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1 00:44:56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2024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역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리버풀 2023
말뫼 2024 미정 2025
<colbgcolor=#ff47e0><colcolor=#000> Eurovision SONG CONTEST
MALMÖ 2024
파일:Eurovision_Song_Contest_2024_Logo.svg.png
개최 정보
개최일자[1] 세미파이널 1: 2024년 5월 7일
세미파이널 2: 2024년 5월 9일
파이널: 2024년 5월 11일
개최지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말뫼
Malmö Arena
표어 United by Music
참가국 37개국
미참가국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복귀국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우승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1. 개요
1.1. 개최지 선정1.2. 변경 사항1.3. 투표
2. 대회 진행
2.1. 일정2.2. 복귀국 및 불참국2.3. 참가자 발표
3. 경연 결과
3.1. 세미파이널 13.2. 세미파이널 23.3. 파이널
4. 결과 분석
4.1. 세미파이널
4.1.1. 세미파이널 14.1.2. 세미파이널 2
4.2. 파이널
5. 평가6. 사건사고
6.1. EBU의 이스라엘 특혜와 이스라엘의 타국 참가진 도발 및 괴롭힘6.2. 이탈리아 세미파이널 2 자국 텔레보팅 결과 유출6.3. 네덜란드 대표 실격
7. 여담
7.1. 번외상 수상자

[clearfix]

1. 개요

68회째를 맞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23년 대회에서 스웨덴의 Loreen이 우승함에 따라 스웨덴에서 개최되며, 대회의 전반적인 진행과 방송 제작을 담당하는 주관방송사는 스웨덴의 공영방송사인 SVT가 담당한다.

1.1. 개최지 선정

과거 스웨덴이 유로비전을 개최했던 도시로는 스톡홀름(1975년, 2000년, 2016년), 말뫼(1992년, 2013년), 예테보리(1985년)가 있다. 유로비전과 같은 대규모 행사를 개최할 수 있는 규모의 도시가 많지 않기 때문에 이번 대회 또한 이 세 도시의 삼파전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실제로 Loreen의 우승이 발표된 직후 이 세 도시들이 유치 의사를 표명했다.

7월 7일 말뫼로 개최지가 최종 결정되었다. 기사 장소는 2013년 대회와 마찬가지로 말뫼 아레나.

1.2. 변경 사항

작년부터 비참가 국가[2]도 투표할 수 있는 Rest of the World 제도가 약간 변경 되었는데, 비참가 국가는 대회 하루전부터 대회가 시작하기 전까지 사전투표가 가능하며, 이후 공연이 끝난 뒤부터 다시 투표가 가능하다. 반면에 참가 국가는 예전대로 공연이 모두 끝난 후에 정해진 시간에만 투표할 수 있다.
파이널에서는 모든 국가가 공연시작 직후부터 투표가 가능하다.

또한 Big 5와 개최국은 세미파이널 공연 순서를 부여받지 않고 다른 출전국가들의 공연이 모두 끝난 후 투표시간에 나와 잠깐동안 인터뷰를 한 뒤 미리 녹화된 공연 영상의 일부만 짧게 틀어주는 식으로만 소개되었으나, 이번 대회부터는 Big 5와 개최국 역시 세미파이널에서 순서를 부여받아 공연을 하게 된다. 물론 파이널에 자동 진출하는 것은 기존과 동일하며, 출전 국가들의 번호에도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다.

1.3. 투표

앞서 설명하였듯이 전세계의 유로비전 팬이라면 어느 국가에 있든지 투표할 수 있다. 마음에 드는 아티스트가 있다면 공식 홈페이지에 가서 투표를 할 수 있다. 요금은 한국 기준 '한 표'에 0.99유로이다. 추가로 유럽방송연맹에서 작년과 달리 시차가 심하게 나는 국가들을 배려하기 위해서 비참가 국가 대상으로 공연전 약 20시간 전에 사전투표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국 돈으로 환산하면 2024년 5월 7일 환율기준으로 한 표당 1,449.93원이다. 온라인에서 신용카드를 인증하는 방식으로 진행이 되며 본인의 신용하드 하나당 최대 20회 투표[3]가 가능하다.

2. 대회 진행

2.1. 일정

중부유럽 섬머타임 (UTC +02:00) 기준.

2.2. 복귀국 및 불참국

2023년 5월 12일, 룩셈부르크의 복귀가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발표되었다. # 무려 31년 만의 복귀인데다, 1993년까지의 참가 동안 무려 5번의 우승을 기록했던 강국이었던 만큼 팬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

루마니아의 경우는 EBU와 참가비에 대해 합의를 보고 있었고, EBU에서는 참가비 지불 기한을 연장하기로 합의했으며 참가비를 지불한다면 루마니아도 참가국 리스트에 포함될 예정이었지만 결국 참가비 지불문제로 불참을 선언하였다. 공교롭게도 루마니아가 같은 사유로 불참한 대회인 2016년 대회 또한 개최장소가 스웨덴이다. 그래도 대회 직전 제명이라는 방식을 사용하여 여러모로 잡음이 많았던 2016년과 비교하면 평화적으로(?) 끝났다.

2.3. 참가자 발표

이전 대회 참가자
파일:영국 국기.svg 리버풀 2023
다음 대회 참가자 ▶
파일:스위스 국기.svg 미정 2025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결승 진출국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네모 베이비 라자냐 얼료너 얼료너 & 제리 하일 슬리만 에덴 골란
The Code Rim Tim Tagi Dim Teresa & Maria Mon Amour Hurricane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뱀비 써그 안젤리나 망고 라다니바 마커스 & 마티너스 욜란다
Doomsday Blue La noia Jako Unforgettable Grito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마리나 사티 이자크 탈리 실베스터 벨트 실리아 캡시스
ZARI Always on the Run Fighter Luktelk Liar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돈스 테야 도라 올리 알렉산더 윈도우즈95맨 5miinust & Puuluup
Hollow Ramonda Dizzy No Rules! (Nendest) narkootikumidest ei tea me (küll) midagi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누차 부잘라데 네불로사 레이븐 칼린 고터
Firefighter Zorra Veronika We Will Rave Ulveham
세미파이널 1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일렉트릭 필드 루나 나탈리아 바르부스 파흐리 헤라 비요크
One Milkali (One Blood) The Tower In the Middle Özünlə Apar Scared of Heights
세미파이널 2
파일:체코 국기.svg 체키아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아이코 사바 뮈스티 메가라 베사
Pedestal Sand Before the Party's Over 11:11 Titan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사라 보니치
Loop
실격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유스트 클라인
Europapa
}}}}}}}}} ||

