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23:08:19

오스트라바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체코의 축구 구단에 대한 내용은 FC 바니크 오스트라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11457E 11%,transparent 11%), linear-gradient(to bottom, #FFF 85%,#D7141A 1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주(kraj) 헌장 도시(Statutární město)
파일:프라하.png
프라하
파일:중앙보헤미아주.png
중앙보헤미아주
파일:프라하.png 프라하* · 파일:클라드노.jpg 클라드노 · 파일:믈라다볼레슬라프.jpg 믈라다 볼레슬라프
파일:남보헤미아주.png
남보헤미아주
파일:체스케부데요비체.png 체스케 부데요비체*
파일:플젠주.png
플젠주
파일:플젠.png 플젠*
파일:카를로비바리주.png
카를로비 바리주
파일:카를로비바리.png 카를로비 바리* · 파일:체코 헤프.png 헤프
파일:우스티주.png
우스티주
파일:우스티나트라벰.png 우스티 나트 라벰* · 파일:호무토프.png 호무토프 · 파일:데친.jpg 데친 · 파일:모스트.gif 모스트 · 파일:테플리체.png 테플리체
파일:리베레츠주.png
리베레츠주
파일:리베레츠.png 리베레츠* · 파일:야블로네츠나트니소우.png 야블로네츠 나트 니소우
파일:흐라데츠크랄로베주.png
흐라데츠 크랄로베주
파일:흐라데츠크랄로베.png 흐라데츠 크랄로베*
파일:파르두비체주.png
파르두비체주
파일:파르두비체.png 파르두비체*
파일:비소치나주.png
비소치나주
파일:이흘라바.png 이흘라바*
파일:남모라바주.png
남모라바주
파일:브르노.png 브르노*
파일:올로모우츠주.png
올로모우츠주
파일:올로모우츠.png 올로모우츠* · 파일:프로스테요프.png 프로스테요프 · 파일:프르제로프.png 프르제로프
파일:즐린주.png
즐린주
파일:즐린.png 즐린*
파일:모라바슬레스코주.png
모라바슬레스코주
파일:오스트라바.png 오스트라바* · 파일:프리데크미스테크.png 프리데크 미스테크 · 파일:하비르조프.png 하비르조프 · 파일:카르비나.png 카르비나 · 파일:오파바.png 오파바
* 주도 }}}}}}}}}
파일:ostrava.jpg
파일:ostrava 1.jpg

파일:ostrava coa.png

1. 개요2. 언어별 표기3. 역사

1. 개요

체코 북동부 모라바슬레스코주의 주도이며 슬레스코 지역과 모라비아 지역의 경계를 이루는 도시이다. 오데르강 연안에 위치한다. 인구는 2024년 기준 284,765명이며 체코에서 프라하, 브르노에 이어 세번째로 큰 도시이다. 과거엔 주요 공업도시였지만 1989년 벨벳 혁명 이후엔 문화도시로 성장하고 있다.

2. 언어별 표기

체코어 Ostrava
폴란드어 Ostrawa(오스트라바)
독일어 Ostrau(오스트라우)

3. 역사

역사서엔 1229년 처음으로 언급되며 오스트라비체 강 연안에 세워졌기 때문에 오스트라바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일대는 발트해 무역권과 이탈리아 반도를 잇는 주역 무역로 '호박 길(Bernsteinstraße)'[1]이 지나는 곳이었기 때문에 나름 경제적으로 번성했고 브레슬라우나 모라비아 중심도시인 올로모우츠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보헤미아 왕국의 중요도시 중 하나로서 기능했다. 이후 합스부르크 왕조가 보헤미아 왕위를 획득하면서 합스부르크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30년 전쟁기엔 다른 슬레스코 지역과 마찬가지로 엄청난 피해를 입고 몰락했다.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도중인 1742년 슬레스코 대부분이 프로이센 왕국에 할양되었을때 오스트라바는 합스부르크 제국에 남아 오스트리아령 상하 슐레지엔 공국을 형성했다. 고지슬레스코[2]의 탄맥이 이 지역까지 닿았기 때문에 오스트라바 주변에도 역시 석탄이 많이 매장되어 있었고 오스트리아 제국 18세기 말부터 이 지역의 탄광을 개발했다. 1828년 올로모우츠 대주교에 의해 이 지역의 풍부한 석탄을 이용하는 제철소가 세워졌는데 나중에 이 제철소가 1873년 로스차일드 가문에 넘어가면서 비코비체 제철소(Witkowitzer Bergbau- und Hüttengewerkschaft)라는 이름으로 재단장했다. 이 제철소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최대의 제철소로 산업혁명에 발맞추지 못해 생산능력이 떨어지던 제국에겐 참으로 귀중한 자산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기 도시는 별다른 피해를 입지 않고 소련군에 해방되었고 기존의 산업 자산들 덕분에 체코슬로바키아 최대의 산업도시 중 하나로 성장했다. 하지만 이런 산업화는 도시와 그 주변의 생태를 크게 파괴했는데, 오스트라바 주변지역은 오데르 강과 오스트라비체 강, 그리고 오파바 강과 루치나 강까지 4개의 강이 만나는 곳으로 생태학적 가치가 매우 컸기에 이런 환경 오염을 그대로 둘 수 없었다. 그래서 1989년 벨벳 혁명으로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붕괴된 이후엔 차츰 채광, 제철산업을 줄여나갔고 결국 1994년 광산과 제철소 모두 문을 닫았다.

도시는 이후 문화도시로 재단장했고 시민의 삶의 질도 올라갔다. 문을 닫은 비코비체 제철소는 체코의 주요 역사유산이 되는 동시에 독일의 촐버라인 탄광[3]처럼 시민들의 레저공간으로 탈바꿈했다. 그리고 2002년부턴 뮤직 페스티벌 Colours of Ostrava를 매년 열고 있다.
[1] 발트해 남쪽 연안의 주산물은 호박석이다. 멀리 북부 레발에서 슈테틴에 이르기까지 상당히 긴 지역에서 호박석이 채취되었으며 로마 제국 이전 시대부터 이 지역의 호박석들이 이탈리아로 공급되어 왔다. [2] 현재 폴란드 카토비체 일대. [3] 유럽 최대의 탄광 지대인 루르 지방에 위치한 탄광으로 19세기 중반에 세워져 독일 제국의 그 엄청난 산업능력에 크게 기여했다. 1980년대까지 채광이 이루어졌으며 독일의 산업구조 선진화로 석탄의 중요성이 점차 떨어지면서 폐광했다. 에센 시에서는 이 폐광을 방치하지 않고 시민들의 레저공간, 박물관으로 깔끔하게 재단장시켰고 이런 노력, 그리고 탄광 자체의 엄청난 역사성을 인정해 2001년 유네스코는 이 탄광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했다.