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의 종파 |
|
후한말 | 태평도 | 오두미도(천사도) |
위진남북조/수당 | 북천사도 | 남천사도 | 상청파 | 영보파 |
북송 | 신소파 | 청미파 |
남송/금 | 전진교 | 태일교 | 진대도교 |
원 | 정일도 | 정명도 |
명 | 무당파 |
청 | 용문파 | 오류파 |
全眞敎
왕중양이 창시한 도교 북파의 종교.
1. 현실의 전진교
도교에서 갈라져 나온 교단. 팔선으로 유명한 여동빈에게 가르침을 받아 왕중양이 개파했다고 전한다.불교의 영향을 받아 이전의 천사도(天師道)[1]나 연단술 등을 통한 신선사상을 추구하던 도교의 교리에서 특히 정신의 수양과 양생을 강조하고 불로불사나 부적술과 같은 매우 주술적인 개념을 멀리하였다. 도가의 내단사상을 깊이 연구하여 체계적인 수행법으로 정리했다. 내단사상의 핵심을 정리한 여동빈의 태을금화종지는 대표적인 경전이다. 이 경전은 참동계, 황정경 등과 함께 도교의 대표적인 수행서로서 20세기의 이름난 심리학자 칼 융이 읽고 크게 감명받아 독일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남송 초기에서 원나라 시대까지 흥했는데 원나라 때는 전진칠자들에 의해 용문파, 우선파, 남무파, 수산파, 유산파, 화산파, 청정파로 나뉘다가 쇠퇴하였다. 쇠퇴한 데에는 여러 가지 요소가 있지만, 제일 큰 이유는 바로 교단의 재산 싸움이었다. 이 때문에 서로를 공격하며 헐뜯어서 대중에게서 점차 외면받았다. 그나마 마옥과 손불이가 출가하기 전에 부부였기에, 두 사람이 세운 우선파와 청정파는 원만함을 유지하여 이런 재산 싸움에 끼어들지 않았지만, 두 파도 전진교가 재산 싸움으로 몰락하자 염증을 느끼고 서로를 합친 도관을 세우면서 전진교의 몰락이 가시화되었다. 전진교 개파조사 왕중양과 직전제자인 전진칠자가 보면 매우 통탄할 것이다.
1.1. 역대 조사
- 제1대: 왕중양
- 제2대: 마옥
- 제3대: 담처단
- 제4대: 유처현
- 제5대: 구처기
- 제6대: 윤지평
- 제7대: 이지상
- 제8대: 장지경
- 제9대: 왕지탄
- 제10대: 기지성
- 제11대: 장지선
- 제12대: 묘도일
- 제13대: 손덕욱
- 제14대: 남도원
- 제15대: 손리도
- 제16대: 묘도일(재선출)
- 제17대: 완안덕명
2. 무협소설 속의 전진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dcdcdc 0%, #ffffff 20%, #ffffff 80%, #dcdcdc); color: #0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10101,#010101>
정파 ( 무림맹) |
무림세가 | 남궁세가 · 모용세가 · 사천당가 · 제갈세가 · 하북팽가 / 황보세가 · 산동악가 · 진주언가 | |
구파일방 | 개방 · 소림사 · 무당파 · 아미파 · 화산파 · 곤륜파 · 종남파 · 공동파 · 점창파 · 청성파 · 해남파 | |||
정교 | 전진교 | |||
기타 | 모산파 · 형산파 | |||
사파 ( 사도련) |
흑도 | 녹림 · 장강수로채 · 하오문 · 살막 | ||
사교 | 마교 ( 천마신교 · 천마) · 혈교 ( 혈마) · 배교 · 밀교 · 명교 · 일월신교 | |||
기타 세력 | 황실 | 동창 · 금군 ( 금의위) | ||
새외무림 | 남만 · 광풍사 · 북해빙궁 · 동영 · 해동 · 포달랍궁 · 뢰음사 · 장백파 | |||
기타 | 표국 · 신비세력 ( 암중세력) | |||
문파 · 틀:무협 용어 · 틀:무공의 경지 · 분류:무협 용어 · 무공/목록 | }}}}}}}}}}}} |
전진교
全眞敎 |
|
|
|
무협 속 전진교의 모습 | |
<colbgcolor=#6F606E> 소속 | 정파 |
중심지 | 산시성 종남산 |
2.1. 김용의 무협소설
《 사조영웅전》과 《 신조협려》에 등장한다.작중에서 명문정파이자 무학의 정종으로 여겨지고 있다.
