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16:09:09

장평(전진)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8c4c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99,#666666
1권 「전조록일(前趙錄一)」 2권 「전조록이(前趙錄二)」 3권 「전조록삼(前趙錄三)」 4권 「전조록사(前趙錄四)」
유연 · 유화 유총 유총 유총 · 유찬
5권 「전조록오(前趙錄五)」 6권 「전조록육(前趙錄六)」 7권 「전조록칠(前趙錄七)」 8권 「전조록팔(前趙錄八)」
유요 유요 유요 유선 · 유성 · 유익 · 유윤
9권 「전조록구(前趙錄九)」 10권 「전조록십(前趙錄十)」 11권 「후조록일(後趙錄一)」 12권 「후조록이(後趙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석륵 석륵
13권 「후조록삼(後趙錄三)」 14권 「후조록사(後趙錄四)」 15권 「후조록오(後趙錄五)」 16권 「후조록육(後趙錄六)」
석륵 석홍 석호 석호
17권 「후조록칠(後趙錄七)」 18권 「후조록팔(後趙錄八)」 19권 「후조록구(後趙錄九)」 20권 「후조록십(後趙錄十)」
석호 석세 · 석준 · 석감(鑒) 석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1권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22권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23권 「전연록일(前燕錄一)」 24권 「전연록이(前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외 모용황
25권 「전연록삼(前燕錄三)」 26권 「전연록사(前燕錄四)」 27권 「전연록오(前燕錄五)」 28권 「전연록육(前燕錄六)」
모용황 모용준 모용준 모용위
29권 「전연록칠(前燕錄七)」 30권 「전연록팔(前燕錄八)」 31권 「전연록구(前燕錄九)」 32권 「전연록십(前燕錄十)」
모용위 토욕혼· 모용한· 모용인· 모용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3권 「전진록일(前秦錄一)」 34권 「전진록이(前秦錄二)」 35권 「전진록삼(前秦錄三)」 36권 「전진록사(前秦錄四)」
부홍 부건 부생 부견
37권 「전진록오(前秦錄五)」 38권 「전진록육(前秦錄六)」 39권 「전진록칠(前秦錄七)」 40권 「전진록팔(前秦錄八)」
부견 부견 부비 부등
41권 「전진록구(前秦錄九)」 42권 「전진록십(前秦錄十)」 43권 「후연록일(後燕錄一)」 44권 「후연록이(後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수 모용수
45권 「후연록삼(後燕錄三)」 46권 「후연록사(後燕錄四)」 47권 「후연록오(後燕錄五)」 48권 「후연록육(後燕錄六)」
모용수 모용보 모용성 모용희
49권 「후연록칠(後燕錄七)」 50권 「후연록팔(後燕錄八)」 51권 「후연록구(後燕錄九)」 52권 「후연록십(後燕錄十)」
모용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3권 「후진록일(後秦錄一)」 54권 「후진록이(後秦錄二)」 55권 「후진록삼(後秦錄三)」 56권 「후진록사(後秦錄四)」
요익중 요양 요장 요흥
57권 「후진록오(後秦錄五)」 58권 「후진록육(後秦錄六)」 59권 「후진록칠(後秦錄七)」 60권 「후진록팔(後秦錄八)」
요흥 요흥 요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61권 「후진록구(後秦錄九)」 62권 「후진록십(後秦錄十)」 63권 「남연록일(南燕錄一)」 64권 「남연록이(南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덕 모용초
65권 「남연록삼(南燕錄三)」 66권 「하록일(夏錄一)」 67권 「하록이(夏錄二)」 68권 「하록삼(夏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혁련발발 혁련창 혁련정
69권 「하록사(夏錄四)」 70권 「전량록일(前涼錄一)」 71권 「전량록이(前涼錄二)」 72권 「전량록삼(前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궤 장실 장준
73권 「전량록사(前涼錄四)」 74권 「전량록오(前涼錄五)」 75권 「전량록육(前涼錄六)」 76권 「촉록일(蜀錄一)」
장중화 · 장령요 · 장조 장현정 · 장천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특
77권 「촉록이(蜀錄二)」 78권 「촉록삼(蜀錄三)」 79권 「촉록사(蜀錄四)」 80권 「촉록오(蜀錄五)」
이류 · 이웅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1권 「후량록일(後涼錄一)」 82권 「후량록이(後涼錄二)」 83권 「후량록삼(後涼錄三)」 84권 「후량록사(後涼錄四)」
여광 여소 · 여찬 여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85권 「서진록일(西秦錄一)」 86권 「서진록이(西秦錄二)」 87권 「서진록삼(西秦錄三)」 88권 「남량록일(南涼錄一)」
걸복국인 · 걸복건귀 걸복치반 · 걸복모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89권 「남량록이(南涼錄二)」 90권 「남량록삼(南涼錄三)」 91권 「서량록일(西涼錄一)」 92권 「서량록이(西涼錄二)」
독발녹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고 이흠
93권 「서량록삼(西涼錄三)」 94권 「북량록일(北涼錄一)」 95권 「북량록이(北涼錄二)」 96권 「북량록삼(北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저거몽손 저거무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97권 「북량록사(北涼錄四)」 98권 「북연록일(北燕錄一)」 99권 「북연록이(北燕錄二)」 100권 「북연록삼(北燕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풍발 풍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11><tablebgcolor=#a11>
※ 흠정 24사 관련 틀 둘러보기
||
}}}}}}}}}}}}}}} ||

1. 개요2. 생애

1. 개요

張平
(? ~ 361)

오호십육국시대의 군벌. 자는 불명. 유주(幽州) 대군(代郡) 출신.[1]

2. 생애

무제 석호 재위기에 후조로 임관하여 장수가 되었다가 병주(并州)자사로 승진하였다. 대장군 염민이 정변을 일으켜 후조를 멸하고 염위를 건국하였을 때는 양국(襄國)의 신흥왕 석지가 아닌 염민을 따랐던 것으로 보인다.

