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13:26:32

이창원호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59년 이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초대

박규정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대

황석규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대

이기주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4대

김지성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5대

박재승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6대

박대종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7대

박병석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8대

박경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9대

우상권 / 손명섭
강준영 / 이병직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0대

안종수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1대

한창화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2대

함흥철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3대

박병석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4대

유광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5대

장운수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6대

이우현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7대

오완건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8대

유현철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19대

유판선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0대

김찬기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1대

박종환
( 박종환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2대

김삼락
( 김삼락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3대

정병탁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4대

오근영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5대

김삼락
( 김삼락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6대

안세욱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7대

남대식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8대

박상인
( 박상인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29대

원흥재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0대

박이천
( 박이천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1대

박창선
( 박창선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2대

조영증
( 조영증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3대

박성화
( 박성화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4대

조동현
( 조동현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5대

홍명보
( 홍명보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6대

이광종
( 이광종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7대

김상호
( 김상호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8대

안익수
( 안익수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39대

신태용
( 신태용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40대

정정용
( 정정용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41대

김정수
( 김정수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42대

김은중
( 김은중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임시

이창현
(임시)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0138; font-size: .8em;"
43대

이창원
( 이창원호)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
<colbgcolor=#E6002D>
제43대 감독
이창원
<colcolor=white> 감독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이창원 / 제43대
코치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이창현 (수석 코치)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최현연 (코치)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황희훈 (골키퍼 코치)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권준현 (피지컬 코치)
주장
[[틀:국기|]][[틀:국기|]][[틀:국기|]] 미정
계약 기간 2024년 5월 20일 ~ 현재
(1개월 경과 / [dday(2024-05-20)]일)
계약 중 ( 기준)
연봉 미상
전술 스타일
성적 2025 AFC U-20 아시안컵 (?위)
1. 개요2. 선임 과정3. 코칭스태프 명단4. 활동
4.1. 2024년
5. 전적

[clearfix]

1. 개요

2024년 5월 20일에 선임된 이창원의 U-20 대표팀 감독 재임 기간을 다룬다.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이기 때문에 2005년생 선수들을 주축으로 하여 2025 AFC U-20 아시안컵에 출전할 예정이며, 해당 대회에서 준결승에 진출(대회 4위 이내)하면 2025 FIFA U-20 월드컵 칠레 본선[1]에 진출하게 된다.

2. 선임 과정

김은중호가 끝나고 2023년까지는 이창현 감독 대행 체제가 유지되다가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선임 과정에 들어갔다. 초기에는 A 대표팀에서 굵직한 선수 경력을 지닌 설기현 혹은 차두리가 유력하다는 설이 지배했다.

그런데 2024년 초 A 대표팀 감독의 경질 사태 이후 마이클 뮐러 전 전력강화위원장이 사퇴하고 정해성이 전력강화위원장이 부임하며 감독 선임 건은 새로운 국면으로 들어갔다. 바로 정해성 신임 위원장은 이름값을 배재하고 유소년 레벨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낸 감독 위주로 선임하겠다는 방향성을 잡으며 설기현과 차두리 선임은 모두 없던 일이 된 채 새로운 후보를 물색하게 됐다.

이후 서형욱의 유튜브 '뽈리TV'에 따르면 이창원을 포함해 강철, 변성환, 박성배가 최종 후보에 올라 협회와 면접을 진행했다고 밝혀졌다.

네 명의 후보 커리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담으로 김도훈 감독 역시 최종 후보로 고려됐으나 본인이 PPT를 활용한 발표에 부담을 느껴 최종 고사했다고 한다. 또한 이관우 청주대학교 감독 역시 후보로 고려됐으나 최종 명단에 포함되진 않았다고 한다.

결국 이미 아마 레벨에서 가장 유의미한 커리어를 쌓았던 이창원이 최종 감독으로 선임됐다. 다만, 이 발표가 김도훈의 대표팀 임시 감독 기사와 맞물려 발표되며 다소 뭍혔다.

3. 코칭스태프 명단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이창원호 / 코칭스태프
감독 수석 코치 코치 골키퍼 코치 피지컬 코치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이창원 이창현 최현연 황희훈 권준현
직책 이름 국적 생년월일
<colbgcolor=#000> 감독 <colbgcolor=#fff,#191919> 이창원
Lee Chang-Won
<colbgcolor=#fff,#191919>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colbgcolor=#fff,#191919> 1975년 7월 10일 ([age(1975-07-10)]세)
수석 코치 이창현
Lee Chang-Hyun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85년 12월 18일 ([age(1985-12-18)]세)
코치 최현연
Kim Tae-Min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84년 4월 16일 ([age(1984-04-16)]세)
골키퍼 코치 황희훈
Hwang Hee-Hun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1979년 9월 20일 ([age(1979-09-20)]세)
피지컬 코치 권준현
Kwon Jun-Hyun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age()]세)
기준

4. 활동

4.1. 2024년

2024년 5월 25일에 1기 명단을 발표했다. 6월 중국 웨이난에서 열리는 4개국 친선대회에서 이창원호가 본격적으로 출범했다. #

1차전 우즈베키스탄전 무승부, 2차전 베트남전 승리를 거뒀으나 3차전 중국전 0:2로 패배했다. U-20 대표팀이 중국에 패배한 건 무려 20년 만의 일이다.

5. 전적

일시 (한국 시각) 장소 상대팀 경기 결과 스코어 득점자 구분
2024. 06. 04. 중국, 웨이난스포츠센터 우즈베키스탄 U-19 1:1 진준서 중국축구협회 U-19 국제친선대회
2024. 06. 07. 중국, 웨이난스포츠센터 베트남 U-19 1:0 진준서
2024. 06. 10. 중국, 웨이난스포츠센터 중국 U-19 0:2 -

[1] 24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