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17:00:02

인종 보수주의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사상 의 분파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온건 · 개혁적 보수주의
녹색 보수주의 일국 보수주의 실용적 보수주의 온건 보수주의 진보적 보수주의
현대적 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 보수자유주의 재정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신보수주의
고전적 보수주의
가부장적 보수주의 전통적 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 문화적 보수주의 고보수주의
가족주의
강경 보수주의
초보수주의 교권주의 토착민주의 반동주의 국민보수주의(일부)
인종 보수주의 권위주의적 보수주의
종교적 보수주의
기독교 민주주의 기독교 우파 이슬람 민주주의 이슬람주의 불교 민주주의
유대 보수주의 종교 시오니즘 가톨릭 보수주의 힌두트바 보수주의 신학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융합주의 고자유지상주의
지역별 보수주의
보나파르트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오를레앙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법통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드골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보수혁명 파일:독일 국기.svg
일국 보수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대처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트럼프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푸틴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 유라시아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
보수민주주의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원칙주의 파일:이란 국기.svg 알폰소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 카를로스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 프랑코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
메넴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정통 페론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밀레이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일민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따뜻한 보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국민우파 파일:호주 국기.svg 후지모리주의 파일:페루 국기.svg 피노체트주의 파일:칠레 국기.svg 보우소나루주의 파일:브라질 국기.svg 베를루스코니주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신보수주의 파일:중국 국기.svg 장제스주의 파일:대만 국기.svg
나라별 현황
대만의 보수주의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독일의 보수주의 러시아의 보수주의 미국의 보수주의
영국의 보수주의 인도의 보수주의 중국의 보수주의 일본의 보수주의 호주의 보수주의
홍콩의 보수주의
문화, 지역별 현황
한반도의 보수주의
연관 이념
보수주의 페미니즘 성소수자 보수주의 흑인 보수주의 교권 파시즘 유사 파시즘
중도실용주의 우익대중주의 군주주의 ( 왕당파) 삼민주의 사회자유 보수주의
민족주의** 제국주의 권위주의적 자본주의 보수적 사회주의
연관 개념
전통 법과 질서 권위 가족 충성
위계 자연법 정통성 도덕 사회 질서
기타
우익 정치 아시아적 가치 보수좌파 탈파시즘 백색 테러
반공주의 반사회주의 안티페미니즘(일부) 반자본주의(일부) 반자유주의(일부)
부르주아 정당 친생명 귀족 이익 영국 연합주의 사회진화론
블루 타이드 엘리트주의 백래시 힘에 의한 평화 시니스트리슴
폴크스게마인샤프트 폴크헴메트 종교적 우파 대안 우파 정체성 정치
반혁명 군사 케인스주의
관련 단체
국제민주연합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무슬림 형제단 콘라트 아데나워 재단 에라스뮈스 재단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 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 국민주의는 근대(modern)에 탄생한 이념이다. 따라서 21세기 기준 서구 선진국에서 국민보수주의가 강경 우익인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는 근대적/현대적(modern) 보수주의이며, 고전적(classical) 보수주의에 속하지 않는다.
상징 | 역사 | 인물
}}}}}}}}} ||

1. 개요2. 사례
2.1. 대한민국2.2. 미국2.3. 일본
3. 다른 의미4. 관련 인물/단체5. 같이 보기

1. 개요

인종 보수주의 혹은 인종적 보수주의(Racial conservatism)는 말 그대로 인종 문제에서 보수주의적 견해를 보이는 것을 말하는데 인종 차별 문제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인종 내셔널리즘과 다르긴 하지만 주류 인종에 기반한 인종 내셔널리즘은 인종 보수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사례

2.1. 대한민국

대한민국 정부는 권위주의 시대에 단일민족(single race)를 유지하려는 정책을 펴 왔다. 이승만 정부 일민주의를 통해 혼혈 출산아를 해외로 강제 입양보내는 순수혈통주의에 기반한 정책을 폈으며 박정희 정부 단군의 혈통을 이어받은 우리는 모두 단일민족이라는 단군민족주의를 국민들에게 적극 주입시켰다.