1대 장교(교주)는 왕중양, 2대 장교는 마옥. 본산은 종남산(終南山)에 있는 중양궁(重陽宮)이다. 바로 옆동네에 고묘파가 있다. 나중 시대를 다른 무협소설에서는 같은 동네에 종남파가 들어선다.
주백통은 왕중양의 사제인 만큼 일단 전진교와 한 문하에 속하고 있으며, 항렬상 가장 높다. 하지만 주백통은 자유롭고 소탈한 성격 때문에 교단에 대한 일에 나서기를 싫어해서 마옥, 구처기, 왕처일 등의 전진칠자가 교단의 중심이 되어 운영을 맡고 있다.
왕중양은 천하제일인이었지만 자신의 무공을 제자들에게 제대로 전해주지 못했고, 결정적으로 연배에 비해 일찍 병으로 죽어서 제자들의 무공수위는 천하오절 급에 비할 바는 못된다.[2] 하지만 현문정종내공심법 등 훌륭한 무공도 많이 갖추고 있다.
1대인 왕중양과 주백통을 제외하면 급격히 질이 안 좋아지는 문파. 왕중양과 주백통은 천하오절의 최강자, 전진칠자는 그에 비하면 어중이 떠중이 수준, 3대 제자인 윤지평 등에 이르면 강간범에 아동학대범에 매국노. 그냥 쉽게 말해서 왕중양과 주백통은 1,2대 천하오절 가운데 으뜸가는 무림 최강 고수들이지만 제자들은 먹칠만 안하면 다행이다. 사조영웅전의 전진칠자는 왕중양이 일찍 죽은 탓인지 진전을 전혀 잇지 못했다.[3]왕중양이 전해준 천강북두진을 7명이 사력을 다해 펼쳐야 천하오절 중 하나인 황약사와 팽팽한 수준이었다. 그리고 빈틈을 노린 구양봉에게 담처단이 죽고, 마옥이 병사해서 신조협려에서는 전진오자만 남는다. 신조협려에서 곽정 한 명이 전진교의 3대 및 4대 제자 수십명~백명 수준이 펼치는 천강북두진을 와해시키고 빠져나가는 지경이다. 남아있던 전진오자는 너무 떨어지는 제자들 때문에 고심해서 칠성취회라는 진법을 만들었지만 금륜법왕과 소용녀에게 당한다. 의천도룡기까지 가면 아예 소식이 없다.[4]
《 소오강호》 등 이후의 시대를 다룬 김용의 무협소설에서 전진교가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무협소설만 본 사람들 중에는 사라졌다고 여기는 사람도 있는데, 현실 속에서 전진교나 그 계통의 도가 문파들은 현재까지 멀쩡히 영업하고 있다.
섣달그믐 사흘 전에 문하의 제자들이 모두 모여서 무공을 겨루는 관례가 있다. 우선 전진칠자의 제자들을 스승 단위로 조를 짜서 겨루는 것을 소교(小較)라고 하고, 거기에서 승리한 제자들이 겨루는 마지막 결전은 대교(大較)라고 했다.
전진교 제자들의 급수는 다음과 같다. 처(處), 지(志), 청(淸), 정(靜)을 항렬로 삼는다고 하며, 전진칠자는 좀 다르지만 윤지평 이하는 이름에 반드시 지, 청, 정 자가 들어가는 걸로 통일되어 있다.
김용의 무협소설인 사조영웅전, 신조협려에 등장해서 유명한데 작중 이들은 실제 활동시기보다 30년에서 50년정도 생몰년대가 늦춰졌다.
실존인물들의 생몰연대는 아래와 같은데
왕중양 1112년생 ~ 1170년 사망. (58세)
마옥 - 1123년생 ~ 1183년 사망. (60세)
손불이 - 1119년생 ~ 1182년 사망. (63세)
담처단 - 1123년생 ~ 1185년 사망. (62세)
왕처일 - 1142년생 ~ 1217년 사망. (75세)
구처기 - 1148년생 ~ 1227년 사망. (79세)
유처현 - 1147년생. ~ 1203년 사망. (56세)
학대통 - 1140년생. ~ 1212년 사망. (72세)
윤지평 - 1169년생 ~ 1251년 사망 (82세)
사조영웅전은 1199년(송나라 영종 경원 5년 동짓달) 구처기(당시 30세)와 곽소천, 양철심의 만남으로 시작되며 곽정이 1200년에 출생한다. 곽정이 20세인 1220년에 25년만에 이뤄진 2차 화산논검이라는 서술로 보아 1195년에 1차 화산논검이 벌어졌고, 1217년생인 양과가 성인으로 성장하는 1240년대까지도 전진칠자들은 계속 등장한다. 이들을 작품에 등장시키기 위해 왕중양은 대략 1140년대생정도, 실제 사형제끼리 나이 차이가 많았던 전진칠자들은 모두 동년배에 1160대~70년대 출생 정도로 설정한 듯 하다. 작중 곽정보다 2살 위로 묘사되는 윤지평조차 실제로 1169년생으로 곽정보다 31세 연상이다.