3. 경연 결과

3.1. 세미파이널 1

세미파이널 1 참가국들과 영국, 독일, 스웨덴이 투표권을 행사하며, 그 외의 모든 국가의 표는 "Rest of the World"로 합산되어 계산된다. 진출자는 음영으로 표시.
순서 참가국 가수 노래 언어 순위 점수 MV 공연 영상
01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Silia Kapsis Liar 영어 6 67 # #
02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TEYA DORA RAMONDA 세르비아어 10 47 # #
03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Silvester Belt Luktelk 리투아니아어 4 119 # #
04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Bambie Thug Doomsday Blue 영어 3 124 # #
E1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Olly Alexander Dizzy 영어 # #
05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Alyona alyona & Jerry Heil Teresa & Maria 우크라이나어, 영어 2 173 # #
06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LUNA The Tower 영어 12 35 # #
07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Baby Lasagna Rim Tim Tagi Dim 영어 1 177 # #
08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Hera Björk[4] Scared of Heights 영어 15 3 # #
E2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Isaak Always on the Run 영어 # #
09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Raiven Veronika 슬로베니아어 9 51 # #
10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Windows95man No Rules! 영어 7 59 # #
11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Natalia Barbu[5] In The Middle 영어 13 20 # #
E3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Marcus & Martinus Unforgettable 영어 # #
12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FAHREE (feat. Ilkin Dovlatov) Özünlə Apar 영어, 아제르바이잔어 14 11 # #
13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Electric Fields One Milkali[6] 영어, 얀쿠니차차라어[7] 11 41 # #
14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iolanda Grito 포르투갈어 8 58 # #
15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TALI Fighter 프랑스어, 영어 5 117 # #

3.2. 세미파이널 2

세미파이널 2 참가국들과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가 투표권을 행사하며, 그 외의 모든 국가의 표는 "Rest of the World"로 합산되어 계산된다. 진출자는 음영으로 표시.
순서 참가국 가수 노래 언어 순위 점수 MV 공연 영상
01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Sarah Bonnici Loop 영어 16 13 # #
02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BESA TITAN 영어 15 14 # #
03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Marina Satti ZARI 그리스어, 영어 5 86 # #
04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Nemo The Code 영어 4 132 # #
05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Aiko Pedestal 영어 11 38 # #
E1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Slimane Mon amour 프랑스어 # #
06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Kaleen We Will Rave 영어 9 46 # #
07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SABA SAND 영어 12 36 # #
08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LADANIVA Jako 아르메니아어 3 137 # #
09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Dons Hollow 영어 7 72 # #
E2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Nebulossa Zorra[8] 스페인어 # #
10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MEGARA 11:11 스페인어 14 16 # #
11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Nutsa Buzaladze Firefighter 영어 8 54 # #
12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Mustii Before the Party's Over 영어 13 18 # #
13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5MIINUST x Puuluup (nendest) narkootikumidest ei tea me (küll) midagi 에스토니아어 6 79 # #
E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Angelina Mango La noia 이탈리아어 # #
14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Eden Golan Hurricane 영어, 히브리어 1 194 # #
15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Gåte Ulveham 노르웨이어 10 43 # #
1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Joost Klein Europapa 네덜란드어 2 182 # #

3.3. 파이널

우승자 및 2, 3위는 음영으로 표시.
순서 참가국 가수 노래 언어 순위 점수 MV 공연 영상
01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Marcus & Martinus Unforgettable 영어 9 174 # #
02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Alyona alyona &
Jerry Heil
Teresa & Maria 우크라이나어, 영어 3 453 # #
03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Isaak Always on the Run 영어 12 117 # #
04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TALI Fighter 프랑스어, 영어 13 103 # #
05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Joost Klein Europapa 네덜란드어 [실격] # [실격]
06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Eden Golan Hurricane 영어, 히브리어 5 375 # #
07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Silvester Belt Luktelk 리투아니아어 14 90 # #
08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Nebulossa Zorra 스페인어 22 30 # #
09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5MIINUST x
Puuluup
(nendest)
narkootikumidest
ei tea me (küll) midagi
에스토니아어 20 37 # #
1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Bambie Thug Doomsday Blue 영어 6 278 # #
11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Dons Hollow 영어 16 64 # #
12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Marina Satti ZARI 그리스어, 영어 11 126 # #
13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Olly Alexander Dizzy 영어 18 46 # #
14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Gåte Ulveham 노르웨이어 25 16 # #
1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Angelina Mango La noia 이탈리아어 7 268 # #
16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TEYA DORA RAMONDA 세르비아어 17 54 # #
17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Windows95man No Rules! 영어 19 38 # #
18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iolanda Grito 포르투갈어 10 152 # #
19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LADANIVA Jako 아르메니아어 8 183 # #
20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Silia Kapsis Liar 영어 15 78 # #
21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Nemo The Code 영어 1 591 # #
22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Raiven Veronika 슬로베니아어 23 27 # #
23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Baby Lasagna Rim Tim Tagi Dim 영어 2 547 # #
24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Nutsa Buzaladze Firefighter 영어 21 34 # #
25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Slimane Mon amour 프랑스어 4 445 # #
26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Kaleen We Will Rave 영어 24 24 # #

4. 결과 분석

4.1. 세미파이널

4.1.1. 세미파이널 1

사전에 기대를 모았던 크로아티아, 리투아니아, 우크라이나는 예상대로 손쉽게 파이널에 진출했으며, 작년과 비슷한 장르로 나온 핀란드도 진출하였다. 특히 크로아티아는 독립 이후 90년대 후반에 잠시 주목을 받았지만 그 이후로는 크게 두각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던 국가였는데, 중독성 있는 리듬과 비트를 기반으로 한 파워풀한 메탈 장르인 올해 참가곡이 크게 주목을 받아 가장 유력한 우승후보로 지목되고 있다.
그리고 상당한 가창력으로 승부를 본 포르투갈, 세르비아, 슬로베니아[11] 역시 진출에 성공했으며 파워풀한 댄스곡을 선보인 키프로스도 무난히 파이널에 안착했다. 31년만에 유로비전에 복귀한 룩셈부르크 또한 캐치한 프랑스어 올드팝을 들고 나와 팬들에게 환호를 받았고 마지막 10번째로 호명이 되면서 파이널 진출에 성공하며 완벽한 복귀식을 치렀다.

무엇보다 2018년 마지막 파이널 진출 이후 4회 연속으로 탈락의 고배를 마셔 암흑기에 빠져있었던[12] 아일랜드는 공개 당시만 해도 난해한 컨셉과 익숙치 않은 장르의 노래로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으나[13], 어둡고 기괴한 곡의 분위기에 걸맞는 연출과 국가 예선때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안정적인 라이브를 선보이면서 당당히 진출국 명단에 올랐으며 올해 우승후보인 크로아티아, 이탈리아, 우크라이나[14], 스위스를 위협할 정도로 무서운 속도로 치고 올라오고 있다.[15] 과연 2017년 포르투갈처럼 초창기에 큰 주목을 받지 못하다가 본 대회에서 무대 퍼포먼스를 보여주면서 인기를 왕창 얻고 쟁쟁한 경쟁상대를 모조리 제치고 우승을 차지할 수 있을지도 주목받고 있다. 공연 전까지만 해도 인터뷰나 프리파티에서 쿨한 이미지를 대중들에게 줄곧 보여왔다가 아일랜드가 파이널 진출국으로 호명되자 바로 감격의 눈물을 펑펑 흘리는 대표의 반전 매력 또한 주목받았다.[16]

올해 참가한 구 유고 연방 3개국(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이 모두 세미파이널 1에 배정되었는데, 작년과 같이 전원 파이널에 진출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17]

2010년 참가자를 다시 참가시킨 아이슬란드는 화려하고 폭발적인 가창력을 앞세워 결승에 간 2010년과 다르게 다소 밋밋한 노래와 무대를 보여주면서 예상대로 15위 꼴찌로 탈락했고, 아제르바이잔과 폴란드는 나름 장르의 컨셉에 맞는 노래를 출품하며 팬덤도 어느정도 확보했었고 기대도 꽤 모았지만 정작 공연 내내 불안정한 라이브를 보여주면서 탈락하고 말았다.[18] 순위는 각각 14위와 12위. 가창력이 보장되어있는 호주와 몰도바는 무대구성이나 라이브는 괜찮았지만 노래 자체의 임팩트가 떨어진 것이 문제가 되었고 결국 우려가 현실이 되어 탈락하고 말았다. 특히 몰도바는 2016년 이후 8년만의 세미파이널 탈락이라 아쉬움을 남겼다. 순위는 각각 11위와 13위.

