, 올해는 '올히/올리'라고 한다. [227] '멘도롱ᄒᆞ다'는 '메시근하다(미지근하다)에 '-도롱ᄒᆞ다'가 붙은 용언 활용이다. 대충 표준 한국어로 따지면 '미적스름하다'정도의 활용이다. [228] '물이 얼다'뿐만 아니라 매우 춥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229] 가득 채운다는 뜻으로 'ᄀᆞ득이다'라는 표현을 쓴다. [230] 신기하게도 낡다를 사용하지 않는다. 낡다 대신 '헐다'를 사용한다. [231] 예상 외로 훨씬 낫다 [232] 싫다의 뜻 말고도 진저리가 난다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233] 질척질척을 '발착발착'이라고 한다. [234] 목이 마르다. '목ᄆᆞ르다'라는 표현이 이미 있지만 이 표현도 쓴다. [235] 목적지에 가까워진다는 의미로 '근당ᄒᆞ다'라는 말을 쓴다. [236] '올ᄒᆞ다', 현대어 '옳다'가 여기에서 왔다. [237] 'ᄂᆞ다'가 '바로'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오른쪽'과 어원이 비슷하다. [238] '바른-'은 '바른디'와 '바른하늬'라는 단어에서 쓰이는데 '바른디'는 '맞은편', '바른하늬'는 '북풍'을 일컫는 말이다. 이를 보면 제주어에서 '바른-'은 오른쪽이 아니라 맞은편이나 북쪽을 가리키는 말이다. [잔재] [잔재] [241] 접두사는 '밧-'으로 쓰여서 '밧거리'(바깥채), '밧섬'(바깥쪽에 있는 섬) 같은 합성어가 나타난다. ㅇ조사와 만나면 '밖' 발음이 되기 때문에 '밧기/박기'로 표기한다. [242] 바꼇은 수산, 서홍, 가시 등 일부 지역에서만 사용된다. [잔재] [ㅢ] [245] 일부 현대 자료에 '웨냐ᄒᆞ면' 사용례가 보이지만 옛부터 썼는지 확실하지 않다. [주의] [ㅢ] [ㅢ] [ㅢ] [ㅢ] [251] ''이 10,000의 고유어라는 주장이 존재하지만 실제 사용례는 적은 편이다. 자세한 사항은 문서 참고. [주의] [주의] [254] 둘째를 뜻하는 접두사 [255] 셋째를 뜻하는 접두사 [주의] [257] '하룻날, 하룻밤'은 제주어로 'ᄒᆞ를날, ᄒᆞ를밤'이다 [258] '이튿날'은 제주어로 '이틀날'이다 [주의] [주의] [ㅢ] [262] 아시날은 '전날'이라는 의미가 강하다. [ㅢ] [264] 애인을 뜻하기도 한다 [ㅢ] [ㅢ] [ㅢ] [ㅢ] [ㅢ] [270] 다섯 형재일 때 넷째아들 [ㅢ] [ㅢ] [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