민주화 이후에도 좌우 할 거 없이 민족주의(ethnonationalism)에 기반한 주장을 펴 왔기 때문에 브라이언 마이어스 등 일부 해외 학자들은 이를 인종 차별적(racist)이고 race-based nationalism에 가깝다고 비판하기도 하였다.[1] 그러나 21세기 들어서 다인종주의[2]를 수용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2.2. 미국

미국에서 인종 보수주의적 현상은 그 역사가 깊다.

인종 보수주의는 전통적으로 미국 남부에서 두드러졌는데 남북 전쟁 이전에는 흑인 노예제를 사수하였다. 남북전쟁 이후 재건 시대 들어서는 전통적인 인종관념을 지지해 흑인 민권 향상에 반대하는 쿠 클럭스 클랜이 조직되었다. 이후 남부의 인종보수주의는 남부의 표가 민주당에 쏠리게 만들었는데 이를 솔리드 사우스(Solid South)라고 하며 1876년부터 1964년까지 지속되었다.

민권 시대 린든 B. 존슨 민권법을 제정하면서 본래 링컨 전통을 표방하던 공화당을 지지하던 흑인들의 표가 거의 민주당으로 넘어가 버려서[3] 공화당은 이전에 민주당을 지지하던 남부 표를 빼앗아 오기 위해 인종보수주의 정서에 호소했는데 이를 남부전략이라고 부른다.

현대의 미국 인종 보수주의는 다음과 같은 성격을 보인다.
현대 미국의 인종 보수주의자들은 리처드 스펜서급 파시스트가 아닌 한 스스로 대놓고 "인종 보수주의자"라고 밝히지 않는다. 단지 정치학자들이 그러한 정서나 현상에 가까운 것을 인종 보수주의로 분석할 뿐이다.

2.3. 일본

일본은 인종 보수주의가 매우 강력한 나라로 알려져 있다.

일본은 단일민족(single race)[4]을 유지하려는 암묵적 정서가 형성된 대표적 국가로 알려져 있다. 가령 2005년에 아소 다로가 일본을 "단일민족" 국가라고 표현했는데 재팬 타임스에서는 이것을 "'one race' nation"으로 번역했다. # 일부 고위급 보수 정치인들이 혐한 단체(anti-Korean group)로부터 기부를 받기도 하였다. # 산케이 신문에선 아베 신조의 측근인 소노 아야코(曽野 綾子) 작가에 의해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외국인 노동자 받긴 하지만 인종을 분리하는 아파르트헤이트 체제를 만들자는 노골적으로 인종 차별적인 칼럼이 올라오기도 했다. # 심지어 아베 신조는 퇴임 후 2022년 자민당 선거 유세 중에 일하지 않는 외국인은 일본에서 떠나야 한다며, 내가 한국인을 추방시키겠다고까지 발언했다. #

그러나 강경파인 아베 신조가 물러난 후 시간이 지나 기시다 후미오 등 온건파가 집권하면서 이민 정책도 전보다는 더 개방적으로 변했다. 2020년대 들어 일본은 이민자를 적극 받아들이려고 정책 기조를 바꾸는 등 보수 집권당 내에서도 인종 보수주의가 약화되고 있다. #

3. 다른 의미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적기는 한데 인종 보수주의는 무미건조하게 백인이나 주류인종이 아니더라도 특정 인종에 기반한 보수주의를 가리키기도 한다. 흑인 보수주의가 대표적이다.

4. 관련 인물/단체

5. 같이 보기



[1] 마이어스는 실제로 한국어 '민족주의'를 'race-based nationalism'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2] 한국에서는 흔히 ' 다문화주의'라고 하는데 사실 한국의 소위 다문화주의 정책은 타 민족/인종(race)을 한국 문화에 융화시키려는 것이기 때문에 서구적 의미의 다문화주의와는 거리가 먼 동화주의에 더 가깝다. [3] 사실 뉴딜연합 시기에도 상당수가 공화당에서 민주당으로 넘어가긴 했다. 물론 이땐 딕시크랫과도 일정 부분 힘을 합쳤지만. [4] 뒤에 출처에서 이렇게 적혀 있다. "Immigration is kept to a minimum and there is a strong sentiment among both the government and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to maintain a mono-culture by retaining a single race in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