호주와 폴란드는 아쉽게 탈락했지만 아제르바이잔은 작년과 똑같이 14위를 기록하면서 슬럼프에 빠지기 시작한 모습이다.

4.1.2. 세미파이널 2

사전에 많은 인기를 받았던 네덜란드[19], 스위스, 그리스는 무난히 진출하였다. 특히 스위스는 크로아티아와 경쟁할 만한 우승후보로 점쳐지는 중. 전쟁과 그 과정에서의 민간인 학살로 인해 이미지가 바닥을 쳤던 이스라엘 또한 뛰어난 가창력을 선보이며 진출하였다.[20] 또한 이탈리아의 방송국 RAI가 공개한 이스라엘의 텔레보트 득표율은 무려 40%였기에 새로운 우승 후보로 급부상했다. 이와 관련된 논란은 사건사고 문단 참조.
항상 무난하게 좋은 곡을 출품하는 노르웨이는 이번엔 자국어로 된 락음악을 가져와서 팬들을 사로잡으며 진출하였고, 오스트리아는 약간 불안정한 라이브에도 불구하고 대표의 여러 댄스 경연 대회 우승 경력에 힘입은 준수한 댄스 퍼포먼스[21]를 보여주면서 진출에 성공하였다. 독특한 컨셉이 돋보이는 쾌활하고 밝은 무대를 선보인 에스토니아와 아르메니아 역시 예상대로 진출에 성공했다.

무엇보다 세미파이널2에서 가장 주목할 국가는 라트비아와 조지아였다. 두 국가는 2016년 마지막 파이널 진출 이후 무려 6회 연속 탈락의 사슬을 끊고 파이널에 진출하였다. 세미파이널1에서 공연했던 아일랜드보다 더 긴 암흑기를 극복하고 파이널에 진출한 셈이다. 특히 두 국가는 작년에 준수한 인기를 얻고도 각각 11위, 12위로 아쉽게 파이널 진출에 실패했기 때문에 유로비전 팬들에게 수많은 동정을 받아왔다. 그나마 조지아는 아메리칸 아이돌 참가 경험으로 그에 걸맞는 파워풀한 댄스팝곡을 들고 나와 사전 진출 배당확률 88%을 기록하며 무난히 진출할 것 같아보였지만, 문제는 라트비아. 그다지 특출날 것 없는 잔잔한 발라드곡을 출품해 세미파이널 2 공연 직전까지 사전 진출 배당확률 15%로 압도적인 꼴찌를 기록해 진출 가능성이 매우 절망적이었으나, 라이브 공연에서 임팩트있고 굵직한 목소리로 폭발적인 무대를 선보이면서 첫 호명으로, 그것도 7위라는 나름 넉넉한 성적으로 파이널에 안착했다. 하마터면 두 국가 모두 8회 연속 탈락이라는 대기록을 세운 네덜란드를 따라잡을 뻔 하였으나 그동안의 서러움을 날려버리고 파이널에 진출한 것이다. 여담으로 두 국가 모두 파이널에 진출했던 마지막 대회는 스웨덴에서 열린 2016년 스톡홀름 대회. 공교롭게도 무려 8년만에 또 한번 스웨덴에서 진출에 성공한 셈이다. 이로써 2015년 이후 9년만에 발트 3국이 모두 파이널에 진출하게 되었다.

탈락한 국가 중에서 몰타와 벨기에가 아쉽다는 평을 받는다. 몰타는 비록 첫 번째로 공연한다는 리스크가 컸지만 아주 준수한 퍼포먼스를 보여줬음에도 파이널 명단에 오르지 못했다. 사전에 2022년 스페인 안무와 비슷하다는 우려가 있었는데 결국 이 점을 극복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결과는 세미파이널 2에서 16위를 하며 꼴찌를 기록했다.
벨기에는 초기에 노래를 출품했을 때만 해도 폭발적인 후렴구와 팬들이 함께 코러스를 녹음해주는 특별한 시도로 굉장히 기대를 모았지만 본 공연 내내 아주 불안정한 라이브를 보여주면서 잃어버린 팬심을 되찾는데 실패하여 13위로 탈락하였다.
산마리노도 난잡한 퍼포먼스, 불안정한 보컬, 박자 실수 등으로 영 좋지 않은 라이브를 보여주며 14위로 탈락했고, 덴마크 역시 무대에서의 긴장감을 극복하지 못하고 불안정한 라이브를 선보이면서 12위로 탈락했다. 체코와 알바니아는 무대 퍼포먼스는 무난했지만, 관객들에게 큰 임팩트를 남겼던 작년의 출전곡과도 비교되는 밋밋한 곡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했다. 각각 11위와 15위로 준결승을 마쳤다.

여기에서 몰타는 작년에 이어 연속으로 꼴찌를 기록하면서 암울해지기 시작했고 특히 덴마크는 2021년 부터 4회 연속으로 결승진출에 실패하면서 이번 대회에 슬럼프를 끊은 아일랜드, 조지아, 라트비아처럼 암흑기가 제대로 도래한 상황이다.

4.2. 파이널

사전 예상대로 스위스가 심사위원 투표에서 365점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으며[22] 그 뒤를 프랑스, 크로아티아, 이탈리아, 우크라이나가 이었다. 독특한 컨셉 때문에 심사위원 투표에서 고전할 것이라 예상되었던 아일랜드는 심사위원 투표에서 6위를 차지하며 이변을 만들어냈다.
여담으로 그리스와 키프로스가 심사위원 투표에서 매년 12점을 주고받던 전통이 깨졌다. 그리스는 대신 스위스에서 뜬금없이 12점을 받자 가수 본인도 놀라는 반응을 보였다.

이후 텔레보팅 결과가 발표된다. 100점을 넘지 않는 고만고만한 점수들이 발표되던 중 이번 대회 논란에 중심에 섰던 이스라엘이 무려 323점을 받으면서 1위로 올라가게 된다. 이미 대회 직전부터 네덜란드의 극우 정치인 헤이르트 빌더르스가 이스라엘에 대한 투표를 독려하는 등 # 정치적인 몰표가 예고되었던 바 있었다. 그러나 political voting으로 1위에 올라선 것도 잠시, 또다른 political voting의 주인공인 우크라이나가 307점을 받으며 총점 453점으로 1위를 탈환한다. 이후 크로아티아가 337점으로 가장 많은 텔레보팅 점수를 받으며 총점 547점으로 1위를 차지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남은 국가는 심사위원 점수 2위의 프랑스와 1위 스위스. 프랑스는 텔레보팅 227점으로 1위에 오르지 못하며 마지막으로 스위스 점수 발표를 기다리게 된다. 마지막으로 발표된 스위스의 텔레보팅 점수는 226점으로 총점 591점을 받아 스위스가 셀린 디옹의 우승 이후 36년 만의 우승을 차지한다.