영흥 원년(350년) 8월, 전연 소속의 대군 사람 조합(趙榼)이 300여 호를 이끌고 후조로 투항해오니, 장평이 이들을 거두어 들였다.

영흥 2년(351년) 2월, 평제 염민이 양국에서 후조와 전연 연합군에게 대패하여 수많은 장수와 참모들을 잃고 나라가 혼란에 빠지기 시작하였다. 이에 장평은 당시 장안에서 전진 정권을 세운 저족 부건에게 사자를 보내 투항하여 대장군, 기주목(冀州牧)에 임명되었다.

황시 2년(352년) 10월, 전연이 염위의 수도 업(鄴)을 함락시킴으로써 염위를 멸망시켰다. 이때 장평은 전연에도 사자를 보내 칭번하여 연왕 모용준으로부터 병주자사 직책을 그대로 인정받았다.

수광 2년(356년) 9월, 동진의 대사마 환온에게 대패하여 낙양을 잃은 강족 요양이 패잔병을 거느리고 전진을 배반한 병주자사 윤적(尹赤)과 세력을 합쳐 양릉(襄陵)을 점령하였다. 요양이 여기에 만족하지 못하고 평양(平陽)까지 넘보자 장평은 요양을 요격하여 무찔렀고, 요양의 화의 요청을 받아들여 그와 의형제를 맞은 뒤에야 군대를 물렸다.

영흥 원년(357년) 7월, 장평이 이번에는 동진으로 사자를 파견해 투항해오니, 동진에서 그를 병주자사로 삼았다. 장평은 신흥(新興), 안문(雁門), 서하(西河), 태원(太原), 상당(上黨), 상군(上郡) 등 병주의 여러 군을 점거하면서 300여 개의 보루를 곳곳에 축조하였다. 또, 그는 휘하에 백성 10만 호를 보유하고 있어, 스스로 정진(征鎮) 이하의 백관을 두고 전진이나 전연처럼 아예 나라를 세워 이들과 맞서고자 하였다.

승평 원년(357년) 10월, 장평이 전진의 변경을 침공해 노략질을 자행하자, 천왕 부견은 진공(晉公) 부류(苻柳)를 병주목으로 삼아 포판(蒲阪)에서 이를 막게 하였다.

승평 2년(358년) 정월, 상당군의 상당태수 풍앙(馮鴦)이 장평에게 붙었다가 전연에게 붙었기를 여러 차례 반복하였다. 이에 경소제 모용준은 사도 모용평을 보내 상당을 쳤으나 이기지 못하였다.

승평 2년(358년) 2월, 천왕 부견이 친히 군대를 이끌고 장평을 토벌하였다. 전진의 맹장 등강이 기병 5,000기의 선봉군을 이끌고 분수(汾水)에 진을 치니, 장평도 당시 용맹하고 날렵하기로 명성을 떨치던 자신의 양자 장자를 보내 등강과 맞서게 하였다. 장자와 등강은 10여 일간 공방을 주고 받았지만 결판이 나지 않았다.

승평 2년(358년) 3월, 천왕 부견이 이끄는 본대가 마침내 동벽(銅壁)에 이르자, 장평은 모든 병력을 내몰아 전진군에게 총공세를 펼쳤다. 이때 장자가 단기로 큰소리를 지르며 적진으로 뛰어들어 전진군을 벤 후에 물러나기를 너덧번 반복하면서 분전하였으나, 등강과 응양장군 여광이 협공을 가하는 바람에 결국 전진군에게 생포당했다. 이로 인해 장평의 군대가 크게 무너졌고, 장평은 두려워 항복을 청하였다. 이에 천왕 부견은 장평이 반란한 죄를 사면해주고 그를 우장군으로 삼는 대신, 장자를 호분중랑장으로 삼아 전진군에 배속시키고, 휘하의 3,000여 호를 장안으로 이주시켰다.

영흥 2년(358년) 9월, 풍앙을 물리치고 상당을 빼앗은 사도 모용평이 이어서 장평을 쳤다. 그러자 장평의 정서장군 제갈양(諸葛驤), 진북장군 소상(蘇象), 녕동장군 교서(喬庶), 진남장군 석현(石賢) 등이 각자 보루를 들어 전연에 투항하였고, 이때 투항한 보루의 수가 도합 138개에 달하였다. 장평은 군사 3,000여 명을 거느리고 평양으로 들어가 전연에 항복하였다.

건희 2년(361년) 9월, 장평이 다시 전연을 배반하여 평양에 주둔 중이던 전연군을 습격해 평양태수 단강(段剛)과 독호 한포(韓苞)를 살해하고, 안문군도 공격해 안문태수 선남(單男)을 살해하였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전진군이 쳐들어와 공격하자 장평은 황급히 전연에 구원을 청했지만, 장평의 연이은 배반에 질려버린 전연은 구원해주지 않았다. 결국, 장평은 전진군에게 패해 살해당함으로써 완전히 멸망하였다.


[1] 혹은 예주(豫州) 초국(譙國) 질현(銍縣) 출신일 수도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