2.1.1. 전진교의 제자
- 기지성(祁志誠): 구처기의 제자. 젊은 제자로 전진교에 돌아오는 윤지평과 조지경을 마중나왔다.
- 송덕방(宋德方): 과거 구처기를 따라 서역으로 갔던 18제자의 한 명. 키가 작으며 몽골의 성지를 받는 문제에 신중론을 주장했다. 금륜법왕 일당이 쳐들어오자 금륜법왕을 공격하다가 내상을 입고 쓰러졌다.
- 왕지탄(王志坦): 구처기의 제자. 성격이 불같은 사람. 몽골의 성지를 받는 문제에 있어서 강경론을 주장했으며 조지경을 욕했다.
- 우도현(于道顯): 유처현 문하. 왕지근과 함께 높은 무공과 강직한 성품을 갖추었다. 금륜법왕 일당이 쳐들어 왔을때, 옥허동에 가서 전진칠자를 불러오는 역할을 맡았다.
- 왕지근(王志謹): 학대통 문하. 우도현과 같이 행동했다.
- 진지익(陳志益), 방지기(房志起), 유도녕(劉道寧): 구처기의 제자. 금륜법왕 일당이 쳐들어 왔을때 제자들을 지휘해 적과 싸우는 역할을 맡았다.
전진교의 제자들 중 진지익, 방지기, 유도녕을 제외하고는 모두 실존인물이다.
2.1.2. 전진교의 무공
- 검법(劍法)
- 전진검법(全眞劍法)
- 중양검법(重陽劍法)
- 동귀검법(同歸劍法)
- 일기화삼청(一氣化三淸)
- 장법(掌法)
- 이상파빙장(履霜破氷掌)[6]
- 경공(輕功)
- 금안공(金雁功)
2.2. 국내 무협소설
대한민국의 무협소설에서 전진교(전진파)는 거의 찾아볼 수 없으나(도교계 문파의 역할은 무당파가 있기에), 모산파와 비슷하게 무공보다 도술( 방술)에 주력하는 문파로서 간간히 모습을 드러내며 종남파의 근원이 되었다는 설정[7]으로 자주 나온다.전진교가 등장하는 국내 무협소설의 설정은 대개 종교적 성향을 좀 지니고 있으며 방술을 배우고자 하는 이에게는 항상 문을 열어놓고 있는 것으로 나오며, 문호를 개방하고 있기 때문에 도사들의 수는 엄청나지만 질적으로는 모산파에 못 미치는 것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보통 국내 무협소설에서는 망한걸로 나온다….
묵향에서는 황당하게도 (일단 명목상은) 북송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역사적으로는 아직 나타나지도 않았던 전진교가 전설의 문파가 되어있다. 전진교가 아닌 '전진'이라는 문파라고 나온다. 전진교와는 다르다. 전진은 혈마 한 명을 남기고 멸문(혈마가 살겁을 일으켰을 때 휘말림)당했다. 혈마가 전진의 전인으로 왕중양을 키우고 있다는 언급이 나온다.
[1]
후한 말의
오두미도에서 시작된 도교
[2]
선천공 같은 무공이 후대에 그 누구도 쓰거나 연성하는 묘사가 없는걸 보면 거의 확실하다.
[3]
다만 같은 천하오절인 일등의 제자 어초경독, 황약사의 제자 진매곡육, 구양봉의 조카 구양극도 무공수위로는 전진칠자와 별 차이가 나지는 않는다. 홍칠공의 제자들의 경우 곽정, 황용 이전까지는 무공을 제대로 전수받은 제자가 없어서 개방 장로들의 무공은 오히려 전진칠자보다도 떨어진다. 학대통과 동급인 곽도가 개방 장로중에 그나마 무공이 강한 편인 노유각을 비교적 손쉽게 패퇴시킬 정도.
[4]
계보대로라면 당시 몽골에 의해 종남산이 폐관되었고, 남아있던 전진오자는 그대로 흩어져 각종 문파를 창설한다. 그 중 확실한 문파가 바로 학대통이 창설한 화산파.
[5]
역사상으로는 이지상, 왕지경, 왕지탄, 기지성 등이 차례로 장교를 역임했다.
[6]
舊 삼화취정장(三化聚頂掌)
[7]
역사적으로 보면 전진칠자 중 일인인 학대통이
화산파를 창건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