종합 순위대로 정리하자면 앞서 설명하였듯이 1등은 스위스였다. 36년만에 스위스의 개최권을 따낸 Nemo는 논바이너리로 어느정도 성소수자의 지지를 받기도 하였고, 무엇보다 노래자체가 3분 내내 고음을 소화해야 하고 중간에 다른 장르인 랩 파트도 들어가 있는 등 난이도가 상당히 높음에도 아주 무난하게 소화하여 심사위원들에게 압도적인 몰표를 받게 되었다. 물론 시청자 투표에서는 5위를 차지했지만 이미 심사위원 투표에서 2위를 차지한 프랑스를 147점을 앞서있었기 때문에 이미 우승가능성이 농후한 상태였다.

2위는 크로아티아이다. 작년 핀란드의 Käärijä처럼 심사위원 투표의 희생자라고 할 수 있다. 사전에 시청자들에게 워낙 많은 인기에 힘입어 시청자 투표에서는 1위를 기록하였다. 하지만 심사위원 투표에서 생각보다 저조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3위에 그쳤다. 마지막으로 좋은 성적을 거두었던 2000년 대회에서 9위를[23] 한 이후 줄곧 바닥만 치며 암흑기에 빠지다가 거의 20여년 만에 중독성 있는 리듬과 비트로 구성된 헤비 메탈락 장르를 들고 나와 2위를 한 것이었다. 그래서 크로아티아의 우승을 염원했던 크로아티아의 유로비전 팬들은 허탈한 상황이다. 하지만 헤비메탈 장르가 21세기에 들어서 우승한 것이라고는 2006년, 2021년 두번 뿐 인것으로 보아 심사위원의 투표에서 밀릴 것이라는 것은 어쩌면 기정사실이었을 지도 모른다.

4위는 프랑스이다. 4위부터 설명하는 이유는 3위와 5위를 기록한 우크라이나와 이스라엘이 납득하기 어려운 순위를 기록했기 때문에 같이 묶어서 설명하기 위함이다. 이미 사전에 심사위원으로 부터 압도적인 몰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었던 두 국가 중 하나로 무엇보다 선곡 자체가 심사위원들을 어필할 수 있는 높은 가창력이 요구되는 발라드였고 예상대로 무대에서도 특별한 LED쇼와 스테이징 없이 오로지 가창력만으로 승부하며 심사위원에서 2위, 시청자 투표에서도 무려 4위를 하며 종합순위 4위를 기록해 2021년 이후 또 한번 TOP5에 드는데 성공하였다. 한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심사위원의 점수가 반영이 되는 두 번째 리허설에서 음이탈을 하는 큰 실수를 저지르는 바람에 결과적으로 경쟁국인 스위스와의 심사위원 투표 부문에서 점수 차이가 심하게 벌어졌다는 점이다. 그래도 파이널 본 공연에서는 완벽한 라이브를 선보였으며[24], 특히 곡 종반부에 아무런 반주 없이 가수 혼자만의 폭발적인 성량으로 무대를 꽉 채우는 클라이맥스 부분은 그야말로 백미.

3위와 5위는 이번 유로비전의 논란의 대상인 우크라이나와 이스라엘이다.
우크라이나는 물론 출품한 노래라든지 무대 퍼포먼스는 괜찮았지만 그렇다고 아주 특별한 것도 아니었고 스테이징도 본국의 상황에 대한 이슈에 맞춘 무대로 구성하여 이스라엘 처럼 동정표를 호소하며 심사위원 투표에서 5위, 시청자 투표에서 3위를 기록하였고 점수도 307점을 받으면서 시청자 투표에서 크로아티아, 이스라엘과 함께 유일하게 300점 이상 받은 국가가 되었다.
이스라엘은 역대급으로 논란의 중심에 선 국가라 할 수 있다. 자세한 것은 사건사고 문단을 참고하도록 하자. 이스라엘은 2022년 우크라이나와 달리 일방적인 피해자도 아니고 양쪽의 피해 규모가 비교도 되지 않을 수준의 일방적 학살을 벌이며 전세계인들에게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출품한 노래 가사 자체도 마치 이스라엘이 명백한 피해자임을 암시하다보니 논란이 상당히 많다. 물론 단순히 이스라엘의 Eden Golan이 가창력이 뛰어난 것은 사실이었고 그녀의 음원이 마음에 들어서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겠다만, 노래 자체가 좋은 것도 아니었고 제일 큰 문제는 시오니스트와 친이스라엘의 성향인 팬들이 유튜브, 레딧, 인스타그램 등 각종 커뮤니티 댓글창을 더럽히면서 이스라엘을 응원하면서 다른 아티스트들의 SNS계정이나 공연 영상 댓글에다가 일방적으로 악플다는 추태를 보여주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행동은 대중들에게 하여금 이스라엘이란 국가 이미지 자체를 극악으로 치닫게 만드는 경솔한 행동임에는 분명하다. 그런 와중에 심사위원 투표는 12위에 그쳤지만 텔레보팅에서 무려 2등을 하며 종합순위 5위를 기록하였다. 심지어 1등인 크로아티아와 14점 차이밖에 안나다 보니 유로비전 커뮤니티는 점점더 막장화로 치닫으면서 그야말로 난장판이 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정치적 이슈의 대상인 두 국가의 시청자 투표는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두고두고 회자가 될 가능성이 높으며, 당분간 결승전에서 심사위원 투표를 폐지할 가능성은 아주 요원해 보인다.

6위는 아일랜드이다. 아일랜드는 2011년 제드워드가 기록한 8위가 아일랜드가 마지막으로 기록한 TOP 10이었고 2014년 부터 2023년 까지 2018년 대회를 제외하고는 모두 파이널 진출에 실패하면서 긴 암흑기를 보내야만 했다. 그것도 아일랜드는 현 스웨덴 처럼 7회 우승에 빛나는 국가인데도 불구하고 최근에 들어서 너무나도 처참하게 무너지는 모습만 줄곧 보여왔었다. 하지만 작정하고 아예 엘렉트로 메탈, 타크팝 장르인 노래를 들고 나와서 어둡고 기괴하고 무엇보다 이해하기 난해한 컨셉으로 공개한 뮤직비디오부터 충공깽스러운 장면을 연출하더니 심지어 본 무대에서도 노래 컨셉에 너무 잘맞는 무대 스테이징을 보여주며 팬들의 마음을 제대로 사로 잡았다. 과거 10여년 전부터 아일랜드 아티스트들이 보여준 밋밋한 퍼포먼스[25]에서 완전히 탈피하였고 자국예선에서 문제가 되었던 라이브마저 개선하였으며 마지막 후렴구에 Bambie Thug이 마녀가 되어 저주를 걸면서 괴성을 지르는 소리에 백댄서가 두려움에 부들부들 떠는 연출은 가히 압권이었다. 심사위원, 시청자 투표, 종합순위 모두 6위를 기록하여[26] 오랜 슬럼프에 빠져있던 아일랜드를 TOP10을 만드는데 성공하였다. 하지만 팬들의 뇌리에 남는 강력한 무대 퍼포먼스에 불구하고 사전에 인기가 좋았던 크로아티아, 스위스, 프랑스를 제치는데 실패하였고 정치적 이슈의 논란의 대상이 된 이스라엘과 우크라이나에게 뒤진 채 끝난 것은 아쉽다고 할 수 있다.

7위는 이탈리아이다. 자국 색체가 묻어나는 빠른 템포의 라틴 팝을 들고나와 사전에 팬들에게 많은 인기를 었었던 곡이며 워낙 유로비전 최강국 답게 이번에도 심사위원 투표 4위, 시청자투표 7위, 종합순위 7위를 기록하며 무난하게 TOP10에 드는 데 성공하였다. 무엇보다 결승전 때 무대의상을 바꾸고 나와서 분위기를 확 바꾼 점이 괜찮았다는 평이 있다.

8위는 아르메니아이다. 역시 윗 순위에 있는 이탈리아 처럼 자국 색채가 묻어나는 자국어 노래를 들고 나와서 무대를 밝고 쾌활한 분위기로 이끌며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거기다 후렴구의 고음 부분 처리도 깔끔하게 소화한 것이 인상적이었다. 심사위원과 시청자 투표에서 모두 9위, 종합순위 8위를 기록하였다. 이는 2016년 대회이후 8년만에 TOP 10에 드는 기염을 토했다.

9위는 개최국인 스웨덴이다. 스웨덴은 작년에 핀란드의 우승을 강탈하고 대신 우승을 차지했다는 여론이 지배적이었고 심지어 스웨덴 내 유로비전 팬들도 우승해도 기쁨을 잠시 자중하는 분위기일 정도였다. 그래서 세미1,2 그리고 파이널까지 Interval act를 외국인 출신 가수를 초청하였고 ABBA 50주년도 짧게 축하하는 등 자국을 축하하는 분위기 보다는 그야말로 국제적인 축제 느낌으로 무대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스웨덴 대표 또한 공연순번에서 1번을 부여받았으며 이번엔 스웨덴이 TOP 10에는 들기 힘들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지만 스웨덴은 역시나 스웨덴이었다. 심사위원 투표 8위, 시청자 투표 11위를 기록하며 종합순위 9위에 들어 패널티가 꽤나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또 보란듯이 TOP 10에 안착하는 것을 성공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 탑텐에 든 국가이자, 10위는 바로 포르투갈이다. 4위를 기록한 프랑스처럼 비슷하게 비교적 심심한 스테이징에 뛰어난 가창력이 필요한 서정적인 멜로디의 R&B 팝을 들고 나왔다. 2022년 서정적인 멜로디의 발라드 Saudade Saudade가 9위를 기록한 이후 2년만에 이번에는 포르투갈 음악의 아이덴티티라고 할 수 있는 파두의 느낌이 물씬나는 R&B 팝으로 TOP 10에 드는데 성공하였다. 참고로 포르투갈도 스위스처럼 2020년대에 들어 꾸준하게 파이널에 진출하며 팬심을 모으고 있는 국가중 하나이다. 앞으로도 임팩트있는 노래를 출품하여 결승전에서 계속 좋은모습을 보여준다면, 포르투갈도 언젠가 스위스처럼 멀지않은 미래에 다시 한번 우승을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발라드 곡이라는 리스크 답게 심사위원 투표는 7위를 기록했지만 시청자 투표에서는 20위라는 점이 아쉽다. 같은 발라드라도 프랑스처럼 심금을 울리는 감성이 느껴지는 듯한 멜로디는 아니다보니 무난하게 좋기는 하지만 약간 심심했다는 평이라 할 수 있다. 그래도 가창력 자체는 원체 좋아서 심사위원의 마음을 사로잡는데는 성공하였다.

종합순위 TOP 10에 들지는 못했지만 심사위원 투표에에서 TOP 10에 든 국가는 의외의 국가였는데 바로 독일이었다. 심사위원투표 10위, 시청자 투표 19위를 기록하며 종합순위 12위를 기록하였고, 노래자체는 밋밋해도 퍼포먼스는 나름 파워풀하게 잘 소화하며 심사위원의 마음을 어필하는데 성공하였다.
그리고 시청자 투표에서만 TOP 10에 안착한 국가는 그리스와 리투아니아였다. 그리스는 자국 색체를 버무린 비트와 박자에 맞춰 자국어로 된 노래를 출품하여 참가했는데, 나름 멜로디가 중독성있고 재밌다는 평이다. 결과는 시청자 투표에서 8위, 하지만 심사위원 투표에서 14위를 기록하였고 아쉽게 종합순위는 11위로 마무리하였다. 리투아니아는 엘렉트로닉 팝을 들고 나와서 비트에 맞춰 반복된 동작의 춤을 추며 한 단어로 이루어진 가사를 반복하는 노래를 춤품하여 참가하였는데, 리투아니아어지만 후렴구를 따라하기도 쉽고 나름 중독성이 있다는 평이다. 시청자 투표에서 10위, 심사위원 투표에서 17위를 기록하여 종합순위 14위로 마쳤다.

번외로 복귀국 룩셈부르크는 13위로 왼쪽 열 말석을 지켰다. 가수가 이스라엘에서 태어나 남미와 룩셈부르크에서 자란 관계로 이스라엘 심사위원들로부터 블록 보팅을 통해 12점을 받았다. 그리고 영국이 텔레보팅에서 0점을 받았으며, 종합순위 꼴찌는 노르웨이가 차지했다. 최근 유로비전을 시청하기 시작한 팬들이라면 의아해 하겠지만 사실 노르웨이가 결승전에서 가장 많이 꼴찌를 기록한 국가 중 하나이다.

5. 평가

이번 대회에 대해서 종합적인 총평를 하자면 시청자 투표 1위 곡이 심사위원 투표 1위 곡과의 압도적인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2위에 머무르게 되었다는 점에서 2023년 대회의 재림이라는 평이 많다. 특히 지난해에도 큰 이슈로 떠올랐던 심사위원단의 편파 투표 관련 논란이 팬덤 내에서는 올해 대회를 계기로 더욱 증폭되고 있으나, 유럽 내 극우 및 우파 정치권의 지원으로 이스라엘이 텔레보팅에서 비정상적인 몰표를 받고 (323점), 평이한 무대를 선보였던 우크라이나도 여전히 307점을 받아가면서, 심사위원 투표 제도가 여전히 존재해야 하는 이유를 대놓고 스스로 증명한 꼴이 되고 말았다. 거기다 파이널 부터는 2011년 대회처럼 모든 참가 국가도 공연시작 직후부터 투표를 할 수 있도록 변경하였는데도 그랬다. 정치적의 논란이 된 대상이 된 국가들은 아무리 공연 순번을 앞에 배치해도 이런 현상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만약 텔레보팅만으로 집계할 경우 크로아티아 - 이스라엘 - 우크라이나 - 프랑스 - 스위스 순으로 2, 3위가 전부 정치적 이유로 선정되는 막장 상황이 연출된다.

추가로 파이널 공연 시 모든 참여국들이 추첨으로 1st half, 2nd half를 배정받은 이후 공연순서를 배정받았던 지난 대회들과 달리, 이번 대회에서는 절반만 1st half와 2nd half로 나누고 나머지는 Producer's PIck으로 프로듀서가 직접 선정할 수 있도록 변경하였다.

당연한 말이지만 앞순서일수록 기억에 사라지고, 심지어 TV로만 시청하는 현지 국가 시청자들의 경우 앞부분은 놓치는 경우도 종종 있기 때문에 최대한 뒷 순서로 가야지 유리하다. 때문에 순서 배정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절반 정도를 운이 아닌 프로듀서의 손에 맡긴 것이다. 이를 보완하는 의미에서 앞부분이 기억에서 사라지기 전에 원하는 가수에 투표할 수 있도록 파이널에서만 공연 시작부터 투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공연순서로 참가국 성적을 분석해보자면, 시청자 투표에서 TOP 10에 들어간 국가 중 The 1st half(1~13)에 속해있던 국가들은 이스라엘, 우크라이나, 아일랜드, 그리스, 리투아니아으로 5개국 중 2개국이 정치적 논란에 휩싸인 국가들이었으며. 반면, second half(14~26)에 속한 국가들은 스위스, 크로아티아, 프랑스, 이탈리아, 아르메니아로 역시 절반인 5개국이 나왔다.

국가 수로만 보면 밸런스가 맞는 듯한 모습은 보였지만 앞 번호에 배정된 국가들 중 논란의 대상이었던 이스라엘, 우크라이나만이 300점 이상 대량득점을 받았을 뿐, 나머지의 경우 아일랜드만 100점 이상을 그리스, 리투아니아는 100점 미만을 받았다.

뒷 번호에 배정된 국가들은 크로아티아가 337점으로 1위, 스위스와 프랑스가 200점대 이상을 이탈리아가 100점 이상, 아르메니아는 100점 미만을 받았다. 그리하여 논란의 대상이 된 2개국을 제외하면 뒷 번호에 배정된 국가들이 앞 번호에 배정된 국가들보다 점수를 많이 받아온 것은 결국 시작부터 투표를 열었어도 이전과 양상이 크게 다르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때문에 운이 아닌 프로듀서의 손에 참가국, 특히 우승이 유력한 몇몇 참가국의 운명이 결정된다는 것에 공정성 논란이 생길 가능성 있다. 특히나 이번 Producer's pick에 우승후보로 점쳐졌던 4개국인 스위스, 크로아티아, 우크라이나, 이스라엘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더더욱 민감할 수 밖에 없었다.

다만 러닝오더가 공개된 이후에는 정치적 이슈에 대한 스케일이 워낙 큰 2개 국가의 우승을 막기 위해서 어쩔 수 없는 조치인 것이 아니었냐는 루머가 돌고 있기는 하다. 우크라이나는 일명 데스 스팟이라 불리는 2번에, 이스라엘은 6번이라는 애매하게 앞순서인 것에 더해, 네덜란드의 빠른 템포에 중독성과 밈이 넘치는 댄스곡 다음 순서에서 감성적인 발라드를 불러야 하도록 배정되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임팩트가 적을 가능성이 높아 순서상으로는 불리하다고 평가받았다. 작년과 똑같은 룰을 적용하여 이스라엘이 2nd half, 스위스, 크로아티아가 1st half를 받았을 경우, 지금 나온 결과보다도 훨씬 압도적으로 1위를 했을 수도 있을 상황이었기에 이것 또한 배제할 수 없다. 결국 최대한 기본적인 공정성의 요소를 무너트리지 않고 룰을 바꿔서 적용할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하지만 또 다시 프로듀서의 손에 의해 뒷 번호에 배정된 국가들에게 너무 유리하게 만들었다는 비난에 대한 여론도 역시 분명히 존재할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도 투표개시 시간을 어떻게 조정할 것인지, 그리고 공연 순서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지에 대하여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분명 유로비전 2024가 논란이 굉장히 많은 대회였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지만 그래도 긍정적인 요소를 꼽아보자면 많은 가수들이 자국 색체가 묻어나는 전통적인 요소가 가미된 장르 및 다양하고 새로운 시도를 한 장르의 곡이 많았으며, 무엇보다 대부분 좋은 순위에 들은 노래들이 자국어로 출품된 노래였다는 점이다.

6. 사건사고

6.1. EBU의 이스라엘 특혜와 이스라엘의 타국 참가진 도발 및 괴롭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되자 곧바로 참가 제한 조치를 받은 러시아와 달리, 이스라엘은 행사 메인 스폰서가 이스라엘 기업인 Moroccanoil인데다 여러 이해 관계가 맞물려 참가 제한은 커녕 EBU측에서 이스라엘에 대한 어떠한 비판 행위도 용납하지 않는 특별 보호를 받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다수의 국가 참여진들로부터 이스라엘 공영방송 협회측 스태프들의 도발과 협박으로 인해 신변상 위협을 느꼈다는 진술이 우후죽순으로 드러나고 있다. 유로비전 주최측은 이스라엘의 참가를 둘러싼 논란을 두고 '이스라엘의 참가는 EBU 윗선의 결정이고 참가자들은 잘못이 없으니 참가자들에 대한 어떠한 형태의 괴롭힘에 반대한다'는 성명을 낼 정도로 이스라엘 옹호에 혈안이 되어 있었지만 #, 정작 이스라엘 공영방송 협회측 스태프들이 리허설에서 "Free Palestine"을 외친 스페인 기자를 둘러싸 소리를 지르며 협박하자 스페인 RTVE가 '언론 자유를 보장하라' 며 EBU에 공개적으로 항의하는 일도 벌어졌고, # 파이널 직전에는 후술할 사건으로 인해 심사위원 리허설에 불참한 네덜란드측 스태프들에게 이스라엘 공영방송 협회의 앵커인 Dov Gil-Har가 안전요원의 제지와 당사자들의 요청을 무시하고 계속 '왜 요스트가 파이널 전 리허설에 오지 않았냐며' 네덜란드측 스태프들을 조롱하는 등 EBU의 묵인 하에 자국에 비판적인 타국 참가자들을 적극적으로 괴롭히는 안하무인적 행위를 일삼아 문제가 되고 있다. #

행사 후 밝혀진 NOS의 기사에 따르면 네덜란드 AVROTROS는 이미 요스트의 후술할 사건 발생 이전부터 신변 위협에 대해 두 차례나 EBU에 신고를 접수했다고 밝혔으며, 두 차례의 신고 모두 아직까지 EBU로부터 반응이 없었다고 밝혔다. NOS 기사에 따르면 노르웨이, 리투아니아, 아일랜드 등 타국 참가자들의 신변 안전에 대한 진술과도 일치한다고 하며, 노르웨이 Aftenposten을 인용한 바에 따르면 노르웨이 참가자 또한 파이널 직전 참가를 취소하는 걸 고려하기까지 했다는 사실이 드러났으며, 노르웨이측 기타리스트인 Magnus Børmark는 "EBU가 이스라엘의 참여를 두고 유로비전 참가자들에게 특정한 정치적 역할을 강요했다"며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시했다. 또한 아일랜드 참가자인 Bambie Thug또한 이스라엘 공영방송 협회가 그녀에 대한 폭력을 조장한 사건에 대해 EBU에 항의했으나 여전히 EBU측의 대응이 없었다고 밝혔다. 폴란드 대표 Luna 또한 귀국 후 인터뷰에서 참가진들 내부 사정에 대해 말을 아꼈으나, "이스라엘측 참여진들이 모두를 심하게 괴롭히고 도발했다"며 "매우 불쾌하고 부적절한 상황"이었다고 증언했다. RMF

유로비전이 열리는 말뫼 아레나 밖에서부터 이스라엘의 유로비전 참가에 대한 시위가 열렸다. # 공연 현장에서 팔레스타인 국기를 소지한 관객은 전부 퇴장 조치당했고 #, 이스라엘의 공연과 결과 발표 당시 현장에서는 야유가 가득한 영상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지만, # # 방송 당시에는 전부 필터링되고 시트콤마냥 환호 음성이 삽입되어 송출되었다.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2015년[27]부터 도입된 야유 방지 기술(Anti-booing technology)을 사용한 것인데, NOS 기사에 따르면 EBU측이 행사 전 야유 방지 기술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던 사실이 드러났다.

6.2. 이탈리아 세미파이널 2 자국 텔레보팅 결과 유출

유로비전 규정대로라면, 심사위원의 세부결과와 텔레보팅의 세부결과는 파이널 이후 공개되어야 하지만, 이탈리아의 RAI가 세미파이널2 중계방송 말미에 자국 텔레보팅 결과를 공개했다. 놀라운 점은 이스라엘의 득표율이 무려 39.31%를 차지한다는 점. 특히나 이탈리아의 블록 보팅 국가 중 하나인 알바니아를 포함하여 어느 나라도 득표율이 10%를 넘지 못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거의 몰표에 가까운 표를 받은 셈이다. 세미파이널과 파이널 텔레보팅에서 모두 만점에 가까운 성적을 받았던 2022년 우크라이나조차도 당시 대회에서 이탈리아에게 세미파이널 24.5%, 파이널 29%밖에 받지 못했다. 그런데 이스라엘은 이를 무려 10%나 뛰어넘는 표를 받은 것이다. 해당 텔레보팅 결과가 유출된 이후 이스라엘의 사전 우승 배당확률은 8위에서 2위로 껑충 뛰어올랐다.

시청자들은 충격에 휩싸였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2022년 토리노 대회에서 텔레보팅 몰표로 우승한 우크라이나와 비슷한 상황이 벌어지는 것 아니냐며 매우 우려를 표하고 있다. 특히 전 유럽이 한 마음이 되어 러시아의 일방적인 침공으로 국토가 유린당한 우크라이나와 연대하였고 EBU 또한 이에 호응하여 침략전쟁과 전쟁범죄를 이유로 러시아와 벨라루스의 유로비전 참가를 금지시킨 2022년과는 달리,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경우 네타냐후 정권이 가면 갈수록 정부내 극우파들과 연대하여 정권 유지를 위해 전쟁을 무리하게 끌고 가는게 아니냐는 비판에 휩싸이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외적으로 반전, 휴전 정서가 급증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각에서는 이스라엘의 참가를 허가한 EBU와 유로비전을 보이콧하자는 운동이 수면위로 올라오고 있는 상황 이었다. 덕분에 배당확률이 요동치는 것에 비례하여 포럼, 레딧, 인스타그램 등의 여론은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측과 이스라엘을 반대하는 측, 그리고 유로비전의 정치화를 혐오하는 측 등 여러 의견들이 뒤엉켜 난장판이 되어가고 있었다.

해당 방송이 송출된지 약 15시간 이후 EBU는 RAI가 유출한 텔레보팅은 불완전한 결과였으며 RAI의 규정위반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기사 결국 악화된 여론과 공식 조사 결과 발표에 따라, 순간적으로 40%까지 갔던 이스라엘의 우승 배당확률은 다시 20%까지 가라앉았다.

6.3. 네덜란드 대표 실격

네덜란드 대표 요스트 클레인(Joost Klein)이 결승전 첫 번째 드레스 리허설에서 국기 퍼레이드에 참석했지만 이후로는 공연에 나타나지 않았다. 이후 진행된 드레스 리허설에도 불참했고, 심사위원 공연에도 플래그 퍼레이드에만 참석한 채 공연하지 않았다. 대신 심사위원 공연은 점수가 들어가는 공연이기 때문에 임시로 세미파이널2 공연 녹화본으로 대체하였다.

이스라엘 기자단과의 충돌이 있었다는 증언[28]이 있지만 공식적으로 밝혀진 것은 없다. 일단 유럽방송연맹은 네덜란드 참가가와 관련된 사건을 조사 중이라고 밝혔으며 추후 통지가 있을 때까지 네덜란드가 리허설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그 결과 Rest of the World의 사전투표도 네덜란드 참가자에 대한 조사가 끝날 때 까지 진행할 수 없게 막아놓은 상태였다.

결국 파이널 당일 12시 17분(한국시간 19시 17분), EBU는 네덜란드의 실격을 발표하였고, 25개국으로 대회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EBU측 발표문에 따르면 일부 언론과 소셜미디어에서 퍼진 소문과 달리 이는 어느 참가 국가의 대표단과도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 기사

다만 기자회견에서 이스라엘 참가자가 받은 '당신의 참여가 다른 참가자들과 관중들에게 위험을 야기한다고 생각하냐' 는 질문에 대해 관계자가 '답변하기 싫다면 답변하지 않아도 된다'고 두둔하자 이에 대해 요스트가 "Why not?" 이라고 반발했던 것은 사실이며 NOS, 이에 따라 이스라엘에 대한 어떠한 형태의 의견 표출도 드러내지 않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던[29] EBU에게 제대로 찍혔다고 보는 게 맞다. 네덜란드의 주관 방송사인 AVROTROS도 매우 불공평한 처사라며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출했다. EenVandaag 또한 기자회견 이후 이스라엘측 참가자가 요스트에게 자신과 같이 사진을 찍을 것을 요구했는데,[30] 요스트가 이를 거부하고 자신을 촬영하지 말 것을 요구하자 이스라엘측 참가자가 이를 무시하고 요스트를 촬영한 뒤 인스타그램에 업로드했던 것도 사실이다. Puna

유럽방송연맹의 공식발표 이후 Rest of the World의 사전 투표가 가능해졌다. 상기 내용대로 네덜란드 제외한 25개국 대상으로 투표가 가능하며, 네덜란드는 투표 목록에서 삭제가 되었고, 투표전 리허설 일부 Recap 영상도 당연히 삭제가 되었다.

이 사태로 파이널 드레스 리허설에서 아일랜드[31] 대표 Bambie Thug는 항의의 차원으로 불참하였고, 프랑스 대표 Slimane은 자신의 공연 종반부에 있던 무반주 클라이맥스 파트에서 노래하는 대신 평화와 화합에 대하여 연설했다. 노르웨이와 핀란드의 심사위원 점수를 발표하기로 예정된 2023년 리버풀 대회 5위 노르웨이 대표 Alessandra와 2위 핀란드 대표 Käärijä[32] 는 점수 발표를 거부하고 다른 진행자로 대체하였다. 이후 네덜란드의 심사위원 점수를 발표하기로 했던 니키 더 야허르 (Nikkie de Jager)[33] 또한 점수 발표를 거부했으며, 직전 대회 우승자 로린은 만약 이스라엘이 우승한다면 트로피 전달식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기까지 했다.[34] # 많은 팬들은 Justice for Joost를 외치며 과도한 EBU의 처사에 분노하는 중인데, 심사위원 투표 결과를 발표하기 전 유로비전 총괄 감독인 마르틴 외스테르달(Martin Österdahl)이 마이크를 잡았을 때 공연장이 야유로 덮였을 정도였다. 덕분에 텔레보팅 발표 전에도 으레 하던 '검토가 끝났으니 발표를 진행하겠다'는 의미의 "You're good to go"를 생략하고 후다닥 진행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아이러니하게도 2019년에 네덜란드가 우승했을 당시 개최국이 이스라엘이었다. 심지어 이스라엘 심사위원은 12점을 네덜란드에게 주었다.

7. 여담

7.1. 번외상 수상자


[1] 현지 기준. [2] 유럽뿐만 아니라 아시아,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관계 없음. 당연 한국에서도 투표가 가능하다. [3] 아티스트 하나에 20표를 행사해도 되고 1~2표씩 나누어 모든 아티스트들에게 투표할 수 있다. 물론 금액이 부담스럽다면, 단 1번만 투표해도 전혀 상관 없다. 다만, 만약 20회 투표를 했다면 약 2만 9천원이 금액이 발생이 되니 본인의 지갑의 사정에 맞춰서 투표를 하여 유로비전을 즐기도록 하자. [4] 2010년 오슬로 대회에 아이슬란드 대표로 참가한 적 있다. [5] 2007년 헬싱키 대회에 몰도바 대표로 참가한 적 있다. [6] 얀쿠니차차라어로 동족을 뜻한다. [7] 애버리진의 언어 중 하나. 파마늉아어족 와티어파 서부 사막 제어 중 하나로 피찬차차라어와 매우 유사하다. [8] 스페인어로 암캐를 뜻한다. 문제는 이 단어가 영어의 'bitch'에 버금가는 매우 모욕적인 여성혐오 단어라는 것. 공개 당시 여성 해방과 여성의 권리를 노래하는 제목이 매우 심한 여성혐오 단어라는 점에서 스페인 여성계의 보이콧 운동이 있었다고 한다. [실격] [실격] [11] 사전에 배당진출 확률이 고작 38%밖에 안되었는데도 82%인 폴란드를 제치고 진출에 성공하였다. 본인도 예상을 못했는지 본인의 국가가 호명되자마자 감격의 눈물을 터트린 것은 덤. [12] 2019년: 세미파이널 2 18위(꼴찌), 2021년 세미파이널 1 16위(꼴찌), 2022년 세미파이널 2 15위, 2023년 세미파이널 1 12위 [13] 사실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와중에도 안티들의 악플 세례를 받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4] 하지만 결승전 공연 순번으로 2번을 부여 받으면서 확률이 낮아졌다. 2번 엔트리는 일명 저주받은 엔트리라고 불리며, 우승국이 나온 적은 단 한 번도 없고 세미파이널에서도 결선에 진출할 확률이 극한으로 낮은 것으로 악명높다. [15] 마찬가지로 2015년에서 2018년까지 4연속 결선 탈락을 기록하다가 2019년 매니악하고 어두운 퍼포먼스로 실전에서 크게 주목받아 최종 성적 10위를 거둔 아이슬란드가 연상된다는 반응도 있다. [16] 반면에 비슷한 컨셉으로 나온 2019년 아이슬란드는 자국이 무려 4회 연속 탈락 고배를 마신 후에 파이널 진출에 성공한 것이었는데도 무표정인 모습으로 카메라에 비춘 것이 가히 압권이었다. [17] 2023년 구유고연방 세미파이널 성적: 크로아티아 세미파이널1 8위, 세르비아 세미파이널1 10위, 슬로베니아는 세미파이널2 5위 [18] 다만 폴란드의 경우 무대 순서가 우크라이나와 크로아티아라는 우승후보 사이에 끼여서 묻히기 쉬운 순서 또한 배제할 순 없다. 무대구성을 상당히 잘 꾸며놓아서 배당진출 확률이 82%로 상당히 높은 편이라 아쉽다는 의견도 있다. [19] 사건사고 문단 참고 [20] 2014년 크림 사태 이후 유로비전 2015 러시아와 아주 유사하다. [21] 이것도 프리파티와 리허설때 비하면 많이 개선시킨 것이다. [22] 2위 프랑스와 147점 차이이다. 작년 스웨덴 버프 및 우승자 출신 버프로 심사위원 몰표를 받아 핀란드의 우승을 강탈해갔다는 비난으로 몸살을 앓았던 로린340점이었다. [23] 90년대에는 대부분이 Top 10에 들었을 정도로 꽤 유로비전에서 힘을 썼었고, 99년도에는 무려 4위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24] 관객들의 열열한 환호와 찬사를 공연도중 내내 받을 정도였다. [25] 그나마 2022년도는 노래 스타일 자체가 너무 구식이라 그렇지 무대구성 자체는 좋았다 [26] 무대 컨셉에 맞게 666을 달성했다는 반응들이 있으며, 본인도 인스타그램에 악마 이모티콘과 함께 언급하기도 했다. [27] 당시 러시아에 대한 여론으로 인해 러시아 참가자에 야유가 많았다. [28] 이스라엘측 스태프가 사진 촬영을 거부한 joost를 도촬하면서 패드립을 쳐서(joost의 올해 참가곡인 Europapa는 일찍 사망한 부모에게 바치는 노래이다) 싸움이 났고 몰래 찍은 영상은 자신들의 소셜미디어 계정에 올렸다는 것이다. [29] 아일랜드 참가자가 받은 여러 발언 제한이 대표적이다. 핵심 스폰서가 이스라엘 기업인 Moroccanoil인 것도 한 몫 했다. [30] 당시 맥락을 생각하면 당연히 이스라엘의 프로파간다 목적이 짙다. [31] 아일랜드는 수백 년동안 영국에 존속되어 탄압을 겪은 역사를 가지고 있어서, 유럽에서 특히나 팔레스타인에 동정적인 사회 분위기를 지니고 있다. 특히 참가자인 Bambie Thug는 대표적인 친팔레스타인 포스트를 업로드하는 등의 행보를 보이고 있다. [32] 특히 Käärijä는 Joost Klein과 친분이 있으며, 대회 전에 Joost Klein의 우승을 바란다는 인터뷰까지 했다. 이스라엘 참가자와 함께 찍은 영상이 공개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으나, 자신의 허가 없이 게시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33] NikkieTutorials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한, 구독자 1,450만명을 보유한 뷰티 유튜버로 2021년 로테르담 대회에서 사회를 맡기도 했다. [34] 그도 그럴것이 로린은 모로코계 이민자 출신이다. [35] 뮤직비디오나 인터뷰할 때 공연에서 보면 알겠지만 치마를 입는 모습 등 젠더적인 측면에서 자유분방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36] 하이톤인 음색과 더불어 이러한 이유로 여자로 착각되어지는 경우도 유튜브나 유로비전 팬 사이트 등에서 여럿 있었다. [37] 예전에는 바이섹슈얼로 지칭했지만 유로비전 콘테스트 참가 시점에서는 어떠한 명칭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칭하지 않으며 그냥 사람을 좋아한다고 밝혔다. [38] 1989년 우승한 밴드 RIVA는 멤버 전원이 크로아티아인이었고 1990년 대회 또한 자그레브에서 치뤄졌으나, 당시 크로아티아는 유고슬라비아의 일부이기 때문에 공식적으로는 유고슬라비아의 우승으로 취급된다. [39] 각국 중계진의 투표로 선정하는 Artistic Award, 작곡가와 작사가에게 수여하는 Composer Award 수상 [40] 취재진의 투표로 선정하는 Press Aw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